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566B1 -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566B1
KR101224566B1 KR1020087005923A KR20087005923A KR101224566B1 KR 101224566 B1 KR101224566 B1 KR 101224566B1 KR 1020087005923 A KR1020087005923 A KR 1020087005923A KR 20087005923 A KR20087005923 A KR 20087005923A KR 101224566 B1 KR101224566 B1 KR 10122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hread
knitting
yarns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235A (ko
Inventor
야수노리 하타케야마
겐지 나카이
카츠지 미나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5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65H69/061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그 때마다, 실 이음하면서 편물기의 급사장치에 공급하는 실 전환장치.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급사 패키지와, 편물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 사이에서, 실을 선택하고, 선택된 선택사와 편성 중의 편성사를 실 이음하여 편물기의 급사장치에 급사하는 실 전환장치로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흡인 보유하는 흡인수단(28)과, 흡인수단과 급사 패키지 사이에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는 클램프수단(29)를 구비하고, 클램프수단이 실 가이드를 따라서 2개소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제1 클램퍼(29A) 및 제2 클램퍼(29B)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클램퍼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실의 전환 시에 편성에 사용되는 실 이외의 실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YARN CHANGE DEVICE IN KNITTING MACHINE OR THE LIKE}
본 발명은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에 편사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이종실 가운데서, 어느 하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이것을 그때마다 실 이음하면서 편물기의 급사장치에 공급하도록 한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편물의 다품종화에 따른 장식 변화성의 경향은 매우 현저하다. 그 때문에 편물기의 개량, 특히, 편물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에로의 편사의 급사에 관한 기술의 개량, 즉, 편물기에 편사 공급하는 전단계에 있어서, 미리 설계된 편성포 패턴에 따라서 색이 서로 다른 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실 이음하고, 이 실 이음된 실을 자동적으로 편물기에 공급하는 것과 같은 기술의 개량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급사 패키지와 편물기 사이에, 실 선택장치 및 실 이음장치를 형성하고, 실 선택장치에 의해 선택된 선택사를 실제로 편성 중인 편성사와 자동적으로 실 이음되어, 소망하는 색ㆍ무늬를 편성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복수종의 패키지의 실끝을 보유해 두고, 선택 된 한개의 선택사(選擇絲)만을 개방하고, 이것을 실 이음장치에 도입하고, 편성 중의 편성사 사이에서 실 이음하는 유효한 실 전환장치는 없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463호(요약, 도 1∼도 6) 
특허문헌 2: 일본 특허출원 2005-25124호(요약, 도 1∼도 3)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하는 것과 같은,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에 있어서, 복수종의 패키지의 복수의 실끝을 보유하는 보유수단을 개방하고, 소정의 선택사만을 선택하고, 이것을 편성 중의 편성사와 실 이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을 편물기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급사하도록 한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편물기 등에 있어서는, 탑스프링 등에 의한 실 장력 혹은 급사 패키지로부터 실 보유수단까지의 실 자중 등에 의해 급사측에 텐션이 걸리고, 일단 실 보유를 해제하면 실이 빠져 나가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선택된 실과 편성 중의 실의 전환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편성에 사용되는 실 이외의 실을 확실하게 보유수단에 의해 보유할 수 있도록 한 실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에 즈음하여, 구체적으로는,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급사 패키지와, 편물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 사이에서, 실을 선택하고, 선택된 선택사와 편성 중의 