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176A -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176A
KR20130092176A KR1020120013742A KR20120013742A KR20130092176A KR 20130092176 A KR20130092176 A KR 20130092176A KR 1020120013742 A KR1020120013742 A KR 1020120013742A KR 20120013742 A KR20120013742 A KR 20120013742A KR 20130092176 A KR20130092176 A KR 20130092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rack
vertical
assembl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026B1 (ko
Inventor
심재원
안필수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013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0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록킹장치의 제작의 용이성, 구조적으로 콤팩트한 모듈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안전과 직결되는 작동성과 강도 특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트랙에 결합되어 록킹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로커의 수직 이동을 안내하는 어셈블리본체와, 상기 어셈블리본체에 복수개가 탄성 안착되어 개별적인 수직이동을 구현하는 록킹플레이트, 및 상기 어셈블리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시켜 록킹플레이트의 상부 이탈을 차단하는 동시에 록킹플레이트를 향해 수직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록킹어셈블리로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Locking device for seat track}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고정트랙에 대하여 시트와 결합된 이동트랙을 결속시키거나 그 결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득이하게 이동트랙이 올바른 결속위치를 벗어난 구간에 머무르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 강성 확보와 올바른 결속 위치를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하거나 차량 내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시트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며, 그러한 기능 중 시트의 위치를 차량의 전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차량 전후로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는 차체에 트랙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보이는 도면으로써, (a) 도면은 록킹부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횡 단면도를, (b) 도면은 록킹 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시트 트랙은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트랙(1)과, 상기 고정트랙(1)에 결합되며 시트와 연결되어 시트와 함께 고정트랙(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트랙(2)과, 상기 이동트랙(2)에 설치되어 이동트랙(2)과 함께 이동하며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을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이동트랙(2)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이동트랙(2)을 잠금 위치에 정지시키거나 잠금 위치에 있는 이동트랙(2)의 구속을 해제하는 록킹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트랙(1)에는 록킹부재(3)에 형성된 로커(3a)가 삽입될 수 있게 로커(3a)와 대응하는 다수개의 록킹홀(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록킹부재(3)에 형성된 로커(3a)가 고정트랙(1)의 록킹홀(1a)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의 결속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시트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록킹부재(3)에 형성된 로커(3a)가 고정트랙(1)의 록킹홀(1a)로부터 이격(도면에서는 하강)됨으로써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의 결속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시트의 비 잠금 상태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록킹부재는 로커의 구동방식에 따라서 회전식, 수직이동식, 수평이동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또 로커의 형상에 따라 플레이트 타입과, 핀 타입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로커를 포함한 록킹부재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에 형성되는 록킹홀의 구조 역시 따라서 결정된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종래 시트 트랙에는 다음과 같은 큰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미 도시된 레버를 조작하여 잠금 해제 즉, 록킹부재(3)의 로커(3a)를 고정트랙(1)의 록킹홀(1a)로부터 이격시켜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의 결속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이후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원하는 위치에 유지시킨 다음 레버에 가해진 조작력을 해제하면, 때에 따라 록킹부재(3)의 로커(3a)가 고정트랙(1)의 록킹홀(1a)에 삽입된 상태를 만족하지 못하고, 이웃하는 록킹홀(1a)들의 사이공간(S)에 밀착되어 결속되지 않은 비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경우 해당 시트를 전후로 가볍게 요동시키며 인접한 록킹홀(1a)내로 로커(3a)를 삽입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나, 이러한 경우 추돌과 같이 예기치 못한 충격이 시트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한 순간 속도(로커가 리턴스프링에 반응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에 해당)로 인하여 로커(3a)가 인접하는 록킹홀(1a)에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고 인접한 복수개의 록킹홀(1a)들을 그대로 타고 넘은 다음에서야 비로소 임의의 록킹홀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이 외부 충격발생 시 록킹부재의 정확한 결속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으로 인하여, 로커와 록킹홀의 잦은 충돌 현상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며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무엇보다 안전상의 문제가 완벽하게 고려되지 않은 작동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일예로, 도 1 (b)에서와 같은, 고정트랙의 록킹홀(1a)에 록킹부재의 로커(3a)가 완전히 일치하는 완전 록킹(full-locking) 위치에서 벗어나 로커(3a)가 록킹홀(1a)의 사이 공간(S)에 정지하게 되더라도 예기치 못한 외력으로부터 기본적인 강성 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이 있다.
