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470B1 -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 Google Patents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470B1
KR101212470B1 KR1020100095085A KR20100095085A KR101212470B1 KR 101212470 B1 KR101212470 B1 KR 101212470B1 KR 1020100095085 A KR1020100095085 A KR 1020100095085A KR 20100095085 A KR20100095085 A KR 20100095085A KR 101212470 B1 KR101212470 B1 KR 101212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packing
pipe
packing
pipes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3527A (ko
Inventor
주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미
주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미, 주수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미
Priority to KR102010009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4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에 관한 것이다. 외주면에 정현파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파형관 형태인 두 파이프(10)의 단부를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두 파이프(10)의 단부에 근접한 나선형 홈(12)의 일부분에 삽입배치되는 방수패킹(22)으로서 상기 방수패킹(22)이 외면에 수개의 돌출선(32a, 32b)이 형성된 동체부분(28)으로 구성된다. 일측 돌출선(32a)이 상기 동체부분(28)의 가상적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타측 돌출선(32b)이 타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수개의 돌출선(32a)(32b)이 형성된 상기 방수패킹(22)의 상기 동체부분(28)에서 상기 돌출선(32a)(32b)을 포함하는 상기 동체부분(28)의 전면에 덮이는 연질패드(3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WATERPROOF PACKING FOR CONNECTOR OF CORRUGATED PIPES}
본 발명은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이 수용되는 관로를 구성하는 파형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을 통하여 파형관의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의 파형관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관로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관로를 구성하는 파이프를 통상 파형관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파이프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과 홈 사이에는 돌출된 나선형의 산이 형성되어 있다. 파이프의 길이방향 단면을 보았을 때 외주면은 정현파의 형태인 홈과 산으로 연속된다. 그리고 이들 파이프의 단부와 단부를 이어 연결하여 관로가 구성되며 파이프의 이들 접속단부는 고무슬리이브가 씌워진 상태에서 이음관으로 고정된다. 이때, 파이프내에 수용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방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을 따라 물이 파이프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슬리이브와 함께 방수패킹이 사용되며 이 방수패킹은 파이프 외주면의 홈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은 등록실용신안 20-0348290에 소개된 바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에 소개된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은 파이프 외주면의 홈에서 양측으로 인접한 산의 마루부분에 이르는 범위까지 채워질 수 있는 동체부분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체부분이 인접한 산의 마루부분으로부터 홈의 골부분에 이르는 나선형 홈의 표면에 친밀하게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동체부분의 외면에는 나선형 홈의 표면에 밀착되어 효과적인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수패킹은 파형관의 나선형 홈에 삽입배치되고 고무슬리이브와 이음관에 의하여 가압될 때 파형관의 나선형 홈에 가압밀착되어 나선형 홈을 통하여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방수패킹은 파형관 파이프의 제조공차에 의하여 외주면의 홈의 단면형상이 부위마다 일정하지 않아 파이프 외주면의 나선형 홈에 패킹동체가 완벽하게 밀착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파형관의 나선형 홈에 삽입배치되어 나선형 홈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방수패킹의 동체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된 수개의 돌출선을 인접한 돌출선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열함으로서, 파형관 파이프의 제조공차에 의하여 외주면의 홈의 단면형상이 부위마다 일정하지 않은 불균일성을 커버하여 효과적인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된 방수패킹의 동체부분에서 돌출선을 포함하는 동체부분의 전면에 방수패킹의 고무경도 보다 낮은 경도의 연질패드를 덮어 이음관에 의하여 방수패킹의 동체부분이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가압될 때 연질패드의 부분이 돌출선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파이프의 나선형 홈에 압박되어 더욱 효과적인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주면에 정현파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파형관 형태인 두 파이프의 단부를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두 파이프의 단부에 근접한 나선형 홈의 일부분에 삽입배치되는 방수패킹으로서, 상기 방수패킹이 외면에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된 동체부분으로 구성되고, 일측 돌출선이 상기 동체부분의 가상적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타측 돌출선이 타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된 상기 방수패킹의 상기 동체부분에서 상기 돌출선을 포함하는 상기 동체부분의 전면에 덮이는 연질패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질패드는 고무재질인 상기 방수패킹의 경도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는 이음관과 그 부속 구성요소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파형관 형태의 파이프와 이들 파이프를 연결하는 이음관이 체결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사용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3의 원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방수패킹의 사시도.