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1652B1 - 차량 시트 트랙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1652B1
KR101221652B1 KR1020110090107A KR20110090107A KR101221652B1 KR 101221652 B1 KR101221652 B1 KR 101221652B1 KR 1020110090107 A KR1020110090107 A KR 1020110090107A KR 20110090107 A KR20110090107 A KR 20110090107A KR 101221652 B1 KR101221652 B1 KR 101221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rack
locking hole
hole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심재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1009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트랙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록킹홀과 록킹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상태에서 이동트랙 및 시트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승차감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 트랙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차량 시트 트랙은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마련된 록킹어셈블리를 두 개의 록킹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록킹작동 시 두 록킹부재의 사이에 인위적인 접촉을 발생시켜 두 록킹부재가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면서 록킹핀과 록킹홀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고정트랙과 이동트랙 및 록킹부재의 사이에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트랙{Seat tra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되는 시트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시트를 지지하는 차량 시트 트랙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결속하거나 결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마련된 록킹어셈블리를 두 개의 록킹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록킹작동 시 두 록킹부재의 사이에 인위적인 접촉을 발생시켜 두 록킹부재가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면서 록킹핀과 록킹홀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고정트랙과 이동트랙 및 록킹부재의 사이에 유격없이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한 차량 시트 트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의 운행 중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시트 중 차량의 앞 열에 배치되는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의 경우,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시트를 차량의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석과 보조석 시트는 시트 트랙을 매개로 차체와 결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 트랙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시트 트랙은 차체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트랙(10)과, 상기 고정트랙(10)에 결합되며 시트와 연결되어 시트와 함께 고정트랙(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트랙(20)과, 상기 이동트랙(20)에 설치되어 이동트랙과 함께 이동하며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이동트랙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이동트랙을 잠금위치에 정지시키거나 잠금위치에 있는 이동트랙의 구속을 해제하는 록킹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트랙(10)과 이동트랙(20)에는 록킹부재(30)에 형성된 록킹핀(31)이 삽입되는 다수 개의 록킹홀(1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핀(31)은 이동트랙(20)에 형성된 록킹홀(21)을 관통하여 고정트랙(10)에 형성된 록킹홀(1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의 결속에 의해 이동트랙 및 시트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부재의 구동방식으로는 회전식, 수직이동식, 수평이동식 등의 다양한 구동방식이 사용되고 있고, 상기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에 형성되는 록킹홀 또한 록킹부재의 구동방식에 맞추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차량 시트 트랙은 록킹홀과 록킹핀의 결합과 분리에 의해 이동트랙의 구속과 구속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바, 록킹홀과 록킹핀의 안정된 결합구조를 확보하는 것은 시트 트랙의 품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시트 트랙은 이동트랙의 잠금위치에서 록킹핀과 록킹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고, 이러한 유격에 의하여 이동트랙 및 시트가 유격범위 이내에서 움직이게 됨으로써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록킹핀이 록킹홀에 꼭 들어맞도록 록킹핀과 록킹홀의 매칭성을 성형성에 의해 제로(zero)로 할 경우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정밀한 가공이 요구되는 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록킹홀의 측면이 경사지게 각을 형성하여 록킹부재가 스프링 등에 의해 상부로 작동하여 록킹이 이루어질 때, 록킹핀이 록킹홀의 경사각에 의해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의 록킹홀에 끼어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강도와 유격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상호 반비례적인 원리를 포함하고 있어 현재에도 이를 개선하고자 각 관련사에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의 록킹홀의 경사각이 커야만 성형에 대한 치수 관리가 용이하고 유격이 없는 낌이 발생한다. 그러나 경사각이 크면 차량의 충돌사고와 같은 상황에서 록킹부재와 고정트랙 및 이동트랙의 접촉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각에 의해 마찰력이 저하된 상태이므로, 록킹부재가 이탈되어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의 결속이 해제되어 피해를 가중시키는 치명적인 결함이 존재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록킹홀의 경사각을 미세하게 형성할 경우, 강도적인 측면은 향상되겠지만, 엄격한 치수 관리를 필요로 하므로 제조 원가 상승 및 미세 틈새 발생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어 소비자의 불만이 제기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의 시트 트랙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강도와 유격의 두 요소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에 구비된 록킹홀의 경사각을 줄이고 관리가 수월하게 하면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시트 트랙의 구조 상 하나의 록킹부재를 이용한 구조에서는 이의 구현은 불가능하다.
