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18B1 -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18B1
KR101214518B1 KR1020100052960A KR20100052960A KR101214518B1 KR 101214518 B1 KR101214518 B1 KR 101214518B1 KR 1020100052960 A KR1020100052960 A KR 1020100052960A KR 20100052960 A KR20100052960 A KR 20100052960A KR 101214518 B1 KR101214518 B1 KR 10121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jelly
part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303A (ko
Inventor
문기경
이정업
Original Assignee
이정업
문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업, 문기경 filed Critical 이정업
Priority to KR102010005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톳 추출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게는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분말 5~20중량부를 넣고 55~65℃에서 100~1000rpm으로 30분~1시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3~10중량부를 넣고 85~95℃에서 10~100rpm으로 교반하면서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농축물에 당류 35~45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젤리원액을 3~5℃에서 28~32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8~30℃에서 28~32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톳 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톳을 90~130℃의 수증기로 증숙시 발생하는 톳 추출액이다.
상기에서 해조분말은 파래분말, 김분말, 미역분말, 다시마분말, 매생이분말, 감태분말, 대황분말, 모자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for jelly using extract of sea weed fusiforme}
본 발명은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게는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분말 5~20중량부를 넣고 55~65℃에서 100~1000rpm으로 30분~1시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3~10중량부를 넣고 85~95℃에서 10~100rpm으로 교반하면서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농축물에 당류 35~45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젤리원액을 3~5℃에서 28~32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8~30℃에서 28~32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톳 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톳을 90~130℃의 수증기로 증숙시 발생하는 톳 추출액이다.
젤리(jelly)는 펙틴, 젤라틴, 한천(寒天), 알긴산 등의 교질분을 재료와 응고시킨 냉과나 냉제요리 및 과즙에 설탕을 넣어 졸인 후 응고시킨 식품이다.
젤리는 말랑말랑한 느낌을 주고 그 재료로서 과즙, 설탕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식후의 디저트(dessert)나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적합한 간식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젤리는 교질분 재료 이외에 첨가되는 과일의 재료에 따라 수박젤리, 오렌지젤리, 초코젤리 등의 명칭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종래의 교질분 재료 이외에 과즙, 설탕을 주로 사용하는 젤리 이외에 과즙, 설탕 등의 재료 이외에도 우유, 술, 잘게 썬 과일, 생선, 달걀, 소고기, 닭고기와 같은 고기류 등의 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디저트나 간식 이외에도 간편한 식사 대용으로 사용할려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추세는 아직 미미하며 현재까지 젤리는 주로 디저트나 간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톳(sea weed fusiforme)은 갈조식물 모자반과의 바닷말로서 조간대 하부에 서식하며 유성세대만 존재하는 다년생 해조류이다. 맛이 좋아 식용으로 이용되며 특히 칼슘과 철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톳은 섬유상의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줄기는 원뿔형이다. 잎은 주걱모양으로 하부에서만 볼 수 있고 다육질이며 작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톳은 칼슘, 요오드, 철 등의 무기염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혈관경화를 막아 주고, 상용으로 먹으면 치아가 건강해지며 머리털이 윤택해지고, 임신부인 경우에는 태아의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등 예로부터 기호식품의 하나로서 특히 일본 사람들이 잘 먹는다. 또한 섬유질을 포함하고 있어 변비에도 좋으며, 점액질의 물질이 창자의 소화운동을 높여 준다. 한국에서는 주문진 이남에서 서해안 장산곶까지 생육하고 남해안과 제주에서 잘 자란다. 톳은 톳밥이나, 무침, 샐러드, 냉국 등으로 요리되며 봄에서 초여름에 가장 연하고 맛이 좋다.
