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290Y1 -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290Y1
KR200348290Y1 KR20-2004-0002184U KR20040002184U KR200348290Y1 KR 200348290 Y1 KR200348290 Y1 KR 200348290Y1 KR 20040002184 U KR20040002184 U KR 20040002184U KR 200348290 Y1 KR200348290 Y1 KR 200348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able receiving
spiral
cable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2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영 filed Critical 주수영
Priority to KR20-2004-0002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2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2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moisture, corrosion, chemical attack or weather
    • H01B7/282Preventing penetration of fluid, e.g. water or humidity, into conductor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나선요부(10)와 나선돌부(12)를 갖는 나선관형태인 두 케이블수용관(14)(14')을 이들의 단부(16)(16')를 근접배치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두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단부(16)(16')의 일부구간에 씌워지는 원통형 고무관(18), 분리간극(24)을 가지고 상기 고무관(18)의 외부에 씌워져 볼트(32)로 체결되는 경질합성수지제의 고정밴드(22), 상기 고무관(18)과 상기 고정밴드(22)사이에 배치되는 원호형 단면의 활동판(38)과, 상기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나선요부(10)에 삽입되는 방수패킹블록(44)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22)에 상기 분리간극(24)을 한정하는 변부의 중간에 양측의 주연방향으로 연장된 절결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밴드(22)의 양측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나선요부(10)에 삽입되는 돌선(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패킹블록(44)은 상기 나선요부(10)의 단면형상인 블록동체(46)와 양측의 날개부분(48)로 구성되고 외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수개의 돌출선(5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DEVICE FOR CONNECTING PIPES OF COMMUNICATION CABLE OR POWER CABLE PIPELINE}
본 고안은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및 전력케이블의 관로를 구성토록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수용관사이를 연결시에 이들 케이블수용관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될 수 있도록 한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는 다수의 케이블수용관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이들 케이블수용관은 연결부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되어야 한다.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에서 대부분의 케이블수용관은 나선요부과 나선돌부를 갖는 나선관이 사용되나 필요한 경우 이러한 나선요부과 나선돌부를 갖지 않는 직선관이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연결될 두 케이블수용관의 대향된 단부를 적당한 원통형 관으로 연결하고 이러한 연결관의 단부와 케이블수용관사이를 방수용 피치물질로 충전하여 방수연결토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러한 방법은 연결상태가 완벽하지 아니하며 방수처리도 불안정하여 케이블수용관을 매설하였을 때에 연결부위가 이탈되거나 물이 관로내로 수며드는 결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자의 명의로 특허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998-090464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케이블수용관으로 사용되는 나선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특허문헌에 있어서는 나선요부와 나선돌부를 갖는 나선관형태의 두 케이블수용관이 연결될 이들의 두 단부가 근접배치되고 이들의 둘레에 원통형 고무관이 씌워지며 다시 이러한 고무관의 외부에 고정밴드가 씌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소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 고정밴드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결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 절결부를 통하여 고정밴드를 벌려 케이블수용관상에 씌워진 원통형 고무관상에 씌울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절결부를 따라서 두께가 두껍고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단절된 형상의 변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금속봉이 삽입되어 이를 통하여 볼트를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에서는 고정밴드가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 고정밴드는 이에 굽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중간에 주연방향으로 박막팽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밴드는 원통형인 경우 연결될 두 케이블수용관의 외경차이를 흡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굽힘성이 적어 관로의 만곡영역에 사용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에서는 케이블수용관으로 사용된 나선관의 나선요부에 방수패킹블록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 특허문헌에 소개된 형태의 방수패킹블록으로서는 나선요부로 이루어진 나선홈을 따라 유입될 수 있는 물을 효과적으로 방수할 수 없다.