편성사를 실 이음하여 편물기의 급사장치에 급사하는 실 전환장치로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흡인 보유하는 흡인수단과, 흡인수단과 급사 패키지 사이에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는 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클램프수단이 실 가이드(絲道)를 따라서 2개소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제 1 및 제 2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로서, 클램프수단에 있어서의 제 1 클램퍼가, 흡인수단에 연동하여, 흡인수단의 흡인작동 시에, 실 가이드에 있는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혹은 제 2 항에 기재된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로서, 클램프수단에 있어서의 제 2 클램퍼가, 통상,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고 있고, 선택사의 선택 시에 클램프를 개방하는 실 보유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클램퍼가, 통상, 클램프를 개방하고 있고, 선택사의 선택 시에 실 보유부재의 개방보다 전에 실을 누르고, 실 보유의 개시 후에 실누름을 개방하는 실 누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는,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흡인 보유하는 흡인수단과, 급사 패키지와 흡인수단 사이에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는 클램프수단을 형성하고, 이 클램프수단을 실 가이드를 따라서 2개소에 배치한,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제 1 및 제 2 클램퍼로 구성한 것이고. 그 점에 있어서, 복수종의 패키지의 복수의 실끝을 보유하는 보유수단을 개방하고, 소정의 한개의 선택사만을 선택하고, 이것을 편성 중의 편성사와 실 이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것을 편물기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급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실에 작용하는 장력의 여하에 관계없이, 실을 확실하게 클램핑해 둘 수가 있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내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실 전환장치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횡편물기에 결합한 구성의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실 전환장치를 탑재한 횡편물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횡편물기는 머신 프레임(40)과, 이 머신 프레임(40)에 편입되어 있는 급사장치(41)를 구비한 것이다. 이 머신 프레임(40)에 대해서, 실 선택장치(1) 및 실 이음장치(2)가 조합되어 있다. 머신 프레임(40) 부근에는, 예를 들면8종류의 편사 패키지(W1∼W8)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 각 편사 패키지(W1∼W8)는 각각 서로 다른 색의 편사(Y1∼Y8)로 구성되어 있다. 머신 프레임(40)은 복수의 편침을 진퇴가 자유롭게 설치된 니들베드(42)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머신 프레임(40)은 왕복이동 가능한 캐리어(43) 및 캐리지(44)를 구비하고 있고, 캐리지(44)의 이동에 의해 니들베드(42)의 편침이 진퇴 조작되는 동시에, 캐리어(43)가 연행된다. 편사 패키지(W1∼W8)에 감긴 8종의 편사(Y1∼Y8)는 실 선택장치(1)로 공급되고, 이 8종의 편사(Y1∼Y8) 중, 실 선택장치(1)에서 선택된 하나의 편사(이하, 이것을 ‘선택사’라고 한다.)가 실 이음장치(2)에 의해 편성 중의 편사(이하, 이것을 ‘편성사’라고 한다.)와 실 이음되고, 급사장치(41)에 의해 캐리어(43)로 이송되고, 캐리어(43)에 파지되어 왕복 이동하면서 니들베드(42)에 공급되어 편성포(45)가 편성된다. 편사(Y1∼Y8)는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탑 스프링(46)을 거쳐, 실 선택장치(1)로 공급된다. 그리고 실 선택장치(1) 및 실 이음장치(2)가 편성하는 편성포(45)의 패턴에 따라서 편성 중의 편사(Y1∼Y8)의 색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는, 기본적으로는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급사 패키지(W1∼W8)와, 편물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41) 사이에서, 실을 선택하는 실 선택장치(1)와, 이 실 선택장치(1)에 의해 선택된 선택사와 편성 중의 편성사를 실 이음하는 실 이음장치(2)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실 전환장치는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흡인 보유하는 흡인수단(28)과, 이 흡인수단(28)과 급사 패키지(W1∼W8) 사이에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는 클램프수단(29)을 구비하고 있고, 클램프수단(29)이 실 가이드를 따라서 2개소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제 1 클램퍼(29A)와, 제 2 클램퍼(29B)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발명에서는 클램프수단(29)에 