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121B1 - 스플라이서 장치 - Google Patents

스플라이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121B1
KR101329121B1 KR1020087031845A KR20087031845A KR101329121B1 KR 101329121 B1 KR101329121 B1 KR 101329121B1 KR 1020087031845 A KR1020087031845 A KR 1020087031845A KR 20087031845 A KR20087031845 A KR 20087031845A KR 101329121 B1 KR101329121 B1 KR 101329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yarn
seal
suc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399A (ko
Inventor
레이지 아리키타
겐지 나카이
야스노리 하타케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4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65H69/061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5/00Piecing arrangements ; Automatic end-finding, e.g. by suction and reverse package rotation;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yarn during piec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2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7/26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면서 또한 섬유먼지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 가능한 스플라이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 지지부(13)에서 지지되는 실(12)에서 실 선택부(3)에 의하여 선택한 실(12a)을, 실 안내 레버(14)에 의하여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끼우고, 사용중인 실(12b)에 실이음을 하고, 커터(30)에 의하여 사용중인 실(12b)을 절단하여 실을 전환한다. 발생하는 실밥은 석션(19)에 흡인된다. 베이스(2)는 분리벽(100)을 구비하고, 실 안내 레버(14), 커터(30)를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모터(4, 5)는, 실 지지부(13), 실 안내 레버(14), 스플라이스 노즐(7), 석션(19), 커터(30)에 대하여 분리벽(10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플라이서 장치{SPLICER DEVIC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실의 말단 상호간을 꼬아 잇는 스플라이서 장치(splicer 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편성포나 직물원단을 형성하는 때에는, 서로 다른 실의 말단 상호간의 실이음이 필요하게 된다. 실이음에는, 매듭을 형성하는 노터(knotter)나, 실의 말단의 섬유의 꼬임을 일단 푼 후에 서로 얽히도록 꼬아서 이음매를 형성하는 스플라이서(splicer) 등이 사용된다. 노터에 의한 실이음은, 서로 다른 실의 말단 상호간에 매듭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므로, 실이음부에 매듭이 발생되어 버린다. 매듭 부분은 지름이 굵어져, 편성포나 직물원단을 형성하는 장치의 도중 등에 걸려 원활한 동작이 곤란하게 되어 버린다. 스플라이서에 의한 실이음에서는, 실이음부에서의 지름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편성(knitting)이나 편직(weaving)의 동작을 원활하게 계속하기 쉽다.
스플라이서는, 실을 감아서 방직기 등에 장착하는 콘(corn)을 형성하 는 와인더(winder) 등에서의 실이음에 사용되고 있다. 스플라이서로서의 예로서는, 실이음을 하는 실의 말단을 같은 방향으로 하고 직선으로 접속되는 실로부터 말단 상호간이 얽혀 있는 실이음부가 횡으로 돌출되어, 이를테면 T자형으로 실이음부를 형성하는 것과(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463호 공보 참조), 실의 말단의 방향을 서로 대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실이음부가 직선으로 접속되는 실의 주위를 덮도록 서로 얽혀서, 이를테면 I자형으로 실이음부를 형성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31276호 공보 참조).
편성포는 기본적으로 1가닥의 편사로 형성되므로, 다른 실을 보충하면, 동일한 실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것 같은 성질이나 색의 변화 등을 줄 수 있다. 편성기에서는 복수의 실을 교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형성되는 편성포에서 같은 실을 사용하는 부분이 떨어져 있으면 교차사(crossing yarn)가 발생한다. 실이음으로 실을 전환하면 교차사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편성기에서 복수의 실을 사용 가능하더라도 실을 공급하는 부분은 좁은 영역에 한정되므로, 사용 가능한 실의 수에도 제한이 있다. 편성기에서 실이음을 필요로 할 경우 매듭을 형성하는 노터 등을 사용하고 있다. 노터를 사용하는 경우, 매듭 부분에서 실의 지름이 굵어져 장치의 원활한 가동이 저해되므로, 형성되는 편성포에서도 매듭이 표면으로 나오지 않도록 처리할 필요가 있다. 스플라이서로 실이음을 하면 실이음 부분의 처리가 간단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종래의 와인더 등에 구비되는 스플라이서는 대형으로, 편성기 등의 실의 공급경로에 설치할 수는 없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463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31276호 공보에는, 각 부의 배치나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한 구체적 구조에 관한 기재는 없다. 편성기에 사용하는 스플라이서는, 예를 들면 색을 전환하는 것 같은 경우, 상기의 I자형의 실이음부에서는 실이음부가 중간색이 되어버린다. 상기의 T자형의 실이음부이면, 실이음부는 전후의 실의 외부로 나가므로, 전후의 실을 중간색의 부분이 없이 전환할 수 있다. 편성기에서는, 색이 바뀌는 경계부분에서 실이음이 이루어지고 실이음부가 편성포의 뒤편 등으로 숨도록 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따라서 편성기 등에는, 상기의 T자형의 실이음부를 형성하는 스플라이서가 바람직하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463호 공보에는, 실이음용의 헤드 부분의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편성기 등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실이음의 대상이 되는 실을 자동으로 헤드에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463호 공보에는, 헤드에 실을 자동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실삽입 기구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7463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31276호 공보에는, 섬유먼지 등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아무것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하면서 또한 섬유먼지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 가능한 스플라이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을 사용하는 중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실에 실이음 하는 것이 가능한 스플라이서 장치로서,
복수의 실 중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실의 선단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가 지지하는 실 중에서 실이음 하는 대상이 되는 실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실과 사용중인 실을, 지지부와 반대측의 입구로부터 지지부측의 출구까지 형성되는 홈 내에서 압축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접합하여 실이음 하는 헤드와,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실을 걸어서 헤드의 홈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실 안내 레버와,
실 안내 레버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헤드의 홈의 출구 부근에서 실을 흡인하는 석션과,
헤드의 홈의 출구 부근에서, 실이음 하는 사용중인 실과 선택된 실을 절단하는 커터와,
커터를 실 안내 레버에 연동하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부와,
지지부, 선택부, 헤드, 실 안내 레버, 제1구동부, 석션, 커터 및 제2구동부를, 상호의 위치관계를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분리벽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베이스의 일방측에, 적어도 지지부, 헤드부, 실 안내 레버, 커터 및 석션이 배치되고, 베이스의 타방측에 적어도 제1 및 제2구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헤드에 대한 압축유체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는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와,
베이스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석션에 의한 실의 흡인 및 흡인정지를 제어하는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부는 압축유체에 의하여 구동되고,
