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267B1 -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 Google Patents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267B1
KR101225267B1 KR1020087015377A KR20087015377A KR101225267B1 KR 101225267 B1 KR101225267 B1 KR 101225267B1 KR 1020087015377 A KR1020087015377 A KR 1020087015377A KR 20087015377 A KR20087015377 A KR 20087015377A KR 101225267 B1 KR101225267 B1 KR 101225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
skin
oil
biosurfactant
skin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743A (ko
Inventor
마사루 기따가와
미찌꼬 스즈끼
슈헤이 야마모또
아쯔시 소가베
다이 기따모또
도모히로 이무라
도꾸마 후꾸오까
도모따께 모리따
Original Assignee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Publication of KR2008007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계면활성제, 특히 MEL-A, MEL-B, MEL-C를 함유하는 피부 거칠음 개선/스킨 케어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계면활성제, 스킨 케어 화장료

Description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BIOSURFACTANT-CONTAINING SKIN CARE COSMETIC AND SKIN ROUGHNESS-IMPROVING AGENT}
본 발명은 바이오계면활성제(Biosurfactant) 또는 그의 프리믹스품의 스킨 케어/피부 거칠음 개선 용도, 특히 화장품으로서의 용도, 나아가 바이오계면활성제 또는 그의 프리믹스품을 포함하는 스킨 케어/피부 거칠음 개선용의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이하, "MEL"이라 함), 예를 들면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A(이하, "MEL-A"라 함),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B(이하, "MEL-B"라 함) 또는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MEL-C(이하, "MEL-C"라 함) 또는 만노실만니톨 리피드(이하, "MML"이라 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거칠음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거친 피부란, 일반적으로 각질 세포의 박리 현상이 보이는 건조 상태의 피부를 말한다. 이러한 거친 피부는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지방산 등의 각질 세포간 지질의 용출, 및 자외선, 세제 등에 기인하는 각질 세포의 변성이나 표피 세포의 증식·각화 균형의 붕괴에 의한 각질층 투과 배리어의 형성 부전 등에 의해 발 생한다. 이 거친 피부를 예방 또는 치유할 목적으로, 각질 세포간 지질 성분 또는 이와 유사한 합성의 각질 세포간 지질을 공급하는 등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
이 각질층 세포간 지질은 유자층과 과립층의 세포로 생합성된 층판 과립이 각질층 직하에서 세포 사이에 방출되고, 신전하여 층판(라멜라) 구조를 취하고, 세포 사이로 퍼진 것이다. 층판 과립은 글리코실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세라마이드, 인지질 등으로 구성되지만, 각질층 세포간 지질에는 글리코실세라마이드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층판 과립 중의 글리코실세라마이드는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를 받아 세라마이드로 변환되고, 이 세라마이드가 라멜라 구조를 취하는 결과, 각질층 세포간 지질로서 각질층 투과 배리어의 형성을 개선하여, 거친 피부 방어의 배리어 기능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세정제에 의한 피부 거칠음은 세라마이드의 보충이 유효하여, 피부 거칠음의 개선에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1).
식물 추출액은 글리코실세라마이드가 주성분으로서,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는 아직 만족할만한 결과는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합성도 반응 단계가 많아 대량으로 얻기 위해서는 비용이 많이 든다.
MEL은 효모가 만드는 천연계의 계면활성제로서 다양한 생리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2). 또한, 최근에는 에리트리톨이 만니톨로 대체된 만노실만니톨 리피드(MML)가 발견되고 있다(특허 문헌 1). 외용제나 화장품으로서의 용도로서는, 항염증제 및 항알레르기제(특허 문헌 2), 양모·육모제(특허 문헌 3)로서의 유용성이나 항균 작용(특허 문헌 4), 또는 표면 장력 저하 작용(특허 문헌 5)은 알 려져 있었지만, MEL이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 작용하여 피부 거칠음을 개선하는 효과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04837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8015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1424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소)57-145896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소)61-205450
비특허 문헌 1: 피부와 미용, 36, 210(2004)
비특허 문헌 2: 저널 오브 바이오사이언스 앤드 바이오엔지니어링, 94, 187(2002)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세라마이드는 피부 거칠음에 유용한 성분으로서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지만, 합성품 또는 식물 추출품은 고가여서 소량밖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 이용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즉, 바이오계면활성제에 의해 각질층 투과 배리어의 형성이 개선되고, 그 결과, 거친 피부 개선 효과가 기대되고,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지질 성분인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피부 외용제로서 제공하는 데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바이오계면활성제를 라우릴황산나트륨(SDS)에 의해 탈지한 피부 삼차원 모델에 의해 제조한 피부 거칠음 모델에 첨가함으로써,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 작용함을 발견하였고, 또한 인간 피부에 SDS 처리로 제조한 피부 거칠음 부위에 도포함으로써 그의 유용성을 발견하였다. 즉,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유화제로서뿐만 아니라 세라마이드의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스킨 케어 화장료, 피부 거칠음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1. 1종 이상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2. 피부 거칠음의 개선을 위한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3.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의한 피부 거칠음의 개선을 위한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4.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MEL) 및/또는 만노실만니톨 리피드(M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5.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A(MEL-A),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B(MEL-B),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C(MEL-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6.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B(MEL-B)인,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7.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C(MEL-C)인,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8.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A(MEL-A)인, 항 1에 기재된 스킨 케어 화장료.
9. 1종 이상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피부 거칠음 개선제.