도 2는 이러한 반 록킹 기능을 보이는 개념도로써, (a) 도면은 완전 록킹 상태를, (b) 도면은 반 록킹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반 록킹 작동은, 기본적으로 종래 도 1 (b)에 도시된 록킹홀(1a)의 폭(d1)에 비하여 큰 폭(d2)을 갖는 록킹홀(5a)이 형성된다. 즉, 삽입되는 로커(3a)의 폭에 비하여 큰 폭(d2)을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완전 록킹 시에는 2개의 로커(3a)가 록킹홀(5a)에 삽입됨으로써 완전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만약 완전 록킹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록킹부재가 정지할 경우, 도 1 (b)과 같이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로커(3a)는 록킹홀(5a) 내에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에 의한 의도된 충격 혹은 예기기 못한 외부 충격이 이동트랙(시트)에 발생하게 되더라도, 록킹홀(5a)에 삽입된 하나의 로커(3a)가 록킹홀(5a)의 전방 측면에 밀착되거나 혹은 후방 측면에 밀착되는 순간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다른 하나의 로커(3a)도 즉시 삽입되어 도 2 (a)와 같이 완전 록킹(full-locking)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도 1 (a)에 도시된 플레이트 타입 록킹부재를 이용하여 반 록킹 및 완전 록킹 기능을 기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종래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갖는 시트 트랙은 로커의 크기보다 큰 고정트랙의 록킹홀을 구비되게 됨으로써, 예를 들어 2개의 로커들 중 한 개의 로커는 해당 록킹홀의 전방 측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취하고, 나머지 로커는 해당 록킹홀의 후방 측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취함으로써, 완전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로커는 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력만을 부담하게 되고 나머지 로커는 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력만을 부담하게 되어, 각 로커에 많은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강성확보에 대한 충분한 고려되진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류, 시트 열의 종류, 3점식 안전벨트 등의 적용을 고려하여 시트 트랙의 허용 강도를 일정 값으로 규정하고 있는 바, 핀 타입에 비해 개별 강도 특성이 약한 플레이트 타입 로커를 이용하여 이러한 만족스러운 강도 특성을 확보하기에는 설계상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반 록킹, 완전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각 로커를 개별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의 구성과, 로커의 작동을 위한 가이드부재가 대응하여 다수개로 구비되어야 하고, 이렇게 필요로 하는 부품에 비례하여 제작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부품들을 연결하기 위한 용접, 볼팅, 리벳 등의 많은 조립 공정이 따라서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진 록킹부재의 작동 시 발생되는 기계적 작동오차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한 레버의 조작력이 과다 상승하거나 입력된 조작력에 비하여 로커의 반응성이 뒤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이러한 현상은 개별 리턴스프링에 지지된 모든 로커를 한번에 해제 구동시키는 경우 모든 로커의 동일한 반응성(동일한 직진성과 작동거리)을 구현하기에 곤란하고,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많은 부재들을 더 필요로 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록킹부재의 작동품질 저하는 록킹부재의 사용감이 누적됨에 따라 장치의 내구성을 더욱 떨어뜨리게 되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내구성의 저하로 인하여 록킹홀과 로커 간의 유격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유격으로부터 발생된 유동에 의하여 승차감을 저해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록킹장치의 부품 간소화와 모듈화를 만족하여, 부품의 제작비용이나 조립 공정 등에서 수반되는 어려움과 원가 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대적으로 강도 특성이 낮은 대신 복잡한 작동 관계를 배제할 수 있는 플레이트 타입 로커를 적용하고, 이러한 플레이트 타입 로커를 적용하더라도 반 록킹 상태에서의 안전한 강도 특성과 완전 록킹 상태에서의 우수한 강도 특성을 동시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부품의 간소화에도 불구하고 반응성이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에도 내구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차량 시트에 대해서도 그 활용성이 매우 우수한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트랙과, 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트랙, 및 상기 이동트랙에 설치되어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선택적으로 결속시키거나 결속을 해제시키는 록킹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트랙의 중앙 하면에 결합되게 전후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각 고정부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내측에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의 하단을 수평 연결하며 상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간격유지구가 형성된 수평연결부를 일체로 하는 어셈블리본체;