종래의 시트 트랙의 경우 고정트랙과 이동트랙 중 1개의 치수 불량이라 할지라도 유격 발생 및 강도 저하의 문제를 회피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은 비대칭 트랙의 형상을 활용하여 록킹부재를 2개로 구성하고, 2개의 록킹부재가 상호 작용하여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결속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엇갈려 힘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에 구비된 록킹홀을 수직에 가까운 미세한 경사각을 주어 강도를 향상시키고 조작감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유격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록킹홀과 록킹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잠금상태에서 이동트랙 및 시트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승차감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 시트 트랙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차량 시트 트랙에 비하여 우수한 강도 특성을 갖는 차량 시트 트랙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양측 단부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의 제1,2 결합부(110,1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1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록킹홀(111)과, 상기 제2 결합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 록킹홀(121)을 포함하는 고정트랙(100);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2 결합부(110,120)에 결합되도록 양측 단부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의 제3,4 결합부(210,2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록킹홀(111)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결합부(2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3 록킹홀(211)과, 상기 제2 록킹홀(121)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4 결합부(2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4 록킹홀(221)을 포함하는 이동트랙(200); 상기 제1,3 록킹홀(111,211)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 및 상기 제4 록킹홀(221)을 관통하여 제2 록킹홀(12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1 록킹핀(314)을 구비하는 제1 록킹부재(310)와, 상기 제1 록킹핀(314)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 및 상기 제1 보조 록킹홀(313)과 제3 록킹홀(2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2 록킹핀(324)을 구비하여 제1 록킹부재(310)와 결합되는 제2 록킹부재(320)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록킹홀(313)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를 갖도록 전방 측면(315a)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캠형 록킹홀(315)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록킹홀(323)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를 갖도록 후방 측면(325a)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캠형 록킹홀(325)로 구성되어 잠금상태에서 제1 록킹핀(314)의 가장자리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경사진 후방 측면(325a)에 접촉하고 제2 록킹핀(324)의 가장자리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경사진 전방 측면(315a)에 접촉하면서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이동트랙(2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게 한 록킹어셈블리(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캠형 록킹홀(315)과 제3 록킹홀(211)을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된 제2 록킹핀(324)은 제1 록킹홀(111)의 전후방 측면에 모두 접촉하고, 더불어 제3 록킹홀(21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여 결속되고, 상기 제2 캠형 록킹홀(325)과 제4 록킹홀(221)을 관통하여 제2 록킹홀(121)에 삽입된 제1 록킹핀(314)은 제4 록킹홀(221)의 전방 측면에 접촉하고, 더불어 제2 록킹홀(12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여 결속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 보조 록킹홀(313)이 형성된 수직부(311)와, 상기 제1 록킹핀(314)을 구비하며 수직부(31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평부(312)로 이루어진 제1 록킹부재(310); 상기 제2 보조 록킹홀(323)이 형성된 수직부(321)와, 상기 제2 록킹핀(324)을 구비하며 수직부(32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평부(322)로 이루어진 제2 록킹부재(320); 상기 이동트랙(200)과 제2 록킹부재(320)의 수평부(322)를 관통하여 제1 록킹부재(310)의 수평부(312)에 체결되며, 상단부가 이동트랙(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작동핀(330); 상기 제1 록킹부재(310)의 수평부(312)와 제2 록킹부재(320)의 수평부(322) 사이에서 상기 작동핀(330)을 에워싼 구조로 설치되어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를 이격시키는 제1 스프링(340); 및 상기 이동트랙(2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록킹부재(310)에 결합되어 록킹어셈블리(300)를 잠금위치로 복원시키는 다수 개의 제2 스프링(35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록킹홀(111)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를 갖도록 전방 측면(111a)과 후방 측면(111b)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록킹홀(121)과 제3 록킹홀(211) 및 제4 록킹홀(221)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도록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록킹부재(320)에는, 잠금위치에서 이동트랙(200)에 닿아 제2 록킹부재(320)의 상승을 억제하는 스토퍼(36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4 록킹홀(221)과 제3 록킹홀(211)은 제1 록킹핀(314)과 제2 록킹핀(324)이 제4 결합부(220)와 제3 결합부(210)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제3 결합부(210)와 제4 결합부(220)에는 결합부로부터 이탈된 제1,2 록킹핀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212,22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프링(350)은 2개로 구성되며, 2개의 제2 스프링(350)은 록킹어셈블리(300)의 양측에서 빗각을 형성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채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일단이 이동트랙(200)에 형성된 후크(2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록킹부재(3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제1 록킹부재와 제2 록킹부재가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고, 이때 제1 록킹핀과 제2 록킹핀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록킹홀과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접촉하여 결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록킹핀과 록킹홀 사이의 유격 발생으로 인한 시트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에 형성된 록킹홀의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모든 록킹홀의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이 경사지지 않고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시트 트랙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시트 트랙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트랙의 단면도,
