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697B1 -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697B1
KR101856697B1 KR1020120013744A KR20120013744A KR101856697B1 KR 101856697 B1 KR101856697 B1 KR 101856697B1 KR 1020120013744 A KR1020120013744 A KR 1020120013744A KR 20120013744 A KR20120013744 A KR 20120013744A KR 101856697 B1 KR101856697 B1 KR 101856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ockers
plate
holes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2177A (ko
Inventor
심재원
이종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2001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6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 록킹을 포함한 록킹/해제 장치의 간소화와 더불어 우수한 강도 특성을 동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시소형 록킹플레이트 구동방식을 이용한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좌우 비대칭 구조의 록킹홀을 구비하는 고정트랙을 구성하고, 록킹플레이트의 좌우에 형성된 다수개의 로커가 일괄하여 사기 비대칭 구조의 좌우 록킹홀에 삽입됨으로써 완전 록킹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완전 록킹 위치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에는 시소형 구동방식을 갖는 록킹플레이트의 좌우에 형성된 다수개의 로커들 중, 선택된 일측 로커들만이 록킹홀에 삽입되어 정확한 반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Seat track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된 고정트랙에 대하여 시트와 결합된 이동트랙을 결속시키거나 그 결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득이하게 시트와 결합된 이동트랙이 올바른 결속위치를 벗어난 구간에 머무르게 되더라도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 강성 확보와 올바른 결속 위치를 신속하게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하거나 차량 내 공간 활용을 위하여 시트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다양한 기능들이 포함되며, 그러한 기능 중 시트의 위치를 차량의 전후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차량 전후로 시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는 차체에 트랙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으로서, (a) 도면은 록킹부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횡 단면도를, (b) 도면은 록킹 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시트 트랙 록킹 장치는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트랙(1)과, 상기 고정트랙(1)에 결합되며 시트와 연결되어 시트와 함께 고정트랙(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트랙(2)과, 상기 이동트랙(2)에 설치되어 이동트랙(2)과 함께 이동하며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을 선택적으로 결속하여 이동트랙(2)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이동트랙(2)을 잠금 위치에 정지시키거나 잠금 위치에 있는 이동트랙(2)의 구속을 해제하는 록킹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트랙(1)에는 록킹부재(3)에 형성된 로커(3a)가 삽입될 수 있게 로커(3a)와 대응하는 다수개의 록킹홀(1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록킹부재(3)에 형성된 로커(3a)가 고정트랙(1)의 록킹홀(1a)에 삽입됨으로써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의 결속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시트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반대로 록킹부재(3)에 형성된 로커(3a)가 고정트랙(1)의 록킹홀(1a)로부터 이격(도면에서는 하강)됨으로써 고정트랙(1)과 이동트랙(2)의 결속이 해제되고 이로 인해 시트의 비 잠금 상태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록킹부재는 로커의 구동방식에 따라서 회전식, 수직이동식, 수평이동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고, 또 로커의 형상에 따라 플레이트 타입과, 핀 타입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로커를 포함한 록킹부재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트랙과 이동트랙에 형성되는 록킹홀의 구조 역시 따라서 결정된다.
한편, 로커가 삽입 결속되는 고정트랙의 록킹홀은, 고정트랙의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폭과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 때에 따라 로커가 이웃하는 록킹홀의 사이구간에 위치하는 비 잠금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보통 이때에는 사용자가 비 잠금 상태의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가볍게 요동시키며 로커를 인접한 록킹홀에 삽입시켜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완전 록킹(full- locking) 상태를 쉽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한 의도된 록킹 해제 상태가 아닌 록킹홀의 사이영역에 로커가 머무르게 되는 비 잠금 상태에서, 추돌과 같이 예기치 못한 충격이 시트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한 순간 속도(로커가 리턴스프링에 반응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인하여 로커가 인접하는 록킹홀에 제대로 삽입되지 못하고 여러 개의 록킹홀들을 그대로 타고 넘은 다음 임의의 록킹홀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완전 록킹 전 일시적인 비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일시적인 비 잠금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록킹 해제 조작력이 배제된 경우에는 상시(常時)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른바,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가지는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이러한 반 록킹 기능을 보이는 개념도로서, (a) 도면은 완전 록킹 상태를, (b) 도면은 반 록킹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반 록킹 작동은, 기본적으로 종래 도 1 (b)에 도시된 록킹홀(1a)의 폭(d1)에 비하여 큰 폭(d2)을 갖는 록킹홀(5a)이 형성된다. 즉, 삽입되는 로커(3a)의 폭에 비하여 큰 폭(d2)을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완전 록킹 시에는 2개의 로커(3a)가 록킹홀(5a)에 삽입됨으로써 완전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만약 완전 록킹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록킹부재가 정지할 경우, 도 1 (b)과 같이 록킹이 완전히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로커(3a)는 록킹홀(5a) 내에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에 의한 의도된 충격 혹은 예기기 못한 외부 충격이 이동트랙(시트)에 발생하게 되더라도, 록킹홀(5a)에 삽입된 하나의 로커(3a)가 록킹홀(5a)의 전방 측면에 밀착되거나 혹은 후방 측면에 밀착되는 순간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다른 하나의 로커(3a)도 즉시 삽입되어 도 2 (a)와 같이 완전 록킹(full-locking)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도 1 (a)에 도시된 플레이트 타입 록킹부재를 이용하여 반 록킹 및 완전 록킹 기능을 기술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첫째, 록킹부재에 필요로 하는 많은 부품수로 인하여 트랙 구조의 조립이 복잡하고 제작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핀 타입 로커와 각 로커를 개별 지지하는 리턴스프링과, 핀 타입 로커의 직진성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 등 필요로 하는 부품에 비례하여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 이처럼 많은 부품의 조립체로 이루어진 록킹부재는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바, 차체와 시트 사이 공간의 한정된 공간이 제공되는 상황에서 그 조립성이 떨어지고, 적용 가능한 차량 시트가 매우 제한적이다.