상기 간격유지구에 의해 형성된 사이 공간에 각기 배치되어 전후방 측면이 간격유지구의 측면에 밀착되어 수직 안내되고, 상기 수평연결부의 상면에 개재된 리턴스프링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측면에 형성된 로커가 고정트랙의 록킹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가이드홈내에 전후방 양단이 결합되어 수직가이드홈내에서 수직 안내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를 수직 이동시키는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트랙은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좌측 록킹홀과 복수개의 우측 록킹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각 록킹플레이트는,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의 양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트랙의 좌측 록킹홀에 삽입되는 좌측 로커와, 고정트랙의 우측 록킹홀에 삽입되는 우측 로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어셈블리본체, 록킹플레이트, 작동부재로 이루어진 록킹어셈블리의 각 부품을 사출 성형으로부터 최소한의 가공과 볼트 체결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부품별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제작비용의 절감과 조립 공정의 대폭적인 단축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 록킹 및 반 록킹 상태에서 기존에 비하여 높은 강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시트에 요구되는 안전상의 품질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핀 타입 로커에 비해 트랙 형태에 따른 다양한 설계 변경이 용이한 플레이트 타입 로커를 적용하고, 이러한 로커를 포함한 록킹장치가 이동트랙의 내부에 완전히 모듈화된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차량 시트 트랙에서의 적용 시 설계 유연성이 높은 장점이 발생된다.
도 1은 종래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 예시도
도 2는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에에 의한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일실시 예인 록킹장치가 적용되는 시트 트랙의 단면도
도 6은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9는 일실시 예에 의한 어셈블리본체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일실시 예에 의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보이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트랙의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일실시 예에 의한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보이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트랙의 종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4는 일실시 예에 의한 완전 록킹 상태를 스텝별로 도시한 개념도
도 15는 제2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6은 제3 실시 예인 록킹장치가 적용되는 시트 트랙의 단면도
도 17은 제3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제3 실시 예에 의한 록킹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19는 제4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는, 고정트랙(10)과 이동트랙(20) 및 록킹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고정트랙(10)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기존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갖는 시트 트랙의 고정트랙과 특별히 차이점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 예에 의한 고정트랙(10)은, 도 5에서와 같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후술될 이동트랙(20)과 레일 구조를 이루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양 측변에 일정 폭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좌측 록킹홀(11)과 우측 록킹홀(12)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측 록킹홀(11)(12)은, 기본적으로 작동성과 유격방지의 목적을 모두 효과적으로 만족하기 위하여 상협하광(上狹下廣) 구조 즉, 로커가 진입하는 입구는 폭(d)을 크게 형성하고 안쪽으로 갈수록 폭(d)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록킹홀(12)의 전방 측면(a)과 후방 측면(b)은 서로 대칭을 이루며 수직에 가까운 빗각을 이룬다.
그리고 좌우측 록킹홀(11)(12)은,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만족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로커의 전후방향 폭보다 큰 폭(d)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반 록킹 기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록킹홀(11)(12)의 크기, 형상 및 사이간격의 설계는, 대응하는 로커의 크기, 형상 및 사이간격을 전체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설계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공지된 록킹홀(11)(12)의 형상정보에 관한 상세 기술은 생략한다.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트랙(20)은 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동트랙(20) 역시 상기 고정트랙과 마찬가지로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절곡 형성된 양 측변에 상기 고정트랙(10)에 형성된 좌측 록킹홀(11)과 우측 록킹홀(12)에 각각 연이어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좌측 보조 록킹홀(21)과 우측 보조 록킹홀(22)을 포함한다. 후술될 록킹어셈블리(30)가 이동트랙(20)에 설치되어 이동트랙(20)과 항상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결국 이동트랙(20)에 형성되는 좌우측 보조 록킹홀(21)(22)은 록킹어셈블리(30)에 구비되는 좌우측 로커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며, 해당 로커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유지하여, 록킹 시 전후방 측면이 항상 해당 로커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주요 특징부인 록킹어셈블리(30)에 대해 설명한다.
