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324B1 -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324B1
KR101993324B1 KR1020120125860A KR20120125860A KR101993324B1 KR 101993324 B1 KR101993324 B1 KR 101993324B1 KR 1020120125860 A KR1020120125860 A KR 1020120125860A KR 20120125860 A KR20120125860 A KR 20120125860A KR 101993324 B1 KR101993324 B1 KR 101993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cosmetic composition
fermentation
baob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418A (ko
Inventor
최봉기
김명래
한현탁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3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4Susp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를 통하여 산화되기 쉬운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안정화시켜 불포화 지방산의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고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의 수분 함유 능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Skin Barrier}
본 발명은 피부의 수분보호 및 장벽개선을 위하여 오일의 발효를 통하여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이를 안정화시킨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의 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일차적으로 물리적인 장벽 기능을 수행한다. 표피의 각질층은 외부로의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고 피부의 정상적인 생화학적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해 있으면서 피부 장벽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장벽은 각질층에서의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과 피부를 통한 약물 전달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각질층은 각질세포와 각질세포간 지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질 세포간 지질은 과립층에 존재하는 각질형성세포에서 형성된 층판소체가 과립층과 각질층의 경계부 위로 세포 외 유출을 통해 배출된 후, 세포 외 변환을 거쳐 생성된다.
정상적인 각질세포층의 수분이 10 내지 30% 정도로 유지되면 피부는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신체 보호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10%이하가 되면 피부는 거칠어지고 신체의 보호기능을 잃게 되어 노화 현상이 일어나며, 건성 피부의 경우에는 각질세포의 결집력이 약화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 비늘 조각과 같이 각질세포가 허옇게 벗겨져 나오는 스케일링(Scaling)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각질세포층의 수분함량이 정상피부에 비해 적기 때문이다.
이밖에, 건강한 피부라 할지라도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추운 날씨, 햇빛, 세안, 면도 등에 의한 영향과 각종 스트레스와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며 푸석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의 각질 세포층의 수분함량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약해진 장벽 기능을 보충하기 위한 시도로서, 일반적인 조성물은 종종 수분 손실을 보충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는 피부 상에 수분을 보유시키는 흡습성 습윤제(예: 우레아 혹은 프로필렌글리콜 등)또는 유연제(예: 올레일 알코올 또는 카프릴산) 등이 있다. 또한 몇몇 화장품 성분들은 '인공 장벽'을 제공하기 위해 폐색성 피부 컨디셔너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화합물은 지질, 각종 왁스 및 버터를 포함하여 피부 표면에 남는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각질층의 천연 성분을 구성하지 않는다. 각종 제약 또는 화장품 활성제가 건성 피부와 관련된 질환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지만, 많은 경우 치료제 자체가 지질 장벽을 실제로 회복시키지 못하면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질 불균형으로 인해 피부가 필요로 하는 지질 성분을 효과적으로 보충해주고 피부 자체의 지질 생성 대사 과정을 조절하여 지질 성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조성물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836호는 (a) 주성분으로서, 세포간 지질인 (i) 세라마이드, (ii) 콜레스테롤 및 (iii) C12-C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및 (b) 부성분으로서, (i) 폴리올, (ii)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동식물성 오일의 혼합물, (iii) 계면활성제, (iv) 레시틴 및 (v) 물을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포간 지질종의 피부 침투를 용이하게 하고, 피부장벽 기능을 향상시키며, 그리고 경표피수분손실량의 감소에 의한 피부 보습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지방산은 크게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으로 나누어진다. 포화지방산은 다른 물질과 결합하고 반응할 수 있는 이중결합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단히 안정하고 상온에서 대부분 굳어있다.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을 가진 지방산으로 보통 액상이며 이중결합의 많고 적음에 따라 불포화도의 대소가 결정된다. 불포화도가 큰 것을 고도불포화지방산이라 부르며 불포화도가 클수록 이중결합의 수가 많아 불안정해 진다.
불포화 지방산 중에서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는 리놀레익산(Linoleic acid; C18/2), 리놀렌산 (Linolenic acid; C18/3), 아라키도닉산 (Arachidonic acid; C20/4), EPA로 불리는 에이코사펜타노익산 (Eicosapentaenoic acid; C20/5) 그리고 DHA로 불리는 코사헥사노인산(Docosahexaenoic acid; C22/6)을 들수 있는데 특히, 리놀레익산, 리놀렌산 그리고 아라키도닉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불포화지방산으로서 반드시 외부로부터 공급받아야 하므로 필수지방산이라고 부른다.
한편, 불포화지방산은 메칠기(CH3-)로부터 이중 결합이 맨 처음 위치하는 탄소 숫자 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오메가-3(ω-3), 오메가-6(ω-6), 오메가-9(ω-9)등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하는데, 어유에 풍부한 리놀렌산, EPA 그리고 DHA는 오메가-3로, 보라지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에 풍부한 리놀레익산과 아라키도닉산은 오메가-6로, 올리브오일과 아몬드오일에 존재하는 올레익산은 오메가-9으로 분류된다.