둘째, 고정트랙의 록킹홀과 로커 간 발생되는 강성확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수반되어야 한다.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갖는 록킹장치는 2개의 로커들 중 한 개의 로커는 해당 록킹홀의 전방 측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취하고, 나머지 로커는 해당 록킹홀의 후방 측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를 동시적으로 취함으로써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다시 말해 하나의 로커는 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력만을 부담하게 되고 나머지 로커는 후방으로 가해지는 충격력만을 부담하게 되어, 방향별로 강도 특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강도 특성과, 장치의 간소화로부터 제작 시 원가절감과 조립성, 그리고 작동성과 내구성 등에 대한 상호적인 품질 향상을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 록킹을 포함한 록킹/해제 장치의 간소화와 더불어 우수한 강도 특성을 동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플레이트 타입의 로커와 고정트랙에 형성된 록킹홀 간 결속방식을 개선하여 복잡한 작동부재를 배제할 수 있는 플레이트 타입 로커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반 록킹 및 완전 록킹 상태에서 우수한 강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기본적으로 상하 수직형 록킹/해제 구동방식을 채택함에 있어, 시소(seesaw)형의 반 록킹 구동방식을 구현함으로써 대폭적인 부품 간소화와 간결한 록킹/반 록킹/해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 측변에 다수개의 제1 록킹홀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 보다 큰 폭을 갖는 다수개의 제2 록킹홀이 형성된 고정트랙;
상기 고정트랙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좌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3 록킹홀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2 록킹홀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4 록킹홀이 형성된 이동트랙; 및
상기 이동트랙에 설치되며, 상기 제1,3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와, 상기 제2,4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좌측로커는 제1,3 록킹홀에 모두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우측로커는 제2,4 록킹홀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구현하는 제1,2 록킹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록킹어셈블리를 구성하되, 상기 제1,2 록킹플레이트는 이동트랙이 완전 록킹 상태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정지한 경우, 제1,2 록킹플레이트들 중 어느 한 록킹플레이트에 구비된 우측로커들이 이웃하는 제2,4 록킹홀에 각기 삽입되어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구현하도록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좌 측변에 다수개의 제1 록킹홀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 록킹홀이 형성된 고정트랙;
상기 고정트랙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좌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3 록킹홀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2 록킹홀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4 록킹홀이 형성된 이동트랙; 및
상기 이동트랙에 설치되며, 상기 제1,3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와, 상기 제2,4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좌측로커는 제1,3 록킹홀에 모두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우측로커는 제2,4 록킹홀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구현하는 록킹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록킹어셈블리를 구성하되, 상기 록킹플레이트는 이동트랙이 완전 록킹 상태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정지한 경우, 상기 좌측로커들과 우측로커들 중 선택된 일측의 로커가 제1,3 록킹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2,4 록킹홀에 삽입되어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구현하도록 설치 구성된 것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록킹어셈블리는, 상기 제1,3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와, 상기 제2,4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를 구비하는 제1 록킹플레이트; 상기 제1 록킹플레이트와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3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와, 상기 제2,4 록킹홀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를 구비하는 제1 록킹플레이트; 상기 제1 록킹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이동트랙을 연결하여 제1 록킹플레이트를 록킹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 탄성지지부재; 상기 제2 록킹플레이트의 중앙부와 이동트랙을 연결하여 제2 록킹플레이트를 록킹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2 탄성지지부재; 및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 탄성지지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제1,2 록킹플레이트를 동시에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시키는 레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 타입의 로커를 채택함에 있어 대폭적인 부품의 간소화에도 불구하고, 완전 록킹 뿐만 아니라 반 록킹 상태에 신속 정확한 록킹/해제 동작과 함께 우수한 강도 특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어, 원가 절감과 조립성의 향상 및 신속 간결한 조작 성능의 대폭적인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단면 예시도
도 2는 종래 반 록킹(half-locking) 기능을 보이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일실시 예에 의한 고정트랙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선 단면도
도 8은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트랙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E-E선 단면도
도 11은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2는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로써, 일실시 예에 의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보이는 것임
도 14는 도 13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로써, 일실시 예에 의한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보이는 것임