록킹어셈블리(30)는 이동트랙(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역'U'자 형상의 절곡 구조를 이루는 이동트랙(20)의 안쪽 내면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록킹어셈블리(30)를 적용하기에 앞서, 종래 수평, 수직 및 회전식 등 많은 동력전달부품들의 기계적인 연결 관계로 인하여 수평, 수직 및 회전하는 동력전달의 복잡한 방향성을 최대한 배제하여, 논 볼트(Non-bolt) 체결 방식, 내구성 및 작동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고자 한 것이며,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록킹어셈블리의 입력단(65:작동단)에 작용한 수직력을 방향 전환 없이 출력단(51,52:로커)에서 그대로 수직력으로 출력하는 방식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록킹어셈블리(30)는, 어셈블리본체(40), 록킹플레이트(50) 및 작동부재(6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어셈블리본체(40)는, 록킹어셈블리(30)의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면에 결합되게 전후 양측에 수평상태로 마련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각 고정부(41)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하는 내측에 수직가이드홈(421)이 형성된 수직연장부(42)와, 상기 수직연장부(42)의 하단을 수평 연결하고 상측에는 소정의 전후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간격유지구(431)가 형성된 수평연결부(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41)는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면에 밀착되어 고정수단(35)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35)은 볼트, 리벳 등 다양한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연장부(42)에 형성된 수직가이드홈(421)은, 기본적으로 작동부재(6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수직연장부(42)의 내면으로부터 직사각형 구조로 함몰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수직가이드홈(421)에는 상단부가 측방으로 연장하여 개구되는 조립용 연통홈(423)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상기 작동부재(60)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고 신속 간결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부(43)에 형성된 간격유지구(431)는, 기본적으로 록킹플레이트(50)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써, 삽입되는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배치되게 록킹플레이트(50)의 개수와 대응하여 구성된다. 결국 간격유지구(431) 사이 공간 마다 배치되는 록킹플레이트(50)들은 전후방 측면이 간격유지구(431)의 전후방 측면에 접촉되어 수직 이동을 안내 받는다. 그리고 상면에는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 리턴스프링(70)의 하단이 삽입 안착되는 수직안내홈(432)을 포함하여 형성하여, 리턴스프링(70)의 장착 위치를 고수하여 수직방향 복원력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0)는, 어셈블리본체(40)의 간격유지구(431)에 의해 형성된 사이공간마다 배치되어 전후방 양측이 간격유지구(431)의 전후방 측면에 접촉되며, 수평연결부(43)의 상면에 개재된 리턴스프링(70)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측면에 형성된 로커(51)(52)가 고정트랙(10)의 록킹홀(11)(12)에 삽입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한다.