<발명의 효과>
미생물이 생산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인, MEL-A, MEL-B 또는 MEL-C 등의 MEL. MML을 세라마이드의 대체물로서 피부 거칠음 개선 또는 스킨 케어 용도에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바이오계면활성제는 미생물의 배양에 의해 대량으로 제조 가능하고, 그것을 사용함으로써, 유화제뿐만 아니라 세라마이드의 대용으로서 피부 거칠음 개선/스킨 케어 작용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거칠음의 개선에 유효한 피부 외용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MEL-B와 MEL-C는 친수성이 높아 안정한 유화제를 제조할 수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는 프리믹스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MEL은 유성 기제 또는 유용성 성분에 용해시켜 화장료, 피부 외용제 등에 배합할 수도 있고, 리포솜에 함유시킴으로써, 수용액의 형태(예를 들면 화장수, 보습액 등)로 조정 가능하고, 또한 리포솜은 피부로의 함유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리포솜은 수용액 이외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MEL 모두가 반드시 리포솜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라멜라상 또는 MEL 단체와 혼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바이오계면활성제는 스킨 케어 화장료, 피부 거칠음 개선용 화장료로서 특히 유용하지만, 중등도부터 중증도의 피부 거칠음, 좌창, 습진, 피지 결핍증, 노인성 건피증, 피부 소양증 등의 피부 질환 치료제로서, 및 의약 부외품, 의약품으로서도 유용하다.
바이오계면활성제는 세정성과 피부 거칠음 개선/스킨 케어 작용을 겸비하므로, 세정용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서도 유용하다.
도 1은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SDS 처리로 제조한 피부 거칠음 모델에 있어서 MEL의 효과를 생존율(포르마잔의 흡광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간의 상완부를 SDS로 처리하여 제조한 피부 거칠음에 MEL-A 함유 크림을 도포했을 때의 각질층 수분량의 회복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SDS로 제조한 피부 거칠음 모델에 있어서 MEL-A, MEL(OL), MEL(MY)의 효과를 생존율(포르마잔의 흡광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중, MEL-A=대두유로 배양한 MEL; MEL-A(MY)=미리스트산메틸로 배양한 MEL; 및 MEL-A(OL)=올리브유로 배양한 MEL.
도 4는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SDS 처리로 제조한 피부 거칠음 모델에 있어서 MEL-B 및 MEL-C의 효과를 생존율(포르마잔의 흡광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MEL-B는 MEL-A에 비하여 높은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4 중: MEL-A(OL): 올리브유를 원료로 생산한 MEL-A; MEL-B(OL): 올리브유를 원료로 생산한 MEL-B; MEL-A(SB): 대두유를 원료로 생산한 MEL-A; MEL-B(SB): 대두유를 원료로 생산한 MEL-B; 및 MEL-C(SB): 대두유를 원료로 생산한 MEL-C.
도 5는 인간의 상완부를 SDS로 처리하여 제조한 피부 거칠음에 MEL-B 함유 크림을 도포했을 때의 각질층 수분량의 회복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MEL-B 및 MEL-C의 분산 안정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MEL-A에 비하여 MEL-B나 MEL-C는 수중에서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고, 6 시간 후에도 안정한 현탁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탁도의 변화가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
도 7은 MEL-B 리포솜 수용액 및 MEL-B 현탁액을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한 피부 거칠음 시험에 제공하고, 그 효과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이오계면활성제"란 생물에 의해 생산된 계면 활성 능력이나 유화 능력을 갖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우수한 계면 활성이나 높은 생분해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합성 계면활성제와는 다른 거동·기능을 발현할 가능성이 있다.
"프리믹스품"이란 기능성 소재 외에도 분산제 등을 첨가하거나, 용매로 화장품 제조시에 사용하기 쉽도록 희석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오계면활성제는 분산제, 용매 등을 혼합한 프리믹스품으로서, 피부 거칠음 개선/스킨 케어용의 화장품 첨가제/화장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세라마이드란, 각질층의 세포간 지질의 약 50%를 차지하는 스핑고 지질을 말한다. 이전에는 소뇌에서 유래된 것이 많았지만 광우병이 확산되고 나서는 화장품에는 식물 유래 세라마이드 등이 요구되고 있다.
세라마이드 유사 작용이란 피부의 각질층에서 세포와 세포 사이를 매우고 있 는 주요 성분인 세라마이드의 피부의 피부 거칠음, 피부의 탄력이나 화장 잘 먹음의 저하 등을 개선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이오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도 세라마이드 유사의 피부 거칠음 개선/스킨 케어 작용을 갖지만, 세라마이드와 조합함으로써, 더욱 높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세라마이드 유사 작용을 하는 것의 이점은 대량 생산이 용이하고, 게다가 유화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세라마이드보다 범용성이라는 점에서 우수하다.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는, 트레할로스 리피드, 람노리피드, 소포로리피드, 서펙틴, 스피쿨리스포르산, 에멀잔, MEL, MML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바이오계면활성제 중에서는 MEL, MML이 바람직하고, MEL-A, MEL-B 또는 MEL-C가 보다 바람직하고, MEL-B 또는 MEL-C가 특히 바람직하다.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는 MEL, MML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MEL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MEL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MEL-A,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MEL-B, 화학식 (III)으로 표시되는 MEL-C의 3종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한 MEL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MEL-A와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MEL-B,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MEL-B이다.
MML은 화학식 (IV)로 표시된다(식 중, 만노오스의 4 위치, 6 위치의 아세틸 기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수산기로 되어 있을 수 있음).
R1, R2의 탄소수는 각각 C1 내지 C19,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7, 보다 바람직하게는 C7 내지 C15이다.
