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42B1 -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042B1
KR102120042B1 KR1020130129697A KR20130129697A KR102120042B1 KR 102120042 B1 KR102120042 B1 KR 102120042B1 KR 1020130129697 A KR1020130129697 A KR 1020130129697A KR 20130129697 A KR20130129697 A KR 20130129697A KR 102120042 B1 KR102120042 B1 KR 10212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rrugated pipe
spiral
band
rubb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313A (ko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훈 filed Critical 주태훈
Priority to KR102013012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0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2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Reduc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16)의 통공(20)에 삽입되는 내부나선(22)을 갖는 관로구어댑터(24)에 대하여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18)을 연결하기 위한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는 상기 관로구어댑터(24)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파형관(18)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로구몸체(10), 상기 관로구몸체(10)에 대하여 단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슬리이브(12)와, 일측이 축선방향으로 개방된 "C"자형의 밴드본체(48)로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에서 상기 밴드본체(48)의 양단부에 삽입된 체결봉(52)을 통하여 볼트-너트 조립체(58, 60)를 체결하여 상기 고무슬리이브(12)를 감싸는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기 관로구몸체(10)와 상기 나선파형관(18)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1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CONNECTING STRUCTURE FOR CORRUGATED PIPE TO CABLE PATHWAY OF MANHOLE}
본 발명은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로구와 파형관의 연결상태와 방수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되고 연결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부설되는 통신케이블 또는 전력공급케이블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맨홀 사이를 나선파형관으로 연결하여 관로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맨홀에는 관로의 구성을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관로구가 결합되며 이러한 관로구에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이 연결고정된다.
여기에서 관로구는 맨홀의 통공에 결합되는 관로구어댑터와 이에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에는 나선파형관이 연결되는 관로구몸체로 구성된다.
맨홀의 관로구어댑터에 나선결합되는 관로구몸체의 타측단부는 나선파형관의 선단부와 결합되고 방수테이프 등으로 테이핑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관로구와 나선파형관 사이의 연결상태가 확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업한다.
그러나, 종래 관로구몸체와 나선파형관 사이의 연결상태가 확고하지 못하여 외력에 의하여 관로구로부터 나선파형관이 무단 이탈될 수 있는 결합이 있고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실질적인 통신케이블 또는 전력공급케이블의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은 관로구에 결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특별히 변형된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나선파형관가 연결되는 관로구, 특히 직관형의 형태인 관로구몸체에 나선파형의 형태인 나선파형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몇가지의 중요한 조건이 있다.
즉, 연결되는 두 요소, 즉, 관로구 또는 관로구몸체와 이에 연결되는 나선파형관 사이의 연결상태에서 두 요소에 대한 내외부의 누수가 없는 완벽한 방수가 이룽러질 수 있도록 연결부위가 밀폐되어여 한다.
또한, 나선파형관에는 이를 맨홀에 연결하는 작업을 시행하는 경우나 주중에 매설되는 작업중에 또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의 외력이 가하여질 수 있는데, 나선파형관이 관로구에 연결된 후에는 일정수준의 수평 또는 수직의 힘이 가하여진다하여도 나선파형관이 관로구로부터 이탈된 유려가 없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구와 파형관의 연결상태와 방수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되고 연결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맨홀의 통공에 삽입되는 내부나선을 갖는 관로구어댑터에 대하여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을 연결하기 위한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는 상기 관로구어댑터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파형관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로구몸체, 상기 관로구몸체에 대하여 단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나선파형관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슬리이브와, 일측이 축선방향으로 개방된 "C"자형의 밴드본체로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에서 상기 밴드본체의 양단부에 삽입된 체결봉을 통하여 볼트-너트 조립체를 체결하여 상기 고무슬리이브를 감싸는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기 관로구몸체와 상기 나선파형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관로구몸체가 상기 관로구어댑터의 상기 내부나선에 결합되는 외부나선을 갖는 원통형 결합부와 이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로 구성되고, 상기 주동체부에는 단부에 차례로 외부플랜지와 두개의 환상플랜지 그리고 내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측 환상플랜지 사이, 상기 두 환상플랜지 사이, 그리고 상기 환상플랜지와 상기 내부플랜지 사이에 각각 제1, 제2 및 제3 환상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무슬리이브의 선단측 내부에는 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의 내향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고무슬리이브가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상기 관로구몸체와 상기 나선파형관의 외면에 씌워질 때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관로구몸체의 상기 외부플랜지와 상기 외측 환상플랜지사이의 상기 제1 환상요입부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밴드는 상기 밴드본체의 선단부분에 이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상기 밴드본체의 개방부분을 제외한 내면에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 두개의 내향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관로구몸체와 상기 나선파형관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밴드본체의 상기 내향플랜지가 상기 관로구몸체의 상기 주동체부에 형성된 내부플랜지와 내측의 환상플랜지 사이에 형성된 환상요입부와 두 환상플랜지 사이의 환상요입부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상기 내향플랜지에는 상기 밴드본체의 개방 및 폐쇄시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등간격을 두고 절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나선파형관을 관로구에 연결하기 위한 관로구몸체와 나선파형관을 관로구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밴드 등의 구조를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맨홀에 관로구의 형성을 위하여 통공이 형성되고 이에 관로구어댑터가 결합된 상태와 이러한 맨홀에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도록 연결될 나선파형관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맨홀 통공에 배치된 관로구어댑터에 결합될 관로구몸체를 나선파형관과 함께 보인 단면도.