있어서의 제 1 클램퍼(29A)는 흡인수단(28)에 연동하고, 이 흡인수단(28)의 흡인작동 시에, 실 가이드에 있는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클램프수단(29)에 있어서의 제 2 클램퍼(29B)는 통상,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고 있고, 선택사의 선택 시에 클램프를 개방하는 실 보유부재(31)에 의해 구성되고 있고, 제 1 클램퍼는 통상, 클램프를 개방하고 있고, 선택사의 선택 시에, 실 보유부재(31)의 개방보다 전에 실을 누르고, 실 보유 개시 후에 실누름을 개방하는 실 누름부재(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2는 실 선택장치(1) 및 실 이음장치(2) 등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실 선택장치(1)는 상부에 8개의 실 선택판(G1∼G8)을 구비하고 있다. 각 실 선택판(G1∼G8)은 하부에 실 삽입링(g)을 구비하고 있다. 편사 패키지(W1∼W8)로부터의 편사(Y1∼Y8)는 실 선택판(G1∼G8)의 실 삽입링(g)에 삽입되고, 그 중의 한 개인 편성사가 급사장치(41)로 이송된다. 이 실 삽입링(g)은 환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이 환상부에 편사(Y1∼Y8)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성사의 종류를 변경할 때, 도 2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대상의 편사를 보유하는 실 선택판(G1∼G8)을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편사를 선택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것들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 선택장치(1)는 편성사와 그것 이외의 편사를 나누어 배치하기 위한 세퍼레이터(1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실 선택장치(1)는 상기한 선택위치에 있는 편사를 실 이음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실 안내레버(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실 선택장치(1)의 요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실 이음장치(2)의 요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실 선택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2)에 대해서, 그 근방에, 실 누름부재(30), 실 보유부재(31) 및 실끝 파지석션(32)이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누름부재(30)는 실 누름용 실린더(33)에 의해 진퇴 작동하는 구성의 것이고, 통상 시에는 후퇴하고 있고, 세퍼레이터(12)와 실 누름용 실린더(33)에 있어서의 작용단(33a)과의 사이의 실 가이드가 개방되고 있으며, 전진작동 시에, 세퍼레이터(12)와 실 누름용 실린더(33)에 있어서의 작용단(33a)과의 사이에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한다.
이에 대해서 실 보유부재(31)는 실 보유용 실린더(34)에 의해 진퇴 작동하는 구성의 것이고, 통상 시에는 전진하고 있고, 세퍼레이터(12)와 실 보유용 실린더(34)에 있어서의 작용단(34a)과의 사이에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고 있고, 실 전환 시에 후퇴하여 세퍼레이터(12)와 실 보유용 실린더(34)에 있어서의 작용단(34a)과의 사이의 실 가이드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실 선택장치(1)의 하방에는 실 이음장치(2)가 조합되어 있다. 이 실 이음장치(2)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편사를, 그 실끝 부분을 같은 방향을 향해서 일치시킨 상태에서 실 이음하는 구성이 것으로서, 압축에어의 분출 스프레이에 의해 실 이음을 실시하는 스플라이서 타입의 실 이음장치이다. 이 실 이음장치(2)는 스플라이스 노즐(21)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하는 스플라이스 노즐(21)은 실 이음되는 2개의 실의 실끝 부분을 같은 방향을 향해서 일치시킨 상태에서 2개의 실을 수용하는 실 수용구멍(21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스플라이스 노즐(21)은 실 수용구멍(21a)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압축공기 등의 기류를 분출하는 노즐개구(21b)을 가지는 에어 분출수단(26)을 구비하고 있고, 이 에어 분출수단(26)은 전자밸브(27)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밸브(27)의 개폐제어에 의해 에어의 분출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실 이음장치(2)는 2개의 편사를 실 이음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원판 가이드(20), 각 편사의 길이를 조정하는 커터(23), 각 편사를 해연(解撚)하여 실 이음하는 스플라이스 노즐(2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실 이음장치(2)는 구동모터(50)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 이음장치(2)의 하방에, 편성사의 위치를 결정해서 급사장치(41)로 이송하기 위한 실 위치 결정부(3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 위치 결정부(35)는 슬릿상의 노치부를 가지고 있고, 이 노치부에 편사를 걸어서 위치결정을 한다.
