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882A -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882A
KR20220135882A KR1020210042134A KR20210042134A KR20220135882A KR 20220135882 A KR20220135882 A KR 20220135882A KR 1020210042134 A KR1020210042134 A KR 1020210042134A KR 20210042134 A KR20210042134 A KR 20210042134A KR 20220135882 A KR20220135882 A KR 20220135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ail
locking device
seat rail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235B1 (ko
Inventor
황성준
김천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235B1/ko
Priority to US17/698,103 priority patent/US11731536B2/en
Priority to DE102022107268.1A priority patent/DE102022107268B4/de
Priority to CN202210318850.0A priority patent/CN115139869B/zh
Publication of KR20220135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27Stop members for limiting sli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어퍼레일에서 제1파트와 제2파트의 결합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조립 편의 성이 향상되고,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제1파트와 제2파트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스프링 고정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본 발명은 로어레일에서 어퍼레일의 위치를 고정하는 록킹 장치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엔 탑승자가 착좌하는 시트가 구비되고, 이러한 시트는 시트레일에 의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레일은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로어레일과 로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어퍼레일과, 로어레일에서 어퍼레일의 자유로운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록킹장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록킹장치는 어퍼레일에서 타울바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끝단에 다수개의 포크가 일체로 구비된 포크부가 로어레일에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홀에 삽입됨에 따라 어퍼레일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장치는 타울바에 의해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스프링이 구비됨에 따라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록킹장치에서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함에 따라 부품수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체결해야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성을 개선해야 하는 필요성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2010-0012459 A (2010. 12. 1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프링 고정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어퍼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 위치에 따라 로어레일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센터핀이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센터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1걸림부가 형성된 제1파트; 어퍼레일에 설치되고, 센터핀이 관통되며, 센터핀이 관통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2걸림부가 형성된 제2파트; 및 제1파트와 제2파트 사이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제1걸림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걸림부에 연결되며, 제1파트와 제2파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제1파트에는 로어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스토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파트의 각 제1걸림부는 제1파트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걸림부는 제1파트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외측방향을 향해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파트는 어퍼레일의 상단에 접촉되며 센터핀이 관통되는 지지단부와, 지지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어퍼레일의 설치홀과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설치홀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제2걸림부가 형성된 삽입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파트는 지지단부에서 삽입단부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단부가 형성되고, 연장단부에는 센터핀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하부에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단부의 외측면에는 지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걸림부는 삽입단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되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단부에는 제2걸림부측으로 개통되는 개통홀이 형성되어, 개통홀을 통해 제2걸림부와 탄성체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체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외곽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체는 일단부와 타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어퍼레일에서 제1파트와 제2파트의 결합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조립 편의 성이 향상되고,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제1파트와 제2파트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스프링 고정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의 작동 전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의 작동 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어퍼레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파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파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1파트, 제2파트, 탄성체의 조립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의 작동 전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의 작동 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어퍼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파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파트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제1파트, 제2파트, 탄성체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탄성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로어레일(20)에 어퍼레일(1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어퍼레일(10)측에 설치된 타울바(T)의 조작 위치에 따라 제1파트(100)가 이동되어 로어레일(20)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된다. 