도 4는 나선파형관이 관로구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밴드와 고무슬리이브 등을 나열하여 보인 단면도.
도 5는 관로구몸체의 단부에 나선파형관의 단부가 접속된 후 고무슬리이브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관로구몸체와 나선파형관을 고정밴드로 고정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점선원 부분의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인 것으로, 관로구몸체(10), 고무슬리이브(12) 및 고정밴드(14)를 포함하는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맨홀(16)에 통신케이블 또는 전력공급케이블을 부설하는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나선파형관(18)을 누수없이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서, 맨홀(16)에는 관로형성을 위한 통공(2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통공(20)에는 내부에 내부나선(22)을 갖는 원통형의 관로구어댑터(24)가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관로구어댑터(24)에 관로구몸체(10)가 결합된다.
관로구몸체(10)
관로구몸체(10)는 관로구어댑터(24)의 내부나선(22)에 결합되는 외부나선(26)을 갖는 원통형 결합부(28)와, 이러한 원통형 결합부(28)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원통형 결합부(28)를 포함하여 주동체부(30)의 내경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에 결합될 나선파형관(18)의 내경과 같다.
나선파형관(18)과의 결합을 위하여, 관로구몸체(10)의 주동체부(30)에는 단부에 차례로 하나의 외부플랜지(32), 두개의 환상플랜지(34, 36), 내부플랜지(38)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플랜지(32)와 외측 환상플랜지(34) 사이, 환상플랜지(34, 36) 사이, 그리고 환상플랜지(36)와 내부플랜지(38) 사이에 각각 제1, 제2 및 제3 환상요입부(40, 42, 44)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하나의 관로구몸체(10)가 완성된다.
이러한 관로구몸체(10)는 그 원통형 결합부(28)의 외부나선(26)이 맨홀(16)의 통공(18)에 결합된 관로구어댑터(24)의 내부나선(22)에 나선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이에 나선파형관(18)이 결합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고무슬리이브(12)와 고정밴드(14)가 사용된다.
고무슬리이브(12)
고무슬리이브(12)는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고무슬리이브(12)의 선단측 내부에는 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의 내향플랜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슬리이브(12)의 내향플랜지(46)는 고무슬리이브(12)가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씌워질 때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관로구몸체(10)의 외부플랜지(32)와 외측 환상플랜지(34)사이의 제1 환상요입부(40)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1 환상요입부(40)의 폭과 고무슬리이브(12)의 내향플랜지(46)의 두께는 거의 같아 제1 환상요입부(40)에 삽입된 고무슬리이브(12)의 내향플랜지(46)는 잘 빠지지 않게 된다.
고정밴드(14)
고정밴드(14)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측이 축선방향으로 개방된 "C"자형의 형태인 밴드본체(48)로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에서 밴드본체(48)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루우프(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루우프(50)에는 각각의 체결봉(52)이 삽입되고 각 루우프(50)에서 내외측으로 연장된 볼트관통구(54)와 이에 일치하는 체결봉(52)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6)을 통하여 볼트-너트 조립체의 볼트(58)가 체결되고 볼트(58)에 너트(60)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14)는 볼트-너트 조립체의 볼트(58)에 대하여 너트(60)를 조임으로서 고정밴드(14)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14)의 내면에는 본원 출원인의 특허등록 10-1202360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14)를 나선파형관(18)에 보다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부분나선형인 내향돌선(6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나선형 내향돌선(62)은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의 위치에 배치되고 나선형 홈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다.