이들 식용 유지 및 지방질은 중요한 에너지원인 동시에 생리 작용에 필요한 불포화지방산을 공급하며, 영양학, 생리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각종 식품에 특유하며 풍부한 풍미를 부여해 준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산의 불안정한 화학적 성질 때문에 식용유지가 쉽게 산패되어 형성된 과산화물(Peroxides) 및 자유라디칼(Free radicals)의 영향으로 인하여 필수지방산 자체가 파괴되어 산화 안정성이 감소하며, 심한 경우 독성을 나타낼 수 있어 유지가 함유된 제품일수록 산패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리놀레익산과 리놀렌산이 결핍되면 성장저해, 피부나 신장의 장애 그리고 수정능력의 감퇴 등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것은 리놀레익산이 감마리놀렌산으로 감마리놀렌산이 아라키돈산으로 전환된 후 최종 산물로서 체내에서 중요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프로스타글란딘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아토피성 질환의 발병과 감마리놀렌산의 결핍과의 상관 관계가 밝혀지면서 불포화지방산을 적절히 공급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건강한 생명유지 활동에 필수적인 불포화지방산은 구조적으로 산화되기 쉬운 2중 결합을 지니고 있어 산패로 인한 생리활성 상실이나 불쾌한 냄새를 일으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836호
본 발명자들은 불포화 지방산이 고함량 함유되면서도 오일의 산화에 의한 산폐 안정도가 높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 균주를 사용하여 오일을 발효하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안정도가 높아 불포화 지방산의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인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 함유함에도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에 안정적인 오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발효 용기에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혼합물과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을 넣고 25~40℃에서 5-1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발효 후 불순물을 정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발효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효를 통하여 산화되기 쉬운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안정화시켜 불포화 지방산의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하고 경피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의 수분 함유 능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발효물과 오일 혼합물의 자유 지방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발효물의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질세포를 나일레드로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의 원료로는 천연 오일 성분을 선정하고, 이들을 특정 균주로 발효하여 피부 장벽 개선에 효과적인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안정화하여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극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발효물 포함한다.
바오밥 오일(Baobab Seed Oil)은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 자생인 바오밥 나무의 씨앗에서 얻은 것으로, 프리카의 여인들이 거친 사바나의 환경에서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바오밥 오일(Baobab Seed Oil)을 발랐다. 바보밥 오일은 비타민 A, D, E가 풍부하며 인체에서 생산되는 않는 리놀레산이 풍부하고, 피부 보습, 피부 세포의 재생, 피부의 탄력과 부드러움의 유지에 도움을 준다.
바바수 오일 (Babassu oil)은 바바수 야자나무의 씨를 용매나 가열 없이 압착하여 추출하여 얻는다. 바바수 야자나무는 야자나무의 일종으로 키가 약 20m로 1800년도에 브라질 아마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아마존에서는 “생명의 나무”라고도 불리며 피부 상처 치유로 유명하다. 남아메리카 토착민들은 바바수 오일을 천연 보습제로 오랫동안 사용하였다.
타마누 오일(Calophyllum Tacamahaca Seed Oil)은 걸쭉하고 진한 녹색을 띠며 특유의 향이 나는 것이 특징으로, 폴리네시안 타마누 나무의 너트에서 추출된다. 항산화, 항염, 항균 능력이 탁월하여 동남아시아 등 고온 다습한 열대지역의 원주민들이 전통적으로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하여 왔고 타희티와 폴리네시안인들은 타마누 오일을 뜨거운 햇볕, 높은 습도 그리고 소금기 섞인 바닷바람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해 왔다. 원주민들 사이에서는 타마누오일이 신이 나뭇가지 사이에 숨겨놓은 '자연의 신성한 성물'로 믿어지며 타마누 열매가 상처에 효험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한다. 이들 지역에서는 벌레 물린데, 찰과상, 발진, 약한 화상, 갈라진 곳 등 다양한 피부질환에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팔미트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을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으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한다.
상기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는 오일 등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발효시 생물계면활성제(MEL-SY16)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32690호).
