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876B1 - 축류식 용적 유량계 - Google Patents

축류식 용적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876B1
KR101223876B1 KR1020107025940A KR20107025940A KR101223876B1 KR 101223876 B1 KR101223876 B1 KR 101223876B1 KR 1020107025940 A KR1020107025940 A KR 1020107025940A KR 20107025940 A KR20107025940 A KR 20107025940A KR 101223876 B1 KR101223876 B1 KR 10122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asing
outlet
inlet
axi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859A (ko
Inventor
가쯔이치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Publication of KR2011001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0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 G01F3/06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comprising members rotating in a fluid-tight or substantially fluid-tight manner in a housing
    • G01F3/10Geared or lobed impelle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압력 손실을 경감할 수 있게 하고, 염가로 고정밀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제공한다. 축류식 용적 유량계(1)는, 한 쌍의 꼬임 방향이 다른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로터(10)와, 로터(10)가 수용된 케이싱(4)과, 케이싱(4)의 유입측단을 밀봉하는 유입측 뚜껑(2)과, 유입측 뚜껑(2)의 플랜지(22)에 형성된 유입구(21)와, 케이싱(4)의 유출측단을 밀봉하는 유출측 뚜껑(3)과, 유출측 뚜껑(3)의 플랜지(32)에 형성된 유출구(31)를 구비한다. 유입구(21)와 유출구(31)가, 피측정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축류식 용적 유량계{Axial Flow Positive Displacement Flowmeter}
본 발명은, 축류식 용적 유량계,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내에 한 쌍의 꼬임 방향이 다른 스파이럴 기어를 구비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축류식 용적 유량계는, 파일럿 기어(pilot gear)의 유무에 의해 2종류로 나누어지지만, 파일럿 기어를 가진 경우에는 잇면의 마찰 저항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반면, 부품 갯수나 조립 작업의 난이도의 관점에서 제조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염가의 유량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파일럿 기어를 부가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파일럿 기어가 없으면 로터 잇면의 마찰 저항이 정밀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염가로 고정밀도의 유량계를 구축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이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기존의 대표적인 축류식 용적 유량계가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도 19(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치형이 다른 한 쌍의 것을 사용하고 있지만, 로터 치형이 다른 경우에는 제작할 때 각 치형에 따른 공구를 제작하는 등의 수고가 필요한 문제가 있는 것 외에도, 밸런스를 유지하기 어렵고, 고회전의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계기 오차 곡선에 대하여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기 오차가 마이너스되어 나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고정밀도의 계량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로터와 케이싱 사이나, 양 로터에 의해 형성되는 정용적 부분으로부터의 계량액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누설은 로터와 케이싱의 빈틈의 크기나 폭, 계량 전후의 차압(유량계의 압력 손실)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정밀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로터와 케이싱의 빈틈이나 로터 상호의 빈틈을 축소하거나, 압력 손실을 경감시키는 등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전자의 빈틈의 축소는 상호 운동을 행하는 부품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고, 이미 실용적으로 한계 레벨에 도달해 있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1: 독일 특허공개 제 DE 19513781 A1호 명세서
종래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에 있어서, 압력 손실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구부러진 부분을 존재시키지 않는 등의 여러 가지 구조가 검토되고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경우, 한 쌍의 로터가 2-블레이드와 3-블레이드의 구성으로 되어 있고, 크기도 다르기 때문에, 서로 밸런스를 취하기 어렵고, 고회전하에서의 사용이 어려운 것 외에도, 제작에 관해서도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압력 손실을 경감할 수 있게 하고, 염가로 고정밀도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의 기술 수단은, 한 쌍의 꼬임 방향이 다른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스파이럴 기어와, 상기 한 쌍의 스파이럴 기어가 그 축을 피측정 유체의 흐름방향을 따르게 수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유입측단을 밀봉하는 유입측 뚜껑과, 상기 유입측 뚜껑의 배관 접속부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케이싱의 유출측단을 밀봉하는 유출측 뚜껑과, 상기 유출측 뚜껑의 배관 접속부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한 쌍의 스파이럴 기어의 어느 한쪽의 후단에 부착된 자석 원반과, 상기 자석 원반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유입측단 및 유출측단에, 상기 스파이럴 기어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또한 