한편, 고정밴드(14)의 후단부측 내면에는 고정밴드(14)를 나선파형관(18)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표시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표시돌기(64) 역시 잘 알려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밴드(14)에는 이러한 고정밴드(14)를 관로구몸체(10)에 구조적으로 완벽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밴드(14)를 구성하는 밴드본체(48)의 선단부분에는 이러한 선단부분으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밴드본체(48)의 개방부분을 제외한 내면에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 두개의 내향플랜지(66, 6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향플랜지(66, 68)에는 밴드본체(48)의 개방 및 폐쇄시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등간격을 두고 두 곳에 절결부(7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무슬리이브(12)를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씌워지고 고무슬리이브(12)의 내향플랜지(46)가 관로구몸체(10)의 외부플랜지(32)와 외측 환상플랜지(34)사이의 제1 환상요입부(40)에 삽입하여 배치하였을 때, 이러한 고정밴드(14)는 내부에 이러한 고무슬리이브(12)를 감싸는 상태에서 결합되는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 사이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결합된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밴드(14)는 그 밴드본체(48)의 두 내향플랜지(66, 68)가 관로구몸체(10)의 주동체부(30)에 형성된 내부플랜지(38)와 내측의 환상플랜지(36) 사이에 형성된 환상요입부(44)와 두 환상플랜지(34, 36) 사이의 환상요입부(42)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밴드(14)가 관로구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이러한 고정밴드(14)에는 부속구조물로서 밴드본체(48)의 개방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밴드본체(48)의 개방부분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제 보강판(72)이 구비된다. 또한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연속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선홈을 통하여 누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패킹(74)이 제공된다. 이들 보강판(72)과 방수패킹(74)은 고무슬리이브(12) 및 고정밴드(14)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맨홀(16)의 통공(20)에 결합된 관로구어댑터(24)에 대하여 실질적인 관로의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나선파형관(18)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맨홀(16)의 관로구어댑터(24)에 대하여 관로구몸체(10)가 결합된다. 이러한 관로구몸체(10)의 단부에 나선파형관(18)의 단부가 결합되기 전에 이들 사이에 내향플랜지(46)를 갖는 고무슬리이브(12)가 결합된다. 이때에 고무슬리이브(12)의 내향플랜지(46)는 관로구몸체(10)의 외부플랜지(32)와 환상플랜지(34) 사이에 형성된 환상요입부(40)에 삽입되면서 고무슬리이브(12)의 선단측 일부가 관로구몸체(10)의 단부외면에 씌워지고 대부분의 고무슬리이브(12)는 나선파형관(18)의 외면측에 씌워진다. 이러한 고무슬리이브(12)를 나선파형관(18)에 결합하기 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방수패킹(74)이 나선파형관(18)의 나선형 홈에 삽입배치되고 고무슬리이브(12)에 의하여 지지된다(도 5 참조).
이후에 고무슬리이브(12)상에 고정밴드(14)가 씌워져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 즉,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밴드(14)는 밴드본체(48)를 벌린 상태에서 고무슬리이브(12)를 내면에 포함할 수 있도록 고무슬리이브(12)상에 배치되며, 이때에, 밴드본체(48)의 두 내향플랜지(66, 68)가 관로구몸체(10)의 주동체부(30)에 형성된 내부플랜지(38)와 내측의 환상플랜지(36) 사이에 형성된 환상요입부(44)와 두 환상플랜지(34, 36) 사이의 환상요입부(42)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밴드본체(48)의 개방된 부분내에 보강판(72)을 배치하고 밴드본체(48)의 두 대향된 루우프(50)에 삽입된 체결봉(52)을 통하여 체결된 볼트(58)에 너트(60)를 조여 밴드본체(48)가 고무슬리이브(12)의 외면에 대하여 압착되게 함으로서, 밴드본체(48)는 관로구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의 결합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무슬리이브(12)가 나선파형관(18)에 밀착되고 또한 방수패킹(74)의 결합으로 관로구몸체(10)와 나선파형관(18) 사이의 간극을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로구몸체(10)의 주동체(30)에 두개의 환상플랜지(34, 36)가 형성되어 있고, 고정밴드(14)의 밴드본체(48)에 두개의 내향플랜지(66, 68)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관로구몸체(10)의 주동체(30)에 하나의 환상플랜지가 형성되고 고정밴드(14)의 밴드본체(48)에 하나의 내향플랜지가 형성되어도 관로구몸체(10)에 대한 고정밴드(10)의 고정결합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관로구와 파형관의 연결상태와 방수상태가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10: 관로구몸체, 12: 고무슬리이브, 14: 고정밴드, 16: 맨홀, 18: 나선파형관, 20: 통공, 22; 내부나선, 24: 관로구어댑터, 26: 외부나선, 28: 원통형 결합부, 30: 주동체부, 32: 외부플랜지, 34, 36: 환상플랜지, 38: 내부플랜지, 40, 42, 44: 환상요입부, 46: 내향플랜지, 48: 밴드본체, 50: 루우프, 52: 체결봉, 54: 볼트관통구, 56: 볼트체결공, 58: 볼트, 60: 너트, 62: 내향돌선, 64: 위치표시돌기, 66, 68: 내향플랜지, 70: 절결부, 72: 보강판, 74: 방수패킹.