또한 이 특허문헌에서 소개된 고정밴드는 직경이 다르고 관의 형태가 상이한 케이블수용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없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결될 두 케이블수용관의 크기차이를 감안하여 이에 적응될 수 있도록 하면서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나선요부와 나선돌부를 갖는 나선관형태인 두 케이블수용관을 이들의 단부를 근접배치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두 케이블수용관의 상기 단부의 일부구간에 씌워지는 원통형 고무관, 상기 고무관의 길이보다 길고 분리간극을 가지며 상기 고무관의 외부에 씌워져 볼트로 체결되는 경질합성수지제의 고정밴드, 상기 고정밴드의 분리간극의 위치에서 상기 고무관과 상기 고정밴드사이에 배치되는 원호형 단면의 활동판과, 상기 고무관의 내측에서 나선관형태인 상기 케이블수용관의 상기 나선요부에 삽입되는 방수패킹블록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바,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고정밴드에 상기 분리간극을 한정하는 변부가 그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단절되고 이 단절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양측의 주연방향으로 연장된 절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밴드의 양측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블수용관의 상기 나선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밴드에 대하여 케이블수용관이 양측으로 당기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패킹블록은 두 인접한 상기 케이블수용관의 상기 나선돌부사이의 상기 나선요부에 삽입되는 나선요부의 단면형상인 블록동체와 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분을 가지며 상기 블록동체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수개의 돌출선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두 케이블수용관중 하나가 직경이 작은 직관형태의 케이블수용관이고, 상기 고무관이 외경이 다른 상기 케이블수용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대경부와 소경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밴드도 중간의 절결구를 기준으로 하여 대경부와 소경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대경부의 위치에서 나선관형태인 상기 케이블수용관의 상기 나선요부에 상기 방수패킹블록이 배치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제1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에 사용된 방수패킹블록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보인 방수패킹블록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서 보인 방수패킹블록의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점선원 부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나선요부 12... 나선돌부
14, 14', 14"... 케이블수용관 18... 고무관
22... 고정밴드 24... 분리간극
32... 볼트 38... 활동판
40... 돌선 42... 절결구
44... 방수패킹블록 46... 블록동체
48... 날개부분 50... 돌출선
도 1-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은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나선요부(10)와 나선돌부(12)를 갖는 나선관형태의 두 케이블수용관(14)(14')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내부로 물이 침투됨이 없이 방수연결될 이들 케이블수용관(14)(14')은 이들이 매설될 위치에 파놓은 구거(溝渠)내에 이들의 연결될 각 단부(16)(16')가 근접배치되도록 전개된 상태에서 연결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수용관(14)(14')의 연결작업에는 이들의 단부(16)(16')가 근접배치되기 전에 단부(16)(16')의 일부구간이 원통형 고무관(18)으로 씌워진다.이 원통형 고무관(18)은 내부에 환상의 격벽(2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수용관(14)(14')의 각 단부(16)(16')가 이에 접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케이블수용관(14)(14')의 대응하는 단부(16)(16')의 영역에 원통형 고무관(18)이 씌워진 후, 고무관(18)상에는 이 고무관(18)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경질합성수지제의 고정밴드(22)가 씌워진다.
이 고정밴드(22)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분리간극(24)을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분리간극(24)을 통하여 고정밴드(22)를 벌려 케이블수용관(14)(14')상에 씌워진 원통형 고무관(18)상에 씌울 수 있다. 이 고정밴드(22)는 분리간극(24)을 한정하는 변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포켓(26)(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포켓(26)(26')이 형성된 변부는 그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단절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포켓(26)(26')에는 각각 볼트관통공(28)을 갖는 금속봉(30)(30')이 삽입된다. 한편, 포켓(26)(26')에는 고정밴드(20)를 채우기 위한 볼트(32)가 사용되며 이를 위하여 포켓(26)(26')의 양측에 볼트공(34)이 수개 형성되어 볼트(32)가 금속봉(30)(30')의 볼트관통공(28)을 통하여 관통되고 너트(36)로 체결됨으로서 고정밴드(22)에서 분리간극(24)에 대응하는 양측의 변부, 즉 포켓(26)(26')의 부분이 체결된다.