일반적으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면 피부자극이나 오일의 산화에 의한 산폐로 안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견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을 사용하여 오일을 발효시킴으로써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자극이 없이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불포화 지방산의 과산화 및 산화적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액은 불포화 지방산을 고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자극이 없이 피부 장벽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발효액은 발효되지 않은 오일 혼합물에 비해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45배 이상 증가하였다(실험예 1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혼합물은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입수용이성, 원료 확보 가능성, 제조 원가 등에 따라 적정 비율로 조절하여 혼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얻기 위해서 1~3:1~3:1~4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3:4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발효전의 오일의 냄새가 많으면 발효 후의 오일 냄새도 발효 전 오일의 냄새가 남는다. 타마누 오일은 오일의 냄새가 강하여 발효 후에도 오일 냄새가 강하게 남는다. 따라서 오일의 조성 중 타마누 오일의 함량이 증가하면 타마누 오일 냄새로 인하여 최종 발효 오일 조성물의 냄새가 많아서 화장료로의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타마누 오일의 함량을 낮추면 사용감에서 영양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바오밥 오일은 타마누 오일에 비하여 발효 전 오일의 냄새가 적지만 상온보다 낮은 20도 이하에서 고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바오밥 오일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최종 발효 오일에서도 20도 이하의 온도에서 약간의 고형상이 나타나 제형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바오밥 오일의 함량을 낮추면 최종 발효 오일 조성물에서 사용감에서 밀착감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바바수 오일은 적은 냄새를 가지며 20도 이하 ~ 15도의 온도에서도 고형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바바수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영양감이나 밀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발효 후의 발효물을 필요에 따라 여과, 원심 분리, 추출, 정제, 멸균 등 본 발명의 본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조작을 적절히 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희석, 농축, 건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효물은, 1) 발효 용기에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혼합물과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을 넣고 25~40℃에서 5-1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발효 후 불순물을 정제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공지된 바의 어떠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오일, 파운데이션, 왁스 또는 스프레이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모발용 화장료로 적용할 경우 샴푸, 린스, 비누, 양모제, 헤어크림, 헤어왁스, 헤어젤, 정발제, 헤어 에센스 등의 형태로 제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될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오일 발효물 제조
타마누 오일 30g, 바오밥 오일 30 g 및 바바수 오일 40 g을 미생물로서 SY16 [KCTC 8950P]를 사용하여 5L 발효조의 작업량(working volume)은 3 L, 500 rpm의 교반, 1.0 vvm의 통기량으로 운전하였으며, 온도는 30 ℃, pH는 4.0(±0.2)으로 120 시간 동안 발효하였다.
비교예 1
타마누 오일 30g, 바오밥 오일 30 g 및 바바수 오일 40 g을 발효 없이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자유 지방산 함량 분석
KSM 0065(1997)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자유지방산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발효 전 오일인 비교예 1에서 보다 실시예 1의 발효물이 피부개선에 도움이 되는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45배 이상의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오일 발효 전후의 In Vivo 피부 효능 평가
건강한 피부를 가진 32~37세(평균 35±2.6세)의 피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 목적에 적합한 피험자들을 선정하여 피부 장벽을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손상시킨 후, 1주간 1일 2회 전박의 지정된 부위에 각각 도포하도록 하였다. 측정시점으로는 테이프 스트리핑 직후, 도포 후 7일 각 시점에서 추출된 피부 각질 세포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각 시점에서 획득된 각질세포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공초점 현미경(연대공동기기원 장비)을 이용) 측정을 통해 중성지질의 형태학적 분포 및 각질분화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형광학적 이미지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이미지는 Image analyzer pro를 이용하여 Fluorescence intensity(형광 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테이프 스트리핑 직후 7일
실시예 1 9.88 22.60
비교예 1 10.27 15.73
Nile red는 세포 내 중성지질을 선택적으로 염색해주며, 일반적으로 각질세포가 성숙할수록 다각형의 선명한 모양을 수반한 강한 형광강도를 갖는다. 실시예 1의 발효 오일은 도포 7일 후 시점에서 발효 전 오일(비교예 1)에 비해 높은 형광강도를 나타냈다. 각질세포의 모양이 6각형 형상일수록 그리고 형광의 강도가 강할수록 성숙한 세포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발효 후 오일 (실시예 1)에서 발효 전 오일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한 피부재생 및 장벽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후 오일이 자유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개선 효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산화 안정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오일을 50도 Incubator 60일 동안 안정도 관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O : 안정, △ : 약간 산화, X : 산화).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결과 O
(특이 취 발생 없음)

(산화되어 특이 취 발생)
실험예 4: 피부 안정도
피험자의 전완(forearm) 또는 등(back) 부위에 첩포를 48시간 부착하여 나타나는 피부자극을 육안 판독하였다. 첩포를 제거하고 나타나는 피부자극을 당일, 그리고 24시간 경과 후 육안 판독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인체 단회첩포시험에서 총 14명의 피험자를 본 임상시험을 완료하였다. 평균 연령은 28.9세, 연령분포는 21~ 36세였다.
