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232A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232A
KR20190079232A KR1020170181294A KR20170181294A KR20190079232A KR 20190079232 A KR20190079232 A KR 20190079232A KR 1020170181294 A KR1020170181294 A KR 1020170181294A KR 20170181294 A KR20170181294 A KR 20170181294A KR 20190079232 A KR20190079232 A KR 2019007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pipe
tubes
ban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정호
백충권
백충원
Original Assignee
백정호
주식회사 시코
신일금속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호, 주식회사 시코, 신일금속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정호
Priority to KR102017018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232A/ko
Publication of KR2019007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16L9/147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comprising only layers of metal and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로 제작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는 상기 두 개의 관 사이로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수밀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관형상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관의 형상과 수밀을 유지하면서 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밀유지수단은 상기 판재로 제작된 관의 외면을 일정두께로 감싸는 수지봉과 상기 두 개의 관 사이의 단면부에 배치된 패킹부로 형성되고, 상기 관형상 유지수단은 상기 두 개의 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파이프로 구성되며, 상기 밴드수단은 두 개의 관의 외면에 감싸도록 형성된 띠형부재와 상기 띠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조여주는 조임부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두 개로 형성되되 각각 상기 띠형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각각의 연결브라켓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 형성된 복수 관통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연결구{Pipe connector}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로 제작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관연결구는 상하수도관 등의 각종 단위관체를 그 단부에 이음하여 긴 관로를 형성시키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맞닿은 관 단부의 외주벽에 직접 접촉되는 관형의 수밀밴드와, 상기 수밀밴드의 외주에 감겨 수밀밴드를 관의 외주벽에 가압 밀착시키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대를 가압하여 수밀밴드의 수밀성을 증대시키는 체결금구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는 연결대의 플랜지가 관에 접촉하여 더이상의 가압력을 수밀밴드에 작용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고, 작은 돌기가 형성된 요철부는 가압력이 넓게 분산되어 수밀력이 낮아 높은 수압을 이기지 못하여 결국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재로 제작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는 상기 두 개의 관 사이로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수밀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관형상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관의 형상과 수밀을 유지하면서 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재로 제작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는 상기 두 개의 관 사이로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수밀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관형상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관의 형상과 수밀을 유지하면서 관을 연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밀유지수단은 상기 판재로 제작된 관의 외면을 일정두께로 감싸는 수지봉;과 상기 두 개의 관 사이의 끝단면부에 배치된 패킹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형상 유지수단은 상기 두 개의 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는 일정길이와 일정두께를 갖으면서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밴드수단은 두 개의 관의 외면에 감싸도록 형성된 띠형부재;와 상기 띠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조여주는 조임부;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패킹부는 상기 파이프 외주면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패킹부의 양쪽으로 파이프가 튀어나오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끼워지면서 상기 두 개의 관의 끝단면부는 상기 패킹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은 두 개로 형성되되 각각 상기 띠형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각각의 연결브라켓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 형성된 복수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두 개의 연결브라켓을 밀착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에 부착된 띠형부재가 상기 두 개의 관의 외주면을 조이면서 연결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관을 제작하는 판재는 스테인레스 판재이면서 상기 스테인레스 박판의 두께가 0.5~1.5mm이고 상기 관의 직경은 200~5000mm 이며, 상기 수지봉은 사각단면을 가진 수지봉으로 상기 두 개의 관의 각각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밀접하게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 각각은 일정압력으로 누를 때 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이프의 재질은 강철이고, 상기 파이프의 두께는 상기 판재의 두께보다 2~5배 크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강성은 상기 두 개의 관의 강성보다 큼에 따라 상기 파이프를 상기 두 개관에 끼웠을 때, 상기 두 개의 관의 연결부의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되며, 상기 수지봉의 사각단면의 일변의 길이는 20~30mm 로 형성되어 상기 판재두께에 비해 40~60배 더 크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사각단면을 갖되 상기 사각단면의 일변의 길이는 상기 수지봉의 사각단면의 일변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관은 연결했을때 상기 패킹부의 외주면 직경이 상기 두 개의 관을 감싼 수지봉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작은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파이프 외주면의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어 패킹부의 내주면이 상기 파이프의 홈에 밀착되도록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압력으로 누를때 관의 형상이 변형 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두 개의 관을 형상을 유지하며 연결하되, 상기 두 개의 관 사이로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 이중 피복 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밀유지수단과 관형상 유지수단이 구비된 두 개의 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밀유지수단과 관형상 유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두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스테인레스 이중 피복 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두 개의 관(100)을 제작하는 판재는 스테인레스 판재이면서 상기 스테인레스 박판의 두께(T1)가 0.5~1.5mm이고 상기 관의 직경(D1)은 200~5000mm 이며, 상기 수지봉(310)은 사각단면을 가진 수지봉으로 상기 두 개의 관(100)의 각각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밀접하게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 각각은 일정압력으로 누를 때 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봉(310)의 사각단면의 일변의 길이(T2)는 20~30mm 로 형성되어 상기 판재두께에 비해 40~60배 더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밀유지수단과 관형상 유지수단이 구비된 두 개의 관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2 및 도4를 참조하면 판재로 제작된 두 개의 관(100)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관 연결구(200)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는 상기 두 개의 관 사이로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수밀 유지수단(300);과 상기 두 개의 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관형상 유지수단(400);과 상기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관의 형상과 수밀을 유지하면서 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수밀유지수단(300)은 상기 판재로 제작된 관(100)의 외면을 일정두께로 감싸는 수지봉(310);과 상기 두 개의 관 사이의 끝단면부(110)에 배치된 패킹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관형상 유지수단(400)은 상기 두 개의 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파이프(410);로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410)는 일정길이와 일정두께를 갖으면서 내부에는 중공(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320)는 상기 파이프(410) 외주면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패킹부(320)의 양쪽으로 파이프(410)가 튀어나오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끼워지면서 상기 두 개의 관의 끝단면부(110)는 상기 패킹부의 측면(321)에 밀착되도록 연결된다.
이를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파이프(410)의 재질은 강철이고, 상기 파이프의 두께는 상기 스테인레스 판재의 두께보다 2~5배 크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410)의 강성은 상기 두 개의 관(100)의 강성보다 큼에 따라 상기 파이프(410)를 상기 두 개관(100)에 끼웠을 때, 상기 두 개의 관(100)의 연결부의 형상이 원형으로 유지된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두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밴드수단(500)은 두 개의 관의 외면에 감싸도록 형성된 띠형부재(510);와 상기 띠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520);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조여주는 조임부(55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520)은 두 개로 형성되되 각각 상기 띠형부재(510)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부(530);와 각각의 연결브라켓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밀착부(540);와 상기 밀착부에 형성된 복수 관통홀(541);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홀(541)에 나사(560)결합을 통해 상기 두 개의 연결브라켓을 밀착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520)에 부착된 띠형부재(510)가 상기 두 개의 관(100)의 외주면을 조이면서 연결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수밀유지수단과 관형상 유지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부(320)는 사각단면을 갖되 상기 사각단면의 일변의 길이(T3)는 상기 수지봉의 사각단면의 일변의 길이(T2)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관(100)은 연결했을때 상기 패킹부(320)의 외주면 직경이 상기 두 개의 관을 감싼 수지봉(310)의 외주면 직경보다 작은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부(320)는 상기 파이프(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3의 a참조) 또는 상기 파이프(410) 외주면의 중앙부에 홈(411)이 형성되어 패킹부의 내주면(322)이 상기 파이프의 홈(411)에 밀착되도록 거치할 수 있다.(도3의 b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관 110 관단면부
200 관연결구 300 수밀유지수단
310 수지봉 320 패킹부
321 패킹부 측면 322 패킹부 내주면
400 관형상 유지수단 410 파이프
411 파이프홈 420 중공
500 밴드수단 510 띠형부재
520 연결브라켓 530 부착부
540 밀착부 541 관통홀
550 조임부 560 나사