톳은 일본사람들이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어민들이 채취한 톳을 일본에 수출시 통상적으로 톳 원초를 1차 자연건조한 다음 세척 후 고온의 스팀(steam)으로 쪄서 다시 말린 후 선별한 것을 수출용으로 하고 있다. 이때 톳 원초를 스팀으로 찔 때 톳 원초로부터 진액의 톳 추출액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톳 추출액은 톳에 함유된 영양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나, 톳 추출액에 대한 사용처가 마땅하지 않아 보통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톳을 스팀으로찔 때 발생하는 톳 진액인 톳 추출액에 대한 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식품의 재료로 사용하던 중 이를 이용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젤리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분말 5~20중량부를 넣고 55~65℃에서 100~1000rpm으로 30분~1시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3~10중량부를 넣고 85~95℃에서 10~100rpm으로 교반하면서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농축물에 당류 35~45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젤리원액을 3~5℃에서 28~32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8~30℃에서 28~32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에서 톳 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톳을 90~130℃의 수증기로 증숙시 발생하는 톳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톳 추출액을 포함하는 젤리는 톳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남녀노소에게 필요한 영양성분을 젤리의 형태로 쉽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톳 추출액을 포함하는 젤리는 종래 톳 가공시 폐기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톳을 첩취하는 어민들의 소득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톳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하여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도 일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분말 5~20중량부를 넣고 55~65℃에서 100~1000rpm으로 30분~1시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3~10중량부를 넣고 85~95℃에서 10~100rpm으로 교반하면서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농축물에 당류 35~45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젤리원액을 3~5℃에서 28~32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8~30℃에서 28~32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분말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6.6중량부를 넣고 90℃에서 50rpm으로 교반하면서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농축물에 당류 40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에서 얻은 젤리원액을 4℃에서 30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9℃에서 30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톳 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톳을 90~130℃의 수증기로 증숙시 발생하는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해조분말은 파래분말, 김분말, 미역분말, 다시마분말, 매생이분말, 감태분말, 대황분말, 모자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해조분말은 파래분말, 김분말, 미역분말, 다시마분말, 매생이분말, 감태분말, 대황분말, 모자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의 해조분말은 분쇄기로 각각의 해조를 분쇄하여 각각의 해조분말의 입자크기가 0.01~1mm가 되도록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추출액, 해조분말 및 한천을 교반하면서 농축시, 톳 추출액, 해조분말, 한천이 혼합된 혼합물을 나무주걱으로 떠서 지면으로 자연낙하시킬 때 실처럼 길게 이어지면서 떨어질 때까지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농축물에 첨가하여 젤리원액을 만들기 위한 당류는 설탕, 포도당, 과당, 물엿, 당시럽, 덱스트린, 올리고당,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농축물에 첨가하여 젤리원액을 만들기 위한 당류는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류의 일예로서 입수하기가 용이한 설탕 및 물엿을 각각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농축물에 당류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을 때 젤리원액을 주걱으로 떠서 지면으로 자연낙하시 젤리원액이 주걱으로부터 5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5초~15초의 시간 후 떨어질 정도로 졸인 젤리원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해조분말 이외에 호로파씨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해조분말 이외에 포도껍질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해조분말 이외에 감껍질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해조분말 이외에 귤껍질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해조분말 이외에 과라나(guarana)열매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톳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해조분말 이외에 미나리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호로파씨추출액은 호로파씨를 호로파씨 중량 대비 5~20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90~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40%, 바람직하게는 5~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15%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포도껍질추출액, 감껍질추출액, 귤껍질추출액, 과라나열매추출액, 미나리추출액은 각각 포도껍질, 감껍질, 귤껍질, 과라나열매, 미나리를 재료로 하고 호로파씨추출액을 얻는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각각의 추출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톳 젤리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톳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은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파래분말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6.6중량부를 넣고 90℃에서 50rpm으로 교반하면서 톳 추출액, 해조분말, 한천이 혼합된 혼합물을 나무주걱으로 떠서 지면으로 자연낙하시킬 때 실처럼 길게 이어지면서 떨어질 때까지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의 농축물에 설탕 6중량부, 물엿 34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주걱으로 떠서 지면으로 자연낙하시 젤리원액이 주걱으로부터 5초 후 떨어질 정도로 졸인 젤리원액을 얻었다.