베이스의 타방측에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에 의하여 지지부에 대한 압축유체의 공급 및 공급정지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2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이 홈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의 입구부측을 막음과 아울러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을 클램프 하는 실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중인 실을 안내하는 얀가이드로서, 헤드의 홈보다 선택부측에 배치되고 홈의 깊이방향에 있어서 헤드의 홈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사용중인 실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실의 급사측과 실의 사용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선택부는, 분리벽보다 실의 급사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단부 중에서 실의 급사측의 단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선택부보다 실의 사용측이며 또한 분리벽의 타방측에서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가 베이스에 각각 지지되고,
분리벽의 일방측에서 지지부, 석션, 커터 및 헤드가, 실의 급사측에서 실의 사용측을 향하여 지지부, 석션, 커터 및 헤드의 순서로 배열된 상태에서 베이스에 각각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출력축을 구비하는 모터이며,
상기 실 안내 레버는, 모터의 출력축과 평행한 각변위축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 내에서 각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모터이며,
커터 및 실 클램프는, 캠기구를 통하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 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스플라이서 장치(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3은, 스플라이서 장치(1)를 정면측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정면측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배면측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은,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스플라이서 장치(1)를 하방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는, 스플라이서 장치(1)에 있어서의 실이음의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0은, 실이음을 하기 위한 실(12a)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1은, 도8의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12는, 선택한 실(12a)을 실 안내 레버(실 案內 lever)(14)의 선단(14a)으로 걸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은,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에 의하여 선택한 실(12a)을 스 플라이스 노즐(7)의 입구로 안내하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실이음을 하는 실(12a, 12b)이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끼워져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스 노즐(7) 부근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5는, 실 클램프(31) 및 커터(30)를 작용시키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스 노즐(7) 부근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0∼도15에 나타내는 상태를 포함하는 실이음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7은, 편성시의 실위치(200)와, 실이음시의 실위치(2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얀가이드(20)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9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횡편기(60)에 장착하여 편사(61)를 대상이 되는 실(12)로 하여 실이음을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인 스플라이서 장치(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정면측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배면측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도3 및 도5는 실이음 동작의 시작 부근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4는 실이음 동작의 종료 부근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스플라이서 장치(1)에는, 실이음을 할 때에 발생하는 섬유먼지의 비산(飛散)을 억제하는 커버 및 청소기구 등도 설치되지만 도1∼도5에서는 기재를 생략한다.
스플라이서 장치(1)는, 서로 다른 실의 말단을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겹치게 하고, 겹친 부분에 압축유체를 작용시켜 각 실의 꼬임을 일단 풀고 나서, 각 실을 다시 서로 얽히게 하여 꼬아 잇는 장치이다. 스플라이서 장치(1)는, 베이스(2)의 분리벽(100)에 실 선택부(3), 제1구동부인 제1모터(4), 제2구동부인 제2모터(5), 에어 기구부(6) 및 스플라이스 노즐(7)이 지지되어 구성된다. 베이스(2)는 상하좌우로 연장되어 연직으로 배치되는 판자 모양의 분리벽(100)을 구비한다. 분리벽(100)은 상기한 피지지체(3∼7)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서로가 공간적으로 적절한 위치관계가 되도록 지지한다. 실 선택부(3)는 분리벽(100)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에어 기구부(6) 및 스플라이스 노즐(7)은 분리벽(100)에 대하여 일방측이 되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모터(4, 5)는, 분리벽(100)에 대하여 타방측이 되는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실 선택부(3)는 베이스(2)의 최상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실 선택판(10)을 구비한다. 각 실 선택판(10)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에 의하 여 회전변위가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우단(右端)의 실 선택판(10)이 선택되어 선단의 링(11)을 도1의 내측에 삽입하고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다른 실 선택판(10)에서도 마찬가지로 링(11)을 내측에 삽입시킬 수 있다. 각 링(11)에는 실(12)이 삽입된다. 실(12)의 선단부근은 실 지지부(13)에서 지지한다. 지지부인 실 지지부(13)는 에어 기구부(6)에 포함되고 예를 들면 공기압에 의하여 개폐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복수의 실(12)의 선단을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선택된 실 선택판, 그 링 및 그 링에 삽입되는 실의 부호에는 첨자「a」를 붙인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하나의 실 선택판(10a)을 선택하면, 링(11a)에 삽입되어 있는 실(12a)이 도1의 내측으로 당겨진다. 다른 실(12)은 대기상태를 계속한다. 사용중인 실(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부호에 첨자「b」를 붙인다)(12b)은, 선단이 실 지지부(13)에서는 지지되지 않고 스플라이서 장치(1)의 하방으로 당겨진다.
제1모터(4)에 의하여 각변위 구동되는 실 안내 레버(14)는, 선단(14a)에서 선택된 실(12a)을 걸 수 있다. 실 안내 레버(14)의 중간부에는 측면돌기(14b)가 형성되어 각변위(角變位)의 도중에 사용중인 실(12b)을 걸 수 있다. 실 안내 레버(14)와 실 지지부(13)의 사이에는 세퍼레이터(15)가 배치되어 있다. 실 지지부(13), 실 안내 레버(14) 및 세퍼레이터(15)는 분리벽(100)에 대하여 전방측에 설치되고, 실 지지부(13), 세퍼레이터(15), 실 안내 레버(14)의 순서로 전방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사용중인 실(12b)은 세퍼레이터(15)와 실 안내 레버(14) 사이를 통하여 하방으로 인도된다. 대기중인 실(12)은 실 선택판(10)의 선단의 링(11)을 통하여 세퍼레이터(15)의 전방측을 지나고 실 지지부(13)에서 지지된다.
실 안내 레버(14)는, 도1의 지면(紙面)에 수직이 되는 수평한 축선을 중심으로 각변위 한다. 실 안내 레버(14)의 각변위는 제1모터(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1모터(4)는, 적어도 모터 본체가 분리벽(100)에 대하여 내측에 배치된다. 모터 본체는 출력축(出力軸)을 제외하는 부분이다. 제1모터(4)는, 출력축이 도1의 지면에 수직방향이 되도록 베이스(2)에 부착되어 있다. 제1모터(4)의 출력축은, 실 안내 레버(14)를 직접 구동할 수도 있고 또는 변속기구 등을 통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제1모터(4)의 출력축과 실 안내 레버(14)의 연결은 분리벽(100)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실 안내 레버(14)는 일정한 각도범위를 왕복하도록 구동된다. 제1모터(4)는 실 안내 레버(14)의 각변위 방향의 전환에 따라 회전방향을 전환한다.