도 6 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 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트랙의 단면도,
도 9 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 은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록킹부재의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록킹부재의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좌측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우측면도,
도 17 은 록킹핀이 록킹홀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조를 갖는 시트 트랙의 단면도,
도 19 는 제3 록킹홀의 하부에 보조 가이드가 더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0 은 제4 록킹홀의 하부에 보조 가이드가 더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록킹핀과 록킹홀의 접촉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분해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 트랙은 잠금상태에서 록킹어셈블리(300)를 구성하는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면서 밀림 및 횡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에 각기 구비된 록킹핀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록킹홀에 접촉되어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의 결속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잠금상태에서 록킹홀과 록킹핀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이동트랙(200)과 시트를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 및 록킹어셈블리(300)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언급된 잠금상태는 시트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후, 록킹어셈블리(300)에 의해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이 결속되어 이동트랙(200)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트랙의 단면도를,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 7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트랙(100)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동트랙(200)과 결합되어 이동트랙(200)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양측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의 제1,2 결합부(110,120)가 형성되며, 이때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는 고정트랙(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110)에는 록킹어셈블리(300)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 개의 제1 록킹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120)에는 록킹어셈블리(300)와의 결속을 위한 다수 개의 제2 록킹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록킹홀(111)들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규칙적으로 형성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2 록킹홀(121)들은 일정한 폭과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록킹홀(111)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를 갖도록 전방 측면(111a)과 후방 측면(111b)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록킹홀(121)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도록 전방 측면(121a)과 후방 측면(121b)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록킹홀(121)의 경우, 전방 측면(121a)과 후방 측면(121b)이 가공오차로 인하여 수직하게 형성되지 못하였을 때에도 제2 록킹홀(121)과 제1 록킹핀(314)의 결합과 분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 측면(121a)과 후방 측면(121b)이 최소한의 미세 경사각을 갖도록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트랙의 단면도를,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 10은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이동트랙(200)은 고정트랙(100)에 결합되고, 차량의 시트와 연결되어 시트와 함께 이동트랙(20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12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제3 결합부(210)와 제4 결합부(220)가 양측 단부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 결합부(210)에는 제1 록킹홀(111)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제3 록킹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결합부(220)에는 제2 록킹홀(121)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제4 록킹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수 개의 제3 록킹홀(211)은 상호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되, 후술될 제1 캠형 록킹홀(315)을 관통한 제2 록킹핀(324-1)이 삽입되는 하나의 제3 록킹홀은 후방 측면이 제2 록킹핀(324-1)에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다수 개의 제4 록킹홀(221)은 상호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되, 후술될 제2 캠형 록킹홀(325)을 관통한 제1 록킹핀(314-1)이 삽입되는 하나의 제4 록킹홀은 전방 측면이 제1 록킹핀(314-1)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록킹어셈블리(300)가 이동트랙(200)에 설치되어 록킹어셈블리(300)와 이동트랙(200)은 항상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제1 록킹핀(314-1)과 제2 록킹핀(324-1)은 다수 개의 제4 록킹홀과 제3 록킹홀들 중 특정 록킹홀에 동일하게 삽입되고, 결국 제1,2 록킹핀(314-1,324-1)에 대응하는 제3,4 록킹홀을 위와 같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시트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진 후, 록킹어셈블리에 의한 록킹이 이루어질 때, 항상 도 21과 같은 록킹핀과 록킹홀의 접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3 록킹홀(211)의 전방 측면(211a) 및 후방 측면(211b)은 수직하게 형성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4 록킹홀(221)의 전방 측면(221a) 및 후방 측면(221b)도 수직하게 형성된다.