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방수패킹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보인 다른 실시형태의 본 발명 방수패킹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4와 유사한 확대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이 수용되는 관로를 구성하는 파형관 형태인 두 파이프(10)의 단부와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이음관(12)과 이에 부속된 구성요소를 보이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형관형태인 파이프(10)는 그 외면에 단면이 정현파형인 나선형 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나선형 홈(12)은 인접한 산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음관(14), 역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그 전체가 "C"자형의 합성수지 성형물이고, 양단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루우프(16)를 가지며, 이들 루우프(16)내에 삽입된 체결봉(18)을 볼트-너트(20)로 체결하여 조임으로서 이음관(14)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이음관(14)을 이용하여 두 파이프(10)의 접합된 단부의 부분을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하여, 먼저, 단부와 단부가 접합되는 두 파이프(10)의 단부에 근접한 나선형 홈(12)의 일부분에 방수패킹(22)이 삽입배치되고, 두 파이프(10)의 단부와 단부가 접합된 부분에 고무슬리이브(24)가 씌워지고 원호형 단면의 보강철판(26)이 배치된 상태에서 이음관(14)이 씌워지며 이음관(14)의 대향된 루우프(16)에 삽입된 체결봉(18)을 통하여 볼트-너트(20)로 조임으로서 이음관(14)의 직경을 감소시켜두 파이프(10)의 접합된 단부부분에 대하여 방수패킹(22), 고무슬리이브(24)를 가압하여 누수없이 두 파이프(10)를 연결한다. 보강철판(26)은 고무슬리이브(24)상에서 이음관(14)의 대향된 루우프(16)의 하측에 배치되어 이음관(14)의 불연속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파형관로를 구성하게 될 파형관 형태의 파이프(10)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관(14)은 그 부속 구성요소로서 방수패킹(22)이 사용된다. 이러한 방수패킹(22)은 나선형 홈(12)내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인접한 산 사이의 나선형 홈(12)의 단면형상에 근접한 동체부분(28)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체부분(28)의 양측에는 나선형 홈(12)에 인접한 산의 마루부분측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분(30)을 갖는다. 그리고 동체부분(28)에는 실질적으로 나선형 홈(12)의 표면에 접하는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되어 있다. 방수패킹(22)의 동체부분(28)에 돌출선이 형성된 것은 등록신용신안 20-0348290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방수패킹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의 방수패킹을 보다 효율적인 방수기능을 갖도록 새롭게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패킹(22)은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나선형 홈(12)의 단면형상을 갖는 동체부분(28)과 양측의 날개부분(30)을 갖는다. 동체부분(2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개의 돌출선(32a)(32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패킹(22)은 도 4를 포함하여 도 5내지 도 8에서 그 제1실시형태가 설명되고,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된다.
특히 도 5 내지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수패킹(22)은 동체부분(28)에 형성된 돌출선(32a)과 돌출선(32b)이 인접한 것에 대하여 양측으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있다. 즉,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동체부분(28)에 4개의 돌출선이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제1 및 제3 돌출선(32a)은 동체부분(28)의 가상적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고 제2 및 제4 돌출선(32b)은 타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체부분(28)으로부터 돌출선(32a)(32b)에 의하여 돌출된 범위가 확장되어 이들에 의하여 접촉되는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교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돌출선(32a)과 돌출선(32b)이 형성된 동체부분(28)으로 구성되는 방수패킹(22)은 제조공차에 의하여 크기가 약간 다를 수 있는 파이프(10)의 나선형 홈(12)내에 삽입배치되고 이음관(14)에 의하여 가압될 때, 비록 나선형 홈(12)의 크기가 파이프 마다 제조공차에 의한 차이를 보인다 하여도 동체부분(28)의 변형과 함께 돌출선(32a)(32b)의 변형에 의하여 나선형 홈(12)의 단면영역이 충분히 폐색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언급된 제1실시형태의 방수패킹(22)에 연질패드(34)가 부가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
수개의 돌출선(32a)(32b)이 형성된 방수패킹(22)의 동체부분(28)에서 돌출선(32a)(32b)을 포함하는 동체부분(28)의 전면에 방수패킹(22)의 고무경도 보다 낮은 경도의 연질패드(34)를 덮어 이음관(14)에 의하여 방수패킹(22)의 동체부분(28)이 파이프의 나선형 홈(12)에 가압될 때 연질패드(34)의 부분이 돌출선(32a)(32b)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나선형 홈에 압박되어 더욱 효과적인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2실시형태에서, 연질패드(34)는 그 재질이 고무재질인 방수패킹(22)의 경도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천연고무재질의 연질패드일 수 있고, 연질의 실리콘고무,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10: 파이프, 12: 나선형 홈, 14: 이음관, 16: 루우프, 18: 체결봉, 20: 볼트-너트, 22: 방수패킹, 24: 고무슬리이브, 26: 보강철판, 28: 동체부분, 30: 날개부분, 32a, 32b: 돌출선, 34: 연질패드.