Claims (7)

  1. 판재로 제작된 두 개의 관을 연결하되 수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구는 상기 두 개의 관 사이로 흐르는 유체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수밀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관형상 유지수단;과
    상기 두 개의 관을 연결하는 밴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두 개의 관의 형상과 수밀을 유지하면서 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유지수단은
    상기 판재로 제작된 관의 외면을 일정두께로 감싸는 수지봉;과
    상기 두 개의 관 사이의 끝단면부에 배치된 패킹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유지수단은 상기 두 개의 관의 내경에 끼워지는 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파이프는 일정길이와 일정두께를 갖으면서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수단은 두 개의 관의 외면에 감싸도록 형성된 띠형부재;와
    상기 띠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연결브라켓을 조여주는 조임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파이프 외주면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패킹부의 양쪽으로 파이프가 튀어나오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 내주면에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이 끼워지면서 상기 두 개의 관의 끝단면부는 상기 패킹부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두 개로 형성되되 각각 상기 띠형부재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와
    각각의 연결브라켓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 형성된 복수 관통홀;이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홀에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두 개의 연결브라켓을 밀착 결합됨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에 부착된 띠형부재가 상기 두 개의 관의 외주면을 조이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관을 제작하는 판재는 스테인레스 판재이면서 상기 스테인레스 박판의 두께가 0.5~1.5mm이고
    상기 관의 직경은 200~5000mm 이며,
    상기 수지봉은 사각단면을 가진 수지봉으로 상기 두 개의 관의 각각의 외주면을 나선형으로 밀접하게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관 각각은 일정압력으로 누를 때 관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1020170181294A 2017-12-27 2017-12-27 관 연결구 KR20190079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94A KR20190079232A (ko) 2017-12-27 2017-12-27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94A KR20190079232A (ko) 2017-12-27 2017-12-27 관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232A true KR20190079232A (ko) 2019-07-05

Family

ID=6722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94A KR20190079232A (ko) 2017-12-27 2017-12-27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2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5296A (zh) * 2022-07-05 2022-11-11 安徽省天然气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天然气管道防护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25296A (zh) * 2022-07-05 2022-11-11 安徽省天然气开发股份有限公司 一种天然气管道防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062B1 (ko) 파이프 커플링
ITRM20120201U1 (it) Connettore per collegare due estremità di tubatura.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20190079232A (ko) 관 연결구
JP2011220404A (ja) 配管の連結構造
KR101472494B1 (ko) 새들 플랜지
KR20150019500A (ko) 풀림 방지용 배관 연결장치
KR20080004827U (ko) 파이프 연결구조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395246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인장봉
KR20120020715A (ko) 관의 연결구조
JP2011208659A (ja) エルボ継手
JP2019035445A (ja) 管継手
KR200344307Y1 (ko) 관체연결구
EP2196715B1 (en) A compression fitting
JP4880058B2 (ja) 二重配管パイプにおける継ぎ手部の外管構造
CN220366093U (zh) 一种管路连接组件及管路连接装置
KR200395247Y1 (ko) 면접촉부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의 체결부재
JP2019152324A (ja) 高水圧用カプラー装置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243643B1 (ko) 체결성이 향상된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0213407B1 (ko) 관 이음구
JP2012036950A (ja) フランジボルト部シール治具及びそれを用いるフランジ継手部のシール方法
KR100675144B1 (ko) 상수도용 고밀폐 관접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