실시 예에 의한 록킹플레이트(50)는 기본적으로 반 록킹 기능을 만족할 수 있게 3개의 록킹플레이트(50)를 구성하고 있으며, 각 록킹플레이트(50)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각 록킹플레이트(50)는 리턴스프링(70)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60)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부(501)와, 상기 수평부(50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502)의 양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트랙의 좌측 록킹홀(11)에 삽입되는 좌측 로커(51)와, 고정트랙의 우측 록킹홀(12)에 삽입되는 우측 로커(52)로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록킹플레이트(50)에는 모두 복수개의 좌측 로커(51)와 복수개의 우측 로커(52)를 구성하고 있다. 결국 각 로커(51)(52)는 고정트랙의 록킹홀(11)(12)에 일대일로 삽입되어, 록킹 시 해당 록킹홀의 전방 측면(a)과 밀착되어 결속되거나 혹은 해당 록킹홀의 후방 측면(b)과 밀착되어 결속되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 바,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하나의 록킹플레이트(50)에 좌우 2개의 로커(51)(52)를 구성함으로써, 트랙의 전방 혹은 후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서 4개의 지지 포인트를 형성하게 되며, 나아가 이러한 지지 포인트는 트랙의 위쪽에 보았을 때 사각형 구조를 이루게 됨으로써 트랙의 비틀림 현상에 대한 강도 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물론, 강도 특성이 크게 고려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1열 구조의 록킹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6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레버(미 도시됨) 조작력을 전달받는 록킹어셈블리(30)의 입력단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상기 어셈블리본체(40)에 형성된 수직가이드홈(421)내에 전후방 양측에 형성된 안내단(62)이 결합되어 수직가이드홈(421)내에서 수직이동이 안내되고, 이동트랙(20)과 록킹어셈블리(30)의 고정 결합 시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면을 관통하여 배치되게 중앙 상면에 돌출 형성된 작동단(65)을 통해 외부 조작력을 수직으로 전달받게 되는 구조를 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의한 작동부재(60)는 하나의 평판 플레이트(61)의 사방 모서리를 절단하여 상기 수직가이드홈(421)에 삽입되는 전후 안내단(62)을 형성하고, 플레이트(61)의 중앙을 절단 절곡하여 이동트랙(2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작동단(65)을 형성하며, 좌우 양측단을 절단 절곡하여 아래로는 상기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의 상면과 균등하게 접촉되고 위로는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면에 밀착되는 보강리브(66)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작동부재(60)는 고정수단(35)을 통해 록킹어셈블리(30)가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면에 결합되기 전, 어셈블리본체(40)의 조립용 연통홈(423)을 통하여 수직가이드홈(421)의 입구에 미리 결합되고, 이후 고정수단(35)을 통하여 록킹어셈블리(30)가 이동트랙(20)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면과 접촉된 보강리브(66)의 두께 만큼 하강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작동부재(60)의 양측 안내단(62)은 수직가이드홈(42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취하게 되고 연통홈(423)을 통한 분리가 불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작동부재(6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레버 조작력을 인가받고, 어셈블리본체(40)의 개방된 중앙 상부를 폐쇄시켜 내부 탄성 지지된 록킹플레이트(5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이동트랙(20)을 중앙 수평면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2개의 작동단(65)과, 수직가이드홈(421)으로부터 수직 이동을 안내받는 전후 안내단(62)을 통하여 견고한 수직이동이 안내되고, 이러한 작동부재(60)의 견고한 수직이동은 수평부(501)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고 균등하게 면 접촉 상태를 취하고 있는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를 항해 록킹 해제 동작에 따른 균등한 가압력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보이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트랙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완전 록킹 상태에서, 도 10의 제일 우측에 도시된 한 록킹플레이트(50)의 좌우측 로커(51)(52)는 고정트랙(10)의 좌우측 록킹홀(11)(12)의 전방 측면(a)에 밀착되어 결속되어 있고, 도 10의 중앙에 도시된 한 록킹플레이트(50)의 좌우측 로커(51)(52)는 고정트랙(10)의 좌우측 록킹홀(11)(12)의 후방 측면(b)에 밀착되어 결속되어, 전체적으로 트랙의 전후방향으로 4개 포인트의 반력을 균등하게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의 제일 좌측에 도시된 나머지 한 록킹플레이트(53)의 좌우측 로커(51)(52)는 고정트랙(10)의 좌우측 록킹홀(11)(12)에 삽입되지 못한 록킹 해제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록킹 상태를 유지하는 각각의 록킹플레이트(50)는 좌우측에 복수개로 구비된 로커로 인하여 그 사각 모서리부에 사각형 구조의 반력 포인트를 형성하고 있어, 전후방향에 대한 강도 특성뿐만 아니라 트랙의 횡 방향에 대한 비틀림 강성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하게 된다.