도 5는 실 안내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는 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도면 우측에서 본 개략적인 우측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안내레버(10)는 대체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부(105)을 가지고 있다. 실 안내레버(10)는 한쪽의 선단에, 선택사를 계합(係合, 걸어맞춤)하기 위한 제 1 결합부(101)을 구비하고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결합부(101)는 V자 형상으로 절결(노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실 안내레버(10)는 다른 쪽의 단부에 회전축(107)을 구비하고 있고, 이 회전축(107)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방향(n)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실 안내레버(10)는 거의 중앙에 편성사를 계합하기 위한 제 2 결합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결합부(102)는 본체부(105)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5)의 양측에, 한 쌍의 벽부(106,106’)가 설치되어 있고, 각 부분(105,106,106’)에 의해 ㄷ자 형상의 실 규제부(103)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실 규제부(103)는 실 안내레버(10)의 외주위의 거의 전면에 걸쳐서, 바깥 방향으로 열린 ㄷ자 형상의 실 규제부(103)로서 형성된다. 선택사를 실 규제부(103)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편사를 특정위치에 규제하면서 실 이음위치로 안내할 수 있다.
다음에, 편성 중의 편사의 종류를 변경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6∼도 9에 나타내는 작동스텝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도 9는 실 선택장치 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실 선택장치는 도 6A, 도 6B, 도 7A, 도 7B, 도 8A, 도 8B,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스텝에 따라 제 1 단계∼제 8 단계에 걸쳐서 동작하는 것이다. 각 도에 있어서의 A-1, B-1은 개략적인 정면도, 각 도에 있어서의 A-2, B-2는 각각 A-1, B-1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실 이음장치의 작동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원판 가이드를 포함하는 일부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 선택장치(1)는 그 제 1 단계에 있어서, 도 6A-1 및 도 6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개의 편사(Y1∼Y8)가 8개의 실 선택판(G1∼G8)에 보유되어 있다. 그리고 편성사(Y4)(2점쇄선으로 나타낸다.)가 세퍼레이터(12)의 내측(도 6A-2의 도면 좌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편성사(Y4) 이외의 7개의 편사(Y1∼Y3, Y5∼Y8)가 세퍼레이터(12)의 외측(도 6A-2의 도면 우측)에 배치되고 있고, 실 보유부재(31)로 클램핑되어 보유되어 있다. 이 실 보유부재(31)는 에어유량을 제어하는 에어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에어 솔레노이드에 의한 피스톤실린더의 동작으로 편사를 파지,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편성사(Y4)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송되어 급사되고,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전면(前面)을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횡편물기에 구비된 제어부(도시생략)로부터, 미리 입력된 편성포 패턴에 의거하는 실 전환신호가, 실 선택장치(1), 실 이음장치(2) 및 급사장치(41) 등에 보내진다. 이 신호에 의해, 급사장치(41)가 정지하여 편성사(Y4)의 이동이 멈추고, 실 선택장치(1) 및 실 이음장치(2) 등이 작동한다. 그리고 그 제 2 단계에서는 도 6B-1 및 도 6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류변경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선택사(Y1)(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를 보유하는 실 선택판(G1)이 구동한다. 실 선택판(G1)이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선택사(Y1)가 선택위치(Pl)에 위치 결정된다. 그 후에 실 안내레버(10)가 화살표방향(III)으로 회전(정회전) 한다.