Claims (5)

  1. 맨홀(16)의 통공(20)에 삽입되는 관로구어댑터(24)에 나선파형관(18)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관로구어댑터(24)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파형관(18)의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관로구몸체(10), 상기 관로구몸체(10)에 대하여 단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나선파형관(18)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슬리이브(12)와, 일측이 개방된 "C"자형의 밴드본체(48)로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에서 양단부에 삽입된 체결봉(52)을 통하여 볼트-너트 조립체(58, 60)를 체결하여 상기 고무슬리이브(12)를 감싸는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기 관로구몸체(10)와 상기 나선파형관(18) 사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14)를 포함하는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몸체(10)가 원통형 결합부(28)와 이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주동체부(30)에는 단부에 차례로 외부플랜지(32)와 두개의 환상플랜지(34, 36) 그리고 내부플랜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차례로 각각 제1, 제2 및 제3 환상요입부(40, 42, 44)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슬리이브(12)의 선단측 내부에는 상기 제1 환상요입부(40)에 삽입되는 환상의 내향플랜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본체(48)의 내면에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고 등간격을 두고 절결부(70)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상기 주동체부(30)의 상기 제3 및 제2 환상요입부(44, 42)에 삽입되는 두개의 내향플랜지(66, 68)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29697A 2013-10-30 2013-10-30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KR10212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97A KR102120042B1 (ko) 2013-10-30 2013-10-30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697A KR102120042B1 (ko) 2013-10-30 2013-10-30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13A KR20150049313A (ko) 2015-05-08
KR102120042B1 true KR102120042B1 (ko) 2020-06-09

Family

ID=5338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697A KR102120042B1 (ko) 2013-10-30 2013-10-30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815B1 (ko) 2016-12-08 2019-01-14 주식회사 유진에스앤씨 지중케이블 수납관로 연결구조체
CN109518723A (zh) * 2018-11-08 2019-03-26 芜湖市越泽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计算机通信工程的线缆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0569A (ja) * 2004-09-02 2006-03-16 Azuma Rubber Kogyo Kk 可撓性継手のリブ付管用締付けリング構造
KR100696318B1 (ko) * 2006-02-20 2007-03-19 허진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57B1 (ko) * 2007-02-21 2010-08-12 주수영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101226849B1 (ko) * 2010-10-26 2013-01-25 정문식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0569A (ja) * 2004-09-02 2006-03-16 Azuma Rubber Kogyo Kk 可撓性継手のリブ付管用締付けリング構造
KR100696318B1 (ko) * 2006-02-20 2007-03-19 허진 관로구용 연결관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313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042B1 (ko)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US4002358A (en) Adapter for connecting conduit to pipe
KR101226849B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101311589B1 (ko) 현장 설치용 추가관로 형성 및 연결장치
KR100726736B1 (ko) 하수관거 연결고정 구조물
KR20150004532U (ko) 원형강 또는 사각형강 버팀보와 띠장의 연결재
US9725866B1 (en) Tieback assembly with removable tendon threaded element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CN107916942A (zh) 顶管隧道管节与盾构隧道管片的连接装置
RU2371627C2 (ru) Неразъемное электроизолирующее соединение
KR101202360B1 (ko) 지중매설관용 이음관
KR102156064B1 (ko)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CN207470196U (zh) 顶管隧道管节与盾构隧道管片的连接装置
KR200452242Y1 (ko)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20110105594A (ko) 파이프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0635484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거푸집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102156388B1 (ko) 맨홀 누수 방지 구조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KR101137648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JP2000059972A (ja) マンホール継手とその接続構造
JP4916336B2 (ja) 牽引推進工法用管の継手構造
KR101756925B1 (ko) 수밀강화를 위한 일체형 관로구의 보강 보조 받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