한편 시트 트랙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 결합부(110)와 제3 결합부(210)는 시트 트랙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 결합부(120) 및 제3 결합부(210)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은 좌우측이 비대칭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록킹부재의 사시도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록킹부재의 사시도를,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좌측면도를,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어셈블리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록킹어셈블리(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을 상호 결속시켜 이동트랙(200)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의 결속을 해제하여 이동트랙(200)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1,3 록킹홀(111,211)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 및 상기 제4 록킹홀(221)을 관통하여 제2 록킹홀(12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1 록킹핀(314)을 구비하는 제1 록킹부재(310)와, 상기 제1 록킹핀(314)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 및 상기 제1 보조 록킹홀(313)과 제3 록킹홀(2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2 록킹핀(324)을 구비하여 제1 록킹부재(310)와 결합되는 제2 록킹부재(320)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록킹홀(313)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를 갖도록 전방 측면(315a)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캠형 록킹홀(315)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록킹홀(323)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를 갖도록 후방 측면(325a)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캠형 록킹홀(325)로 구성되어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제1 록킹핀(314)의 가장자리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경사진 후방 측면(325a)에 접촉하고 제2 록킹핀(324)의 가장자리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경사진 전방 측면(315a)에 접촉하면서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이동트랙(2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면서 밀림 및 횡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동시에 발생하여 록킹핀과 록킹홀이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캠형 록킹홀(315)과 제2 캠형 록킹홀(325)의 경사진 측면은 상호 대칭 위치에 있어야만 제1,2 록킹부재(310,320)에 길이방향으로의 밀림 및 횡방향으로의 비틀림이 발생한다. 즉 제1 캠형 록킹홀(315)의 전방 측면(315a)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제2 캠형 록킹홀(325)의 후방 측면(325a)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두 측면(315a,325a)이 상호 대칭 되는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작용이 제1,2 록킹부재(310,320)에 발생되며, 물론 제1 캠형 록킹홀(315)의 후방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제2 캠형 록킹홀(325)의 전방 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할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2 캠형 록킹홀(315,325)의 경사진 측면을 동일한 방향(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하거나, 전후 방향 두 측면을 모두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전후 방향 두 측면을 모두 수직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트랙상 유격의 가능성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록킹어셈블리(300)는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와, 작동핀(330)과, 제1 스프링(340)과, 제2 스프링(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록킹부재(310)는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이 형성된 수직부(311)와, 다수 개의 제1 록킹핀(314)이 형성된 수평부(31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312)는 수직부(31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ㄴ-자형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록킹부재(320)는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이 형성된 수직부(321)와, 다수 개의 제2 록킹핀(324)이 형성된 수평부(32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부(322)는 수직부(32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ㄱ-자형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는 제1 록킹부재(310)에 형성된 제1 록킹핀(314)이 제2 록킹부재(320)의 제2 보조 록킹홀(323)을 관통하고, 제2 록킹부재(320)에 형성된 제2 록킹핀(324)이 제1 록킹부재(310)의 제1 보조 록킹홀(313)을 관통하도록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를 배치함으로써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제2 보조 록킹홀(323)을 관통한 제1 록킹핀(314)은 제4 록킹홀(221)을 관통하여 제2 록킹홀(121)에 삽입되고, 제1 보조 록킹홀(313)을 관통한 제2 록킹핀(324)은 제3 록킹홀(211)을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제2 록킹부재(320)에는 제2 록킹부재(320)가 상승할 때,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제2 록킹부재(320)의 상승을 억제하도록 이동트랙(200)에 닿는 스토퍼(3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360)는 제2 록킹부재(320)의 상단부에 수직하게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한 것으로 구성되거나, 제2 