계속해서, 제 3 단계에서는 도 7A-1 및 도 7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안내레버(10)의 회전에 의해, 실 안내레버(10)의 제 1 결합부(101)가 선택위치(Pl)에 있는 선택사(Y1)를 계합한다. 선택사(Y1)는 실 안내레버(10)의 실 규제부(103)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특정위치(P2)에 규제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안내된다. 실 안내레버(10)의 제 2 결합부(102)는 세퍼레이터(12)보다도 돌출하고 있고, 세퍼레이터(12)의 원호상 상연부(12a)를 따라서 이동한다. 도 7A-1은 제 2 결합부(102)가 편성사(Y4)에 접촉해서 계합된 순간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선택사(Y1)의 일부 및 편성사(Y4)는 세퍼레이터(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4 단계에서는 도 7B-1 및 도 7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가로 실 안내레버(10)가 회전하고, 제 1 결합부(101)가 스플라이스 노즐(21)보다도 하방의 최하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선택사(Y1)는 제 1 결합부(101)에 계합하여 미끄러지면서 안내된다. 또한, 선택사(Y1)는 실 안내레버(10)의 실 규제부(103)에서 특정위치(P2)에 규제된 상태로 실 규제부(103)를 미끄러지면서 인도되고,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전면으로 안내된다. 이렇게, 선택사(Y1)를 실 규제부(103)의 특정위치(P2)에 규제하면서 안내하는 것에 의해, 선택사(Y1)를 편성사(Y4) 및 그 밖의 편사(Y2, Y3) 등과 얽히지 않고,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전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A-1 및 도 7A-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 2 결합부(102)가 편성사(Y4)에 접촉, 계합되어 있고, 이 상태로부터 실 안내레버(10)가 추가로 회전한다(도 7B-1 및 도 7B-2참조). 이에 따라 편성사(Y4)는 제 2 결합부(102)에 계합되어 인도되고, 세퍼레이터(1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편성사(Y4)는 편사(Y1∼Y3), Y5∼Y8(편성 중 이외의 편사)가 대기하는 대기위치(P3)으로 이동한다.
그 후, 제 5 단계에서는 도 8A-1 및 도 8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누름부재(30)가 구동하고, 세퍼레이터(12)의 내측에 있는 선택사(Y1) 이외의 편사(Y2∼Y8)를 클램핑한다. 그 후에 실 보유부재(31)가 구동해서 실끝을 개방하기 전에, 실끝 파지석션(32)의 흡인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실끝 파지석션(32)이 편사(Y1∼Y3, Y5∼Y8)의 실끝을 흡인 파지한다. 실 누름부재(30)는 에어 솔레노이드에 의한 피스톤 실린더의 동작으로 편사를 파지,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끝 파지석션(32)의 흡인력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편물기에 설치된 탑 스프링(46)의 반발력에 의해 부가된 텐션으로, 편사(Y2∼Y8)의 실끝을 확실하게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실 누름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 6 단계에서는 도 8B-1 및 도 8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 가이드(20)에 설치된 실 삽입부(20a)가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전면으로 안내된 선택사(Y1) 및 편성사(Y4)를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실 수용구멍(21a)에 밀어 넣어 삽입한다. 이에 따라 선택사(Y1) 및 편성사(Y4)는 실 이음위치(P4)에 배치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50)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제 1 구동기어(51) 및 제 2 구동기어(52)가 회전 구동한다. 제 1 구동기어(51)는 후술하는 실 이음장치(2)의 일련의 동작을 하기 위한 링크기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구동기어(52)는 원판 가이드(20)를 구동한다. 제 2 구동기어(52)는 제 1 종동기어(53) 및 제 2 종동기어(54)를 맞물려서, 제 2 종동기어(54)에 형성된 원판 가이드(20)를 회전 구동한다. 원판 가이드(20)는 일부가 절결(노치)되어 있고, 이 노치부의 일변측에 자물쇠 형상의 실 삽입부(20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 가이드(20)가 화살표방향(IV)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선택사(Y1) 및 편성사(Y4)가 실 삽입부(20a)에 계합한 상태로 이동하고,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실 수용구멍(21a)에 밀어 넣어진다.
그것과 동시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이음장치(2)가 작동한다. 실 이음장치(2)는 압축에어의 분출에 의해서 실 이음하는 에어 스플라이서로서, 스플라이스 노즐(21)을 구비하고 있다. 스플라이스 노즐(21)은 2개의 편사를 수용하는 실 수용구멍(21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스플라이스 노즐(21)은 실 수용구멍(21a)에 대해서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에어 분출수단(2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에어 분출수단(26)로부터 실 수용구멍(2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노즐개구(21b)가 설치되고 있다. 이 에어 분출수단(26)은 전자밸브(27)의 개폐에 의해서 에어의 분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일방측에는 실 수용구멍(21a)에 수용되고, 실 이음위치(P4)에 배치된 2개의 편사를 파지하기 위한 클램프수단(22)을 구비하고, 타방측에는 2개의 편사의 끝부분측을 절단하여 길이를 조정하는 커터(2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일방에는 실 수용구멍(21a)의 일방측을 폐지하는 노즐커버(24)와, 실 이음 길이를 조정해서 인출하기 위한 실 인출레버(25)를 구비하고 있다.