상기의 젤리원액을 직사각형 모양의 사각통에 넣고 4℃에서 30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9℃에서 30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고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제조한 젤리는 2cm×4cm×1.5cm(가로×세로×두께)가 되도록 자르고 포장용기에 넣어 포장하였다.
상기에서 톳 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톳을 100℃의 수증기로 증숙시 발생하는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입자크기가 0.1mm인 파래분말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입자크기가 0.1mm인 파래분말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관능검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톳 젤리를 실험군으로 하고, 시중에서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 젤리(오렌지맛 젤리, 일광제과, 대한민국)를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해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관능검사는 식품분야에서 3년 이상의 관능검사경력을 지닌 패널 20명(남여 각각 10명)으로 하여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관능검사
항목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8.8 8.9
실시예 2 8.5 8.6
실시예 3 8.6 8.7
대조군 7.6 7.8
*상기 표 1의 관능검사에 대한 맛, 전체적인 기호도의 수치는 패널들의 점수의 총합을 패널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4-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김분말 10중량부, 호로파씨추출액 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호로파씨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호로파씨를 호로파씨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2>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김분말 10중량부, 호로파씨추출액 7.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호로파씨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호로파씨를 호로파씨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3>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김분말 10중량부, 호로파씨추출액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호로파씨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호로파씨를 호로파씨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미역분말 10중량부, 포도껍질추출액 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포도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포도껍질을 포도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2>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미역분말 10중량부, 포도껍질추출액 7.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포도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포도껍질을 포도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3>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미역분말 10중량부, 포도껍질추출액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포도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포도껍질을 포도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매생이분말 10중량부, 감껍질추출액 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감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감껍질을 감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2>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매생이분말 10중량부, 감껍질추출액 7.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감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감껍질을 감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6-3>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매생이분말 10중량부, 감껍질추출액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감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감껍질을 감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감태분말 10중량부, 귤껍질추출액 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귤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귤껍질을 귤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2>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감태분말 10중량부, 감껍질추출액 7.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귤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귤껍질을 귤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3>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감태분말 10중량부, 감껍질추출액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귤껍질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귤껍질을 귤껍질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대황분말 10중량부, 과라나열매추출액 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과라나열매추출액은 껍질과 씨앗을 제거한 과라나열매를 껍질과 씨앗을 제거한 과라나열매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2>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대황분말 10중량부, 과라나열매추출액 7.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과라나열매추출액은 껍질과 씨앗을 제거한 과라나열매를 껍질과 씨앗을 제거한 과라나열매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3>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대황분말 10중량부, 과라나열매추출액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과라나열매추출액은 껍질과 씨앗을 제거한 과라나열매를 껍질과 씨앗을 제거한 과라나열매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모자반분말 10중량부, 미나리추출액 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미나리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미나리를 미나리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2>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모자반분말 10중량부, 미나리추출액 7.5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미나리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미나리를 미나리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3>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입자크기가 0.1mm인 모자반분말 10중량부, 미나리추출액 10중량부를 넣고 50℃에서 500rpm으로 30분 동안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톳 추출액을 함유하는 톳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의 미나리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가하고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미나리를 미나리 중량 대비 8배 중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액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톳 추출액을 포함하는 젤리는 종래 톳 가공시 폐기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톳을 첩취하는 어민들의 소득향상에도 일조할 수 있으며, 톳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하여 소비자의 건강 증진에도 일조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톳 추출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파래분말, 김분말, 미역분말, 다시마분말, 매생이분말, 감태분말, 대황분말, 모자반분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해조분말 5~20중량부를 넣고 55~65℃에서 100~1000rpm으로 30분~1시간 동안 혼합한 후에 한천 3~10중량부를 넣고 85~95℃에서 10~100rpm으로 교반하면서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되, 상기 톳 추출액, 해조분말 및 한천이 혼합된 혼합물을 나무주걱으로 떠서 지면으로 자연낙하시킬 때 실처럼 길게 이어지면서 떨어질 때까지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농축물에 당류 35~45중량부를 넣고 졸여서 젤리원액을 얻는 단계;
    상기에서 얻은 젤리원액을 3~5℃에서 28~32시간 동안 저온숙성을 시킨 후에 28~30℃에서 28~32시간 동안 상온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톳 추출액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수세한 후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톳을 90~130℃의 수증기로 증숙시 발생하는 톳 추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해조분말 이외에 호로파씨추출액 5~10중량부, 포도껍질추출액 5~10중량부, 감껍질추출액 5~10중량부, 귤껍질추출액 5~10중량부, 과라나(guarana)열매추출액 5~10중량부 또는 미나리추출액 5~10중량부를 추가로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톳 젤리.