스플라이스 노즐(7)은, 실이음을 하는 헤드부로서, 분리벽(100)에 대하여 전방측이고 실 지지부(13)의 하방에 배치된다. 스플라이스 노즐(7)에서는, 입구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상하로 연장되는 직선 모양의 홈(7a)이 형성되고, 홈(7a) 내에 사용중인 실(12b)과 선택된 실(12a)을 끼워 넣고 홈(7a) 내에서 압축유체의 흐름에 노출시킴으로써 실이음을 할 수 있다. 홈(7a)은 상하로 연장되어 있고, 실 지지부(13)와 반대측이 되는 하방측에 입구를 가지고 실 지지부(13)측이 되는 상방측에 출구를 가진다. 스플라이스 노 즐(7)에서 사용하는 압축유체로서는 에어 기구부(6)에서 사용하는 압축공기를 사용한다.
제2모터(5)는, 적어도 모터 본체가 분리벽(100)에 대하여 내측에 배치되고 베이스(2)에 부착되어 있다. 제2모터(5)는, 출력축이 도1의 상방을 향하도록 부착된다. 제2모터(5)의 출력축은 실이음 기구(18)를 구동시킨다. 실이음 기구(18)는,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의 입구 부근과 출구 부근에서 각각 실이음에 관한 처리를 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홈(7a)의 출구 부근에는 석션(suction)(19)의 선단이 개구하여 있어, 주위의 공기와 함께 실의 말단 등도 흡인할 수 있다. 석션(19)은 에어 기구부(6)에 포함되고, 압축공기를 분출하는 마이너스압 발생용 노즐의 주위에 마이너스압이 발생하고 발생하는 흡인력이 인도되어 실의 말단 등을 흡인한다. 또한 스플라이스 노즐(7)의 출구 부근에는 사용중인 실을 안내하는 얀가이드(yarn guide)(20)가 설치된다.
이 얀가이드(20)에는,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보다 실 선택부(3)측에 배치되고 홈의 깊이방향에 있어서 홈(7a)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사용중인 실을 안내하는 안내면(20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얀가이드(20)는 세퍼레이터(15)의 하단부로서, 석션(19)의 흡인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단부에 형성된다. 얀가이드(20)는 분리벽(100)과 세퍼레이터(15)의 사이에 형성되고 V자 모양의 홈을 구비한다. 이 V자 모양의 홈은, 석션(19)의 흡인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끝이 가늘게 형성되는 2개의 안내면에 의하여 형성된 다. 안내면은, 석션(19) 및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으로부터 석션(19)의 흡인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또 스플라이서 장치(1)로부터 배출된 사용중인 실을 유도하는 실유도부(202)와 상기 안내면을 연결하는 직선은,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으로부터 벗어난다.
또한 실 지지부(13)의 상방이 되는 실 선택부(3)측의 위치에 실 가압기(23)가 설치된다. 실 가압기(23)는, 에어 기구부(6)에 포함되고, 실 지지부(13)와 마찬가지로 실(12)을 가압할 수 있다. 실 지지부(13) 및 실 가압기(23)는 에어 실린더에 의하여 각각 구현되고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동된다.
분리벽(100)에 대하여 내측에는, 공급 제어용 전자 밸브(供給制御用 電磁valve)와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吸引制御用 電磁valve)가 일체화 된 제1전자밸브 유니트(130)가 배치되어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는, 스플라이스 노즐(7)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여 스플라이스 노즐(7)에 의한 실(12)의 이음처리 동작의 실행 및 정지를 제어한다.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는,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마이너스압 발생용 노즐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여 석션에 의한 흡인 및 흡인정지를 제어한다. 압축공기를 스플라이스 노즐(7)에 인도하는 관로 및 마이너스압 발생용 노즐 및 이에 접속되는 관로 등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분리벽(100)에 대하여 내측에는, 실지지 제어용 전자밸브와 실가압 제어용 전자밸브가 일체화 된 제2전자밸브 유니트(131)가 배치되고 베이스(2)에 고정되어 있다. 실지지 제어용 전자밸브는, 실 지지부(13)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여 실 지지부(13)에 의한 실(12)의 지지의 실행 및 정지를 제어한다. 실가압 제어용 전자밸브는, 실 가압기(23)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여 실 가압기(23)에 의한 실(12)의 누름의 실행 및 정지를 제어한다.
도6은 커터(30) 및 실 클램프(3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7은 커터(30) 및 실 클램프(3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은, 스플라이서 장치(1)를 하방에서 보아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 및 도7에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스플라이서 장치(1)의 일부의 구성만을 나타낸다.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의 출구 부근에는 커터(30)가 배치된다.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의 입구 부근에는 실 클램프(31)가 설치된다.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는 실이음 기구(18)에 포함되고 제2모터(5)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2모터(5)의 출력축(5a)에는 캠(36)이 장착된다. 캠(36)은 분리벽(100)에 대하여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커터(30)는 고정 칼날(30b)과 가동 칼날(30a)을 구비한다. 분리벽(100)에 대하여 전방측에는 링크기구에 의하여 구현되는 커터 작동기구(110)가 설치되고, 베이스(2)에 고정되는 링크 지지축(35, 45)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커터 작동기구(110)의 하나의 링크에 가동 칼날(30a)이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에 분리벽(100)의 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캠 종동 링크(111)가 고정된다. 캠 종동 링크(111)에는 캠(36)의 캠면에 접촉하는 팔로워(follower)(112)가 설치되어 있다. 캠(36)과 캠 종동 링크(111)를 포함하여 캠기구가 구성된다. 또 커터 작동기구(110) 및 캠 종동 링크(111) 중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주어 팔로워(112)를 캠(36)의 캠면에 접촉시키는 팔로워 접촉 스프링(follower 接觸 spring)(113)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모터(5)에 의하여 캠(36)이 구동되고 커터 작동기구(110)를 통하여 커터(30)의 가동 칼날(30a)이 고정 칼날(30b)에 대하여 변위구동 된다.