R1,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C1 내지 C19의 알킬기, C2 내지 C19의 알케닐기, C5 내지 C19의 알카디에닐기, C8 내지 C19의 알카트리에닐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 (II), (III), (IV)에 있어서, R1, R2의 바람직한 기로서는, CH3(CH2)6, CH3(CH2)8, CH3(CH2)10CH3(CH2)12, CH3(CH2)14, CH3(CH2)16, CH3(CH2)18 등의 C1 내지 C19 알킬기를 들 수 있다. R1, R2가 C1 내지 C19의 알킬기인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MEL, 화학식 (IV)의 MML은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올레산 등의 포화 또는 모노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모노알킬에스테르, 모노-, 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포화 또는 모노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지 등) 등의 원료를 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원료로서 올레산, 팔미트올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해당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β 산화 도중의 생성물이 도입되기 때문에, R1, R2로서는, 알킬기가 주성분이 되고, 알케닐기가 부성분이 된다.
마찬가지로, R1, R2가 C2 내지 C19 알케닐기, C5 내지 C19 알카디에닐기 또는 C8 내지 C19 알카트리에닐기인 화학식 (I), (II), (III)의 MEL, 화학식 (IV)의 MML은 원료로서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퀴돈산, EPA, DHA 또는 그의 에스테르(모노알킬에스테르, 모노-, 디-,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이들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유지 등) 등의 원료를 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로서 리놀레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R1, R2로서 알케닐기가 주성분, 알카디에닐기가 부성분이 되고, 원료로서 리놀렌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R1, R2로서 알카디에닐기가 주성분, 알케닐기 또는 알카트리에닐기가 부성분이 된다.
이들 바이오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종 이상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Figure 112008045370607-pct00001
Figure 112008045370607-pct00002
Figure 112008045370607-pct00003
Figure 112008045370607-pct00004
〔화학식 (I) 내지 (IV) 중, R1, R2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C1 내지 C19,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7, 보다 바람직하게는 C7 내지 C15의 직쇄 또는 분지를 갖는 알킬기, C2 내지 C19, 바람직하게 C2 내지 C17, 보다 바람직하게는 C7 내지 C15의 직쇄 또는 분지를 갖는 알케닐기, C5 내지 C19, 바람직하게는 C5 내지 C17, 보다 바람직하게는 C7 내지 C15의 직쇄 또는 분지를 갖는 알카디에닐기 또는 C8 내지 C19, 바람직하게는 C8 내지 C17, 보다 바람직하게는 C8 내지 C15의 직쇄 또는 분지를 갖는 알카트리에닐기를 나타냄〕
바이오계면활성제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없지만,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행하면 좋다. 예를 들면, MEL(MEL-A, MEL-B, MEL-C)의 배양 생산은 통상법에 따라서 Pseudozyma antarctica NBRC 10736에 의해 생산할 수 있고, 미생물로서는 Pseudozyma antarctica, Pseudozyma s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어느 미생물이든 용이하게 MEL 혼합물이 얻어지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MEL 혼합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MEL-A, MEL-B 및 MEL-C를 단리할 수 있다. 또한, MEL-B를 생산하는 균으로서는, Pseudozyma antarctica, 및 Pseudozyma tsukubaensis가 알려져 있고, 그 균을 이용할 수도 있다. MEL-C를 생산하는 균으로서는, Pseudozyma hub eiensis가 알려져 있고, 그 균을 이용할 수 있다. MEL을 생산하는 능력을 갖는 미생물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생산할 때의 발효 배지는 효모 추출물, 펩톤 등의 N원,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등의 C원, 및 질산나트륨, 인산수소이칼륨, 황산마그네슘 7수염 등의 무기 염류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배지를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올리브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캐놀라유, 코코넛유 등의 유지류, 및 유동 파라핀, 테트라데칸 등의 탄화수소 등의 비수용성 기질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pH나 온도 등의 발효 조건이나 시간 등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발효 후의 배양액을 그대로 본 발명의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효 후의 배양액을 필요에 따라 여과, 원심 분리, 추출, 정제, 멸균 등 본 발명의 본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조작을 적절히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희석, 농축, 건조할 수도 있다.
원료로 하는 식물 유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으로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두유, 채종유, 옥수수유, 땅콩유, 면실유, 홍화유, 호마유, 올리브유, 팜유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대두유가 바이오계면활성제(특히 MEL)의 생산 효율(생산량, 생산 속도,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상관없다.
무기 질소원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질산암모늄, 요소, 질산나트륨,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의 회수, 정제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유분을 회수하고,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매로 추출 농축함으로써 회수할 수 있다.