도 16은 도 15의 G-G선 및 H-H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일실시 예에 의한 트랙의 횡단면도로서, 록킹 해제(unlocking) 상태를 보이는 것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고정트랙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B'-B'선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C'-C'선 단면도
도 21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트랙의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D'-D'선 단면도
도 23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4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로써,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보이는 것임
도 26은 도 25의 E'-E'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7은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로써,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보이는 것임
도 28은 도 27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9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트랙의 횡단면도로서, 록킹 해제(unlocking) 상태를 보이는 것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시트 트랙 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는 고정트랙(10)과, 시트와 결합되는 이동트랙(20) 및 상기 이동트랙(20)에 설치되어 고정트랙(10)과 이동트랙(20)을 선택적으로 록킹 및 해제시키는 록킹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어셈블리(30)는 트랙 구조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기 위한 록킹어셈블리(30)의 작동핀(350)이 이동트랙(2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조작레버와 연결되어 록킹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고정트랙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트랙(10)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단면 구조에 있어서 종래와 특별히 차이점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고정트랙(10)은 좌우 측변(101,102)에 각각 다수개의 록킹홀을 구성하되, 좌 측변(101)에 형성된 제1 록킹홀(11)과 우 측변(102)에 형성된 제2 록킹홀(12)이 서로 비대칭 구조를 이룬다는 점에서 큰 차이점이 있다.
즉, 실시 예에 의하면 고정트랙(10)의 좌 측변(101)에는 일정한 폭(d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의 제1 록킹홀(11)이, 그리고 우 측변(102)에도 일정한 폭(d2)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개의 제2 록킹홀(12)이 형성하되, 이러한 제1 록킹홀(11)과 제2 록킹홀(12)은 서로 마주하며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록킹홀(12)은 제1 록킹홀(11) 보다 큰 폭(d1<d2)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다수개의 제1 록킹홀(11)은, 삽입되는 로커와 대응하는 폭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1 록킹홀(11)은 반 록킹(half-locking)을 만족하기 위한 가공조건이 고려되지 않은 형태를 따른다.
반면 다수개의 제2 록킹홀(12)은, 삽입되는 로커보다 큰 폭을 유지하는 것으로,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반 록킹을 만족하기 위한 가공조건이 고려된 형태를 따른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이동트랙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동트랙(20)은 시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트랙(10)에 결합되어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 역시 단면 구조에 있어서 종래와 특별히 차이점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이동트랙(20)의 좌 측변(201)에는 고정트랙(10)의 제1 록킹홀(11)과 연이어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3 록킹홀(21)이 형성되고, 우 측변(202)에도 고정트랙(10)의 제2 록킹홀(12)과 연이어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4 록킹홀(22)이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록킹어셈블리(30)가 이동트랙(20)에 설치되어 이동트랙(20)과 항상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인바, 록킹어셈블리(30)에 구비되는 좌측로커(301: 도 12 참조)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제3 록킹홀(21)이 형성되고, 우측로커(302: 도 12 참조)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제4 록킹홀(22)이 형성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3,4 록킹홀(21,22)은 록킹 시 삽입되는 해당 로커의 폭에 대응하는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것으로, 록킹 시 로커의 전후방 측면이 제3,4 록킹홀(21,22)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록킹어셈블리(30)는 이동트랙(20)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구동방식에 있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수직방향으로 전달받아 로커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타입 구동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즉, 록킹어셈블리(30)에는 상기 제1,3 록킹홀(11,21)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301)가 구비되고, 상기 제2,4 록킹홀(12,22)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302)가 구비된다.
여기서, 좌, 우측로커(301,302)가 이동트랙(20)의 제3,4 록킹홀(21,22)과 고정트랙(10)의 제1,2 록킹홀(11,12)로부터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록킹 해제된 상태를 취하고, 상부로 이동하여 이동트랙(20)의 제3,4 록킹홀(21,22)과 고정트랙(10)의 제1,2 록킹홀(1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이동트랙(20)이 정지하는 경우, 다시 말해 록킹어셈블리(30)의 좌측로커(301)가 제1,3 록킹홀(11,21)에 일대일 대응되진 못해 삽입되지 못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우측로커(302)를 이용하여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록킹어셈블리(30)는, 고정트랙(10)의 제1,2 록킹홀(11,12)과 이동트랙(20)의 제3,4 록킹홀(21,22)은 동일한 높이에서 유지하고 있고, 그리고 고정트랙(10)의 좌측에 배치된 제1 록킹홀(11)과 우측에 배치된 제2 록킹홀(12)의 폭 형상이 서로 비대칭 조건을 이루고 있는 바, 이러한 조건에서 록킹어셈블리(30)의 반 록킹 상태를 만족하기 위한 좌측로커(301)와 우측로커(302)의 시소형 구동방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록킹어셈블리(30)는 제1 록킹플레이트(31), 제2 록킹플레이트(33), 제1 탄성지지부재(32), 제2 탄성지지부재(34) 및 레버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는, 기본적으로 판 형상을 이루며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트랙(20)의 좌 측변(201)과 우 측변(202)에 좌우 양단이 접촉되어 안내되는 구조를 이룬다.