록킹부재(32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절개부를 이동트랙(200)에 형성하여 제2 록킹부재(32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돌기가 절개부에 구속되게 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4에는 제2 록킹부재(320)의 수평부 일부를 절개한 후 상방향으로 절곡한 것에 의해 형성된 스토퍼(3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작동핀(330)은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조작력을 제1 록킹부재(310)에 전달하여 록킹어셈블리(300)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이동트랙(200)과 제2 록킹부재(320)를 관통하여 제1 록킹부재(310)의 수평부(312)와 리벳팅에 의해 체결되며, 상단부는 이동트랙(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스프링(340)은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상호 이격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제1 록킹부재(310)의 수평부(312)와 제2 록킹부재(320)의 수평부(322) 사이에서 작동핀(330)을 에워싸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1 스프링(340)에 의하여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상호 이격되도록 이동하게 되며, 이때 제1 록킹핀(314)의 가장자리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후방 측면(325a)의 접촉 및 제2 록킹핀(324)의 가장자리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전방 측면(315a)의 접촉이 해제되며, 제1,2 록킹부재(310,320)의 하강 시 상기와 같은 제1 스프링(340)의 작용에 의하여 록킹핀과 록킹홀의 마찰없이 제1,2 록킹부재(310,320)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스프링(350)은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하강한 제1 록킹부재(310)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켜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일단이 이동트랙(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록킹부재(310)에 결합되어 제1 록킹부재(310)를 상부로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된 경우, 록킹어셈블리(300)를 잠금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스프링(35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한 쌍의 제2 스프링(350)은 록킹어셈블리(300)의 양측에서 빗각을 형성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채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일단이 이동트랙(200)에 형성된 후크(2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록킹부재(3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후크(230)는 바깥쪽 단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후크(230)에 일단이 고정되는 제2 스프링(350)의 타단이 빗각을 형성하며 트랙의 안쪽에 위치한 제1 록킹부재(310)에 결합되므로, 제2 스프링이 갖는 장력에 의하여 제2 스프링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스프링(350)은 제1 스프링(340) 보다 큰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제2 스프링(350)에 의해 제1 록킹부재(310)가 상승하는 초기에는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제1 스프링(340)에 의해 소정 거리 이격된 채 함께 상승하게 되고, 제2 록킹부재(320)에 형성된 스토퍼(360) 및 제2 록킹부재(320)의 제2 록킹핀(324)이 제1 록킹홀(111)의 전후방 측면(111a,111b)에 접촉하여 제2 록킹부재(320)의 상승이 억제된 후에는 제1 록킹부재(310)가 제1 스프링(340)을 압축하며 상승하게 되며, 이때 제1,2 록킹부재(310,320)에 형성된 제1,2 록킹핀(314,324)과 제1,2 캠형 록킹홀(315,325)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2 록킹부재(310,320)에 길이방향으로 밀림 및 횡방향으로(측면방향) 비틀림이 발생하면서 록킹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순으로 순차적으로 록킹됨에 따라 록킹시의 정확한 위치에서의 고정으로 인해 록킹(고정)의 견고함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시트 트랙에 의한 시트의 위치 조절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 시트 트랙이 갖는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록킹핀이 록킹홀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의 조작력이 록킹어셈블리(300)에 전달되지 않을 경우,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는 제2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해 완전히 상향 이동되어 잠금위치에 있게 되며, 이때 이동트랙(200)은 록킹어셈블리(300)에 의하여 고정트랙(100)과 결속되어 이동트랙(200) 및 시트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잠금상태에서 제1 록킹부재(3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록킹핀(314) 중 제2 캠형 록킹홀(325)에 삽입된 제1 록킹핀(314-1)의 가장자리는 제2 캠형 록킹홀(325)의 경사진 후방 측면(325a)에 접촉하고, 제2 록킹부재(3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 록킹핀(324) 중 제1 캠형 록킹홀(315)에 삽입된 제2 록킹핀(324-1)의 가장자리는 제1 캠형 록킹홀(315)의 경사진 전방 측면(315a)에 접촉하게 되며, 이처럼 록킹핀과 캠형 록킹홀이 접촉한 상태에서 제2 스프링(350)에 의해 제1 록킹부재(310)가 강제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는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며 동시에 횡방향으로 비틀리게 되며, 이때 제2 캠형 록킹홀(325)을 관통한 제1 록킹핀(314-1)과 제1 캠형 록킹홀(315)을 관통한 제2 록킹핀(324-1)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어긋나 서로 다른 방향(위치)에서 록킹홀에 접촉되어 결속되므로, 유격없이 이동트랙(200) 및 시트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미도시된 레버의 조작에 의해 작동핀(330)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될 경우, 작동핀(330)의 하단부에 결합된 제1 록킹부재(310)가 작동핀(330)과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제1 록킹부재(310)의 