일부 개구된 뚜껑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스파이럴 기어의 축방향의 양단과 상기 각각의 뚜껑부와의 사이에 유로가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피측정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2의 기술 수단은, 제1의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자석 원반의 부착부 주변 및 원반면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3의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의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자석 원반이 부착되지 않은 다른쪽의 스파이럴 기어의 후단에, 상기 자석 원반과 동일한 관성 모멘트를 가지는 카운터 웨이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4의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의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아몰퍼스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아몰퍼스 센서는, 상기 케이싱의 유출측단에 형성된 상기 뚜껑부의 유출 측면 쪽에 있는 상기 자석 원반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삭제
제5의 기술 수단은, 제1 또는 제2의 어느 하나의 기술 수단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개구면적은, 상기 스파이럴 기어와 상기 케이싱으로 형성되는 계량실의 유입 면적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내에 한 쌍의 꼬임 방향이 다른 동일 형상의 스파이럴 기어를 구비하는 동시에, 피측정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구부러진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경감하면서, 염가로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1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XX단면 및 YY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1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90° 회전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도 3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유입측 뚜껑에서 본 상태 및 유출측 뚜껑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본 발명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가 구비한 베어링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도 8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90°회전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도 10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유입측 블레이드에서 본 상태 및 유출측 뚜껑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픽업 원반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종래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XX단면을 도시하고, 도 2(B)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YY단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90° 회전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유입측 뚜껑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유출측 뚜껑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에서, 1은 축류식 용적 유량계이고, 상기 축류식 용적 유량계(1)는, 유입측 뚜껑(2), 유출측 뚜껑(3), 케이싱(4), 베어링 고정부(5, 6), 베어링부(7,8), 스파이럴 기어(이하, 로터)(10)를 구비한다.
도 1∼도 4에서, 케이싱(4)은, 로터(10)를 수용하고, 로터(10)의 로터축을 양단부에 마련된 베어링부(7,8)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로터 (10)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구성되고, 꼬임 방향이 다르며,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또한, 케이싱(4)에는, 유출구(31)와 유입구(21)에 연이어 통하는 계량실 (M)이 마련되고, 개구된 계량실(M)의 양단부를 밀봉하기 위해서 유입측 뚜껑(2), 유출측 뚜껑(3)이 부착된다. 유입측 뚜껑(2)에는, 피측정 유체가 유입하는 유입구 (21)와, 외부 배관(도시하지 않음)과 접속하기 위한 플랜지(22)가 마련된다. 유출측 뚜껑(3)에는, 피측정 유체가 유출하는 유출구(31)와, 외부 배관과 접속하기 위한 플랜지(32)가 마련된다. 플랜지(22,32)는 배관 접속부에 상당하고, 각각 유입구 (21), 유출구(31)가 형성되며, 축류식 용적 유량계(1)는 플랜지(22,32)를 통하여 외부 배관과 접속된다. 한편, 피측정 유체는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유입한다.
발신 자석(transmitting magnet)(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된 자석 원반이 로터 (10)의 로터 축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이 자석 원반이 로터축의 회전에 맞추어 회전한다. 또한, 이 자석 원반에 근접하여 자기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자기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홀 소자(hall element)나, 자기 저항 소자, 아몰퍼스 금속섬유를 이용한 바르크하우젠 점프(Barkhausen jump)를 이용한 자기 센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자기 센서에 의해 자석 원반의 회전, 즉, 로터(10)의 회전을 검출하여, 피측정 유체의 유량을 계측한다. 이 자석 원반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8, 도 10∼도 12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1)는, 유입구(21)와 유출구(31)가, 피측정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유입구(21)로부터 유출구(31)에 걸쳐 구부러진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구부러진 부분으로 인한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로터(10)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형의 로터에 비해서, 제조비용을 억제하여 염가로 생산할 수 있다.