추출 용매로서는, 물과, 알코올류(예를 들면, 메탄올, 무수 에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아세톤 등의 케톤류,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 테르류, 크실렌, 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액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용매 추출물이 조합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상온부터 상압하에서의 용매의 비점의 범위이면 좋고, 추출 후에는 여과 또는 이온 교환 수지를 이용하여, 흡착·탈색·정제하여 용액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대로의 상태로 이용할 수 있지만, 필요하면 그의 효력에 영향이 없는 범위에서 추가로 탈취, 탈색 등의 정제 처리를 가할 수 있다. 탈취·탈색 등의 정제 처리 수단으로서는, 활성탄 컬럼 등을 이용하면 좋고, 추출 물질에 따라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통상적인 수단을 임의로 선택하여 행하면 좋다. 필요에 따라서, 실리카 겔 컬럼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얻을 수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는, MEL-A, MEL-B 및 MEL-C가 바람직하고, MEL-B 및 MEL-C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MEL-B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피부 거칠음 개선용 화장료에 사용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미생물을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화장료 중의 바이오계면활성제의 첨가량은 대상이 되는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는 규정할 수 없지만, 피부 거칠음 개선/스킨 케어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좋고, 각종 화장료에 대하여 통상 0.001 내지 50 질량%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2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5 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며 3 내지 10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장료에 첨가하는 상기 계면활성제의 사용 형태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바이오계면활성제를 배양액으로부터의 추출물 그대로, 또는 정제한 고순도품, 또는 물에 현탁하거나 또는 에탄올 등의 유기 용매에 녹인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는 유용성 기제, 또는 유용성 성분에 용해시켜 화장료에 배합할 수도 있고, 리포솜의 형태로 화장료, 특히 화장수, 보습액 등의 수계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배합된다. 리포솜에 배합된 바이오계면활성제는 피부 세포와 융합하여 흡수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리포솜의 제조법으로서는 공지된 제조법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에탄올 주입법, 방감(Bangham)법을 예시할 수 있다.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올리브유, 스쿠알란, 지방산, 고급 알코올 등의 천연 유지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디글리세롤 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 소르비탄 등); 글리세린/폴리글리세린 지방산류(예를 들면, 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크산 글리세린, 세스퀴올레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α,α'-올레산피로글루탐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말산 등);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 글리콜 등);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 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POE계의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 테트라올레에이트 등); POE 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 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 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 모노스테아레이트 등); POE-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등); POE-지방산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등); POE-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타놀 에테르 등); 플루로닉형류(예를 들면, 플루로닉 등); POE·POP-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POE·POP-세틸 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OE·POP-모노부틸 에테르, POE·POP-수소 첨가 라놀린, POE·POP-글리세린 에테르 등); 테트라 POE·테트라 POP-에틸렌디아민 축합물류(예를 들면, 테트로닉 등);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예를 들면, 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 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등); POE-밀랍·라놀린 유도체(예를 들면, POE-소르비트 밀랍 등); 알칸올아미드(예를 들면,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등);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알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저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2가의 알코올(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등); 3가의 알코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4가 알코올(예를 들면, 1,2,6-헥산트리올 등의 펜타에리트리톨 등); 5가 알코올(예를 들면, 크실리톨 등); 6가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만니톨 등); 다가 알코올 중합체(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등); 2가의 알코올 알킬 에테르류(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 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 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류(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 2가 알코올 에테르 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숙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예를 들면, 키밀 알코올, 세라킬 알코올, 베틸 알코올 등); 당/당 알코올(예를 들면, 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수크로오스, 에리트리톨,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전분 분해당, 말토오스, 크실리토오스, 전분 분해당 환원 알코올 등); 글리소리드;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E-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트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오일류로서는, 아보카드유, 올리브유, 호마유, 동백유, 달맞이꽃유, 거북이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옥수수유, 밍크유, 채종유, 난황유, 파르식유, 밀 맥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홍화유, 면실유, 들깨유, 대두유, 땅콩유, 차실유, 카야유, 미강유, 오동나무유, 호호바유, 카카오 기름, 야자유, 마유, 팜유, 팜핵유, 우지, 양지, 돈지, 라놀린, 경납, 밀랍, 카르나우바납, 목랍, 봉랍, 스쿠알란 등의 동식물유 및 그의 경화유. 유동 파라핀, 바셀린 등의 광물유, 트리팔미트산 글리세린 등의 합성 트리글리세린이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운데신산, 톨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등이 있다. 고급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호호바 알코올, 라놀린 알코올, 베틸 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등이 있다. 합성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옥탄산세틸, 미리스트산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미리스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라우르산헥실, 올레산데실, 디메틸옥탄산, 락트산세틸, 락트산미리스틸 등이 있다. 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쇄상 폴리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등의 환상 폴리실록산, 실리콘 수지 등의 3차원 메쉬 구조의 것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스킨 케어 화장료로서는, 유액, 미용액, 크림, 로션, 스킨 케어 오일, 클렌징 오일, 배스 오일, 또는 세안료, 메이크업 리무버, 샴푸, 바디 소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MEL, 특히 MEL-A, MEL-B 및 MEL-C는 유화 작용도 가지고 있고, 제조도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 용이성 면에서 세라마이드보다 우수하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아무런 한정도 되지 않는다.
(피부 거칠음 개선 작용 평가 방법)
테스트 스킨(도요 보세키 가부시끼가이샤 제조) LSE-002 또는 003 키트 부속의 취급 설명의 요령에 따라서 조직을 취출한다. 약제 폭로 부위를 확보하는 링을 LSE 조직 표면에 접착시키고, 도데실황산나트륨(SDS) 0.1% 수용액을 링 내에 첨가하고 5분간 실온에서 정치한다. 그 후, SDS를 아스피레이터로 제거하고, 어세이 배지 3 m2를 피펫으로 분무하여 세정. 이 조작으로 각질층의 보습 성분이 용출되어 건조 피부가 제조되었다.
다음으로, 피검물로서, 순수, 화장액(환켈사 제조의 페나티 화장액 싯토리)을 각 80 μl 마이크로 피펫으로 LSE(Living Skin Equivalent) 조직 표면에 첨가. 실온에서 60분 정치한 후, 시료를 아스피레이터로 흡인 제거. 계속해서 온도 37℃, 상대 습도 15% RH에서 20% RH로 조정한 CO2 인큐베이터에 LSE 조직을 어세이 배지가 들어있지 않은 어세이 트레이에 얹은 상태에서 넣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LSE 조직을 CO2 인큐베이터로부터 꺼내어 LSE-003 키트 부속 취급 설명의 요령에 따라서 테트라졸륨염(MTT) 시약 0.333 g/ml이 포함되는 어세이 배지의 혼합액 1.2 ml를 어세이 트레이에 넣고, 온도 37℃, 상대 습도 15% RH에서 20% RH로 조정한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3 시간 배양하였다.