Claims (3)

  1. 삭제
  2. 외주면에 정현파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파형관 형태인 두 파이프(10)의 단부를 누수없이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두 파이프(10)의 단부에 근접한 나선형 홈(12)의 일부분에 삽입배치되는 방수패킹(22)으로서 상기 방수패킹(22)이 외면에 수개의 돌출선(32a, 32b)이 형성된 동체부분(28)으로 구성되고, 일측 돌출선(32a)이 상기 동체부분(28)의 가상적인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되고 타측 돌출선(32b)이 타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에 있어서, 상기 수개의 돌출선(32a)(32b)이 형성된 상기 방수패킹(22)의 상기 동체부분(28)에서 상기 돌출선(32a)(32b)을 포함하는 상기 동체부분(28)의 전면에 덮이는 연질패드(3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패드(34)가 고무재질인 상기 방수패킹(22)의 경도 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천연고무, 실리콘고무, 합성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KR1020100095085A 2010-09-30 2010-09-30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KR101212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85A KR101212470B1 (ko) 2010-09-30 2010-09-30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085A KR101212470B1 (ko) 2010-09-30 2010-09-30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527A KR20120033527A (ko) 2012-04-09
KR101212470B1 true KR101212470B1 (ko) 2012-12-14

Family

ID=46136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085A KR101212470B1 (ko) 2010-09-30 2010-09-30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57A1 (ko) * 2014-09-04 2016-03-10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실링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290Y1 (ko) * 2004-01-30 2004-04-28 주수영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JP2004138098A (ja) 2002-10-16 2004-05-13 Kanaflex Corporation 管体の接続方法
KR100974605B1 (ko) * 2008-03-20 2010-08-06 (주)프라텍 파이프 연결용 패킹
KR100997408B1 (ko) 2010-06-01 2010-11-30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098A (ja) 2002-10-16 2004-05-13 Kanaflex Corporation 管体の接続方法
KR200348290Y1 (ko) * 2004-01-30 2004-04-28 주수영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100974605B1 (ko) * 2008-03-20 2010-08-06 (주)프라텍 파이프 연결용 패킹
KR100997408B1 (ko) 2010-06-01 2010-11-30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057A1 (ko) * 2014-09-04 2016-03-10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돌출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용 실링부재
CN106605095A (zh) * 2014-09-04 2017-04-26 正友金属工业 包括突出部的管连接用密封部件
CN106605095B (zh) * 2014-09-04 2018-10-19 正友金属工业 包括突出部的管连接用密封部件
US10415726B2 (en) 2014-09-04 2019-09-17 Jungwoo Metal Ind. Co., Ltd. Sealing member having projection part for pipe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527A (ko) 201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48853U (zh) 热缩套管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KR101212470B1 (ko)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CA2240354A1 (en) Mold shot riser element with o-ring sealing
JP4390123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20044198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KR101095470B1 (ko) 파이프분리방지수단을 갖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200438887Y1 (ko)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101202360B1 (ko) 지중매설관용 이음관
JP6050628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CN105135132A (zh) 具有快速密封连接端口的聚乙烯管道
KR102384492B1 (ko) 파형강관 이음장치와 파형강관 이음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파형강관
KR102120042B1 (ko)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JP5101937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20130052272A (ko) 복합 배관 및 그 조립 방법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217940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EP0506356A2 (en) Gasket arrangements for pipe joints and pipe joints including the same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JP3175968U (ja) 管継手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239076Y1 (ko) 연결소켓이 일체로 구비된 이중벽 편수관
KR960004550B1 (ko) 합성수지 나선관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RU2008127259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выполненной из волокнонаполненной пластмассы трубы к последующей детал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