실 클램프(31)는 고정부(31a)와 가동부(31b)를 구비한다. 고정부(31a)는,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을 사이에 두고 분할되는 2개의 돌출부 중 일방에 배치된다. 가동부(31b)는, 일방의 링크 지지축(35)에 각변위 가능하게 지지되고, 킥 스프링(40)을 통하여 커터(30)의 가동 칼날(30a)의 각변위에 추종하여 각변위 한다. 가동부(31b)는 스플라이스 노즐(7)의 타방의 돌출부에서 일방의 돌출부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가동부(31b)는, 각변위 함으로써, 홈(7a)의 입구 부근을 통과하여 고정부(31a)와 접촉하는 접촉위치와 고정부(31a)로부터 멀어지는 이간위치(離間位置)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가동부(31b)가 접촉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수용되는 실을 협지(挾持)하여 클램프 할 수 있다. 이렇게 실 클램프(31)는, 선택된 실(12a)과 사용중인 실(12b)이 홈(7a)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7a)의 입구를 막음과 아울러 선택된 실(12a)과 사용중인 실(12b)을 고정부(31a)와 가동부(31b)로 클램프 한다. 이렇게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배치되는 실을 그 축선의 수직방향에서 협지하여 실을 강력하게 클램프 할 수 있다.
스플라이서 장치(1)에는, 분리벽(100)에 대하여 전방측에, 위로부터 아래로 실 가압기(23), 실 지지부(13), 석션(19), 얀가이드(20), 커터(30), 스플라이스 노즐(7), 실 클램프(31)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9는, 스플라이서 장치(1)에 있어서의 실이음의 제어를 위하여 필요한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어부(50)는, 실이음을 하는 취지의 지시와 어느 실을 선택하여 사용중인 실로 전환할지의 지시를 받는다. 또 제어부(50)는, 실 선택부(3)에 대해서는, 선택하는 실에 대응하는 실 선택판을 회전변위 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선택하여 전기적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부(50)는, 실 지지부(13), 실 가압기(23), 스플라이스 노즐(7) 및 석션(19)에 대해서는, 제1 및 제2전자밸브 유니트(130, 131)의 각 전자밸브의 개폐를 전기적으로 하고 압축공기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하여 개별적으로 구동제어한다.
제1 및 제2모터(4, 5)에는, 예를 들면 스텝핑 모터가 사용되어 각도위치 및 회전방향을 구동 펄스의 발생 수 등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1모터(4)의 제어에서는, 실 안내 레버(14)의 원점위치를 검출하는 레버 원점 센서(135) 및 작용위치를 검출하는 작용위치 센서(136)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원점위치와 작용위치에 걸쳐 실 안내 레버를 각변위 시킨다. 실 안내 레버(14)의 원점위치는, 실 안내 레버(14)가 각 실(12)로부 터 물러난 위치이다. 작용위치는, 선택된 실(12a)을, 홈(7a)에 끼울 수 있는 위치이다. 제어부(50)는, 제2모터(5)의 제어에서는, 캠(36)의 원점위치를 감지하는 캠 원점 센서(137)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캠(36)의 원점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위치까지 각변위 하는 수의 펄스를 주도록 제어한다. 캠(36)의 원점위치는, 커터(30)의 각 칼날(30a, 30b)이 열리고 실 클램프(31)가 홈(7a)의 입구를 개방하는 위치이다. 제1 및 제2모터(4, 5)는 일정한 각도범위에 대응하도록 왕복 구동된다.
도10은, 실이음을 하기 위한 실(12a)을 선택하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1)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1은, 도10의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1)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12는, 선택한 실(12a)이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에 걸려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를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은, 선택한 실(12a)이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에 의하여 스플라이스 노즐(7)의 입구로 안내되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서 장치(1)를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4는, 실이음을 하는 실(12a, 12b)이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끼워져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스 노즐(7) 부근의 구성을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5는, 실 클램프(31) 및 커터(30)를 작동시키고 있는 상태의 스플라이스 노즐(7) 부근의 구성을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16은, 도10∼도15에 나타내는 상태를 포함하는 실이음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실이음 동작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하여 실행되고 실(12)의 변경이 필요하게 된 시점에서 시작된다. 스텝s1에서는, 복수의 실 선택판(10)의 선단의 링(11)에 실(12)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 중, 적어도 하나의 실(12b)은 사용중이다. 그 이외의 실(12)의 말단은 실 지지부(13)에서 지지되어 있다. 실 지지부(13)에서 대기중인 실(12)의 말단의 지지는, 세퍼레이터(15)의 전방측에서 이루어진다. 사용중인 실(12b)은 세퍼레이터(15)의 내측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대기중인 실(12)과 분리되어 있다. 각 부의 상태로서는, 실 가압기(23)는 OFF이며 실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실 지지부(13)는 ON이며 대기중인 실(12)의 말단은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석션(19)은 OFF이며 실을 흡인하지 않는 상태이다. 커터(30)는 OFF이며 2개의 칼날(30a, 30b)이 열린 상태가 된다. 실 클램프(31)는 스플라이스 노즐(7)의 입구를 막지 않은 상태이다. 즉 캠(36)은 원점위치에 있다. 스플라이스 노즐(7)은 OFF이며 실이음을 위한 압축유체의 흐름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실 지지부(13)에서는, 지지하는 실(12)의 선단이 실 지지부(13)로부터 하방으로 나가도록 지지한다. 실 지지부(13)의 하방으로부터 나와 있는 실(12)의 선단은 석션(19)을 ON으로 하면 흡인할 수 있다. 실 안내 레버(14)는 원점위치에 있다.