MTT 처리 후, LSE 조직 중앙부를 8 mmφ의 생검(biopsy)-펀치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막마다 도려내어 절편을 작은 시험관으로 옮기고, 0.04N 염산-이소프로판올을 700 μl 가하고, 암소에서 2 시간 추출. 추출 종료 후, 교반하고, 충분히 혼화한 후, 추출된 청자색의 포르마잔의 562 nm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흡광도와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어, 인간의 피부 거칠음의 상태 평가를 정량적, 간이적이면서 경제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유효한 피부 거칠음 개선 평가 방법이다.
실시예 1: MEL의 제조
종균 배양은 Pseudozyma antarctica NBRC 10736을 종배지(20 ml/500 ml 판구 플라스크)에 1 루프 식균하여 실시하였다. 30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얻어진 배양액을 종균으로 하였다. 종배지 조성은 4% 글루코오스, 0.3% NaNO3, 0.02% MgSO4·H2O, 0.02% KH2PO4, 0.1% 효모 추출물이었다. 배양은 상기 종균 75 ml를 생산 배지 1.5 L(5 L-jar)에 식균하고, 30℃, 300 rpm(교반 회전), 0.5 L/분 0(Air)의 조건으로 5 L-jar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생산 배지 조성은 3% 대두유, 0.02% MgSO4·H2O, 0.02% KH2PO4, 0.1% 효모 추출물이었다. 배양액 250 ml를 원심(6500 rpm, 30분)하고, 상청을 제거하고, 침전(균체)을 회수하였다. 침전에 50 ml의 아세트산에틸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원심(8500 rpm, 30분)하고, 침전과 상청액으로 나누고, 상청액을 증발기로 농축하였다. 실리카 겔을 이용하여 헥산:아세톤=5:1, 헥산:아세톤=1:2로 용출하여 MEL 분획(MEL-A, MEL-B, MEL-C)을 얻었다.
실시예 1A: MEL-B의 제조
0.2 ml의 P.tsukubaensis 냉동 스톡을 20 ml의 YM 종배지/500 ml 용적 판구 플라스크에 식균하고, 26℃에서 180 rpm으로 하룻밤 배양시켜 종종균으로 하였다. 0.2 ml의 종종균을 다시 20 ml의 YM 종배지/500 ml 용적 판구 플라스크에 식균하고, 26℃에서 180 rpm으로 하룻밤 배양시켜 종균으로 하였다. 20 ml의 종균을 2 L의 YM 배지/5 L Jar에 식균하고, 26℃에서 300 rpm(1/4 VVM, 0.5 L 공기/분)으로 8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7,900 rpm으로 60분간 4℃에서 원심하고, 균체(MEL-B를 포함)와 상청액으로 분리하였다. 균체 분획에 각각 80 ml의 아세트산에틸을 가하고, 균체가 충분히 현탁되도록 상하로 교반한 후, 7,900 rpm으로 30분간 4℃에서 원심하였다. 얻어진 상청에 등량의 포화 식염수를 가하고 교반하여 아세트산에틸층을 얻었다. 아세트산에틸층에 무수 황산 Na를 적량 가하고, 30분간 정치시킨 후, 증발시켜 MEL-B 조 정제품을 얻었다. 얻어진 MEL-B 조 정제품(20 g)을 실리카 겔 컬럼(200 g)을 이용하여 헥산:아세톤으로 용출하여 MEL-B 정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MEL의 제조에서는 생산 원료로 대두유를 이용했지만, 그 대신에 올리브유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여 MEL-A, MEL-B, MEL-C를 단리 정제하였다. 이 때 얻어지는 MEL 분획을 실시예 1의 MEL과 구별하기 위해 MEL-A(OL), MEL-B(OL), MEL-C(OL)이라 부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의 MEL의 제조에서는 생산 배지 조성에 대두유를 이용했지만, 그 대신에 미리스트산메틸을 생산 원료로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하여 MEL-A, MEL-B, MEL-C를 단리 정제하였다. 이 때 얻어지는 MEL 분획을 실시예 1의 MEL과 구별하기 위해 MEL-A(MY), MEL-B(MY), MEL-C(MY)라 부른다.
실시예 4: 피부 거칠음 모델에서의 MEL-A의 평가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한 피부 거칠음 모델을 이하와 같이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테스트 스킨(도요보 LSE-002 또는 003)을 1% SDS로 처리함으로써, 각질층 지질 성분을 제거한 피부 거칠음 모델을 제조하였다. MEL-A를 녹인 올리브유를 세포 상에 첨가하고, 밤새 방치한 후, 시판되는 MTT 키트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함으로써,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L-A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수가 증가하여, MEL-A가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올리브유만으로는 그와 같은 효과는 전혀 보이 지 않았다.