이러한 제1파트(100)는 제2파트(200) 및 탄성체(300)에 의해 원위치로 원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어퍼레일(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 위치에 따라 로어레일(20)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센터핀(110)이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센터핀(11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1걸림부(120)가 형성된 제1파트(100); 어퍼레일(10)에 설치되고, 센터핀(110)이 관통되며, 센터핀(110)이 관통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2걸림부(210)가 형성된 제2파트(200); 및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 사이에 마련되고, 일단부(310)가 제1걸림부(120)에 연결되고 타단부(320)가 제2걸림부(221)에 연결되며,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00);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파트(100), 제2파트(200), 탄성체(300)로 구성되며, 제2파트(200)가 어퍼레일(10)에 지지되고 타울바(T)에 연결된 제1파트(1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록킹 또는 록킹해제 동작이 수행된다. 여기서, 제1파트(100)는 탄성체(3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세하게, 제1파트(100)는 어퍼레일(10) 내부에 마련되며, 로어레일(20)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즉, 로어레일(2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스토퍼홈(21)이 형성되고, 제1파트(100)에는 둘레에 스토퍼홈(21)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30)가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제1파트(100)가 상승될 경우 걸림돌기(130)가 스토퍼홈(21)에 삽입되어 록킹이 수행되고, 제1파트(100)가 하강될 경우 걸림돌기(130)가 스토퍼홈(21)에서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이러한 제1파트(100)에는 센터핀(110)이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센터핀(110)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1걸림부(120)가 형성된다. 제1파트(100)의 센터핀(110)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어퍼레일(10)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타울바(T)와 접촉됨으로써, 제1파트(100)는 타울바(T)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파트(100)는 탄성체(3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제1걸림부(120)가 형성된다. 제1걸림부(120)는 제1파트(100)에서 센터핀(110)을 중심으로, 센터핀(110)의 주변에 복수개 형성되어 탄성체(30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걸림부(120)는 제1파트(100)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외측방향을 향해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제1파트(100)를 절개하여 제1걸림부(120)를 형성함에 따라 제1파트(100)에 제1걸림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제1걸림부(120)는 제1파트(100)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체(300)가 스프링으로 적용됨에 따라 탄성체(300)의 일단부(310)를 벌려 제1걸림부(120)에 체결함으로써, 탄성체(300)의 일단부(310)를 제1파트(100)에 체결하기가 용이하다.
한편, 제2파트(200)는 어퍼레일(10)의 상단에 접촉되며 센터핀(110)이 관통되는 지지단부(210)와, 지지단부(21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어퍼레일(10)의 설치홀(11)과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설치홀(11)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제2걸림부(221)가 형성된 삽입단부(220)로 구성된다.
즉, 제2파트(200)는 지지단부(210)와 삽입단부(220)로 이루어지며, 삽입단부(220)를 어퍼레일(10)의 설치홀(11)에 삽입시 지지단부(210)가 어퍼레일(10)의 상단에 지지된다. 또한, 삽입단부(220)의 내측에는 제2걸림부(221)가 형성되어 탄성체(300)의 타단부(320)가 체결된다. 여기서, 어퍼레일(10)의 설치홀(11)과 제2파트(200)의 삽입단부(220)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제2파트(20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제2파트(200)는 지지단부(210)에서 삽입단부(220)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단부(230)가 형성되고, 연장단부(230)에는 센터핀(110)이 관통되는 관통홀(231)이 형성되며, 관통홀(231)의 하부에 챔퍼(232)가 형성된다. 즉, 제2파트(200)에는 센터핀(110)이 관통되는데, 연장단부(230)가 지지단부(210)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연장단부(230)에 형성된 관통홀(231)을 통해 센터핀(110)의 이동이 가이드된다. 또한, 연장단부(230)의 관통홀(231)은 하부에 사선상으로 폭이 점차 넓어지는 챔퍼(232)가 형성됨으로써,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의 조립시 제2파트(200)의 연장단부(230)에 센터핀(110)의 삽입이 용이하다.
한편, 삽입단부(220)의 외측면에는 지지단부(2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지지부(222)가 형성되고, 지지부(22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222)는 지지단부(210)와 함께 제2파트(200)가 어퍼레일(10)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파트(200)의 삽입단부(220)를 어퍼레일(10)의 설치홀(11)에 삽입시, 지지단부(210)가 어퍼레일(10)의 상단에 지지되고 지지부(222)가 어퍼레일(10)의 하단에 지지되어 장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222)의 경우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 경자기게 형성됨으로써, 삽입단부(220)가 어퍼레일(10)의 설치홀(11)을 원활히 통과할 수 있고, 지지부(222)가 설치홀(11)을 통과 후 상방으로 이탈이 제한된다.