도 12는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보이기 위해 간략히 도시한 트랙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반 록킹 상태에서는, 도 12의 제일 좌측에 도시된 한 록킹플레이트(50)의 좌우측 로커(51)(52)만이 고정트랙(10)의 좌우측 록킹홀(1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나머지 2개의 록킹플레이트(50)의 좌우측 로커(51)(52)들은 고정트랙(10)의 좌우측 록킹홀(11)(12)에 삽입되지 못한 록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반 록킹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에 의한 의도된 외력이나 예기치 못한 외부의 강한 충격이 이동트랙(20)에 기해졌을 경우, 좌우측 록킹홀(11)(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던 제일 좌측에 도시된 록킹플레이트(50)의 좌우측 로커(51)(52)가 좌우측 록킹홀(11)(12)의 전방 측면(a) 혹은 후방 측면(12b)에 접촉되는 순간 나머지 록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록킹플레이트(50)들 중 선택된 한 록킹플레이트(50)의 좌우측 로커(51)(52)가 좌우측 록킹홀(11)(12)에 삽입되는 것과 동시에 록킹홀의 반대쪽 측면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신속하게 완전 록킹 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한편, 도 14는 완전 록킹 상태를 연속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완전 록킹이 이루어지는 스텝(step)마다 록킹플레이트(50)들이 록킹과 록킹 해제 작동을 번갈아가며 이행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즉, 제2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30-1)는, 전술한 일실시 예의 록킹어셈블리(30)와 기본적으로 같은 형태를 취하되, 일실시 예에서는 3개의 록킹플레이트(50)를 구성한 것인데 반해, 제2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30-1)는 6개의 록킹플레이트(50-1)를 구성한 것에 큰 차이점에 있다.
이에 부합하여 각 록킹플레이트(50-1)를 개별 지지하기 위한 6개의 리턴스프링(70)이 준비되고 있으며, 그리고 어셈블리본체(40-1)에도 각 록킹플레이트(50-1)의 전후방 측면에 접촉하여 해당 록킹플레이트(50-1)들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간격유지구(431)들이 록킹플레이트(50-1)에 대응하는 개수로 더 구성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독립적으로 구성된 6개의 록킹플레이트(50-1)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완전 록킹 구간의 사이간격(step)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이동트랙(시트)의 전후방향 미세 조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참고로, 완전 록킹 구간의 사이간격(step)은 도 14의 (a)에 도시된 완전 록킹 상태에서 바로 다음 스텝(step)인 (b)에 도시된 완전 록킹 상태까지 이동트랙이 이동한 거리를 말한다.
예컨대, 일실시 예에서 제시된 3개의 록킹플레이트(50)의 적용 시 이동트랙의 완전 록킹 구간의 사이간격(step)이 10mm 라고 가정한다면, 제2 실시 예에 의한 6개의 독립된 록킹플레이트(50-1)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4mm 내지 5mm의 완전 록킹 구간의 사이간격(step)을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록킹 및 록킹 해제 시 어셈블리본체(40-1)를 이용한 록킹플레이트(50-1)의 안정적인 수직이동 동작과, 작동부재(60)를 이용한 록킹플레이트(50-1)들의 동시적인 록킹 해제 동작과 관련해서는 일실시 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그대로 구현하게 된다.