이러한 고정밴드(22)를 고무관(18)상에 씌우기 전에, 고정밴드(22)의 분리간극(24)의 부분에서 고무관(18)이 실질적으로 고정밴드(22)에 의하여 씌워지지 않는 부분을 덮고 고정밴드(22)의 양측 변부가 근접하게 되어 체결될 때 고정밴드(22)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호단면의 활동판(38)이 고무관(18)과 고정밴드(22)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고정밴드(22)를 고무관(18)상에 씌웠을 때 고무관(18)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밴드(22)의 양측단부의 내면에는 케이블수용관(14)(14')의 나선요부(10)에 삽입되어 고정밴드(22)에 대하여 케이블수용관(14)(14')이 양측으로 당기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선(40)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라서, 양측 케이블수용관(14)(14')을 연결고정하는 고정밴드(22)는 각 케이블수용관(14)(14')의 직경차이를 감안하여 그 체결정도를 달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즉, 단부와 단부가 연결되는 케이블수용관(14)(14')은 이러한 케이블수용관(14)(14')의 매설계획에 따라서 직경이 동일한 나선관이 선택되어 사용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과정 또는 다른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양측 케이블수용관(14)(14')의 직경이 약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케이블수용관(14)(14')에 각각 체결되는 고정밴드(22)의 양측부분은 그 체결정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고정밴드(22)는 포켓(26)(26')이 형성된 변부가 그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단절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양측의 주연방향으로 연장된 절결구(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절결구(42)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밴드(22)의 양측 부분은 케이블수용관(14)(14')의 직경에 따라 어느 정도 체결정도를 달리하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케이블수용관(14)(14')의 나선요부(10)를 따라서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고무재질의 방수패킹블록(44)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수패킹블록(44)은 도 4, 도 5 및 도 6에서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케이블수용관(14)(14')의 일측 나선돌부(12)의 정상부로부터 이에 인접한 타측 나선돌부(12)의 정상부까지의 범위에서 이들 두 인접한 나선돌부(12)사이의 나선요부(10)에 삽입될 수 있는 외형형상을 갖는다. 즉, 종단면으로 보았을 때 방수패킹블록(44)은 두 인접한 나선돌부(12)사이의 나선요부(10)에 삽입되는 나선요부(10)의 단면형상인 블록동체(46)와 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분(48)을 가진다. 또한 방수패킹블록(44)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블록동체(46)에 수개의 돌출선(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선(50)은 방수패킹블록(44)이 케이블수용관(14)(14')의 나선요부(10)에 삽입되어 고무관(18)과 고정밴드(22)에 의하여 가압될 때 나선요부(10)의 전외면에 빈틈없이 가압밀착되어 나선요부(12)를 통하여 물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를 보인 도 7-도 10에서는 제1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는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나선관 형태의 케이블수용관(14)과 이 케이블수용관(14)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직관형태의 케이블수용관(14")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처음 구거에 전개되는 이들 케이블수용관(14)(14")은 직관형태인 케이블수용관(14")의 단부가 나선관 형태의 케이블수용관(14)의 단부내에 약간 삽입된 상태로 잠정연결된다. 이와 같이 직경, 즉 외경이 다른 케이블수용관(14)(14")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에는 대경부(18a)와 소경부(18b)로 이루어지고 이들사이에 절두원추형의 연결부(18c)를 갖는고무관(18)이 씌워진다. 이러한 고무관(18)의 소경부(18b)에는 그 단부의 내축면에 주연방향으로 다수의 요입선(52)이 형성되어 이 부분이 직관형태인 케이블수용관(14")의 외면에 가압될 때 밀착효과가 크도록 한다.
한편 이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활동판(38)도 대경의 케이블수용관(14)과 소경의 케이블수용관(14")에 맞추어 대경부(38a)와 소경부(38b)로 구성된다.
또한 고정밴드(22)도 중간의 절결구(42)를 기준으로 하여 대경부(22a)와 소경부(22b)로 구성된다. 이 고정밴드(22)에는 대경부(22a)의 부분에서 단부측 내면에 돌선(40)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소경부(22b)에는 없다.