스플라이스 노즐(21), 클램프수단(22), 커터(23), 노즐커버(24) 및 실 인출레버(25)는 제 1 구동기어(51)에 접속된 링크기구(도시생략)에 의해서, 일련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사(Y1) 및 편성사(Y4)는 실끝이 같은 방향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실끝 파지석션(32)에 흡인 파지되고, 스플라이스 노즐(21)의 실 수용구멍(21a)에 삽입되고, 실 이음위치(P4)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사(Y1) 및 편성사(Y4)가 클램프수단(22)에 의해 파지되고, 노즐커버(24) 및 실 인출레버(25)가 실 수용구멍(21a)을 폐지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터(23)가 작동하고, 선택사(Y1) 및 편성사(Y4)의 실끝측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선택사(Y1)가 남은 실끝은 실끝 파지석션(32)에 의해 흡인된다.
그 후,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인출레버(25)가 화살표방향(V)으로 조금 이동하고, 선택사(Y1) 및 편성사(Y4)의 이음매 길이를 조정한다. 도 10D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에어 분출수단(26)을 작동시켜서, 노즐개구(21b)을 통해서 압축공기를 선택사(Y1) 및 편성사(Y4)에 스프레이하고, 각 편사의 실끝 부분을 해연한다(도 10E 참조). 도 10E의 상태에서, 실 인출레버(25)를 추가로 화살표방향(V)으로 이동시키고, 선택사(Y1) 및 편성사(Y4)를 실 수용구멍(21a)에서 끌어 낸다. (도 10F 참조). 해연된 부분의 실끝이 실 수용구멍(21a)의 압축공기의 분출구 가까이를 통과할 때에, 섬유 상호간이 얽히어, 선택사(Y1) 및 편성사(Y4)가 실 이음된다. 이 얽힌 부분을 실 수용구멍(21a)에서 인출할 때에, 노즐커버(24)로 누르면서 선택사(Y1) 및 편성사(Y4)를 인출하므로, 얽힌부분의 오그라듦을 방지하고, 이음매부분이 매듭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도 10G 와 같이, 선택사(Y1) 및 편성사(Y4)가 실 수용구멍(21a)에서 완전하게 끌어 내어진 후, 클램프수단(22)이 개방하고, 커터(23), 노즐커버(24) 및 실 인출레버(25)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실 이음을 완료한다.
그 후, 실 선택장치(1)는 그 제 7 단계에 있어서, 도 9A-1 및 도 9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보유부재(31)가 선택사(Y1) 이외의 편사(Y2∼Y8)를 파지한다. 그리고 실 누름부재(30)가 편사(Y2∼Y8)를 개방하고, 동시에 실끝 파지석션(32)의 흡인이 정지한다. 또, 그 제 8 단계에 있어서, 도 9B-1 및 도 9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안내레버(10)를 원래의 상태로 회전(역회전)한다. 그 후, 실 선택판(G1)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 선택사(Y1)가 세퍼레이터(12)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급사장치(41)가 작동하고, 선택사(Y1)가 이송되어 횡편물기로 급사된다.