KR1020100052960A 2010-06-04 2010-06-04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KR10121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60A KR101214518B1 (ko) 2010-06-04 2010-06-04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60A KR101214518B1 (ko) 2010-06-04 2010-06-04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03A KR20110133303A (ko) 2011-12-12
KR101214518B1 true KR101214518B1 (ko) 2012-12-24

Family

ID=4550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960A KR101214518B1 (ko) 2010-06-04 2010-06-04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17B1 (ko) 2012-11-12 2014-03-19 강원친환경 영농조합법인 포도껍질과 포도씨로부터 포도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포도추출물
KR101574465B1 (ko) 2015-02-02 2015-12-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천연염색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617B1 (ko) 2012-11-12 2014-03-19 강원친환경 영농조합법인 포도껍질과 포도씨로부터 포도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포도추출물
KR101574465B1 (ko) 2015-02-02 2015-12-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톳 천연염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03A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04907A (zh) 一种香辣味雪花花生及其制备方法
US20220295837A1 (en) Plantain food produc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plantain food product
CN105852041B (zh) 一种菊芋香辣酱及其制备方法
CN103783227B (zh) 青稞复合型袋泡茶
CN102640949A (zh) 一种高原碧根果的加工方法
Ojimelukwe et al. The traditional and medicinal use of African breadfruit (Treculia africana Decne): an underutilized ethnic food of the Ibo tribe of South East, Nigeria
KR101214518B1 (ko) 톳 추출액을 이용한 톳 젤리의 제조방법
CN104256715A (zh) 一种紫薯味炭烤银鱼干及其制备方法
CN106805097A (zh) 营养米饭/米粥/米粉/河粉/米糕/米饼及其制作方法
CN104305243A (zh) 一种富硒五香牛肉干及其加工方法
KR20190055564A (ko) 곤드레를 이용한 김 형태의 가공식품 제조방법
CN102987450B (zh) 一种三低田鸡的烹饪方法
KR101814442B1 (ko) 발아 현미 조청을 이용한 저열량 한과의 제조방법
CN105685879A (zh) 一种适于夏季食用的凉糕及其制备方法
CN104305242A (zh)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KR100782933B1 (ko) 감귤 과일의 과즙과 과육을 이용한 제주 전통 감귤 엿 제조방법
CN109717375A (zh) 一种具有红橙口感的年糕及其制备方法
CN103976221B (zh) 一种蓝莓冻糕及其制备方法
KR102468991B1 (ko) 콩 유과 제조방법
CN103504297B (zh) 一种调理脾胃的花生土豆粉及其制备方法
CN106418464A (zh) 一种玉米粉丝及其制备方法
KR100557017B1 (ko) 수삼을 이용한 음청용 김치의 제조방법
KR20160116131A (ko) 무즙 메주의 제조방법 및 무즙 메주를 이용한 장류의 제조방법
CN104522119A (zh) 一种高蛋白面粉及其制备方法
CN104982839A (zh) 一种茴香芸豆糕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