제1실시형태에 사용된 동일한 방수패킹블록(44)이 고정밴드(22)의 대경부(22a)측에서 연결되는 나선관형태인 대경의 케이블수용관(14)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통신 및 전력케이블의 관로를 구성토록 지중에 매설되는 케이블수용관사이를 연결시에 이들 케이블수용관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이들 사이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될 수 있도록 한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3)

  1. 나선요부(10)와 나선돌부(12)를 갖는 나선관형태인 두 케이블수용관(14)(14')을 이들의 단부(16)(16')를 근접배치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두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단부(16)(16')의 일부구간에 씌워지는 원통형 고무관(18), 상기 고무관(18)의 길이보다 길고 분리간극(24)을 가지며 상기 고무관(18)의 외부에 씌워져 볼트(32)로 체결되는 경질합성수지제의 고정밴드(22), 상기 고정밴드(22)의 분리간극(24)의 위치에서 상기 고무관(18)과 상기 고정밴드(22)사이에 배치되는 원호형 단면의 활동판(38)과, 상기 고무관(18)의 내측에서 나선관형태인 상기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나선요부(10)에 삽입되는 방수패킹블록(44)으로 구성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2)에 상기 분리간극(24)을 한정하는 변부가 그 길이방향의 중간에서 단절되고 이 단절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양측의 주연방향으로 연장된 절결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밴드(22)의 양측단부의 내면에는 상기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나선요부(1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밴드(22)에 대하여 케이블수용관(14)(14')이 양측으로 당기어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선(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패킹블록(44)은 두 인접한 상기 케이블수용관(14)(14')의 상기 나선돌부(12)사이의 상기 나선요부(10)에 삽입되는 나선요부(10)의 단면형상인 블록동체(46)와 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날개부분(48)을 가지며 상기 블록동체(46)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폭방향으로 수개의 돌출선(50)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케이블수용관중 하나가 직경이 작은 직관형태의 케이블수용관(14")이고, 상기 고무관(18)이 외경이 다른 상기 케이블수용관(14)(14")을 연결하기 위하여 대경부(18a)와 소경부(18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밴드(22)도 중간의 절결구(42)를 기준으로 하여 대경부(22a)와 소경부(22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22)의 대경부(22a)의 위치에서 나선관 형태인 상기 케이블수용관(14)의 상기 나선요부(10)에 상기 방수패킹블록(44)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20-2004-0002184U 2004-01-30 2004-01-30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200348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84U KR200348290Y1 (ko) 2004-01-30 2004-01-30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2184U KR200348290Y1 (ko) 2004-01-30 2004-01-30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290Y1 true KR200348290Y1 (ko) 2004-04-28

Family

ID=4942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184U KR200348290Y1 (ko) 2004-01-30 2004-01-30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290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57B1 (ko) * 2007-02-21 2010-08-12 주수영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200462445Y1 (ko) * 2010-09-10 2012-09-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서로 다른 직경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101212470B1 (ko) * 2010-09-30 2012-12-14 주식회사 아주미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KR200469266Y1 (ko) * 2012-06-07 2013-10-01 김상건 지중매설관 연결장치
KR101562166B1 (ko) 2015-02-09 2015-10-20 신재식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KR102076918B1 (ko) 2018-11-26 2020-02-12 유재현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KR102179403B1 (ko) 2020-05-18 2020-11-16 제룡산업 주식회사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57B1 (ko) * 2007-02-21 2010-08-12 주수영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200462445Y1 (ko) * 2010-09-10 2012-09-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서로 다른 직경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KR101212470B1 (ko) * 2010-09-30 2012-12-14 주식회사 아주미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KR200469266Y1 (ko) * 2012-06-07 2013-10-01 김상건 지중매설관 연결장치
KR101562166B1 (ko) 2015-02-09 2015-10-20 신재식 전선 커넥터용 방수튜브
KR102076918B1 (ko) 2018-11-26 2020-02-12 유재현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KR102179403B1 (ko) 2020-05-18 2020-11-16 제룡산업 주식회사 수밀성이 향상된 나선형 파형관용 패킹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3059C (fi) Roerfogtaetning.
US9140385B2 (en) Envelope element for a pipeline, mol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method for covering a pipeline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KR200348290Y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케이블수용관 연결장치
FI75414B (fi) Roerkoppling.
KR200279518Y1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100449407B1 (ko) 핸드홀또는맨홀및그접속관체와블록체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19980086377A (ko) 파이프 커넥터
KR19980070464A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용 관로의 나선관 연결장치
GB2388638A (en) A hosepipe
US4883919A (en) Apparatus for sealing conjoined conductors of cables
JP6518124B2 (ja) リブ付管用補修材、及びリブ付管の補修方法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200469266Y1 (ko) 지중매설관 연결장치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101212470B1 (ko) 파형관의 이음관용 방수패킹
KR20080004962U (ko) 암거 연결용 강선 고정구
KR102059194B1 (ko) 맨홀과 관체 사이에 구비되는 수밀장치
KR20110042744A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FI89740C (fi) Vid framstaellning av vaermeisolerande ledningsroer anvaendbart roerfoerbindningsstycke
KR200377859Y1 (ko)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관의 연결 구조
KR960010572Y1 (ko)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 캡
KR200251162Y1 (ko)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KR20000003087U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