베어링부(7,8)는, 케이싱(4) 내에 로터(10)의 로터축을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이들 베어링부(7,8)는, 유입측{베어링부(7)} 및 유출측{베어링부(8)}을 래디얼 볼 베어링(radial ball bearing)(도 7에 후술) 등으로 구성하지만, 스러스트 하중(thrust load)이 큰 경우에는, 유출측의 베어링부(8)에 래디얼 볼 베어링 중에서도 내하중성이 뛰어난 앵귤러 볼 베어링(angular ball bearin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입측의 베어링부(7)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스러스트 하중은 작다. 이것은, 피측정 유체가 유량계 내를 흐르면 압력차에 의해 로터(10)가 유출측에 눌러 붙여지기 때문에, 스러스트 하중은 유출측이 커지고, 유입측은 작아진다. 이 때문에, 유입측의 베어링부(7)는 반드시 앵귤러 볼 베어링으로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케이싱(4)의 유입측단 및 유출측단에는 일부 개구한 뚜껑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부는 상술한 베어링 고정부(5,6){이하, 빈번히 뚜껑부(5,6)라 한다}에 상당하고, 뚜껑부(5)의 개구면적, 즉, 도 2(A)에 도시된 뚜껑부(5)에 형성된 통기구멍(51)의 면적은, 로터(10)의 유입 면적 이상으로 한다. 이 유입 면적은, 도 2(B)에 도시한 하얀 부분(S)의 면적, 즉, 로터(10)와 케이싱(4)으로 형성되는 계량실(M)의 유입 면적에 상당한다. 이에 따라, 계량실(M)내의 압력차를 없애어 압력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유출측의 뚜껑부(6)에 대해서도 뚜껑부 (5)와 동일한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에서, 케이싱(4)은, 로터(10)의 축방향의 유입측단과 뚜껑부(5)의 사이, 및 로터(10)의 축방향의 유출측단과 뚜껑부(6)의 사이에 공간(g)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압력 손실을 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뚜껑부(5,6)에는 피측정 유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부(5,6)와 로터(10)의 계량실 사이의 유입 및 유출의 유로에서, 뚜껑부(5,6) 사이에 공간이 없으면 유로가 좁아져 버리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증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와 같이 공간(g)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압력 손실의 더 큰 저감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의 예에서는 로터(10)의 축방향의 양단에 공간(g)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지만, 로터(10)의 축방향의 어느 일단에만 공간(g)을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7은, 본 발명의 축류식 용적 유량계가 구비한 베어링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유입측의 베어링부(7)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면 중에서, 71은 외륜, 72는 내륜, 73은 유지기, 74는 볼을 나타낸다. 도 7(B)은 유출측의 베어링부(8)의 구성을 도시하고, 81은 외륜, 82는 내륜, 83은 유지기, 84는 볼을 나타낸다.
본 예의 경우, 도 7(A)에 도시한 베어링부(7)는 깊은 홈 볼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도 7(B)에 도시한 베어링부(8)는 앵귤러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전자의 깊은 홈 볼 베어링은, 롤링 베어링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그 용도는 넓고, 내륜(72)·외륜(71)에 형성된 궤도의 홈은, 구름 동작하는 볼(74)의 반지름보다 약간 큰 반지름의 원호의 횡단면을 이루고 있는 래디얼 하중 외에, 양 방향의 스러스트 하중(axial 하중이라고도 한다)을 부하할 수 있다. 이 베어링은, 마찰 토크가 작고, 고속 회전하는 부분이나 저소음, 저진동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합하다.
한편, 후자의 앵귤러 볼 베어링은, 래디얼 하중과 한방향의 스러스트 하중을 부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볼(84)과 내륜(82)·외륜(81)은 15°, 25°, 30°, 40°의 접촉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 접촉각이 커질수록 스러스트 하중의 부하 능력은 커지고, 접촉각이 작을수록 고속 회전에는 유리하다. 통상적으로, 2개의 베어링을 대향시켜 내부의 빈틈을 조정하여 사용한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90° 회전시킨 상태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A)는 도 10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유입측 뚜껑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B)는 도 10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를 유출측 뚜껑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다. 축류식 용적 유량계(1)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입측 뚜껑(2), 유출측 뚜껑(3), 케이싱(4), 베어링 고정부(5,6), 베어링부(7,8), 로터(1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량계는, 제1 실시형태의 유량계와 로터(10)의 형상이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한다.
즉, 도 8, 도 10∼도 11에서, 케이싱(4)은, 로터(10)를 수용하고, 로터(10)의 로터축을 양단부에 마련된 베어링부(7,8)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로터(10)는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구성되고, 꼬임 방향이 다르며,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한다. 또한, 케이싱(4)에는, 유출구(31)와 유입구(21)에 연이어 통하는 계량실 (M)이 마련되고, 개구한 계량실(M)의 양단부를 밀봉하기 위해서 유입측 뚜껑(2), 유출측 뚜껑(3)이 부착된다. 유입측 뚜껑(2)에는, 피측정 유체가 유입하는 유입구 (21)와, 외부 배관과 접속하기 위한 플랜지(22)가 마련된다. 유출측 뚜껑(3)에는, 피측정 유체가 유출하는 유출구(31)와 외부 배관과 접속하기 위한 플랜지(32)가 마련된다.