실시예 5: 피부 거칠음 모델에서의 MEL-B의 평가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한 피부 거칠음 모델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테스트 스킨(도요보 LSE-003)을 1% SDS로 처리함으로써, 각질층 지질 성분을 제거한 피부 거칠음 모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A에서 얻은 MEL-B를 녹인 올리브유를 세포 상에 첨가하고, 밤새 방치한 후, 시판되는 MTT 키트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함으로써,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L-B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수가 증가하여, MEL-B가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올리브유만으로는 그와 같은 효과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6: 피부 거칠음 모델에서의 MEL-C의 평가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한 피부 거칠음 모델은 이하와 같이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테스트 스킨(도요보 LSE-003)을 1% SDS로 처리함으로써, 각질층 지질 성분을 제거한 피부 거칠음 모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MEL-C를 녹인 올리브유를 세포 상에 첨가하고, 밤새 방치한 후, 시판되는 MTT 키트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함으로써,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L-C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수가 증가하고, MEL-C가 세라마이드의 대체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올리브유만으로는 그와 같은 효과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7: 피부 거칠음 모델에서의 MEL-A(OL), MEL-A(MY)의 평가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한 피부 거칠음 모델을 이하와 같이 실시하여 제조하였다. 테스트 스킨(도요보 LSE-002 또는 003)을 1% SDS로 처리함으로써, 각질층 지질 성분을 제거한 피부 거칠음 모델을 제조하였다. MEL-A(실시예 1), MEL-A(OL) (실시예 2) 및 MEL-A(MY)(실시예 3)를 녹인 올리브유를 세포 상에 첨가하고, 밤새 방치한 후, 시판되는 MTT 키트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산출함으로써,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L-A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수가 증가하여, MEL-A가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올리브유만으로는 그와 같은 효과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8: 인간 피부 거칠음 시험에 의한 MEL-A 함유 크림의 효과
인간 상완 내부에 1% SDS 용액을 10 분간 접촉시켜 피부 거칠음을 제조하였다. 즉시 5% MEL-A를 포함하는 상기 크림을 도포하고, 3 시간 후에 온수로 피부를 세정하였다. 김 타올로 유분을 닦아낸 후, 스키콘으로 피부 각질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L-A를 첨가한 크림에 수분 함량의 회복이 보였다.
실시예 9: 인간 피부 거칠음 시험에 의한 MEL-B 함유 크림의 효과
인간 상완 내부에 1% SDS 용액을 10분간 접촉시켜 피부 거칠음을 제조하였다. 즉시 5% MEL을 포함하는 상기 크림을 도포하고, 3 시간 후에 온수로 피부를 세정하였다. 김 타올로 유분을 닦아낸 후, 스키콘으로 피부 각질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MEL-B 또는 MEL-C를 첨가한 크림에 수분 함량의 회복이 보였다.
실시예 10: MEL-B 및 MEL-C의 분산 안정성 시험
MEL-B 또는 MEL-C를 10 mg/ml의 농도가 되도록 물에 첨가, 교반하여 현탁 상태로 하고, 흡광도 650 nm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결과로부터, MEL-B와 MEL-C는 특히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밝혀졌다.
실시예 11: MEL-B 리포솜 용액의 제조
에탄올 주입법에 의한 MEL-B 리포솜 용액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즉, MEL-B 10 mg을 에탄올 0.5 ml에 용해시키고, 미리 70℃ 전후로 데워 둔 증류수 1 mL을 가하여 가볍게 흔든 후, 잔존해 있는 에탄올을 회전 증발기로 증류 제거하였다. 이것을 수욕형 초음파 장치(W-220R, 혼다 덴시 가부시끼가이샤)를 이용하여 약 5분간 초음파 처리한 후, 증류수로 1 ml로 메스업하였다.
방감법에 의한 MEL-B 리포솜 용액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즉, MEL-B 10 mg을 클로로포름 1 ml에 용해시키고,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박막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증류수 1 ml를 가하여 수욕형 초음파 장치(W-220R, 혼다 덴시 가부시끼가이샤)를 이용하여 약 5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
MEL-B의 현탁액의 제조는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즉, MEL-B 10 mg에 증류수 1 ml를 가하고, 볼텍스 믹서로 교반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주입법, 방감법으로 제조한 MEL-B 리포솜 수용액 및 MEL-B 현탁액을 실시예 4에서 나타낸 피부 삼차원 모델을 이용한 피부 거칠음 시험에 제공하고,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에탄올 주입법, 방감 법, 현탁액 중 어느 방법으로 제조한 MEL-B 리포솜 수용액이든 MEL-B의 올리브유 용액과 동일한 피부 거칠음 개선 효과가 보였다(MEL-B 농도는 모두 1%).
실시예 12: 미용액의 제조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미용액을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대조구로서, MEL을 포함하지 않는 미용액도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소르비트 4.0
디프로필렌글리콜 6.0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POE(20)올레일알코올에테르 0.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0.2
메틸셀룰로오스 0.2
MEL-B 5.0
정제수 전체로 100이 되는 양
실시예 13: 유액의 제조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유액을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대조구로서, MEL을 포함하지 않는 유액도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글리세릴에테르 1.5
수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1.5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0
스쿠알란 7.5
디프로필렌글리콜 5.0
MEL-B 5.0
정제수 전체로 100이 되는 양
실시예 14: 크림의 제조
이하에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대조구로서, MEL을 포함하지 않는 크림도 통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6.0
프탈산디부틸 19.0
스테아르산 5.0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5.0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2.0
모노스테아르산 폴리에틸렌소르비탄 38.0
에데트산나트륨 0.03
MEL-B 5.0
정제수 전체로 100이 되는 양
실시예 15: 화장용 오일
(조성) (중량%)
올리브유 90
MEL-A 10
실시예 16: 스킨 케어 오일
(조성) (중량%)
올리브유 50%
MEL-C 30%
스쿠알란 10%
호마유 10%
실시예 17: 스킨 케어 오일
(조성) (중량%)
올리브유 39
MEL-C 59
호마유 1
라벤더유 0.4
로즈마리유 0.4
세이지유 0.1
δ-토코페롤 0.1
실시예 18: 클렌징 오일
(조성) (중량%)
올리브유 40
MEL-B 28
메틸페닐폴리실록산 2
에탄올 0.3
이소스테아르산 0.1
2-에틸헥산산세틸 20
디이소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2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0.1
모노이소스테아르산폴리에틸렌글리콜 2
δ-토코페롤 0.1
정제수 1
향료 적량
실시예 19: 배스 오일
(조성) (중량%)
올리브유 25
MEL-A 25
유동 파라핀 25
디카프릴산네오펜틸글리콜 1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10
정제수 0.5
δ-토코페롤 0.1
향료 적량
본 발명에 의해, 제거된 세라마이드를 보충하여 피부 거칠음을 방지할 수 있고, 그의 MEL-A, MEL-B 또는 MEL-C를 사용함으로써, 유화제로서뿐만 아니라 세라마이드의 대체로서도 사용할 수 있고, 세라마이드에 비하여 제조도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산업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4)

  1. 삭제
  2.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MEL) 및 만노실만니톨 리피드(MML) 중 1종 이상의 바이오계면활성제(biosurfactant)를 포함하고, 피부 거칠음이 각질 세포의 박리 현상이 보이는 건조 상태의 피부인, 화장료인 피부 거칠음의 개선제.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피부 거칠음이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의한 것인, 화장료인 피부 거칠음의 개선제.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A(MEL-A),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B(MEL-B),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C(MEL-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장료인 피부 거칠음의 개선제.
