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162Y1 -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162Y1
KR200251162Y1 KR2020010021098U KR20010021098U KR200251162Y1 KR 200251162 Y1 KR200251162 Y1 KR 200251162Y1 KR 2020010021098 U KR2020010021098 U KR 2020010021098U KR 20010021098 U KR20010021098 U KR 20010021098U KR 200251162 Y1 KR200251162 Y1 KR 200251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branch
clamp
pip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윤
Original Assignee
(주)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용전 filed Critical (주)용전
Priority to KR2020010021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1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162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고정 부재를 형성한 분기관과 이를 메인 배관에 장착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이원적 구성을 통하여, 분기관의 구성 간소화와 이로 인한 작업성 및 장착 신뢰도 향상을 이루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2)는,
박형의 합성 수지 부재를 가공하여된 것으로, 외주연 일측으로 체결공(20)을 형성한 클램프 플레이트(21)로서 개방부(22)를 가지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23)을 형성한 클램프(24)와,
상기 관통공(23)에 수용되며 단면 형상이 개략 '⊥'형으로 소정을 직경(d)과 두께(t)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하측 선단에는 메인 배관(3)의 외형과 동일한 곡률과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고정 부재(27)를 더 구비한 분기관(25) 및,
상기 고정 부재 평, 저면으로 수밀성 유지를 위해 개재되는 실링재(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Branch pipe clamp assembly}
본 고안은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 구조에서 메인 배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체의 이송 흐름을 변화하는 지관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는 분기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管體)는 기체를 비롯한 액체와 같은 유체를 원하는 목적지까지 기밀을 유지함과 동시에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관체는 그 내방을 유동하는 유체의 종류와 이송 속도등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상 편차를 나타내는데,
이송 유체가 유류를 비롯한 가스등과 같이 폭발의 위험이나 고속 이송에 따른 고압이 작용할 경우 그 재질은 금속재를 비롯하여 강화 합성수지재로서 구비되며, 그 벽체의 두께 또한 안전률이 적용된 규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반하여 생활 오수를 비롯한 일반적인 저압(비압력)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관체는 일반 합성 수지재를 압출 성형으로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저압 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재의 관체는 지표면에 매설되어 대부분이 오,폐수등을 수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이를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오,폐수의 수거지로 연장 구비되는 메인 배관(10)과,
메인 배관(10) 외주연으로 각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수용하기 위한 분기관(11)이 다수 개 장착되다.
이러한 분기관(11)은 일측 선단으로 융착을 위한 열선(12)을 설치하고 메인 배관(10)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로 만곡된 융착 부재(13)를 형성하고, 상기 융착 부재(13) 내측 중앙부에는 수밀 유지를 위한 수밀판(14)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기관(11)은 융착 부재(13)를 메인 배관(10) 외측에 밀착한 후 융착 부재(13) 외부로 돌출된 열선(12) 단자에 전원을 인가하고, 이로 인해 융착 부재(13)가 용융되면서 메인 배관(10)의 접촉면과 밀착하고,
이어 열선(12)에 통전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융착 부재(13)를 냉각하여 메인 배관(10)과 분기관(11)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전기 융착을 통해 장착되는 분기관(11)은,
분기관(11)에 일체로 형성된 융착 부재(13)가 용융되면서 메인 배관(10)의 외주연에 고정되는 것으로, 접촉면이 오염될 경우 융착성이 저하되어 고정 상태의 신뢰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융착 고정에는 융착 부재를 비롯한 열선, 전원 공급 장치등과 같이 복잡 다대한 주변 구성품을 요구하여 시공성이 결여됨은 물론 이로 인한 공사 기간 연장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정 부재를 형성한 분기관과 이를 메인 배관에 장착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이원적 구성을 통하여, 분기관의 구성 간소화와 이로 인한 작업성 및 장착 신뢰도 향상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분기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의 단면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21;클램프 플레이트
24;클램프 25;분기관
26;실링재 27;고정 부재
28;고정 수단 3;메인 배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의 단면도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2)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박형의 합성 수지 부재를 가공하여된 것으로,
외주연 일측으로 체결공(20)을 형성한 클램프 플레이트(21)로서 개방부(22)를 가지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23)을 형성한 클램프(24)와,
상기 클램프(24)에 형성된 관통공(23)에 장착되며 메인 배관(3)에 형성된 분기공과 체결되는 분기관(25) 및,
메인 배관(3)과 분기관(25)의 체결 후 수밀성 유지를 위한 실링재(26)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관(25)은 그 단면 형상이 개략 '⊥'형으로 소정을 직경(d)과 두께(t)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하측 선단에는 메인 배관(3)의 외형과 동일한 곡률과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고정 부재(27)를 더 구비한다.
또한 분기관(25)은 고정 부재 평, 저면으로 클램프(24) 및 메인 배관(3)과의 체결시 수밀성 유지를 위한 실링재(26)를 개재한다.