도 12는 상기에서 설명한 주요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타임차트도이다. 도 12와 같이, 실 안내레버(10)가 정회전한 후, 구동모터(50)가 1회전(0°∼360°)한다. 이 구동모터(50)의 1회전에 의해서, 원판 가이드(20)가 1회전하는 동시에, 클램프수단(22), 커터(23), 노즐커버(24) 및 실 인출레버(25) 등이 구동하고, 실 이음의 개시로부터 완료까지의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먼저 제 1 결합부(101)가 선택위치(P1)에 있는 선택사(Y1)를 계합하고, 나중에 제 2 결합부(102)가 편성사(Y4)를 계합하는 것에 의해, 편성사(Y4)를 세퍼레이터(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3의 각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도 7의 각도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편성사가 편사(Y1)이고, 선택사가 편사(Y4)인 경우에는, 제 2 결합부(102)가 편성사(Y1)를 계합하지 않고, 선택사(Y4)가 편성사(Y1)를 계합하여 세퍼레이터(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도 13A-1 및 도 13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101)가 선택사(Y4)를 계합한 상태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선택사(Y4)는 세퍼레이터(1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건너 간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편성사(Y1)는 제 2 결합부(102)가 계합하기 전에, 선택사(Y4)와 교차해서 접촉하여 계합된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실 안내레버(10)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도 13B-1 및 도 13B-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사(Y4)가 편성사(Y1)를 세퍼레이터(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선택사가 제 1 결합부(101)에 계합된 후, 편성사와 교차하는 경우에는, 제 2 결합부(102)가 아니라, 선택사가 편성사를 계합하여 대기위치(P3)로 이동한다. 그것에 대해서, 선택사가 제 1 결합부(101)에 계합된 후, 편성사와 교차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결합부(102)가 편성사를 계합하여 대기위치(P3)로 이동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횡편물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종류의 실에서 선택한 실을 실 이음하는 자동 와인더 등의 섬유기계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실 전환장치를 탑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 전환장치를 탑재한 횡편물기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실 선택장치의 요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 이음장치의 요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실 안내레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그 개략적인 정면도, 도 5B는 도 5A에 있어서의 우측면도, 도 5C는 도 5B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 전환장치에 있어서의 실 선택의 작동도 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6A-1 및 도 6A-2는 제 1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B-1 및 도 6B-2는 제 2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1 및 도 7A-2는 제 3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B-1 및 도 7B-2는 제 4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A-1 및 도 8A-2는 제 5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B-1 및 도 8B-2는 제 6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A-1 및 도 9A-2는 제 7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9B-1 및 도 9B-2는 제 8 단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A∼도 10G는 실 이음장치의 동작스텝을 설명하기 위한 실 이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실 삽입 회전판을 포함하는 일부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 전환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타임차트도이다.
도 13은 도 7의 각도에 대응하는 상태의 특별한 일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실 선택장치 2; 실 이음장치
10; 실 안내레버 12; 세퍼레이터
20; 원판 가이드 21; 스플라이스 노즐
21a; 실 수용구멍 21b; 노즐개구
26; 에어 분출수단 27; 전자(電磁)밸브
28; 흡인수단 29; 클램프수단
29A; 제 1 클램퍼 29B; 제 2 클램퍼
30; 실 누름부재 31; 실 보유부재
32; 실끝 파지석션 33; 실 누름용 실린더
34; 실 보유용 실린더 Pl; 선택위치
P2; 특정위치 P3; 대기위치
P4; 실 이음위치 Y1; 선택사
Y4; 편성사

Claims (3)