스텝s2에서는, 도10,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실 선택부(3)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12a)을 선택하게 한다. 특히 도11에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실(12a)은, 실 안내 레버(14)의 각변위의 이동궤적 내의 위치에 있어서, 선단(14a)에 의하여 걸리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실 안내 레버(14)의 측면돌기(14b)는 사용중인 실(12b)을 걸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스텝s3에서는, 제어부(50)는 제1모터(4)를 제어하여 실 안내 레버(14)가 원점위치로부터 작용위치를 향하게 되는 각변위가 시작된다. 실 안내 레버(14)가 각변위 중에 선단(14a)으로 실 선택부(3)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는 실(12a)을 걸면,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측방으로 선택된 실(12a)을 인출할 수 있다. 실(12a)의 말단은 다른 대기중인 실의 말단과 함께 실 지지부(13)에서 지지되어 있지만, 다른 실에 관하여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실 안내 레버(14)의 각변위의 도중에는 측면돌기(14b)를 이용하여 사용중인 실(12b)을 건다. 사용중인 실(12b)은, 측면돌기(14b)에 걸릴 때 까지는 세퍼레이터(15)의 내측을 통과하고 있다. 측면돌기(14b)에 걸리면, 실 안내 레버(14)의 각변위에 의하여 도12에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15)의 측단을 넘어 세퍼레이터(15)의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OFF상태로 열려 있는 실 가압기(23) 내에 삽입된다. 실 가압기(23)에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기중인 실(12)도 들어가 있다. 다만 사용중인 실(12b)보다 우측의 실(12c)을 선택하는 경우는, 측면돌기(14b)를 사용하지 않고 선택한 실(12c)에 의하여 사용중인 실(12b)을 끌어온다. 이러한 실(12, 12b)은, 실 가압기(23)를 ON으로 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텝s4에서는, 제어부(50)는, 실 안내 레버(14)가 작용위치에 도달하면 각변위를 종료시킨다.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은, 스플라이스 노즐(7)의 하방의 입구까지 선택된 실(12a)을 안내하고 선택된 실(12a)은 스플라이스 노즐(7)에 형성되는 실이음용의 홈(7a)에 끼워진다. 선택된 실(12a)의 말단측은 스플라이스 노즐(7) 상방의 실 지지부(13)에서 지지되어 있다. 사용중인 실(12b)은, 세퍼레이터(15)의 측단을 타고 넘어가서 OFF로 열린 상태의 실 가압기(23)에 삽입되고 실 선택판(10b)의 링(11b)까지 연장된다.
스텝s5에서는, 제어부(50)는,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석션(19)을 ON으로 하고, 이와 동시에 실가압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실 가압기(23)를 ON으로 한다. 석션(19)이 ON 되므로,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실(12a)을 포함하여 실 지지부(13)에 지지되어 있는 실(12, 12a)의 실 지지부(13)로부터 하방으로 나와 있는 선단은 석션(19)에 의하여 흡인된다. 또 실 가압기(23)에 의하여 사용중인 실(12b)이 가압된다.
스텝s6에서는, 제어부(50)는, 제2모터(5)를 제어하여 캠(36)이 원점위치로부터 각변위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실 클램프(31)의 가동부(31b)가 각변위 되고 따라서 실 클램프(31)가 ON이 된다. 이 상태에서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의 입구가 막히고 동시에 홈(7a)에 끼워져 있는 선택된 실(12a) 및 사용중인 실(12b)이 고정부(31a)와 협동하여 클램프 된다. 또 캠(36)이 원점위치로부터 각변위를 시작함으로써 커터(30)가 ON이 되어, 홈(7a)의 출구 부근에서 선택된 실(12a) 및 사용중인 실(12b)을 절단한다. 이렇게 스텝s6에서는 도14의 상태에서 도15의 상태로 동작시킨다.
다음에 스텝s7에서는, 제어부(50)는,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을 시작하고 실이음을 시작한다.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는 압축공기의 노즐이 구비되어 입구로부터 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공기류를 형성하고, 공기류 내에서 실(12a, 12b)의 꼬임을 일단 풀고 나서 다시 얽히게 하여 스플라이스에 의한 실이음을 한다. 스텝s8에서는, 제어부(50)는, 실지지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실 지지부(13)를 OFF로 하여 실(12)의 지지를 해제시킨다. 선택된 실(12a)의 단부는 실 지지부(13)로부터 해제되어 실밥으로서 석션(19)에 흡인된다. 스텝s6에서 실 가압기(23)를 ON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용중인 실(12b)을 포함하여 대기중인 실(12)은 실 가압기(23)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석션(19)의 흡인력이 충분하면, 실 가압기(23)가 설치되지 않아도 실 지지부(13)를 OFF로 할 수 있다.
스텝s9에서는, 제어부(50)는,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에 대한 압축공기의 공급을 정지시키고 실이음을 종료한다. 스텝s10에서는, 제어부(50)는, 실지지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실 지지부(13)를 ON으로 함으로써, 대기상태의 실(12)의 말단부근을 지지한다. 사용중인 실(12b)은, 스텝s6에서의 커터(30)에 의한 절단 부분로부터 상방의 부분이 실 지지부(13)에서 지지되고 대기상태가 된다. 스텝s11에서 는, 제어부(50)는, 제2모터(5)를 제어하여, 스텝s6에 있어서의 각변위 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캠(36)을 원점위치까지 각변위 시킨다. 실 클램프(31)는, OFF가 되어 실이음 된 실이 해제되고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의 입구가 열린다. 또한 커터(30)도 OFF가 되어 칼날이 열린다.
다음의 스텝s12에서는, 제어부(50)는,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 및 실가압 제어용 전자밸브를 제어하여 석션(19)과 실 가압기(23)를 동시에 OFF로 한다. 석션(19)에 의한 실(12)의 흡인이 정지되고 실 가압기(23)에 의한 실(12)의 누름이 정지된다. 스텝s13에서는, 제어부(50)는, 제1모터(4)를 스텝s3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실 안내 레버(14)를 원점위치로 되돌리고 실이음 동작을 종료시킨다.
도17은 편성시의 실위치(200)와 실이음시의 실위치(2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8은 얀가이드(20)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은, V자 모양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는 V자 공간(7b)과 V자 공간(7b)의 가장 깊은 부분에 연속하여 있는 실이음 공간(7c)이 형성된다. 실이음 공간(7c)은, V자 공간(7b)의 가장 깊은 부분보다 부풀어 형성된다.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얀가이드(20)의 안내면(20a)은, 실이음 공간(7c)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1설정거리(D1) 이상 석션(19)의 흡인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편성시의 사용중인 실은, 얀가이드(20)에 안내됨과 아울러 스플라이서 장치(1)로부터 배 출된 사용중인 실을 유도하는 실유도부(202)로 안내된다. 장력이 가해짐로써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이 팽팽해져, 사용중인 실은 실이음 공간(7c)으로부터 벗어나서 V자 공간(7b)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실이음 공간(7c)에 비하여 넓은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원활하게 실을 내보낼 수 있다.