제1 록킹플레이트(31)는 제1,3 록킹홀(11,2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좌측로커(310)가 좌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2,4 록킹홀(12,2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1 우측로커(311)가 우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3개의 제1 좌측로커(310)와 2개의 제2 우측로커(311)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록킹플레이트(33) 역시 제1,3 록킹홀(11,2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좌측로커(320)가 좌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2,4 록킹홀(12,2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2 우측로커(321)가 우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록킹플레이트(31)는 제1 탄성지지부재(32)로, 제2 록킹플레이트(33)는 제2 탄성지지부재(34)를 매개로 이동트랙(20)에 연결 설치된다.
제1,2 탄성지지부재(32,34)는 기본적으로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상향 지지하여 양측 로커(301,302)가 록킹홀에 삽입된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그리고 별도의 핀 구조가 배제된 탄성지지부재만으로 상기 이동트랙(20)에 연결되어 있어, 탄성력을 극복하여 제1,2 록킹플레이트(31,33)가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측 로커(301,302)가 시소와 같은 회전운동을 만족하게 한다.
즉, 제1 탄성지지부재(32)는 일단이 상기 이동트랙(20)의 중앙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중앙부와 결합되며, 마찬가지 제2 탄성지지부재(34)는 일단이 상기 이동트랙(20)의 중앙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중앙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1,2 탄성지지부재(32,34)는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상부로 당겨주는 수직방향 탄성력을 보유하고 더불어 반 록킹 상태에서 좌측로커(310,320)는 제1 록킹홀(11)에 삽입되지 못한 상태에서 우측로커(311,321)가 제2 록킹홀(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 횡 방향에 대한 탄성 복원력이 함께 보유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 의한 제1,2 탄성지지부재(32,34)는 코일스프링의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이동트랙(20)의 중앙 수평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결합되되고, 하단은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중앙부에 형성된 체결공(31a,33a)에 직접 결합될 수 있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구형의 결합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결합단은 후크 등의 다른 고정수단에 의해 록킹플레이트와 이동트랙에 각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의하면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에 각각 대응하여 각 록킹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1개씩의 제1,2 탄성지지부재(32,34)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록킹플레이트의 회전 중심부인 트랙의 중앙 길이를 따라 다수개로 설치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버플레이트(35)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하향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작동부재로써, 상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상면에 동일한 면적으로 면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판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레버플레이트(35)는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향해 탄성 가압된 상태로 설치 구성됨이 좋다. 이는 하향으로 탄성 지지된 레버플레이트(35)가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상부면에 균등하게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록킹 및 반 록킹 상태에서 제1,2 록킹플레이트(31,33)가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떨림 현상이 발생됨을 예방하므로 견고한 록킹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며, 더불어 사용자의 조작력이 레버플레이트(35)로 전달되는 동시에 탄성력의 도움으로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신속한 록킹 해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는 작동 향상의 효과도 발생된다.
이러한 레버플레이트(35)는 단지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위치안정화를 위해 면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족하며, 과도한 탄성력을 부여할 경우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탄성 복원력을 저해시키고 이로 인해 록킹어셈블리(30)의 록킹/해제 작동성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레버플레이트(35)는 중앙 상면에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는 작동핀(350)이 결합되며, 이동트랙(20)과 레버플레이트(35)의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플레이트(35)를 하향 이격시키는 스프링(36)으로 구성하였다.
도 12의 미 설명 부호 '35a'는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위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형성된 "관통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과 도 14는 일실시 예에 의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도 15와 도 16은 일실시 예에 의한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도 17은 일실시 예에 의한 록킹 해제(unlocking)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에서,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는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상향 복원력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최대 상승한 상태를 이루고, 도 14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는 레버플레이트(35)는 하향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36)에 의해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상면에 면 접촉한 상태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좌측로커(301)들은 모두 제1,3 록킹홀(11,21)에 삽입되어 완전 록킹 즉, 전후방 측면이 제1,3 록킹홀(11,21)의 전후방 측면(11a,11b)과 모두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우측로커(302)들은 제2,4 록킹홀(12,22)에 삽입되어 완전 록킹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제1 우측로커(311)들은 제2 록킹홀(12)의 전방 측면(12a)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면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제2 우측로커(321)들은 제2 록킹홀(12)의 후방 측면(12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6개의 좌측로커(310,320)들은 이동트랙(20)의 제3 록킹홀(21)과 고정트랙(10)의 제1 록킹홀(11)에 의해 각기 전후방 측면이 모두 접촉되어 이동트랙(20) 전후방향 이동을 모두 구속한다.