하강 초기에는 제2 록킹부재(320)에는 힘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2 록킹부재(320)는 이동하지 않고 제1 록킹부재(310)만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 록킹부재(310,320)의 하강 초기에는 제1 록킹부재(310)만이 하강하게 됨으로써, 제1 록킹핀(314-1)의 가장자리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후방 측면(325a)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록킹핀(324-1)의 가장자리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전방 측면(315a)으로부터 이격되며, 이와 같이 제1,2 록킹핀(314-1,324-1)과 제1,2 캠형 록킹홀(315,325))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록킹핀과 록킹홀 사이의 마찰저항 없이 제1,2 록킹부재(310,32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도 17의 (a)→(b))
한편 제1 록킹부재(310)의 계속된 하강에 의하여 제1 보조 록킹홀(313)의 상단부 및 제2 보조 록킹홀(323)의 상단부가 제2 록킹핀(324) 및 제1 록킹핀(314)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면, 제2 록킹부재(320)는 제1 록킹부재(310)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러한 제1,2 록킹부재(310,320)의 하강에 의하여 제1,2 록킹핀(314,324)이 제1,2,3,4 록킹홀로부터 이탈하게 됨으로써, 고정트랙(100)과 이동트랙(200)의 결속이 해제되며, 이후 사용자는 시트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도 17의 (b)→(c))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조를 갖는 시트 트랙의 단면도를, 도 19는 제3 록킹홀의 하부에 보조 가이드가 더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 20은 제4 록킹홀의 하부에 보조 가이드가 더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록킹홀(111)과 제2 록킹홀(121)로부터 이탈되는 제1,2 록킹핀(314,324)은 절곡된 제3 결합부(210)와 제4 결합부(220)에 걸려 구속되므로 제1,2 록킹부재(310,320)의 하강이 제한되며, 이에 따라 제1,2 결합부(110,120)의 끝단부와 제1,2 록킹핀(314,324) 사이에 안정적인 이격거리의 확보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제1 록킹부재(310) 또는 제2 록킹부재(320)가 기울어질 경우, 시트의 위치 조절과정에서 제1 록킹핀(314) 또는 제2 록킹핀(324)이 제1 결합부(110) 또는 제2 결합부(120)의 끝단부에 간섭되어 이동트랙(200)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록킹핀(314)과 제2 록킹핀(324)이 제4 결합부(220)와 제3 결합부(210)를 관통하여 하강할 수 있도록 제3 록킹홀(211)과 제4 록킹홀(221)의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제3 록킹홀(211) 및 제4 록킹홀(221)로부터 이탈된 제2 록킹핀(324)과 제1 록킹핀(314)의 지지를 위하여 제3 결합부(210)와 제4 결합부(220)에는 제2 록킹핀(324)과 제1 록킹핀(314)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보조 가이드(212,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가이드(212,222)는 각각의 제3 록킹홀(211)과 제4 록킹홀(221)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록킹핀을 지지하게 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록킹핀과 록킹홀의 접촉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시트의 위치 조절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미도시된 레버를 놓게 되면, 작동핀(330)으로 전달되는 조작력이 해제되므로, 제2 스프링(3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록킹부재(310)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제1 록킹부재(310)의 상승 초기에는 제1 스프링(340)에 의해 제1 록킹부재(31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 록킹부재(320)가 제1 록킹부재(31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한편 제1,2 록킹부재(310,320)의 상승 시, 제2 록킹부재(320)의 스토퍼(360)가 이동트랙(200)에 닿고 제2 록킹부재(320)의 제2 록킹핀(324)이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된 제1 록킹홀(111)의 전후방 측면(111a,111b)에 접촉하게 되면, 제2 록킹부재(320)의 상승이 구속되고, 이때 제1 록킹부재(310)는 제1 스프링(340)을 압축하며 상승하게 된다.(도 17의 (c)→(b))
상기와 같이 제2 록킹부재(320)의 상승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1 록킹부재(310)가 계속해서 상승함에 따라 제1 록킹핀(314-1)의 가장자리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경사진 후방 측면(325a)에 접촉하고, 제2 록킹핀(324-1)의 가장자리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경사진 전방 측면(315a)에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록킹부재(310)가 제2 스프링(350)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승하려 함에 따라 제1 록킹부재(310)는 트랙의 전방으로 제2 록킹부재(320)는 트랙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호 어긋나게 된다.(도 17의 (a))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 캠형 록킹홀(325)을 관통하여 제4 록킹홀(221)로 삽입된 제1 록킹핀(314-1)의 전방 측면(314a)은 제4 록킹홀(221)의 전방 측면에 접촉하고, 후방 측면(314b)은 제2 록킹홀(12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제1 캠형 록킹홀(315)과 제3 록킹홀(211)을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된 제2 록킹핀(324-1)은 제1 록킹홀(111)의 전후방 측면에 모두 접촉하고, 더불어 후방 측면(324b)이 제3 록킹홀(21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트랙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록킹핀(314-1)이 제2 록킹홀(121)의 후방 측면과 제4 록킹홀(221)의 전방 측면에 각각 접촉하여 결속되고, 시트 트랙의 타측에 위치한 제2 록킹핀(324-1)이 제1 록킹홀(111)의 전후방 양측면과 제3 록킹홀(21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여 결속되며, 더불어 제1 록킹핀(314-1)의 가장자리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후방 측면과의 접촉 및 제2 록킹핀(324-1)의 가장자리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전방 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제1,2 록킹부재(310,320)가 상호 견고히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제1 록킹핀(314-1)과 제2 록킹핀(324-1)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제1,2,3,4 록킹홀에 각기 접촉하여 결속되고, 제1 록킹핀(314-1)과 제2 캠형 록킹홀(325)의 접촉 및 제2 록킹핀(324-1)과 제1 캠형 록킹홀(315)의 접촉에 의해 추가적인 결속이 이루어짐으로써,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록킹핀과 록킹홀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트 트랙의 잠금상태에서 이동트랙(200) 및 시트의 유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트랙 (110) : 제1 결합부