  7. 제2항에 있어서,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B(MEL-B)인, 화장료인 피부 거칠음의 개선제.
  8. 제2항에 있어서,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C(MEL-C)인, 화장료인 피부 거칠음의 개선제.
  9. 제2항에 있어서, 바이오계면활성제가 만노실에리트리톨 리피드 A(MEL-A)인, 화장료인 피부 거칠음의 개선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87015377A 2005-11-25 2006-11-21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KR101225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0902 2005-11-25
JPJP-P-2005-00340902 2005-11-25
JPJP-P-2006-00172238 2006-06-22
JP2006172238 2006-06-22
PCT/JP2006/323239 WO2007060956A1 (ja) 2005-11-25 2006-11-21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スキンケア化粧料および肌荒れ改善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743A KR20080072743A (ko) 2008-08-06
KR101225267B1 true KR101225267B1 (ko) 2013-01-22

Family

ID=3806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377A KR101225267B1 (ko) 2005-11-25 2006-11-21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00004472A1 (ko)
EP (1) EP1964546B1 (ko)
JP (1) JP4926056B2 (ko)
KR (1) KR101225267B1 (ko)
CN (1) CN102973418A (ko)
WO (1) WO2007060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8946B2 (ja) * 2006-01-10 2012-01-1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乳化剤又は可溶化剤
US20100168405A1 (en) * 2006-08-11 2010-07-0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Activator including biosurfactant as active ingredient, mannosyl erythritol lipi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246613B2 (ja) * 2007-12-27 2013-07-24 東洋紡株式会社 マンノシルエリスリトールリピッドを用いたベシクル、乳化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5403936B2 (ja) * 2008-04-04 2014-01-29 東洋紡株式会社 マンノシルエリスリトールリピッドを用いた毛髪処理剤
JP5472735B2 (ja) * 2009-03-27 2014-04-16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リパーゼ阻害剤
JP5639067B2 (ja) * 2009-09-29 2014-12-10 東洋紡株式会社 化粧料用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化粧料用顔料を含有する化粧料
US9650405B2 (en) * 2010-04-05 2017-05-16 SyntheZyme, LLC Modified sophorolipids as oil solubilizing agents
WO2011149007A1 (ja) * 2010-05-27 2011-12-01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707062B2 (ja) * 2010-06-15 2015-04-2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US20120214871A1 (en) * 2011-02-17 2012-08-23 Conopco, Inc., D/B/A Unilever Leave-on nonsolid oil-continuous skin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12-hydroxystearic acid
JP5974095B2 (ja) * 2011-08-26 2016-08-23 ダミー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発酵植物性オイル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DE102011090030A1 (de) * 2011-12-28 2013-07-04 Evonik Industries Ag Wässrige Haar- und Hautreinigungszusammensetzungen, enthaltend Biotenside
KR102006872B1 (ko) * 2012-11-08 2019-08-0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한방 열매 발효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3324B1 (ko) * 2012-11-08 2019-06-2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4181208A (ja) * 2013-03-19 2014-09-29 Toyobo Co Ltd 皮膚刺激緩和剤
MX348924B (es) 2013-04-25 2017-07-04 Unilever Nv Composiciones de limpieza con propiedades de dispensado y suspensión mejoradas.