반면, 4개의 우측로커(311,321)들 중, 제1 록킹플레이트(31)에 구성된 2개의 제2 우측로커(311)들은 이동트랙(20)의 제4 록킹홀(22)에는 전후방 측면이 모두 접촉되지만 고정트랙(10)의 제2 록킹홀(12)에는 전방 측면만이 접촉되어 있고, 그리고 제2 록킹플레이트(33)에 구성된 2개의 제2 우측로커(321)들은 이동트랙(20)의 제4 록킹홀(22)에는 전후방 측면이 모두 접촉되지만 고정트랙(10)의 제2 록킹홀(12)에는 후방 측면만이 접촉되어 있다.
결국,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좌우측 모든 로커(310,311)들과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제2 좌측로커(320)들을 통하여 이동트랙(20)의 전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분담 부담하고, 이와 대칭하여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좌우측 모든 로커(320,321)들과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제1 좌측로커(310)들을 통하여 이동트랙(20)의 후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부담하기 때문에, 시트의 전후방향에 대한 강한 하중으로부터 우수한 강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2열의 결속 조건을 유지하기 때문에 횡 방향으로 비틀림 강도 특성 역시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록킹 해제(Unlocking) 상태에서, 레버플레이트(35)와 결합된 작동핀(350)을 하향시키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면, 레버플레이트(35)는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수평상태의 레버플레이트(35)와 균등한 면 접촉 상태를 이루는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는 기울어짐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하향 이동하게 되며, 결국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좌측로커(301)들과 우측로커(302)들은 제1,3 록킹홀(11,21)과 제2,4 록킹홀(12,22)로부터 하부로 이격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이렇게 록킹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플레이트(35)는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상면에 대해 넓은 면적에 걸쳐 면 접촉 상태를 이루고, 제1,2 록킹플레이트(31,33)가 서로 균등하게 레버플레이트(35)와 면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제1,2 탄성지지부재(32,34)를 중심으로 제1,2, 록킹플레이트(31,33)기 전후, 좌우로 기울어지거나 떨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5 및 도16을 참조하면, 반 록킹(half-locking) 상태 즉, 사용자의 조작력이 해제되면, 전술한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완전 록킹 상태를 바로 유지할 수 있으나, 도 15에서와 같이 대부분 이동트랙(20)은 완전 록킹 상태에서 벗어난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흔히 이러한 경우에는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의 좌측로커(301)와 우측로커(302)들은 이동트랙(20)의 제3,4 록킹홀(21,22)을 관통하여 고정트랙(10)의 제1,2 록킹홀(11,12)에 삽입되지 못하고 록킹 해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때,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들은 제1,2 탄성지지부재(32,34)로부터 그 중앙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제1 록킹홀(11)과 달리 큰 폭을 유지하고 있는 제2 록킹홀(12)에 의하여, 다수개의 우측로커(302)들 중 선택된 일부의 우측로커(321: 제2 우측로커)들은 제2 록킹홀(1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5와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제1 좌측로커(310)들과 제1 우측로커(311)들은 제1 록킹홀(11)과 제2 록킹홀(12)에 삽입되지 못하는 록킹 해제 상태가 유지되는 반면,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제2 좌측로커(320)들은 제1 록킹홀(11)에 삽입되지 못하지만 제2 우측로커(321)들은 제2 록킹홀(12)에 삽입된 상태를 취하고 있다. 이때,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제2 탄성지지부재(34)에 의해 상향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2 록킹플레이트(33)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반 록킹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1 스텝(step)의 록킹 구간을 이동한 반 록킹 상태에서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2 록킹플레이트(33)가 록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제1 좌측로커(310)들은 제1 록킹홀(11)에 삽입되지 못하지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진 제1 우측로커(311)들은 제2 록킹홀(12)에 삽입된 반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록킹 스텝(step) 사이 구간에서 발생되는 반 록킹 상태는, 도 16에서와 같이, 제1 록킹플레이트(31)와 제2 록킹플레이트(33)중 어느 한 플레이트는 록킹 해제 상태(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한 플레이트는 반 록킹 상태(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작동을 록킹 스텝(step) 사이 구간마다 서로 번갈아 가며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반 록킹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의도된 조작력이나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이 시트에 작용하는 경우, 이동트랙(20)은 제2 록킹홀(12)의 폭 범위 내에서만 이동이 제한되고, 결국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제2 우측로커(321)가 제2 록킹홀(12)의 전방 측면 혹은 후방 측면과 접촉되는 순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쪽 제2 탄성지지부재(34)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좌측로커(320)가 제1 록킹홈(11)내로 삽입되어 록킹되고, 동시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던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제1 좌측로커(310)와 제2 좌측로커(311)가 모두 제1,2 록킹홈(11,12)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완전 록킹 상태를 신속히 유지하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고정트랙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고정트랙(100)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 좌 측변(1001)에는 다수개의 제1 록킹홀(110)을, 우 측변(1002)에는 다수개의 제2 록킹홀(120)이 비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록킹홀(110)과 제2록킹홀(120)은 동일한 폭(d2)을 가지면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비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2 록킹홀(110,120)의 폭(d2)은 삽입되는 로커보다 큰 폭을 유지하는 것으로,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 반 록킹을 만족하기 위한 가공조건이 고려된 형태를 따른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트랙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동트랙(200)은 전술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동트랙(20)의 좌 측변(2001)에는 고정트랙(100)의 제1 록킹홀(110)과 연이어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3 록킹홀(210)이 형성되고, 우 측변(2002)에도 고정트랙(100)의 제2 록킹홀(120)과 연이어 관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제4 록킹홀(220)이 형성된다.
