KR101230581B1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581B1
KR101230581B1 KR1020120075054A KR20120075054A KR101230581B1 KR 101230581 B1 KR101230581 B1 KR 101230581B1 KR 1020120075054 A KR1020120075054 A KR 1020120075054A KR 20120075054 A KR20120075054 A KR 20120075054A KR 101230581 B1 KR101230581 B1 KR 10123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oam
group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목
김민철
권오철
백종두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텍 filed Critical (주)케이피텍
Priority to KR1020120075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친환경 소재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발포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를 패널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건축내장재, 포장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와 같은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functional foam composition using polyethyleneterephthalate}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기능성 발포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발포체는 건축내장재, 포장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와 같은 제품에 패널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포물질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고분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고분자는 비결정성 고분자로 용융점도가 높으면서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변화가 작기 때문에 발포성이 양호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고분자의 발포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발포제로 생산하여 포장 완충제, 단열재, 포장용기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포장재는 환경호르몬이라는 유해물질이 방출이 되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약을 받는 물질이다.
한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고분자에 비해서 친환경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고분자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는 높은 결정성 고분자로 높은 용융점, 내화학성, 내열성, 내후성이 우수하며, 인쇄적정성, 투명성이 높기 때문에 다양한 소재 및 포장재로 사용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소재의 원료를 절약하고, 경량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며 기능성이 첨가되어 친환경성 에코스마트 소재의 요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측면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를 발포하여 각종 친환경 소재로 사용한다는 것은 경제성과 환경성 측면에서 활용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를 발포시키는 데는 많은 어려운 점을 안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여 친환경성 발포체를 제조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판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중합체를 이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분자 물질이 발포할 수 있도록 최적의 물리화학적 환경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발포물질을 가하여 고분자 물질의 최적의 점도를 유지하면서 기포셀을 고정화 시켜 안정화를 이루어 제품의 발포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고분자 물질은 물리적 상태에 따라서 무정형 고분자와 결정성의 고분자로 구분할 수 있다. 아탁틱 폴리스티렌과 같은 비결정 고분자들은 충분하게 큰 분자량 상태에서 안정하며 또한 유동을 억제하는 얽힘(entanglements) 현상이 존재함으로써 용액상태에서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물리학적인 특성 때문에 발포체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조건으로 제조를 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결정성 고분자는 용융상태에서 높은 열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많은 수의 배위수를 가지게 된다. 고분자 용융물이 냉각될 때 바림직한 어떠한 조건에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형성하면서 자유스럽게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야만 발포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의 Tm 값은 265℃, Tg 값은 69℃ 정도인데, 높은 Tm 값과 용융상태에서 냉각이 될 때 점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완전하지 못한 결정구조가 형성이 되는데, 이러한 점이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물리화학적인 조건을 결정하는데 많은 제한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조건을 극복을 하는 것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발포체를 제조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된다.
고분자의 결정용융 온도는 열역학적인 여러 가지 인자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되며, 또한 Flogy-Huggins 이론에 의하면 첨가되는 물질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되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이론에 의하면 용매 또는 가소제에 의해서 결정의 크기가 감소하게 되므로 열역학적으로 Tm 값이 감소하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즉, 고분자의 용융과정에서 얻어진 결정화도는 결정화 속도 및 용융온도를 유지를 하는데 걸린 시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의 결정화도는 결정화 속도와 결정화 온도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의 Tm에서의 결정성 라멜라가 용융체로부터 형성되자 마자 빠르게 소멸되는 관계로 결정화 속도가 제로가 되면서 점도는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러한 물리적인 특성이 발포의 소재를 제조하는데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된다.