또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용위치에 배치되는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이, 실이음 공간(7c)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제2설정거리(D2) 이상 석션(19)의 흡인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실이음시에는, 사용중인 실은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에 의하여 안내되어 실이음 공간(7c)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선택된 실도 또한 실 안내 레버(14)의 선단(14a)에 의하여 안내되어 실이음 공간(7c)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 실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 얀가이드(20)는, 세퍼레이터(15)에 연속하는 것으로서, 석션(19)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스플라이스 노즐(7) 및 실 안내 레버(14)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9는, 스플라이서 장치(1)를 횡편기(60)에 장착하여 편사(61)를 대상이 되는 실(12)로서 실이음을 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스플라이서 장치(1)는 방직기나 와인더(winder) 등 다른 장치에 장착할 수도 있다. 횡편기(60)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2004-303761호로서 제안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고 있지만 횡편기(60)의 상부에는, 색이나 성상(性狀)이 다른 복수 종류의 실을 각각 공급 가능한 콘(corn)이 재치(載置)된다. 횡편기(60)에서의 편성포의 편성은, 니들베드(62)에 배치되는 편침을, 니들베드(62)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63)에 탑재되는 캠기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이루어진다. 편침에 편사(61)를 공급하기 위하여 캐리지(63)는 얀피더(64)를 연동시킨다. 횡편기(60)에서는, 복수의 얀피더(64)를 선택하여 편사(61)를 전환할 수 있지만, 사용 가능한 얀피더(64)의 수에는 제한이 있고 따라서 변경 가능한 편사(61)의 수에도 제한이 있다. 스플라이서 장치(1)로 편사(61)를 전환할 수 있으면, 얀피더(64)는 하나이더라도 공급하는 편사(61)를 복수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편성하는 편성포에 사용되는 편사(61)의 수를 대폭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편성하는 편성포에 편성되는 편사(61)의 길이는, 편사(61)의 장력변동이 적은 조건에서 미리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편성되는 편성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도 급격한 장력변동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편사의 정량이송장치(定量移送裝置)(65)가 설치된다. 스플라이서 장치(1)에서 편사(61)를 전환하는 타이밍을, 편성포에서 편사(61)를 전환하는 위치에 맞도록 조정하면, 편사(61)의 종류를 바꾼 실이음부가 편성포에서 편사가 전환되는 부분 부근에서 편성된다. 실이음부가 편성포의 표면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편성처리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횡편기(60) 측방에 장착되는 스플라이서 장치(1)에서는, 복수의 편사(61)의 급사측을 상방으로 하고 편사(61)의 사용측을 하방으로 하는 배치이고, 베이스(2)가 최상부에서 실 선택부(3)를 지지하고 실 선택부(3)의 하부에서 제1모터(4) 및 제2모터(5)를 각각 지지하기 때문에, 선택한 편사(61)를 하방에서 실이음 할 수 있다. 제1모터(4)는 실 안내 레버(14)를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각변위 구동하기 때문에, 선택한 편사(61)를 상방에서 실 안내 레버(14)에 걸어 하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모터(5)는 하방을 향하는 출력축을 구비하므로, 하방에서 실이음을 위한 구동을 할 수 있다. 석션(19)은 스플라이스 노즐(7)의 홈(7a)의 출구 부근에 배치되므로, 실이음에 의하여 발생하는 실밥을 흡인하고 제거할 수 있다.
베이스(2)는, 제1모터(4), 제2모터(5) 및 석션(19)의 하부에서, 스플라이스 노즐(7)을 출구가 위로 입구가 아래로 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편사(61)를 하방으로 인출하는 부분이 스플라이스 노즐(7)의 입구가 된다. 따라서 사용중인 편사(61)로부터 선택된 편사로의 실이음이 종료하면 즉시 사용중인 편사(61)를 선택된 편사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스플라이서 장치(1)의 동작은 중력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기 때문에, 각 부의 배치는 예를 들면 상하를 반대로 하여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실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플라이서 장치(1)에서는, 복수의 실(12) 중 적어도 하나의 실(12b)을 사용중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12a)에 실이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가닥의 실(12a)을 선택하여 사용중인 실(12b)과 함께 3가닥으로 실 이음 할 수도 있다. 실 지지부(13)는 복수의 실(12) 중에서 사용중이 아닌 실(12)의 선단측을 지지하고, 실 선택부(3)는 실 지지부(13)가 지지하는 실(12) 중에서 실이음을 하는 대상이 되는 실(12a)을 선택하기 때문에, 복수의 실(12)로부터 임의인 실(12a)을 선택하여 실이음을 할 수 있다. 스플라이스 노즐(7)은, 홈(7a) 내에서, 실 선택부(3)에 의하여 선택되는 실(12a)과 사용중인 실(12b)을 압축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접합하여 실이음을 하기 때문에, 사용중인 실(12b)과 선택된 실(12a)은 스플라이스 노즐(7)의 입구에서 연속적으로 접속된다.
실 안내 레버(14)는, 실 선택부(3)에 의하여 선택되는 실(12a)을 선단(14a)에 걸어서 홈(7a)의 입구까지 안내하여 홈(7a)에 배치시키고, 안내를 위한 이동의 도중에, 사용중인 실(12b)도 걸어서 홈(7a)으로 안내하여 선택된 실(12a)과 함께 홈(7a)에 배치시킨다. 실 안내 레버(14)는 제1모터(4)에 의하여 구동된다. 석션(19)은 홈(7a)의 출구 부근에서 실(12)을 흡인한다. 실 클램프(31)는, 홈(7a)에 선택된 실(12a) 및 사용중인 실(12b)이 끼워진 상태에서 실이음을 하는 동안에 홈(7a)의 입구를 막으므로, 압축유체가 입구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실이음 할 수 있다. 또 실 클램프(31)는, 스플라이스 노즐(7)에서 실이음이 되는 동안, 홈(7a)의 입구 부근에서, 사용중인 실(12b)과 실 선택부(3)에 의하여 선택된 실(12a)을 클램프 하고, 실이음의 종료 후에 클램프를 해제하기 때문에 실이음을 하는 동안에는 홈(7a) 내에서 형성되는 실이음부에 실에 걸 리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커터(30)는, 홈(7a)의 출구 부근에서, 실이음을 하는 사용중인 실(12b)과 선택된 실(12a)을 절단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실이음부의 길이를 제한할 수 있다.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를 구동하는 제2모터(5)는, 실 안내 레버(14)를 구동하는 제1모터(4)와는 개별적으로 설치되므로, 실 안내 레버(14)와는 독립적으로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를 제어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약한 실에서는 실 안내 레버(14)를 저속으로 각변위 시키고 다른 기구는 보통속도로 움직이는 등과 같이 하여 제어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베이스(2)는, 실 지지부(13), 실 선택부(3), 스플라이스 노즐(7), 실 안내 레버(14), 제1모터(4), 석션(19), 커터(30) 및 제2모터(5)를 포함한 각 부를 상호의 위치관계가 유지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각 부를 소요 스페이스가 작아지도록 배치하여 각 부를 컴팩트하게 지지하고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2)는 분리벽(10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실 지지부(13), 스플라이스 노즐(7), 실 안내 레버(14), 커터(30), 석션(19) 및 얀가이드(20) 등이 설치되는 분리벽(100)의 전방측에서 실이음에 의하여 발생하는 섬유먼지가, 제1 및 제2모터(4, 5) 및 제1 및 제2전자밸브 유니트(130, 131)가 배치되는 분리벽(100)의 내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모터(4, 5) 및 제1 및 제2전자밸브 유니트(130, 131)에 섬유먼지가 들어가는 것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 게 적절한 스플라이서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밸브가 갖추어진 스플라이서 장치(1)를 구현할 수 있다.