<피부 자극 판독기준>
음성(-), 의양성(±), 약양성(+), 경양성(++), 중양성(+++), 강양성(++++)
<피부 자극 점수>
자극 점수 : 음성=0, 의양성=0.5, 약양성=1.0, 경양성=2.0, 양성=4.0, 강양성=8.0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피부 자극 점수 0 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오일 모두 피부 자극이 음성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 스킨 )
하기의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발효물 1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베타인 1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에탄올 5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0.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 (로션)
하기의 표 6과 같이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발효물 3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0
쉐어버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
광물유 5
스쿠알란 3
사이클로메치콘 2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보머 0.12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5
트리에탄올아민 0.12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 6과 같이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발효물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세테아릴알콜 2
스테아린산 1.5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1
스쿠알란 3
광물유 5
사이클로메치콘 5
디메치콘 1
초산토코페롤 0.5
글리세린 5
베타인 3
트리에탄올아민 1
산탄검 0.0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 맛사지 크림
하기의 표 7과 같이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맛사지 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발효물 3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
스쿠알란 5
광물유 35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
1,3-부틸렌글리콜 3
트리에탄올아민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 에센스
하기의 표 8와 같이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발효물 3
글리세린 6
베타인 5
PEG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0.6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파우더 0.0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2
세라마이드 0.2
옥틸도데칸올 3
스쿠알란 3
폴리소르베이트 60 0.4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팩
하기의 표 9와 같이 실시예 1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의 발효물 1
폴리비닐알코올 15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
PEG 1500 2
베타인 2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적량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6)

  1.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혼합물을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로 발효하여 얻는 불포화지방산 고함량 함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이 1~3:1~3:1~4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팩, 에센스,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1) 발효 용기에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혼합물과 슈도지마 츄쿠밴시스(Pseudozyma tsukubaensis)을 넣고 25~40℃에서 5-1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2) 상기 발효 후 불순물을 정제하여 타마누 오일, 바오밥 오일 및 바바수 오일의 발효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의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125860A 2012-11-08 2012-11-08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3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860A KR101993324B1 (ko) 2012-11-08 2012-11-08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860A KR101993324B1 (ko) 2012-11-08 2012-11-08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18A KR20140059418A (ko) 2014-05-16
KR101993324B1 true KR101993324B1 (ko) 2019-06-26

Family

ID=5088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860A KR101993324B1 (ko) 2012-11-08 2012-11-08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33601B1 (pl) * 2017-10-06 2019-11-29 Cal Krzysztof Laboratorium Inzynierii Czastek Kompozycja zawierajaca sukralfat, zastosowanie kompozycji, sposob wytwarzania kompozycji oraz produkty kosmetyczne zawierajace te kompozycj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3042A (ja) 2005-08-01 2009-01-29 ロレアル 敏感肌又は乾燥肌を予防及び/又は治療するための化粧料用及び/又は皮膚科用組成物
CN101547615A (zh) 2006-10-13 2009-09-30 热尔韦·达诺尼公司 用于改善皮肤质量的新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836B1 (ko) 2003-09-09 2006-01-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5267B1 (ko) * 2005-11-25 2013-01-22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스킨 케어 화장료 및 피부 거칠음 개선제
EP2279667A1 (en) * 2009-07-30 2011-02-02 Brudy Technology, S.L. Vegetable and marine oil or fat compositions enriched with DHA or EPA and C18 or higher fatty ac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3042A (ja) 2005-08-01 2009-01-29 ロレアル 敏感肌又は乾燥肌を予防及び/又は治療するための化粧料用及び/又は皮膚科用組成物
CN101547615A (zh) 2006-10-13 2009-09-30 热尔韦·达诺尼公司 用于改善皮肤质量的新组合物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hammad Athar et al, ‘Taxonomic perspective of plant species yielding vegetable oils used in cosmetics and skin care products’, African Journal of Biotechnology, 2005, Vol.4, No.1, pp.36-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18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657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6594A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00179B1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7528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291173B1 (fr) Association d&#39;extraits de passiflore et d&#39;anchuse utilisable en cosmetique
KR101993324B1 (ko)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11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염, 피지 분비 억제용, 또는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855210B1 (ko) 흑효모 발효 가지씨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FR3086542A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39;agave pour renforcer la fonction barriere de la peau, du cuir chevelu et/ou des muqueuses et moduler le microbiote cutane
KR102659309B1 (ko) 아토피 피부염과 건조에 기인한 피부 가려움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9739A (ko) 금잔화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560B1 (ko) 피부외용제 조성물
EP2811978B1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39;ecorc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anti-age
KR101917712B1 (ko) 님나무와 작약의 초음파 처리 및 흑효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872B1 (ko) 한방 열매 발효오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958A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결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9057A (ko) 로스팅된 창이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EP2811977A2 (fr) Utilisation d&#39;un extrait de feuille de pommier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raffermissement de la peau
KR20240105664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 및 백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5643B1 (ko) 닻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107834A1 (fr) Utilisation d’une association d’huiles essentielles pour ameliorer la surface de la pea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