한편, 제2걸림부(221)는 삽입단부(22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되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된다. 이렇게, 제2걸림부(221)가 삽입단부(220)의 내측면에서 연장됨에 따라 제2파트(200)에 제2걸림부(221)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제2걸림부(221)는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탄성체(300)의 타단부(320)가 제2걸림부(221)에 체결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단부(210)에는 제2걸림부(221)측으로 개통되는 개통홀(211)이 형성되어, 개통홀(211)을 통해 제2걸림부(221)와 탄성체(300)가 노출된다. 이로 인해, 제2파트(200)의 제2걸림부(221)에 탄성체(300)를 장착시 개통홀(211)을 통해 탄성체(300)가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탄성체(300)의 탈거시 개통홀(211)을 통해 탄성체(300)의 탈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탄성체(300)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외곽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탄성체(300)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반적인 원형 형상 대비 길이방향에 대해 설계 자유도가 확보된다. 또한, 탄성체(300)는 제1파트(100) 및 제2파트(200)에 체결시 체결 부위가 직선 구간을 가짐에 따라 강건한 체결성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체(300)는 일단부(310)와 타단부(320)의 폭이 중앙부(330)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탄성체(300)는 일단부(310)와 타단부(320)가 각각 제1파트(100)의 제1걸림부(120)와 제2파트(200)의 제2걸림부(221)에 체결하기가 용이하며, 중앙부(330)가 제1파트(100)의 센터핀(110) 및 제2파트(200)의 연장단부(230)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일단부(310)와 타단부(320)가 제1걸림부(120)와 제2걸림부(221)에 각각 원활히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과정은 하기와 같다.
제2파트(200)의 제2걸림부(221)에 탄성체(300)의 타단부(320)를 연결하여 상호 조립하고, 탄성체(300)가 결합된 제2파트(200)를 어퍼레일(10)의 설치홀(11)에 장착한다. 이때, 제2파트(200)는 지지단부(210)와 지지부(222)에 의해 어퍼레일(10)에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이후, 제1파트(100)를 제2파트(2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조립하면, 제1파트(100)의 센터핀(110)이 제2파트(200)를 통과하여 어퍼레일(10)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제1파트(100)의 제1걸림부(120)에 탄성체(300)의 일단부(310)가 체결됨으로써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가 탄성체(300)를 매개로 조립 상태를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는 어퍼레일(10)에서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의 결합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조립 편의 성이 향상되고,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제1파트(100)와 제2파트(200)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스프링 고정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어퍼레일 11:설치홀
20:로어레일 21:스토퍼홈
100:제1파트 110:센터핀
120:제1걸림부 130:걸림돌기
200:제2파트 210:지지단부
211:개통홀 220:삽입단부
221:제2걸림부 222:지지부
230:연장단부 231:관통홀
232:챔퍼 300:탄성체

Claims (11)

  1. 어퍼레일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하 위치에 따라 로어레일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센터핀이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센터핀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1걸림부가 형성된 제1파트;
    어퍼레일에 설치되고, 센터핀이 관통되며, 센터핀이 관통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제2걸림부가 형성된 제2파트; 및
    제1파트와 제2파트 사이에 마련되고, 일단부가 제1걸림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걸림부에 연결되며, 제1파트와 제2파트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파트에는 로어레일에 길이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스토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3. 청구항 1에 잇어서,
    제1파트의 각 제1걸림부는 제1파트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걸림부는 제1파트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외측방향을 향해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파트는 어퍼레일의 상단에 접촉되며 센터핀이 관통되는 지지단부와, 지지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어퍼레일의 설치홀과 매칭되도록 형성되어 설치홀에 삽입되며 내측으로 제2걸림부가 형성된 삽입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파트는 지지단부에서 삽입단부 내측으로 하방을 향해 연장된 연장단부가 형성되고, 연장단부에는 센터핀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하부에 챔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삽입단부의 외측면에는 지지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걸림부는 삽입단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되 끝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지지단부에는 제2걸림부측으로 개통되는 개통홀이 형성되어, 개통홀을 통해 제2걸림부와 탄성체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외곽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탄성체는 일단부와 타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210042134A 2021-03-31 2021-03-31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477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34A KR102477235B1 (ko) 2021-03-31 2021-03-31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US17/698,103 US11731536B2 (en) 2021-03-31 2022-03-18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DE102022107268.1A DE102022107268B4 (de) 2021-03-31 2022-03-28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Sitzschiene für ein Fahrzeug