고분자 물질이 안정한 발포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발포제가 용융된 고분자 물질에 인슈트되어 성장을 하면서 안정화될 수 있도록 용융 점도를 일정한 시간 유지를 해야 하는 조건이 따르게 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는 이러한 조건의 용융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되지 못하고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발포체를 제조하기에 어려운 점이 따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친환경 소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를 이용한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에 상기 고분자와 유사성의 특성기를 갖는 고분자 예를들어, 폴리글루콘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과 같은 개질제를 블렌딩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의 발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밝혀냄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기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의 발포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정한 발포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50 내지 60 중량부; 및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루콘산,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개질제 15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펠렛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성 질소 2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단계는 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50 내지 60 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루콘산,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개질제 15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5 내지 10 중량부; 항균제 3 내지 7 중량부; 유연제 2 내지 5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5 중량부; 윤활제 0.5 내지 2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 아크릴산,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균제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 및 폴리인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담체에 은, 아연, 동 및 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항균금속을 첨가시킨 복합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연제로는 글리세롤, 소르비탄,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바륨,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정제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메틸셀롤로우스,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 나트륨, 에스테르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윤활제로는 유동파라핀, 염화파라핀, 노르말파라핀 및 파라핀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에리소르빈산 또는 아스코르빈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기능성 발포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능성 발포체를 이용하여 패널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건축내장재, 포장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와 같은 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친환경 소재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발포성 문제를 개선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를 패널 시트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건축내장재, 포장재 또는 자동차 내장재와 같은 제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한 시트 롤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포한 평면 시트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결정성 고분자는 압출가능한 온도범위가 매우 좁은 관계로 발포 제품을 제조하기에 매우 어려운 소재이다. 예를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비결정 고분자는 정확한 용융점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고분자의 블렌딩법을 이용하여 유동성, 수축성, 가공성, 작업성과 탄성률이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향상을 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용융하여 냉각시 급격한 점도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에 발포를 시킨다고 해도 불안정한 발포셀이 형성되어 발포 상태의 폼이 유지되기가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의 발포성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정한 발포제품을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에틸렌글리콜을 함께 가열시키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하여 디하이드록시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올리고머의 혼합물이 생성되는데 진공상태에서 삼산화안티몬 촉매 존재 하 270℃에서 가열시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가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유사성의 특성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 간의 블렌딩을 통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발포성의 환경조건을 만들고자 한다. 또한, 발포제품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분자량이 높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물질을 첨가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유사성의 특성기를 가지고 있는 개질제 고분자는 점도를 상승시켜 발포 환경을 좋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폴리글루콘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발포환경에 대한 물리적 특성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유사성의 특성기를 가지고 있는 고분자 간의 혼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 아크릴산,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계면활성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발포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안정한 고분자 물성의 상태에서 벗어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항균성의 특성이 발현이 되도록 친환경성 항균제를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7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항균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 및 폴리인산알루미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담체에 은, 아연, 동 및 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항균금속을 첨가시킨 복합체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친화성이 높고 친환경적인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복합체 항균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균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발포한 제품의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유연제는 발포제품을 원활하게 생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글리세롤, 소르비탄,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바륨,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유연제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발포체의 기공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물성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기공셀을 안정화 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점성과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한 안정제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메틸셀롤로우스,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 나트륨, 에스테르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안정제는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고분자 발포체의 물성이 발포체의 기공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물성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기공셀을 안정화 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윤활제 및 성형제품 분리제로는 유동파라핀, 염화파라핀, 노르말파라핀 및 파라핀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윤활제는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고분자 발포체의 물성이 발포체의 기공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물성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기공셀을 안정화 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성형제품이 대기 중에 노출이 될 때 산소에 의해서 일어나는 변질, 변색, 퇴색 등 방지를 하기 위해서 에리소르빈산, 아스코르빈산 등의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면 고분자 발포체의 물성이 발포체의 기공셀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물성의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기공셀을 안정화 시키는데 어려운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성분들을 모두 혼합한 최종적인 혼합물에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발포제로는 선형고분자 또는 이소성 분자로 탄소수가 4 내지 6의 분자로 펜탄이나 이소펜탄, 또는 발포성 기체인 질소가스를 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부로 사용하여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54중량부, 개질제로 폴리카프로락 락톤20중량부, 계면활성제로 폴리비닐알코올 7 중량부, 항균제 5중량부, 유연제로 스테아린산 칼슘 3 중량부, 안정제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윤활제로 유동파라핀 1 중량부, 산화방지제로 에리소르빈산 1.5중량부를 가하여 1차적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압출기는 이축압출기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펠렛 100 중량부에 발포제 질소 3.5 중량부를 가하여 다이의 온도를 180℃로 설정하여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54중량부, 개질제로 폴리글루콘산 10중량부, 계면활성제로 폴리비닐알코올 10 중량부, 항균제로 5중량부, 유연제로 스테아린산 아연 3 중량부, 안정제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윤활제로 유동파라핀 1 중량부, 산화방지제로 에리소르빈산 1.5중량부를 가하여 1차적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압출기는 이축압출기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펠렛 100 중량부에 발포제로 질소 4 중량부를 가하여 다이의 온도를 170℃로 설정하여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54중량부, 개질제로 폴리락테틱에시드 10중량부, 계면활성제로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 10 중량부, 항균제로 5중량부, 유연제로 스테아린산 칼슘 1.5, 스테아린산 바륨1.5 중량부, 안정제로 알긴산나트륨 3 중량부, 윤활제로 유동파라핀 1 중량부, 산화방지제로 에리소르빈산 1.5중량부를 가하여 1차적으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한 압출기는 이축압출기로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펠렛 100 중량부에 발포제로 질소 3.5 중량부를 가하여 다이의 온도를 170℃ 설정하여 발포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앞선 실시예들에서 제조된 발포시트 물성 중 발포체의 밀도는 구배관 밀도계(RAY-R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녹는점은 시차주사 열중량분석장치(Mettler Toled, DSC1)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인장강도는 UTM(FastTrack 8801) 만능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밀도(g/cm3) 녹는점(℃) 인장강도(kgf/cm2)
실시예 1 0.48 231 297
실시예 2 0.45 228 308
실시예 3 0.50 236 321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50 내지 60 중량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글루콘산, 폴리락트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개질제 15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5 내지 10 중량부; 항균제 3 내지 7 중량부; 유연제 2 내지 5 중량부; 안정제 2 내지 5 중량부; 윤활제 0.5 내지 2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5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펠렛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펠렛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포성 질소 2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발포체를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무수말레인산, 아크릴산,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 및 폴리인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담체에 은, 아연, 동 및 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항균금속을 첨가시킨 복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는 글리세롤, 소르비탄,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바륨, 스테아린산, 팔미틴산, 올레인,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메틸셀롤로우스,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롤로오스 나트륨, 에스테르검, 아라비아검, 구아검, 잔탄검 및 젤란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발포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발포체.