전술한 일실시 예와 달리 좌 측변(2001)에 형성된 제3 록킹홀(210)과 우 측변(2002)에 형성된 제4 록킹홀(220)이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후술될 록킹어셈블리(40)가 이동트랙과 항상 함께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인바, 록킹어셈블리(40)에 구비되는 좌측로커(401)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제3 록킹홀(210)이 형성되고, 우측로커(40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의 제4 록킹홀(220)이 형성되는 것으로 큰 의미는 없다.
이렇게 이동트랙(200)에 형성되는 제3,4 록킹홀(210,220)은 록킹 시 삽입되는 해당 로커의 폭에 대응하는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것으로, 록킹 시 로커의 전후방 측면이 제3,4 록킹홀(210,220)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어셈블리(40)는 록킹플레이트(41)와 탄성지지부재(42) 및 레버플레이트(45)를 포함하여서 구성된다.
즉, 전술한 일실시 예에서는 2개의 록킹플레이트를 제시한 것과 달리 다른 실시 예서는 일체형을 이루는 한 록킹플레이트(41)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구성상의 큰 차이가 있다.
록킹플레이트(41)는 이동트랙(200)의 좌 측변(2001)과 우 측변(2002)에 좌우 양단이 접촉되어 안내되는 구조를 이루며, 제1,3 록킹홀(110,21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401)가 좌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제2,4 록킹홀(120,22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402)가 우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실시 예에서 4개의 좌측로커(401)와 4개의 우측로커(402)를 도시하고 있으나, 그 이상의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플레이트(41) 역시 탄성지지부재(42)를 매개로 이동트랙(20)에 연결 설치된다.
일실시 예와 마찬가지 탄성지지부재(42)는 일단이 이동트랙(200)의 중앙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록킹플레이트(41)의 중앙부와 결합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에 비하여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록킹플레이트(41)를 연결하기 위하여 2개의 탄성지지부재(42)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재(42)는 일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과 작동을 가지는 것으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 록킹플레이트(41)의 상부를 스프링(46) 탄성력으로 밀착 가압하도록 하는 레버플레이트(45)의 구성과 작동에 관한 설명 역시 일실시 예와 중복되어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5와 도 26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도 27과 도 28은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도 29는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록킹 해제(unlocking)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에서, 록킹플레이트(41)는 탄성지지부재(42)의 상향 복원력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최대 상승한 상태를 이루고, 도 28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지 않는 레버플레이트(45)는 하향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46)에 의해 록킹플레이트(41)의 상면에 면 접촉한 상태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록킹플레이트(41)의 좌측로커(401)들은 모두 제1,3 록킹홀(110,210)에 삽입되어 완전 록킹 즉, 전후방 측면이 제1,3 록킹홀(110,210)의 전후방 측면과 모두 접촉된 상태를 이루며, 그리고 록킹플레이트(41)의 우측로커(402)들은 제2,4 록킹홀(120,220)에 삽입되어 완전 록킹 상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록킹플레이트(41)의 좌측로커(401)들은 제1 록킹홀(110)의 전방 측면(110b)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면 우측로커(402)들은 제2 록킹홀(120)의 후방 측면(120a)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록킹플레이트(41)의 좌측로커(401)들은 이동트랙(20)의 전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부담하고, 우측로커(402)들은 이동트랙(20)의 후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부담하기 때문에, 시트의 전후방향에 대한 강한 하중으로부터 우수한 강도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2열의 결속 조건을 유지하기 때문에 횡 방향으로 비틀림 강도 특성 역시 효과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29를 참조하면, 록킹 해제(Unlocking) 상태에서, 레버플레이트(45)와 결합된 작동핀(450)을 하향시키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전달되면, 레버플레이트(45)를 탄성지지부재(42)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며 록킹플레이트(41)를 하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록킹 해제 동작은 전술한 일실시 예와 동일한 작동을 구현하는 것으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반 록킹(half-locking) 상태에서, 록킹플레이트(41)들은 탄성지지부재(42)로부터 그 중앙부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동트랙(20)에 결합되어 있고, 삽입되는 로커에 비하여 큰 폭을 형성하고 있는 제1,2 록킹홀(110,120)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이유로, 상기 좌측로커(401)와 우측로커(402)들 중, 어느 한쪽의 로커들은 제1 록킹홀(110) 혹은 제2 록킹홀(120)에 항상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플레이트(41)의 좌측로커(401)들은 고정트랙(100)의 제1 록킹홀(110)에 삽입된 상태를 취하는 반면, 우측로커(402)들은 고정트랙(10)의 제2 록킹홀(120)에 삽입되지 못하는 록킹 해제 상태를 취하고 있다. 