(111) : 제1 록킹홀 (120) : 제2 결합부
(121) : 제2 록킹홀 (200) : 이동트랙
(210) : 제3 결합부 (211) : 제3 록킹홀
(212) : 보조 가이드 (220) : 제4 결합부
(221) : 제4 록킹홀 (222) : 보조 가이드
(310) : 제1 록킹부재 (311) : 수직부
(312) : 수평부 (313) : 제1 보조 록킹홀
(314) : 제1 록킹핀 (315) : 제1 캠형 록킹홀
(320) : 제2 록킹부재 (321) : 수직부
(322) : 수평부 (323) : 제2 보조 록킹홀
(324) : 제2 록킹핀 (325) : 제2 캠형 록킹홀
(330) : 작동핀 (340) : 제1 스프링
(350) : 제2 스프링 (360) : 스토퍼

Claims (7)

  1.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양측 단부에 상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의 제1,2 결합부(110,1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부(1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1 록킹홀(111)과, 상기 제2 결합부(1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2 록킹홀(121)을 포함하는 고정트랙(100);
    시트와 결합되고, 상기 제1,2 결합부(110,120)에 결합되도록 양측 단부에 하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의 제3,4 결합부(210,2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록킹홀(111)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3 결합부(21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3 록킹홀(211)과, 상기 제2 록킹홀(121)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4 결합부(220)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제4 록킹홀(221)을 포함하는 이동트랙(200);
    상기 제1,3 록킹홀(111,211)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 및 상기 제4 록킹홀(221)을 관통하여 제2 록킹홀(12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1 록킹핀(314)을 구비하는 제1 록킹부재(310)와, 상기 제1 록킹핀(314)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 및 상기 제1 보조 록킹홀(313)과 제3 록킹홀(21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되는 다수 개의 제2 록킹핀(324)을 구비하여 제1 록킹부재(310)와 결합되는 제2 록킹부재(320)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 개의 제1 보조 록킹홀(313)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보조 록킹홀(313)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를 갖도록 전방 측면(315a)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캠형 록킹홀(315)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 개의 제2 보조 록킹홀(323)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보조 록킹홀(323)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를 갖도록 후방 측면(325a)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2 캠형 록킹홀(325)로 구성되어 잠금상태에서 제1 록킹핀(314)의 가장자리가 제2 캠형 록킹홀(325)의 경사진 후방 측면(325a)에 접촉하고 제2 록킹핀(324)의 가장자리가 제1 캠형 록킹홀(315)의 경사진 전방 측면(315a)에 접촉하면서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가 이동트랙(20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어긋나게 한 록킹어셈블리(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형 록킹홀(315)과 제3 록킹홀(211)을 관통하여 제1 록킹홀(111)에 삽입된 제2 록킹핀(324)은 제1 록킹홀(111)의 전후방 측면에 모두 접촉하고, 더불어 제3 록킹홀(21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여 결속되고,
    상기 제2 캠형 록킹홀(325)과 제4 록킹홀(221)을 관통하여 제2 록킹홀(121)에 삽입된 제1 록킹핀(314)은 제4 록킹홀(221)의 전방 측면에 접촉하고, 더불어 제2 록킹홀(121)의 후방 측면에 접촉하여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어셈블리(300)는,
    상기 제1 보조 록킹홀(313)이 형성된 수직부(311)와, 상기 제1 록킹핀(314)을 구비하며 수직부(311)의 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평부(312)로 이루어진 제1 록킹부재(310);
    상기 제2 보조 록킹홀(323)이 형성된 수직부(321)와, 상기 제2 록킹핀(324)을 구비하며 수직부(321)의 상단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평부(322)로 이루어진 제2 록킹부재(320);
    상기 이동트랙(200)과 제2 록킹부재(320)의 수평부(322)를 관통하여 제1 록킹부재(310)의 수평부(312)에 체결되며, 상단부가 이동트랙(2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작동핀(330);
    상기 제1 록킹부재(310)의 수평부(312)와 제2 록킹부재(320)의 수평부(322) 사이에서 상기 작동핀(330)을 에워싼 구조로 설치되어 제1 록킹부재(310)와 제2 록킹부재(320)를 이격시키는 제1 스프링(340); 및