또 제1모터(4)의 출력축과 실 안내 레버(14)의 각변위축(角變位軸)이 평행하므로, 제1모터(4)에 의하여 실 안내 레버(14)를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스페이스를 저감할 수 있다. 실 안내 레버는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 내에서 각변위 가능하므로, 실 안내 레버를 각변위 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도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어, 실 안내 레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는 캠기구를 통하여 제2모터(5)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그 동작을 동기시켜 커터(30) 및 실 클램프(31)를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로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플라이서 장치는, 사용중인 실에 사용중이 아닌 실에서 임의의 실을 선택하여 실이음 할 수 있다. 헤드는, 입구에서 출구까지 형성되는 홈 내에서, 선택되는 실과 사용중인 실을 압축유체의 흐 름에 의하여 접합하여 실이음을 하기 때문에, 홈 내에서 실의 말단 상호간의 꼬임이 일단 풀리고 그 후 서로 얽혀서 실이음부가 형성되어 사용중인 실과 선택된 실은 헤드의 입구에서 연속적으로 접속된다. 실 안내 레버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커터를 구동하는 제2구동부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어 제어의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베이스는, 지지부, 선택부, 헤드, 실 안내 레버, 제1구동부, 석션, 커터 및 제2구동부를 상호의 위치관계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각 부를 소요 스페이스가 작아지도록 배치하여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게다가 베이스가 분리벽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지부, 헤드부, 실 안내 레버, 커터 및 석션이 설치되는 분리벽의 일방측에서 실이음에 의하여 발생하는 섬유먼지가, 제1 및 제2구동부의 배치되는 분리벽의 타방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구동부에 섬유먼지가 들어가는 것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에 대한 압축유체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는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와 석션에 의한 실의 흡인 및 흡인정지를 제어하는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가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 및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는 분리벽의 타방측에 배치되므로,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 및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에 섬유먼지가 들어가는 것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 및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가 구비된 적절한 스플라이서 장치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에 의하여 지지부에 대한 압축유체의 공급 및 공급정지가 제어된다. 지지부를 제어하기 위한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는 분리벽의 타방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에 섬유먼지가 들어가는 것에 의한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를 압축유체에 의하여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여 지지부를 제어하기 위한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가 갖추어지는 적절한 스플라이서 장치가 구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 클램프가, 제2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어,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이 헤드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헤드의 홈의 입구를 막으므로, 헤드의 홈 내에서 실이음을 하는 압축유체가 입구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여 실이음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 클램프에 의하여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을 클램프 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을 헤드의 홈에 끼운 상태에서 확실히 지지하여 실이음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얀가이드의 안내면이 홈 깊이방향에 있어서 헤드의 홈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중인 실에 텐션이 가해짐으로써 실이 팽팽해져서 헤드의 홈에 실이 끼워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편성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 얀가이드는, 베이스에 대하여 고정식으로 할 수 있어 구조를 간단화 할 수 있다. 또 얀가이드를 구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플라이서 장치의 구 조를 간단화 할 수 있다. 또 얀가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관통구멍을 베이스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섬유먼지 등이 베이스 내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부의 동작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는, 복수의 실의 급사측과 실의 사용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의 단부 중 실의 급사측의 단부에 선택부가 배치되고, 그 선택부에서 실의 사용측으로 지지부, 석션, 커터 및 헤드 및 제1 및 제2구동부가 배치되고,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실이 그 선택부로부터 실의 사용측에서 사용중인 실에 실이음 된다. 또한 지지부로부터 석션, 커터 및 헤드의 순서로 실의 급사측에서 실의 사용측을 향하여 배열되어, 헤드는, 홈의 출구가 실의 급사측이 되고 홈의 입구가 실의 사용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중인 실로부터 선택된 실로의 실이음이 종료하면, 즉시 사용중인 실을 선택된 실로 전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선택된 실의 커터에 의하여 절단되는 불필요한 부분을 석션에 의하여 흡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구동부인 모터의 출력축과 실 안내 레버의 각변위축이 평행하므로, 모터의 출력축에서 실 안내 레버를 직접 구동하거나 기어 등의 전달 기구를 통하여 구동하는 경우에 필요한 스페이스를 저감할 수 있다. 실 안내 레버는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 내에서 각변위 가능하므로, 실 안내 레버를 각변위 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도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 내로 제한 할 수 있어, 실 안내 레버를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터 및 실 클램프는 캠기구를 통하여 제2구동부인 모터에 의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커터 및 실 클램프를 그 동작을 동기시켜 구동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을 사용하는 중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실에 실이음 하는 것이 가능한 스플라이서 장치(splicer 裝置)로서,
    복수의 실 중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실의 선단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가 지지하는 실 중에서 실이음 하는 대상이 되는 실을 선택하는 선택부와,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실과 사용중인 실을, 지지부와 반대측의 입구로부터 지지부측의 출구까지 형성되는 홈 내에서 압축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접합하여 실이음 하는 헤드와,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실을 걸어서 헤드의 홈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실 안내 레버(실 案內 lever)와,
    실 안내 레버를 구동하는 제1구동부와,
    헤드의 홈의 출구 부근에서 실을 흡인하는 석션(suction)과,
    헤드의 홈의 출구 부근에서, 실이음 하는 사용중인 실과 선택된 실을 절단하는 커터와,
    커터를 실 안내 레버에 연동되도록 구동하는 제2구동부와,
    지지부, 선택부, 헤드, 실 안내 레버, 제1구동부, 석션, 커터 및 제2구동부를, 상호의 위치관계를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분리벽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베이스의 일방측에 적어도 지지부, 헤드부, 실 안내 레버, 커터 및 석션이 배치되고, 베이스의 타방측에 적어도 제1 및 제2구동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헤드에 대한 압축유체의 공급 및 공급정지를 제어하는 공급 제어용 전자밸브(供給制御用 電磁valve)와,
    베이스의 타방측에 배치되어 석션에 의한 실의 흡인 및 흡인정지를 제어하는 흡인 제어용 전자밸브(吸引制御用 電磁valv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압축유체에 의하여 구동되고,
    베이스의 타방측에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가 설치되어, 지지부 제어용 전자밸브에 의하여 지지부에 대한 압축유체의 공급 및 공급정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이 홈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의 입구부측을 막음과 아울러 선택된 실과 사용중인 실을 클램프 하는 실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중인 실을 안내하는 얀가이드(yarn guide)로서, 헤드의 홈보다 선택부측에 배치되고 홈의 깊이방향에 있어서 헤드의 홈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사용중인 실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형성되는 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의 실의 급사측과 실의 사용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선택부는, 분리벽보다 실의 급사측에 배치되고 베이스의 단부 중에서 실의 급사측의 단부에 의하여 지지되고,
    선택부보다 실의 사용측이며 또한 분리벽의 타방측에서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가 베이스에 각각 지지되고,
    분리벽의 일방측에서 지지부, 석션, 커터 및 헤드가, 실의 급사측에서 실의 사용측을 향하여 지지부, 석션, 커터 및 헤드의 순서로 배열된 상태에서 베이스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출력축(出力軸)을 구비하는 모터이며,
    상기 실 안내 레버는, 모터의 출력축과 평행한 각변위축(角變位軸)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범위 내에서 각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모터이며,
    커터 및 실 클램프는, 캠기구를 통하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서 장치.