이때,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탄성지지부재(42)에 의해 상향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된 록킹플레이트(4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반대로 이동트랙(20)의 정지위치에 따라 좌측로커(401)들이 제1 록킹홀(110)에 삽입되지 못한 록킹 해제 상태를 취하고, 우측로커(402)들은 제2 록킹홀(120)에 삽입된 상태를 취하는 반 록킹 상태에서는 록킹플레이트(41)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27을 참조하면, 이러한 반 록킹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의도된 하중이나 예기치 못한 외부 충격이 시트에 작용하는 경우, 이동트랙(200)은 제1 록킹홀(110)의 폭 범위 내에서의 이동이 제한되고, 결국 록킹플레이트(41)의 좌측로커(401)가 제1 록킹홀(110)의 전방 측면(110a) 혹은 후방 측면(110b)과 접촉되는 순간 도 25에서와 같이, 록킹 해제 상태를 유지하던 반대쪽 우측로커(402)들이 탄성지지부재(4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2 록킹홈(120)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완전 록킹 상태를 신속히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100) : 고정트랙 (11),(110) : 제1 록킹홀
(12),(120) : 제2 록킹홀 (20),(200) : 이동트랙
(21),(210) : 제3 록킹홀 (22),(220) : 제4 록킹홀
(30),(40) : 록킹어셈블리 (301) : 좌측로커
(302) : 우측로커 (31) : 제1 록킹플레이트
(310) : 제1 좌측로커 (311) : 제1 우측로커
(33) : 제2 록킹플레이트 (320) : 제2 좌측로커
(321) : 제2 우측로커 (32) : 제1 탄성지지부재
(34) : 제2 탄성지지부재 (35) : 레버플레이트
(36) : 스프링 (41) : 록킹플레이트
(42) : 탄성지지부재 (45) : 레버플레이트
(46) : 스프링

Claims (6)

  1. 좌 측변에 다수개의 제1 록킹홀(11)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11) 보다 큰 폭을 갖는 다수개의 제2 록킹홀(12)이 형성된 고정트랙(10);
    상기 고정트랙(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좌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11)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3 록킹홀(21)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2 록킹홀(12)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4 록킹홀(22)이 형성된 이동트랙(20); 및
    상기 이동트랙(20)에 설치되며, 상기 제1,3 록킹홀(11,2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301)와, 상기 제2,4 록킹홀(12,2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302)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좌측로커(301)는 제1,3 록킹홀(11,21)에 모두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우측로커(302)는 제2,4 록킹홀(12,22)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구현하는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포함하는 록킹어셈블리(30)를 구성하되,
    상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는 이동트랙이 완전 록킹 상태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정지한 경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들 중 어느 한 록킹플레이트에 구비된 우측로커들이 이웃하는 제2,4 록킹홀(12,22)에 각기 삽입되어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구현하도록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2. 좌 측변에 다수개의 제1 록킹홀(110)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110)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제2 록킹홀(120)이 형성된 고정트랙(100);
    상기 고정트랙(1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좌 측변에 상기 제1 록킹홀(110)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3 록킹홀(210)이 형성되고, 우 측변에 상기 제2 록킹홀(120)에 연이어 관통하는 다수개의 제4 록킹홀(220)이 형성된 이동트랙(200); 및
    상기 이동트랙(2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3 록킹홀(110,21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401)와, 상기 제2,4 록킹홀(120,22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402)를 구비하여, 상기 다수개의 좌측로커(401)는 제1,3 록킹홀(110,210)에 모두 삽입되고 상기 다수개의 우측로커(402)는 제2,4 록킹홀(120,220)에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 록킹(full-locking) 상태를 구현하는 록킹플레이트(41)를 포함하는 록킹어셈블리(40)를 구성하되,
    상기 록킹플레이트(41)는 이동트랙이 완전 록킹 상태에서 벗어난 임의의 위치에 정지한 경우, 상기 좌측로커(401)들과 우측로커(402)들 중 선택된 일측의 로커가 제1,3 록킹홀(110,210)에 삽입되거나 또는 제2,4 록킹홀(120,220)에 삽입되어 반 록킹(half-locking) 상태를 구현하도록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어셈블리(30)는,
    상기 제1,3 록킹홀(11,2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310)와, 상기 제2,4 록킹홀(12,2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311)를 구비하는 제1 록킹플레이트(31);
    상기 제1 록킹플레이트(31)와 트랙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3 록킹홀(11,2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320)와, 상기 제2,4 록킹홀(12,22)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321)를 구비하는 제2 록킹플레이트(33);
    상기 제1 록킹플레이트(31)의 중앙부와 이동트랙(20)을 연결하여 제1 록킹플레이트(31)를 록킹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1 탄성지지부재(32);
    상기 제2 록킹플레이트(33)의 중앙부와 이동트랙(20)을 연결하여 제2 록킹플레이트(33)를 록킹 상태로 복원시키는 제2 탄성지지부재(34); 및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2 탄성지지부재(32,34)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제1,2 록킹플레이트(31,33)를 동시에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시키는 레버플레이트(3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어셈블리(40)는,