한편, 도 16은 도 5와 달리 좌우측이 비대칭 구조를 이루는 트랙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즉, 도시된 고정트랙(10")은 좌우가 비대칭 구조 즉,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양 측변에 일정 폭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마주하는 복수개의 좌측 록킹홀(11")과 우측 록킹홀(12")을 포함하되, 상기 좌측 록킹홀(11")과 우측 록킹홀(12")은 서로 다른 높이를 유지하고 있다. 즉, 좌측 록킹홀(11")이 우측 록킹홀(12")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동트랙(20") 역시 상기 고정트랙(10")의 좌우측 록킹홀(11")(12")과 대응하게 좌우측 보조 록킹홀(21")(22")을 서로 다른 높이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비대칭 구조의 트랙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용이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으로, 상기 도 16에 도시된 비대칭 구조의 트랙에 적용될 수 있는 록킹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3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30-2) 역시 일실시 예의 록킹어셈블리(30)와 기본적으로 같은 형태를 취하되, 도 16에 도시된 좌우측 록킹홀(11")(12")의 비대칭 구조에 대응하게 록킹플레이트(50-2)의 좌우측 로커(51)(52) 역시 비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즉, 도 18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의한 각 록킹플레이트(50-2)는,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60)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부(501)와, 상기 수평부(50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트랙(10")의 좌측 록킹홀(11")에 삽입되는 좌측 로커(51)와, 상기 수평부(501)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502)의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트랙(10")의 우측 록킹홀(12")에 삽입되는 우측 로커(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 실시 예의 록킹 및 해제 동작과 관련해서는 일실시 예와 동일한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즉, 도 15를 통한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 상기 비대칭 구조의 트랙에 적용되는 제3실시 예에 의한 록킹플레이트(50-2)의 경우에도 하나의 좌우측 로커(51)(52)만으로 구성된 록킹플레이트(50-3)의 적용에 무리가 없다.
이러한 제4 실시 예와 관련한 작용 효과는 도 15에 도시된 제2실시 예에 대응하는 작용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관련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고정트랙 (11) : 좌측 록킹홀
(12) : 우측 록킹홀 (20) : 이동트랙
(21) : 좌측 보조 록킹홀 (22) : 우측 보조 록킹홀
(30),(30-1),(30-2),(30-3) : 록킹어셈블리
(40),(40-1),(40-3) : 어셈블리본체
(41) : 고정부 (42) : 수직연장부
(421) : 수직가이드홈 (423) : 조립용 연통홈
(43) : 수평연결부 (431) : 간격유지구
(50),(50-1),(50-2),(50-3) : 록킹플레이트
(501) : 수평부 (502) : 수직부
(51) : 좌측 로커 (52) : 우측 로커
(60) : 작동부재 (62) : 안내단
(65) : 작동단 (66) : 보강리브
(70) : 리턴스프링

Claims (5)

  1.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트랙과, 시트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트랙, 및 상기 이동트랙에 설치되어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을 선택적으로 결속시키거나 결속을 해제시키는 록킹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상기 이동트랙의 중앙 하면에 결합되게 전후 양측에 마련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각 고정부(41)로부터 수직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내측에 수직가이드홈(421)이 형성된 수직연장부(42)와, 상기 수직연장부(42)의 하단을 수평 연결하며 상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간격유지구(431)가 형성된 수평연결부(43)를 일체로 하는 어셈블리본체(40),
    상기 간격유지구(431)에 의해 형성된 사이 공간에 각기 배치되어 전후방 측면이 간격유지구(431)의 측면에 밀착되어 수직 안내되고, 상기 수평연결부(43)의 상면에 개재된 리턴스프링(70)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측면에 형성된 로커(51)(52)가 고정트랙의 록킹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 및
    상기 수직가이드홈(421)내에 전후방 양단이 결합되어 수직가이드홈(421)내에서 수직 안내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를 수직 이동시키는 작동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트랙은 동일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좌측 록킹홀(11)과 복수개의 우측 록킹홀(12)을 포함하며,
    상기 각 록킹플레이트(50)는,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60)의 하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수평부(501)와, 상기 수평부(501)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502)의 양 끝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고정트랙의 좌측 록킹홀(11)에 삽입되는 좌측 로커(51)와, 고정트랙의 우측 록킹홀(12)에 삽입되는 우측 로커(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본체(40)에는, 수직가이드홈(421)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된 조립용 연통홈(423)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작동부재(60)가 수직가이드홈(421)의 측방에서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60)는, 상기 수직가이홈(421)에 결합되는 전후방 안내단(62)을 포함하여 플레이트 형상을 이루며, 좌우 양측에는 상기 복수개의 록킹플레이트(50)의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리턴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트랙의 중앙 수평면과 접촉되는 보강리브(66)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본체(40)에는, 수평연결부(43)의 상면에 리턴스프링(70)의 하단이 삽입 안착되는 수직안내홈(432)이 일체로 형성되어, 리턴스프링(70)의 수직방향 복원력을 안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20120013742A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3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42A KR101330026B1 (ko)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42A KR101330026B1 (ko)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76A true KR20130092176A (ko) 2013-08-20