JP6521211B2 (ja) * 2013-05-31 2019-05-29 東洋紡株式会社 セロビオースリピッドを有効成分とする賦活化剤
JP6521210B2 (ja) * 2013-05-31 2019-05-29 東洋紡株式会社 セロビオースリピッド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WO2014192682A1 (ja) * 2013-05-31 2014-12-04 東洋紡株式会社 セロビオースリピッドを有効成分とする賦活化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FR3012957B1 (fr) * 2013-11-08 2015-12-18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de l'acide spiculisporique et un ester d'acide gras et de (poly)glycerol, eventuellement polyoxyalkylene
FR3012959B1 (fr) * 2013-11-08 2016-01-0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 l'acide spiculisporique et au moins un tensioactif
FR3016170B1 (fr) * 2014-01-06 2020-05-08 Pierre Fabre Dermo-Cosmetique Procede d'obtention d'un modele cellulaire ou tissulaire representatif d'une peau fragile
WO2015111902A1 (ko) * 2014-01-21 2015-07-30 주식회사 벤스랩 유리 필수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발효 식물성 오일 및 그 제조방법
GB201505287D0 (en) 2015-03-27 2015-05-13 Bangor University And Croda Internat Plc Method of seperating Mannosylerythitol Lipids
CN104789619A (zh) * 2015-04-13 2015-07-22 浙江大学 一种甘露糖赤藓糖醇脂的制备方法
CN104805160A (zh) * 2015-04-13 2015-07-29 浙江大学 利用厨房废弃油生物转化合成甘露糖赤藓糖醇脂的方法
KR102552729B1 (ko) 2015-06-30 2023-07-06 (주)아모레퍼시픽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092A1 (ko) * 2015-06-30 2017-01-05 (주)아모레퍼시픽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FR3048852B1 (fr) 2016-03-17 2019-09-06 Oleon Nv Concentre comprenant un mel et un ester d'acide gras et de polyethylene glycol de hlb superieur ou egal a 12
KR20180028131A (ko) * 2016-09-08 2018-03-16 (주)아모레퍼시픽 만노실에리트리톨 지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6734382B2 (ja) * 2016-09-14 2020-08-05 株式会社カネカ ゲル状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WO2018208530A1 (en) 2017-05-07 2018-11-15 Locus Ip Company, Llc 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health and methods of using same
JP7005981B2 (ja) * 2017-07-20 2022-01-24 東洋紡株式会社 セラミド合成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FR3070861B1 (fr) * 2017-09-11 2020-03-27 Oleon Nv Combinaison emulsifiante pour l'obtention d'emulsions eau-dans-huile de faible viscosite
JP7254447B2 (ja) * 2018-02-28 2023-04-10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US20210222085A1 (en) 2018-05-11 2021-07-22 Basf Se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rhamnolipids and/or mannosylerythritol lipids
CA3107300A1 (en) 2018-05-25 2019-11-28 Locus Ip Company, Llc Therapeutic compositions for enhanced healing of wounds and scars
EP4046620A1 (en) 2021-02-23 2022-08-24 Beiersdorf AG Emulsions comprising mannosylerythritol lipid (mel)
WO2023196890A1 (en) * 2022-04-08 2023-10-12 Locus Solutions Ipco, Llc Modified sophorolipid for improved bioavailability of amino acids and method of use
PT118115A (pt) * 2022-07-19 2024-01-19 Inst Superior Tecnico Dispositivo, sistema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melhorada de lípidos de manosileritritol (mels) integrando a fermentação e separação do produto a partir do caldo de fermentação por métodos não invasivo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015A (ja) * 2003-08-21 2005-03-17 Hiroshima Pref Gov 抗炎症剤及び抗アレルギー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02450A1 (de) * 1998-01-23 1999-07-29 Hoechst Marion Roussel De Gmbh Ustilipid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JP2002101847A (ja) * 2000-09-29 2002-04-09 Higashimaru Shoyu Co Ltd しょうゆ油の処理方法
JP3772190B2 (ja) * 2002-03-05 2006-05-10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養毛・育毛剤
DE10392497T5 (de) * 2002-04-11 2005-02-17 Advantest Corp. Herstellungsverfahren und Herstellungsvorrichtung zum Vermeiden eines Prototypen-Aufschubs bei der ASIC/SOC-Herstellung
GB0219825D0 (en) * 2002-08-24 2002-10-02 Cerestar Holding Bv Process for producing and recovering mannosylerythritol lipidsfrom culture medium containing the same
JP4722386B2 (ja) * 2003-08-22 2011-07-13 広島県 糖脂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7042274B2 (en) * 2003-09-29 2006-05-09 Intel Corporation Regulated sleep transistor apparatus, method, and system
KR100588013B1 (ko) * 2003-11-17 2006-06-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US20100168405A1 (en) * 2006-08-11 2010-07-0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Activator including biosurfactant as active ingredient, mannosyl erythritol lipid,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8015A (ja) * 2003-08-21 2005-03-17 Hiroshima Pref Gov 抗炎症剤及び抗アレルギー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060956A1 (ja) 2009-05-07
CN102973418A (zh) 2013-03-20
EP1964546B1 (en) 2016-10-26
KR20080072743A (ko) 2008-08-06
WO2007060956A1 (ja) 2007-05-31
US20100004472A1 (en) 2010-01-07
EP1964546A4 (en) 2013-11-27
JP4926056B2 (ja) 2012-05-09
US20110257116A1 (en) 2011-10-20
EP1964546A1 (en)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5267B1 (ko)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JP6449156B2 (ja) 新型ソホロリピッド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WO2008018448A1 (fr) Activateur comprenant un bio-tensioactif comme ingrédient actif, un mannosyl érythritol lipide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JP4982822B2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有効成分とする賦活化剤
JP2010018560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品組成物
JP201116854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754796B2 (ja) 抗酸化剤及びその利用
JP2011173843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8044857A (ja) 肌荒れ改善剤
JP2009167159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11225453A (ja) 皮膚化粧料
JP2009149566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CA2280185C (fr) Nouveaux derives de l&#39;acide salicylique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JP6979919B2 (ja) ヒト正常細胞賦活剤
JP2011148731A (ja) 化粧料
JP2009149567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2010018559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CN101316574A (zh) 包含生物表面活性剂的皮肤护理化妆料和皮肤粗糙改善剂
JP2009167157A (ja) 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JP6521211B2 (ja) セロビオースリピッドを有効成分とする賦活化剤
JP2022170976A (ja) シワ改善のための皮膚外用剤
JP5472735B2 (ja) リパーゼ阻害剤
CN1753980A (zh) 高度不饱和脂肪酸的抗坏血酸酯化合物的粉末组合物的制造方法及它们的组合物
JP2011132134A (ja) 皮膚外用剤
JP2009132645A (ja) アシル化ハイドロキノン配糖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