KR1020087031845A 2006-06-09 2007-06-07 스플라이서 장치 KR101329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1671 2006-06-09
JPJP-P-2006-161671 2006-06-09
PCT/JP2007/061576 WO2007142310A1 (ja) 2006-06-09 2007-06-07 スプライサ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99A KR20090047399A (ko) 2009-05-12
KR101329121B1 true KR101329121B1 (ko) 2013-11-14

Family

ID=3880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845A KR101329121B1 (ko) 2006-06-09 2007-06-07 스플라이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33921B1 (ko)
JP (1) JP4977699B2 (ko)
KR (1) KR101329121B1 (ko)
CN (1) CN101466628B (ko)
WO (1) WO2007142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0541B (zh) * 2013-05-31 2016-07-06 无锡市三达纺配有限公司 一种带有回收装置的空捻驱动器
CN104192641A (zh) * 2014-07-21 2014-12-10 张晋凯 走线过程中的自动换接线方法及装置
CN110258015B (zh) * 2019-05-07 2020-10-16 安徽新虹纺织有限公司 用于纺织生产的纺织线筒自动更换设备
EP3771678B1 (en) * 2019-07-30 2023-03-15 TMT Machinery, Inc. Synthetic yarn splicer
JP7425695B2 (ja) * 2019-07-30 2024-01-3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合繊糸用糸継システム
EP3798340B1 (de) * 2019-09-26 2021-08-18 KARL MAYER STOLL R&D GmbH Verfahren zum fadeneinzug nach dem kettbaumwechsel bei einer kettenwirkmaschine und kettenwirkmaschine mit einer funktion zum fadeneinzug nach dem kettbaumwechsel
IT201900021258A1 (it) * 2019-11-15 2021-05-15 Hayabusa S R L Dispositivo di giunzione di fili tessili e relativo metodo di giunzione
JP2021123426A (ja) * 2020-01-31 2021-08-30 村田機械株式会社 糸継装置、巻取ユニット及び糸巻取機
CN114753053A (zh) * 2022-05-17 2022-07-15 绍兴市立竹机械有限公司 一种手套机多色切换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550A (ja) * 2003-10-08 2005-04-28 Murata Mach Ltd 糸継ぎ装置
JP2005314104A (ja) * 2004-03-30 2005-11-10 Murata Mach Ltd 糸継ぎ装置およびハンディー型スプライサ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4775B2 (ja) * 1990-03-03 1997-05-28 松崎工機株式会社 編成或いは織製時における給糸装置
CN2501866Y (zh) * 2001-03-29 2002-07-24 李文光 水管自动卷收机
JP3985716B2 (ja) * 2002-05-09 2007-10-03 村田機械株式会社 紡績糸の糸継方法、および装置
JP3944727B2 (ja) 2002-10-15 2007-07-18 村田機械株式会社 異種糸の糸継ぎ巻取装置
EP1411015B1 (en) * 2002-10-15 2008-04-2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Yarn-processing system
JP4467901B2 (ja) 2003-03-28 2010-05-26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550A (ja) * 2003-10-08 2005-04-28 Murata Mach Ltd 糸継ぎ装置
JP2005314104A (ja) * 2004-03-30 2005-11-10 Murata Mach Ltd 糸継ぎ装置およびハンディー型スプライ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399A (ko) 2009-05-12
EP2033921A1 (en) 2009-03-11
JP4977699B2 (ja) 2012-07-18
CN101466628B (zh) 2012-05-30
JPWO2007142310A1 (ja) 2009-10-29
EP2033921B1 (en) 2016-03-30
EP2033921A4 (en) 2012-07-04
CN101466628A (zh) 2009-06-24
WO2007142310A1 (ja)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121B1 (ko) 스플라이서 장치
FI100027B (fi) Ompelukoneen niisityslaite ja niisitysmenetelmä
KR101222116B1 (ko) 실의 스플라이싱 방법 및 그 장치
JP4896732B2 (ja) 被覆弾性糸の製造及び供給スプールの自動交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JP2015036116A (ja) ボタン縫い糸の根巻き装置
EP2042625B1 (en) Yarn splicing method and yarn splicing device
JP5033128B2 (ja) スプライサ装置のクリーナ装置
JP4559337B2 (ja) スプライサ装置
KR101224566B1 (ko) 편물기 등에 있어서의 실 전환장치
US4840046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ensuring a precisely positioned introduction of a substitute yarn in a knitting machine
EP3466856A1 (en) Yarn joining nozzle, yarn joining device, yarn winding device, and yarn joining method
JP2010132359A (ja) スプライサ装置
CN101294332B (zh) 具有弹力纱的喂纱功能的针织机
JP2005230477A (ja) ミシン
JP2016199381A (ja) 糸継装置
JP2007107133A (ja) 糸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