  1. 색 등이 서로 다른 복수종의 급사 패키지와, 편물기에 있어서의 급사장치 사이에서, 실을 선택하고, 선택된 선택사와 편성 중의 편성사를 실 이음해서 편물기의 급사장치에 급사하는 실 전환장치로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흡인 보유하는 흡인수단과, 상기 흡인수단과 상기 급사 패키지 사이에서,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는 클램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수단이 실 가이드를 따라서 2개소에 배치되고,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제1 및 제 2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에 있어서의 제 1 클램퍼가 상기 흡인수단에 연동하고, 상기 흡인수단의 흡인작동 시에, 실 가이드에 있는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에 있어서의 제 2 클램퍼가 통상, 복수의 실을 일괄해서 클램핑하고 있고, 선택사의 선택 시에 클램프를 개방하는 실 보유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클램퍼가 통상, 클램프를 개방하고 있고, 선택사의 선택 시에, 상기 실 보유부재의 개방보다 전에 실을 누르고, 실 보유 개시 후에 실누름을 개방하는 실 누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KR1020087005923A 2005-10-13 2006-09-27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KR101224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98900 2005-10-13
JPJP-P-2005-00298900 2005-10-13
PCT/JP2006/319125 WO2007043335A1 (ja) 2005-10-13 2006-09-27 編機等における糸切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35A KR20080057235A (ko) 2008-06-24
KR101224566B1 true KR101224566B1 (ko) 2013-01-21

Family

ID=3794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923A KR101224566B1 (ko) 2005-10-13 2006-09-27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56127B1 (ko)
JP (1) JP5172346B2 (ko)
KR (1) KR101224566B1 (ko)
CN (1) CN101283136B (ko)
WO (1) WO2007043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4331B2 (ja) * 2010-12-29 2016-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およびその編地生産方法
CN109335833B (zh) * 2018-11-29 2023-09-01 西安工程大学 一种喂料机构和具有该喂料机构的花式纱线拼接机
CN110258015B (zh) * 2019-05-07 2020-10-16 安徽新虹纺织有限公司 用于纺织生产的纺织线筒自动更换设备
CN110592757A (zh) * 2019-10-08 2019-12-20 江苏海特服饰股份有限公司 多色变换接头纱及其制备方法
CN113718419B (zh) * 2021-07-22 2023-09-22 安徽和邦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混织织机
CN114753053A (zh) * 2022-05-17 2022-07-15 绍兴市立竹机械有限公司 一种手套机多色切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0147A (ja) * 1990-03-03 1991-11-20 Matsuzaki Koki Kk 編成或いは織製時における給糸装置
JP2004027463A (ja) 2002-05-09 2004-01-29 Murata Mach Ltd 紡績糸の糸継方法、装置および継ぎ目
JP2005314104A (ja) 2004-03-30 2005-11-10 Murata Mach Ltd 糸継ぎ装置およびハンディー型スプライサ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3015A5 (fr) * 1981-12-03 1984-05-15 Mayer & Cie Maschinenfabrik Metier a tricoter.
JPH10279190A (ja) * 1997-04-08 1998-10-20 Yoshiro Otake 糸のスプライス装置
JP3897174B2 (ja) 2003-07-03 2007-03-22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感光材料の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60147A (ja) * 1990-03-03 1991-11-20 Matsuzaki Koki Kk 編成或いは織製時における給糸装置
JP2004027463A (ja) 2002-05-09 2004-01-29 Murata Mach Ltd 紡績糸の糸継方法、装置および継ぎ目
JP2005314104A (ja) 2004-03-30 2005-11-10 Murata Mach Ltd 糸継ぎ装置およびハンディー型スプライ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56127A4 (en) 2013-05-29
EP1956127B1 (en) 2014-11-12
EP1956127A1 (en) 2008-08-13
KR20080057235A (ko) 2008-06-24
JPWO2007043335A1 (ja) 2009-04-16
JP5172346B2 (ja) 2013-03-27
CN101283136B (zh) 2010-10-20
WO2007043335A1 (ja) 2007-04-19
CN101283136A (zh)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116B1 (ko) 실의 스플라이싱 방법 및 그 장치
KR101224566B1 (ko)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JP3450354B2 (ja) 糸処理機
KR101329121B1 (ko) 스플라이서 장치
US5832850A (en) Sewing machine which performs a stitching operation using multiple kinds of threads
US4840046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ensuring a precisely positioned introduction of a substitute yarn in a knitting machine
JPWO2020054555A1 (ja) コード材を縫着可能なミシン及びコードカット装置
CN107201602B (zh) 面料的缝制方法及双线锁缝缝纫机
KR100439528B1 (ko) 자동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JPH09176942A (ja) 糸の処理システム
RU2345184C2 (ru) Гибкая стачечная машина тяжелого режима с множеством голово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шпулечным зарядчиком
JP3668457B2 (ja) 自動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JP2007107133A (ja) 糸案内装置
JP2010132359A (ja) スプライサ装置
KR100766486B1 (ko) 재봉기계
CA2204148C (en) Method for feeding yarns
KR20160037769A (ko) 재봉기
JPH08280965A (ja) ミシン
JP2016221172A (ja) 玉縁縫い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