상기와 같은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2)는 분기관(25)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클램프(24')를 도 5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반원형 내지는 메인 배관의 외형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아아크(arc)형으로 구비하며, 이와 메인 배관을 체결하기 위한 통상의 금속재 밴드등의 고정 수단(28)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종래 구성의 문제점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는 메인 배관에서 분기가 요구되는 부위에 일정 규격의 분기공을 형성하고,
이어 고정 부재 저면으로 수밀 기능 수행을 위한 실링재를 개재한 분기관을 메인 배관의 분기공에 상응하여 압착 고정하며, 이 때 실링재에는 점착재가 도포됨으로서 메인 배관과의 가조립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 부재를 통해 분기공에 가조립된 분기관 상방에는 이를 밀착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가 개재되는데,
이를 위해 분기관 고정 부재 평면으로 실링재를 한 층 더 개재하고, 이어 클램프 플레이트로 구성된 개방부를 전개하여 관통공을 통하여 분기관을 삽입함과 동시에 메인 배관을 감싸듯 메인 배관 외주연에 개재된다.
상기와 같이 관통공을 통하여 분기관를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 배관 외주연을 감싸는 클램프는 클램프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나사 체결을 통한 클램프를 고정하여 분기관과 메인 배관의 분기공이 상호 밀착되도록 한다.
더불어 도 5에서와 같이 분기관의 가조립 상태에서 반원 내지는 아아크형의 클램프를 관통공을 통하여 분기관을 수용함과 동시에 메인 배관 외주연에 거치한 후,
밴드등의 고정 수단을 통해 클램프와 메인 배관을 견고히 고정함으로서 클램프에 수용된 분기관과 메인 배관의 분기공이 상호 밀착하여 누유등이 억제되면서분기 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공 원통형의 클램프와 반원 내지는 아아크형 클램프는 분기 작업이 행해지는 작업 공간이나 메인 배관의 규격에 따라 달리 적용되며,
직경이 작은 메인 배관에는 주로 중공 원통형 클램프가 적용되며, 직경이 비교적 큰 경우는 클램프의 전개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반원 내지는 아아크형 클램프를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는 메인 배관에서의 분기 수행을 위해 장착되는 분기관의 형성을 클램프, 고정 부재가 일체로 구비된 분기관 및 나사 체결등의 기구적인 장착 형태를 이루어,
종래 융착 부재를 비롯한 열선등과 같은 분기관 형성에 요구되는 복잡한 구성과 운용의 난이성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는 분기관을 위한 각 구성품을 간소화여 부품 가공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 단가 절감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조립 시간 단축과 분기관의 장착 신뢰도를 향상시켜 불량 발생을 감소함으로서 경제적 이익 창출을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메인 배관 외주연에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장착되어 각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메인 배관으로 이송하기 위한 분기관 어셈블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2)는,
    박형의 합성 수지 부재를 가공하여된 것으로,
    외주연 일측으로 체결공(20)을 형성한 클램프 플레이트(21)로서 개방부(22)를 가지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23)을 형성한 클램프(24)와,
    상기 관통공(23)에 수용되며 단면 형상이 개략 '⊥'형으로 소정을 직경(d)과 두께(t)를 가지는 중공체로서 하측 선단에는 메인 배관(3)의 외형과 동일한 곡률과 일정한 두께를 형성한 고정 부재(27)를 더 구비한 분기관(25) 및,
    상기 고정 부재 평, 저면으로 수밀성 유지를 위해 개재되는 실링재(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4)는,
    단면 형상이 반원형 내지는 메인 배관의 외형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아아크(arc)형으로 구비하며,
    이의 고정을 위해 통상의 금속재 밴드등의 고정 수단(28)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KR2020010021098U 2001-07-12 2001-07-12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KR200251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098U KR200251162Y1 (ko) 2001-07-12 2001-07-12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098U KR200251162Y1 (ko) 2001-07-12 2001-07-12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162Y1 true KR200251162Y1 (ko) 2001-11-17

Family

ID=7306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098U KR200251162Y1 (ko) 2001-07-12 2001-07-12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1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2620A (zh) 螺旋型柔性管连接器
US20020185867A1 (en) Water heater connection system
CN109357098A (zh) 嵌入式密封管接头及其安装方法
KR920020112A (ko) 절연플랜지와 결합된 금속파이프라인용 원통형 커플링
US5056831A (en) Fitting construction for connection of pipes and pipe assembly
US6676166B1 (en) Plastic pipe coupling system
KR200251162Y1 (ko)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KR200252813Y1 (ko) 분기관 클램프 어셈블리
KR200344307Y1 (ko) 관체연결구
EP1612465A1 (en) Device for connecting pipes for pressurized fluids to a faucet and the like
KR20190079232A (ko) 관 연결구
AU6207499A (en) Assembly for constructing an underwater system for transporting fluid, energy orsignals
JP4376583B2 (ja) 回転ヘッダー
CN220354764U (zh) 一种燃气管件外部密封组件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JPH0712282A (ja) 分流装置のサドル
KR200357103Y1 (ko) 배관의 분기관 연결피팅
KR200184226Y1 (ko) 관체의 연결장치
KR100316129B1 (ko) 관 연결장치
FI112689B (fi) Hanakulmarasia
KR200364072Y1 (ko) 수도관 금속내면에 이중파이프로 갖는 플라스틱관
RU2133902C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200269766Y1 (ko) 코팅 강관 내면의 이음용 슬리브
KR200197249Y1 (ko) 복합관 배관용 연결구
JP2005256946A (ja) ホース接続手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