CN202210318850.0A CN115139869B (zh) 2021-03-31 2022-03-29 用于车辆座椅轨道的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134A KR102477235B1 (ko) 2021-03-31 2021-03-31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82A true KR20220135882A (ko) 2022-10-07
KR102477235B1 KR102477235B1 (ko) 2022-12-13

Family

ID=8328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34A KR102477235B1 (ko) 2021-03-31 2021-03-31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31536B2 (ko)
KR (1) KR102477235B1 (ko)
CN (1) CN115139869B (ko)
DE (1) DE102022107268B4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459U (ko)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레일용 이동레일
KR101221652B1 (ko) * 2011-09-06 2013-01-14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
KR20130092176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30025B1 (ko) *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20150077702A (ko) * 2013-12-30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851601B1 (ko) * 2016-10-27 2018-04-2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4788B4 (de) * 2008-02-28 2012-06-14 Lear Corporation Sitzanordnung und Längs-Sitz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8215602B2 (en) 2008-05-23 2012-07-10 Lear Corporation Longitudi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DE102008056683B4 (de) 2008-11-07 2012-09-13 Keiper Gmbh & Co. Kg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S10266074B2 (en) * 2011-10-17 2019-04-2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CA2852903C (en) 2011-10-17 2020-06-16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DE102014225426B4 (de) * 2014-10-20 2022-01-13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einsteller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JP6587893B2 (ja) * 2015-10-12 2019-10-09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アジャスタ
CN112804946A (zh) 2018-08-07 2021-05-14 奥瑞斯健康公司 将基于应变的形状感测与导管控制相结合
EP3856569B1 (en) * 2018-09-24 2022-12-14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Longitudinal adjuster for a seat and seat
CN208962927U (zh) * 2018-10-24 2019-06-11 上海锡玮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滑轨锁定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459U (ko)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레일용 이동레일
KR101221652B1 (ko) * 2011-09-06 2013-01-14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
KR20130092176A (ko) * 2012-02-10 2013-08-20 대원정밀공업(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30025B1 (ko) * 2013-05-23 2013-11-18 대원정밀공업(주) 개선된 조립 구조의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20150077702A (ko) * 2013-12-30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KR101851601B1 (ko) * 2016-10-27 2018-04-2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4841A1 (en) 2022-10-06
KR102477235B1 (ko) 2022-12-13
DE102022107268A1 (de) 2022-10-06
DE102022107268B4 (de) 2023-09-07
US11731536B2 (en) 2023-08-22
CN115139869A (zh) 2022-10-04
CN115139869B (zh)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043B2 (en) Seat sliding device
KR100794899B1 (ko) 차량 시트 잠금장치
US8360383B2 (en) Seat sliding device
US7032973B2 (en) System for locking a first element with a second element, and a seat fitted with such a locking system
EP3235401A1 (en) Head rest
WO2019131056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60045344A (ko) 측면 충돌시 도어 열림이 방지되는 구조 및 그 방법
KR20220135882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2018132158A (ja) クリップ取付け座
JP2007515046A (ja) モジュールホルダー内でコネクターモジュールを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
KR102071504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CN112443228A (zh) 具有可自调节止动件的缓冲装置
CN114489286B (zh) 一种服务器机箱栓锁结构及服务器
KR102071488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KR101491126B1 (ko) 차량용 시트의 힌지 체결 장치
KR102002710B1 (ko) 헤드레스트 가이드 어셈블리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JPH1199857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KR102542953B1 (ko) 차량의 러기지룸 스크린 장치
EP4029728A1 (en) Headrest level adjustment mechanism
JP2671696B2 (ja) 引出し施錠装置
JP412687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811760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록킹 장치
KR930005354Y1 (ko) 자동차의 후드 케이블(hood cable)지지구
JP2527580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