KR101330026B1 KR101330026B1 (ko) 2013-11-26

Family

ID=4921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42A KR101330026B1 (ko)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02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9897A (zh) * 2017-09-12 2018-01-19 福建南铝车辆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座椅轨道
CN108284773A (zh) * 2017-01-09 2018-07-17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纵向调节器及车辆座椅
US10266074B2 (en) 2011-10-17 2019-04-2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KR20190078362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US11225173B2 (en) 2020-02-12 2022-01-1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EP3995355A1 (de) * 2020-11-04 2022-05-11 Sitech Sp. z o.o.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 sitzschiene
CN115000608A (zh) * 2022-06-24 2022-09-02 绍兴市越慈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的bms组件安装结构
KR20220135882A (ko) * 2021-03-31 2022-10-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388B1 (ko) 2019-06-13 2021-03-11 대원정밀공업(주) 대칭형 시트 트랙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36221C1 (de) 1994-10-11 1996-02-22 Keiper Recaro Gmbh Co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Fahrzeugsitze
JP3489669B2 (ja) 1999-06-10 2004-01-2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機構
US6637712B1 (en) 2002-05-17 2003-10-2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seat track lock mechanism with positive engagement
KR100610431B1 (ko) *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6074B2 (en) 2011-10-17 2019-04-2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US20190241098A1 (en) * 2011-10-17 2019-08-0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US10500987B2 (en) * 2011-10-17 2019-12-10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US10703228B2 (en) 2011-10-17 2020-07-07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CN108284773A (zh) * 2017-01-09 2018-07-17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纵向调节器及车辆座椅
CN108284773B (zh) * 2017-01-09 2020-08-28 安道拓工程技术知识产权有限公司 纵向调节器及车辆座椅
CN107599897B (zh) * 2017-09-12 2024-02-23 福建省华银铝业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座椅轨道
CN107599897A (zh) * 2017-09-12 2018-01-19 福建南铝车辆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座椅轨道
KR20190078362A (ko) * 2017-12-26 2019-07-0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US11225173B2 (en) 2020-02-12 2022-01-1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EP3995355A1 (de) * 2020-11-04 2022-05-11 Sitech Sp. z o.o.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eine sitzschiene
KR20220135882A (ko) * 2021-03-31 2022-10-07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US11731536B2 (en) 2021-03-31 2023-08-22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Locking apparatus of seat rail for vehicle
CN115000608A (zh) * 2022-06-24 2022-09-02 绍兴市越慈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的bms组件安装结构
CN115000608B (zh) * 2022-06-24 2024-05-28 绍兴市越慈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的bms组件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026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26B1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856697B1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201654B1 (ko) 시트 트랙 록킹장치
KR101230850B1 (ko) 자동차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JP6217501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6471610B2 (ja) スライドレール
US10850642B2 (en) Seat slide device
CN102795122A (zh) 座椅滑动锁定装置
KR101042306B1 (ko)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CN100460241C (zh) 车用座椅滑动装置
KR101200123B1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221652B1 (ko) 차량 시트 트랙
AU2004316797A1 (en) Seat belt device
CN216861229U (zh) 一种座椅调节结构和座椅总成
JP2016094102A (ja) スライドレール
KR101507379B1 (ko) 강도 안전성을 개선한 시트 트랙
KR101371947B1 (ko) 저단 피치 잠금 구현 타입 시트 록킹 장치
KR100472187B1 (ko) 고강성 차량용 리클라이너
KR100492685B1 (ko) 물림강성이 보강된 차량용 시트리클라이너
KR200227060Y1 (ko) 자동차 시트로킹시스템의 로크
KR102419986B1 (ko) 헤드레스트 모듈
JP2017144867A (ja) スライドレール
JP7386602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743626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291428Y1 (ko) 고강성 차량용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