KR1020120075054A 2012-07-10 2012-07-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KR10123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54A KR101230581B1 (ko) 2012-07-10 2012-07-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54A KR101230581B1 (ko) 2012-07-10 2012-07-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581B1 true KR101230581B1 (ko) 2013-02-06

Family

ID=4789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54A KR101230581B1 (ko) 2012-07-10 2012-07-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0105A (zh) * 2022-01-18 2022-04-15 宁波市贝奇特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抗氧化塑料制品加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698A (ja) * 1997-12-17 1999-09-14 Sinco Ric Spa 可撓性ポリエステル発泡体
US6790870B1 (en) * 1999-09-20 2004-09-1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s of making foamed materials of blended thermoplastic polymers using carbon dioxide
JP3947641B2 (ja) * 1998-10-02 2007-07-25 株式会社Djk 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0270238A (ja) * 2009-05-22 2010-12-02 Toyobo Co Ltd 発泡成型体用樹脂組成物、発泡成型体用樹脂シート、及び発泡成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698A (ja) * 1997-12-17 1999-09-14 Sinco Ric Spa 可撓性ポリエステル発泡体
JP3947641B2 (ja) * 1998-10-02 2007-07-25 株式会社Djk ポリエステル樹脂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US6790870B1 (en) * 1999-09-20 2004-09-1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Methods of making foamed materials of blended thermoplastic polymers using carbon dioxide
JP2010270238A (ja) * 2009-05-22 2010-12-02 Toyobo Co Ltd 発泡成型体用樹脂組成物、発泡成型体用樹脂シート、及び発泡成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0105A (zh) * 2022-01-18 2022-04-15 宁波市贝奇特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抗氧化塑料制品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4893B1 (en) Polyethylene foam
JP5383489B2 (ja) 生分解性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発泡粒子及びその成形体
KR20120125628A (ko) 폴리락트산을 함유하는 팽창성 과립의 제조 방법
WO2019146555A1 (ja) 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発泡粒子および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発泡成形体
EP2380922A1 (en) Polylactic acid foam composition
WO2021002092A1 (ja) 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発泡粒子および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発泡成形体
JP597609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発泡粒子からなる型内発泡成形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CN115232456B (zh) 含羟基酸类成核剂的聚羟基烷酸酯组合物、聚羟基烷酸酯成型体及其制备方法
JP5339857B2 (ja) 生分解性難燃ポリエステル発泡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得られる発泡体、その成形体
TW202346472A (zh) 聚羥基烷酸酯的酸類成核劑及聚羥基烷酸酯成型體
JP2008231283A (ja) ポリ乳酸系樹脂押出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30763A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樹脂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押出発泡体
CN101309954B (zh) 半结晶型聚合物微孔膜及其制备方法
JP2009073955A (ja) ポリ乳酸系樹脂発泡体
KR101230581B1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기능성 발포체 제조방법
JP4954603B2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樹脂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押出発泡体
JP4733694B2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樹脂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から得られる押出発泡体
JP4038673B2 (ja) ポリ乳酸系発泡性樹脂粒子および発泡成形品
JP2012241166A (ja) 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予備発泡粒子および型内発泡成形体
JP4653162B2 (ja)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樹脂押出発泡体の製造方法
KR102041305B1 (ko) 생분해성 비드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8032B1 (ko) 상용성이 우수한 생분해 폴리락트산계 고분자블렌드 조성물, 그를 이용한 내열성의 압출발포시트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포성형체
KR20150078004A (ko) 기계적 강도 및 발포율이 향상된 미세기공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102730A (ja) 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発泡粒子およびポリ(3-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系発泡成形体
JP2010070631A (ja) ポリ乳酸系樹脂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