도 8에서, 유량계는, 한 쌍의 로터(10)의 어느 한쪽의 후단에 부착된 자석 원반(이하, 픽업 원반)(9a)과, 픽업 원반(9a)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부에 상당하는 아몰퍼스 센서(9b)를 구비한다. 아몰퍼스 센서(9b)는, 케이싱(4)의 유출측단에 형성된 뚜껑부(6)의 유출 측면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픽업 원반(9a)은, 뚜껑부 (6)로부터 유출하는 피측정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하여, 로터(10)의 회전 부하(rotational load)가 되지 않도록 경량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몰퍼스 센서(9b)는, 뚜껑부(6)로부터 유출하는 피측정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도록 뚜껑부(6)의 리브 뒤쪽에 마련된다.
또한, 픽업 원반(9a)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다른쪽의 로터(10)의 후단에는, 픽업 원반(9a)과 동일한 관성 모멘트를 가지는 카운터 웨이트(9c)가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터(10)의 회전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픽업 원반(9a)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픽업 원반(9a)의 측면도, 도 12(B)는 픽업 원반(9a)의 정면도, 도 12(C)는 픽업 원반(9a)의 X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픽업 원반(9a)의 외주부를 따라서 발신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N은 발신 자석의 N극, S는 발신 자석의 S극을 나타낸다. 또한, 픽업 원반 (9a) 및 그 부착부 주변{즉, 도 12(A)에서 오른쪽으로 돌출한 부분의 주변}에는 복수의 공기 통기구멍(h1∼h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픽업 원반(9a)의 부착부가 로터 (10)의 후단에 부착되었을 때에, 공기 통기구멍(h1∼h10)에 의해 통풍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한편, 픽업 원반(9a), 아몰퍼스 센서(9b), 및 카운터 웨이트(9c)는, 상술의 도 1에 도시한 축류식 용적 유량계에서도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내에 한 쌍의 꼬임 방향이 다른 동일 형상의 스파이럴 기어를 구비하는 동시에, 피측정 유체의 흐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유입구 및 유출구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구부러진 부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경감하면서, 염가로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축류식 용적 유량계, 2…유입측 뚜껑, 3…유출측 뚜껑, 4…케이싱, 5,6…베어링 고정부(뚜껑부), 7, 8…베어링부, 9a…픽업 원반, 9b…아몰퍼스 센서, 9c…카운터 웨이트, 10…스파이럴 기어(로터), 21…유입구, 22, 32…플랜지, 31…유출구

Claims (10)

  1. 한 쌍의 꼬임 방향이 다른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의 스파이럴 기어와, 상기 한 쌍의 스파이럴 기어가 그 축을 피측정 유체의 흐름방향을 따르게 수용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유입측단을 밀봉하는 유입측 뚜껑과, 상기 유입측 뚜껑의 배관 접속부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케이싱의 유출측단을 밀봉하는 유출측 뚜껑과, 상기 유출측 뚜껑의 배관 접속부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한 쌍의 스파이럴 기어의 어느 한쪽의 후단에 부착된 자석 원반과, 상기 자석 원반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의 유입측단 및 유출측단에, 상기 스파이럴 기어를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부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또한 일부 개구된 뚜껑부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스파이럴 기어의 축방향의 양단과 상기 각각의 뚜껑부와의 사이에 유로가 확보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피측정 유체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일직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원반의 부착부 주변 및 원반면에는 복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원반이 부착되지 않은 다른쪽의 스파이럴 기어의 후단에, 상기 자석 원반과 동일한 관성 모멘트를 가지는 카운터 웨이트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아몰퍼스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아몰퍼스 센서는, 상기 케이싱의 유출측단에 형성된 상기 뚜껑부의 유출 측면 쪽에 있는 상기 자석 원반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개구면적은, 상기 스파이럴 기어와 상기 케이싱으로 형성되는 계량실의 유입 면적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식 용적 유량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7025940A 2008-08-25 2009-05-13 축류식 용적 유량계 KR10122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4872A JP4473328B2 (ja) 2008-08-25 2008-08-25 軸流式容積流量計