    상기 제1,3 록킹홀(110,21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좌측로커(401)와, 상기 제2,4 록킹홀(120,22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우측로커(402)를 구비하는 록킹플레이트(41);
    상기 록킹플레이트(41)의 중앙부와 이동트랙(200)을 연결하여 록킹플레이트(41)를 록킹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지지부재(42); 및
    사용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탄성지지부재(42)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플레이트(41)를 이동시켜 록킹을 해제하는 레버플레이트(4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레버플레이트와 이동트랙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플레이트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밀착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록킹플레이트(31,33)에 구비되는 좌측로커(301)들과 우측로커(302)들은, 개수를 서로 달리하며 비대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20120013744A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856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44A KR101856697B1 (ko)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744A KR101856697B1 (ko)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77A KR20130092177A (ko) 2013-08-20
KR101856697B1 true KR101856697B1 (ko) 2018-05-14

Family

ID=4921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744A KR101856697B1 (ko) 2012-02-10 2012-02-10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6074B2 (en) 2011-10-17 2019-04-23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CN108162814B (zh) * 2017-12-20 2024-02-06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内锁式汽车座椅滑轨
KR102001504B1 (ko) * 2017-12-26 2019-07-18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2001503B1 (ko) * 2017-12-26 2019-07-18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CN109484256A (zh) * 2018-12-25 2019-03-19 浙江龙生汽车部件科技有限公司 汽车座椅滑轨中锁止机构的安装和解锁方法
US11225173B2 (en) 2020-02-12 2022-01-1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Seat-track assembly
KR102365399B1 (ko) 2020-08-03 2022-02-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레일의 회전방지장치
KR102368352B1 (ko) * 2020-09-02 2022-02-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524692B1 (ko) * 2021-07-30 2023-04-21 대원정밀공업(주) 작동성이 개선된 시트 트랙 록킹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330B1 (ko) 1994-10-11 2001-12-28 베르너 홀렌바흐, 헬무트 클라우스 차량시트용록킹장치
KR100487161B1 (ko) 2003-02-12 2005-05-04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이중록킹장치
KR100993612B1 (ko) 2008-06-17 2010-11-10 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트랙 락킹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330B1 (ko) 1994-10-11 2001-12-28 베르너 홀렌바흐, 헬무트 클라우스 차량시트용록킹장치
KR100487161B1 (ko) 2003-02-12 2005-05-04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의 시트이송트랙용 이중록킹장치
KR100993612B1 (ko) 2008-06-17 2010-11-10 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트랙 락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177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697B1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KR101330026B1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US10703228B2 (en) Seat-track assembly
EP1671836B1 (en) Seat slide apparatus for a vehicle
EP2141045B1 (en) Slide mechanism of vehicle seat
US8469328B2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US9393883B2 (en) Adjustable seat track having track engagement structure
KR101201654B1 (ko) 시트 트랙 록킹장치
US6874747B2 (en) Seat track for vehicles
US10744908B2 (en) Track adjuster
CN110435488B (zh) 轨道组件
US10850642B2 (en) Seat slide device
JP6471610B2 (ja) スライドレール
WO2017065125A1 (ja) シートスライドアジャスタ
KR101200123B1 (ko) 차량 시트 트랙의 록킹장치
US20140097317A1 (en) Lock mechanism for seat track slide device
KR101042306B1 (ko)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CN110962703A (zh) 座椅释放机构
KR102001504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WO2011123091A1 (en) Seat track assembly
KR20220069879A (ko) 좌석 높이 조절 액츄에이터
KR101526709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JP2016188060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9677439B (zh) 制动装置、转向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