    상기 이동트랙(20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록킹부재(310)에 결합되어 록킹어셈블리(300)를 잠금위치로 복원시키는 다수 개의 제2 스프링(3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록킹홀(111)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를 갖도록 전방 측면(111a)과 후방 측면(111b)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록킹홀(121)과 제3 록킹홀(211) 및 제4 록킹홀(221)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폭을 갖도록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이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록킹부재(320)에는, 잠금위치에서 이동트랙(200)에 닿아 제2 록킹부재(320)의 상승을 억제하는 스토퍼(3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록킹홀(221)과 제3 록킹홀(211)은 제1 록킹핀(314)과 제2 록킹핀(324)이 제4 결합부(220)와 제3 결합부(210)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수 있도록 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제3 결합부(210)와 제4 결합부(220)에는 결합부로부터 이탈된 제1,2 록킹핀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가이드(212,2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350)은 2개로 구성되며, 2개의 제2 스프링(350)은 록킹어셈블리(300)의 양측에서 빗각을 형성하며 비스듬하게 경사진 채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일단이 이동트랙(200)에 형성된 후크(2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록킹부재(31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
KR1020110090107A 2011-09-06 2011-09-06 차량 시트 트랙 KR101221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07A KR101221652B1 (ko) 2011-09-06 2011-09-06 차량 시트 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07A KR101221652B1 (ko) 2011-09-06 2011-09-06 차량 시트 트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652B1 true KR101221652B1 (ko) 2013-01-14

Family

ID=4784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107A KR101221652B1 (ko) 2011-09-06 2011-09-06 차량 시트 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6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982A (ko) * 2013-04-09 2014-10-17 대원정밀공업(주) 비대칭형 시트트랙 레일의 제조방법
KR20200142852A (ko) 2019-06-13 2020-12-23 대원정밀공업(주) 이음발생이 방지되는 비대칭형 시트트랙
KR20220135882A (ko) * 2021-03-31 2022-10-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347A (ja) * 1995-04-17 1996-10-29 Nhk Spring Co Ltd シート等の位置調整装置
JPH09267673A (ja) * 1996-03-31 1997-10-14 Tachi S Co Ltd スライドレールの両ロック構造
KR20080109870A (ko) * 2006-03-24 2008-12-1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운송수단 의자용 트랙
JP2010195377A (ja) 2009-01-30 2010-09-09 Imasen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347A (ja) * 1995-04-17 1996-10-29 Nhk Spring Co Ltd シート等の位置調整装置
JPH09267673A (ja) * 1996-03-31 1997-10-14 Tachi S Co Ltd スライドレールの両ロック構造
KR20080109870A (ko) * 2006-03-24 2008-12-1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운송수단 의자용 트랙
JP2010195377A (ja) 2009-01-30 2010-09-09 Imasen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1982A (ko) * 2013-04-09 2014-10-17 대원정밀공업(주) 비대칭형 시트트랙 레일의 제조방법
KR101956863B1 (ko) 2013-04-09 2019-03-12 대원정밀공업(주) 비대칭형 시트트랙 레일의 제조방법
KR20200142852A (ko) 2019-06-13 2020-12-23 대원정밀공업(주) 이음발생이 방지되는 비대칭형 시트트랙
KR20220135882A (ko) * 2021-03-31 2022-10-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477235B1 (ko) * 2021-03-31 2022-12-13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US11731536B2 (en) 2021-03-31 2023-08-22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DE102022107268B4 (de) 2021-03-31 2023-09-07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itzschiene für ein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9328B2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JP6471610B2 (ja) スライドレール
KR101221652B1 (ko) 차량 시트 트랙
US10717373B2 (en) Seat slide device
JP5483557B2 (ja) 車両用シート
JP6826677B2 (ja) 改善されたロック構成を装備する、車両シートのための摺動デバイス
KR101518018B1 (ko) 등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보조 등받이
JP6017985B2 (ja) 乗物用シート
CN107953804B (zh) 座椅滑动装置
JP2018002130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262718B1 (ko) 유격 보상형 록킹장치를 갖는 차량용 시트 트랙
JP5706143B2 (ja) シート
JP714127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6717653B2 (ja) 車両用シート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JP6140546B2 (ja) 乗物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101358653B1 (ko) 차량용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JP5112729B2 (ja) 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自動車用シート
KR200464095Y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록킹구조
JP2013154728A (ja) シートクッション跳ね上げ式の車両用シート
JP425518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EP3722145B1 (en) Seat sliding device
JP667600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20005689U (ko) 헤드레스트 높이조절용 스토퍼
JP2019137287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