JPJP-P-2008-214872 2008-08-25
PCT/JP2009/058901 WO2010023995A1 (ja) 2008-08-25 2009-05-13 軸流式容積流量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859A KR20110017859A (ko) 2011-02-22
KR101223876B1 true KR101223876B1 (ko) 2013-01-17

Family

ID=4172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940A KR101223876B1 (ko) 2008-08-25 2009-05-13 축류식 용적 유량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20201A4 (ko)
JP (1) JP4473328B2 (ko)
KR (1) KR101223876B1 (ko)
CN (1) CN102341681B (ko)
WO (1) WO2010023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2333B2 (ja) * 2011-08-10 2015-09-24 東メンシステム株式会社 塗料用容積流量計及び塗装システム
CN104048717B (zh) * 2014-07-01 2017-05-10 重庆耐德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双转子流量计
CN104568021A (zh) * 2015-02-12 2015-04-29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四研究所 三螺杆流量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4739A (ja) * 1995-10-30 1999-12-14 タンカンラーゲン ザルツコッテ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流量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9921U (ko) * 1979-02-20 1980-08-25
JPS61244966A (ja) 1985-04-24 1986-10-31 Shigeyoshi Osada 歯車
JPH05296159A (ja) * 1992-04-20 1993-11-09 Tokico Ltd 容積式回転機用ロータ
JP3304428B2 (ja) * 1992-09-21 2002-07-22 東洋計器株式会社 水道メータ
JPH0651828U (ja) * 1992-12-18 1994-07-15 トキコ株式会社 容積流量計
AT400766B (de) 1994-05-05 1996-03-25 Kraeutler Ges M B H & Co Einrichtung zur volumenmessung strömender medien
DE19626523A1 (de) * 1996-07-02 1998-01-08 Salzkotten Tankanlagen Vorrichtung zur dosierten Abgabe von mehreren gleichartigen Flüssigkeiten
DE19703243A1 (de) * 1997-01-29 1998-07-30 Tokheim Corp Vorrichtung zur Volumenmessung strömender Medien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035998A1 (de) * 2000-07-25 2002-02-07 Kraeutler Ges M B H & Co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s Massendurchflusses von Flüssigkeiten
CN2500841Y (zh) * 2001-09-11 2002-07-17 谢祖焯 容积式旋翼输液泵
CN1181265C (zh) * 2002-10-15 2004-12-22 兰州理工大学 一种轴流式油气混输泵及其控制系统
JP2005163566A (ja) * 2003-12-01 2005-06-23 Shigeyoshi Osada ねじローター歯形の改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4739A (ja) * 1995-10-30 1999-12-14 タンカンラーゲン ザルツコッテ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流量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0201A1 (en) 2011-05-11
JP2010048736A (ja) 2010-03-04
EP2320201A4 (en) 2017-12-27
KR20110017859A (ko) 2011-02-22
CN102341681A (zh) 2012-02-01
CN102341681B (zh) 2013-05-29
WO2010023995A1 (ja) 2010-03-04
JP4473328B2 (ja)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5201B2 (ja) 永久磁石モータポンプ
AU2010240646B2 (en) Fluid flow meter
JP5913374B2 (ja) 回転継手
KR101223876B1 (ko) 축류식 용적 유량계
US20180156337A1 (en) Fluid machine having a labyrinth seal
JP2011188542A (ja) 電気自動車の駆動用モータ
JP5043245B1 (ja) 流量センサ
CN111448396B (zh) 可变静叶片、及压缩机
JP2011188541A (ja) 電気自動車の駆動用モータ
CN209340195U (zh) 推力盘两侧设置推力轴承的转子装配组件、压缩机及空调
JP2005257309A (ja) タービン流量計及び流体回転機械
JP2012255455A5 (ko)
JP5478379B2 (ja) 多段ポンプ
KR101132008B1 (ko) 유량 센서
JP5298854B2 (ja) 血液用らせん流ポンプ
JPH04318426A (ja) 流量計
CN206387452U (zh) 一种涡轮流量计叶轮组件及采用该组件的涡轮流量计
US4836021A (en) Fluid flow meter
JP3229429B2 (ja) 微小容積流量計
JPS6314082Y2 (ko)
JP4625887B2 (ja) 遠心ポンプ
JP2021526615A (ja) 軸受アセンブリ、ローターアセンブリ、及びブロア
JPH018717Y2 (ko)
JPS61213729A (ja) 容積式流量計
JPH04123304U (ja) 回転機械の翼列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