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403B1 -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음악을 작곡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음악을 작곡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2403B1 KR101212403B1 KR1020077000675A KR20077000675A KR101212403B1 KR 101212403 B1 KR101212403 B1 KR 101212403B1 KR 1020077000675 A KR1020077000675 A KR 1020077000675A KR 20077000675 A KR20077000675 A KR 20077000675A KR 101212403 B1 KR101212403 B1 KR 101212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tes
- sequence
- electronic device
- note
- keyp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1295 pi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105 trans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55 vo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55 memory stor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616 trans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4—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with sound emitte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8—Means for controlling the transition from one tone waveform to anoth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61—Numeric keypad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musical input via a telephone or calculator-like keyboard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21—Mobile ringtone, i.e. generation, transmission, conversion or downloading of ringing tones or other sounds for mobile telephony; Special musical data formats or protocols theref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ue or digital, e.g. DECT, GSM, UM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 음악 시퀀스가 형성된다.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의 숫자 키는 1옥타브에서의 대응하는 음표로 직접 매핑된다.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음표의 시퀀스가 입력되고,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다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시퀀스의 숫자 표현이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세부적으로는, 본 발명은 음악의 작곡을 위해,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난 세기 동안, 무선 전화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왔다. 최근의 경향은 무선 전화기의 성능의 확장과 함께, 소형화(miniaturization)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무선 전화기에는 전화기 콜(call)의 송신 및 수신뿐 아니라, 상기 무선 핸드헬드 장치 상에 상주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괸리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자면,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는, 달력, 주소수첩, 엔터테인먼트 게임이 있다. 일부 경우에서, 무선 사용자는 전화기를 맞춤 사용할 수 있다. 가령, 핸드헬드 디스플레이의 구성과, 걸려오는 전화 콜의 수신과 관련되어 구별되는 전화기 벨소리가 있다.
무선 전화 장치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개개인의 전화를 타인과 구별하는 것이 매우 요망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많은 공간에서, 특정 사용자의 전화 벨소리를 다른 사람의 것과 구별해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과, 그 밖의 다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무선 전화기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는 사용 자를 위한 착신음 옵션을 제공한다. 즉, 전화기의 벨소리가 특정 사용자에 의해 맞춤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장치 상에서, 착신음은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호스트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착신음 시퀀스가 생성되어, 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를 통해, 또는 직접 전기 연결(가령 호스트 컴퓨터 상의 USB 포트를 통한 연결)을 통해, 적합한 포맷으로 무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방법은 상기 시퀀스를 작곡하기 위한 별도의 호스트 컴퓨터를 필요로 하고, 더 나아가서는 완료된 시퀀스를 무선 전화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를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하여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무선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착신음, 또는 그 밖의 다른 음원을 작곡하는 것이 제한받을 수 있다.
또한 착신음은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되거나, 무선 전화기 공급업체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서, 다운로드의 수신을 위해 호스트 컴퓨터가 다시 요구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장치로 전송하는 별도의 단계가 뒤따른다. 두 번째 경우에서, 일반적으로 쓸 수 있는 착신음의 개수는 제한되어 있다. 바람직하지 않게도, 두 가지 경우 모두 사용자에게, 고유의 음악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즉, 음악을 작곡하기 위한 창의적인 자유로움을 제공하지 않는다.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에 의한, 착신음 시퀀스의 수동 키잉(keying)에 의한 착신음 시퀀스의 수동 생성이 있다. 수동 키-입력 방법에서, 키스트로크(keystroke)의 시퀀스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무선 전화기 키패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무선 장치의 키패드로부터 직접 음악 작곡이 가능하지만, 입력 시퀀스와 디스플레이 악보 표시는 사용자의 연습을 요구한다. 즉, 핸드셋 상에서 착신음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현재의 방법은 다소 번거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악보에서, 문자, 숫자, 기호를 포함하는 코드의 시퀀스가 요구된다. 이는 직관적으로 이뤄질 수 없으며, 창의적인 작업을 저해한다. 덧붙이자면, 표시된 시퀀스를 해독하기 위해서, 상당한 노력이 요구되며, 이는 또한 창의적인 작곡을 저해한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키패드 음악 작곡의 방법의 습득의 용이성과, 입력된 시퀀스의 디스플레이의 이해의 용이성이다.
앞서 언급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음악 시퀀스를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음악 시퀀스는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 형성된다.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의 숫자 키는 1옥타브의 대응하는 음표로 매핑된다. 음표의 시퀀스는 상기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되고, 상기 핸드헬드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시퀀스의 숫자 표현을 디스플레이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음표의 시퀀스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키패드는 1이상의 옥타브에서의 대응하는 음표로 매핑되는 다수의 키를 포함한다. 각각의 음표에 대해 선택되는 숫자 키는 음악 시퀀스의 음표의 매핑에 대응한다. 상기 음악 시퀀스의 숫자 표현은 핸드헬드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1 옥타브 동안의 온음계에 대응하도록, 키패드 상의 숫자 키와 옥타브의 음표 간의 매핑은 숫자 키 1 내지 7에 의해 표현된다. 1 옥타브 동안의 온음계에서의 점점 증가하는 음표는 키패드 상의 점점 증가하는 숫자를 갖는 키에 대응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음악 시퀀스가 형성된 후, 음표의 시퀀스는 표준 포맷 중 하나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그리고 그 밖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 포맷에서 사용되는 그랜드 보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C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에 따르는 키 기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웨스턴 포맷에서의 다양한 키 지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2C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숫자 악보로의 변화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D-2E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숫자 악보로의 변환을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2F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 포맷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는 숫자 키패드 포맷으로의 음길이 및 그 밖의 다른 매개변수의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키패드와,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음악 시퀀스를 도식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디스플레이에서 도식된 음악 시퀀스의 그래픽적 숫자 악보 표현을 도식한 도면이다.
도 4C는 종래의 키패드 입력 포맷과 이에 대응하는 도 4A에서의 입력된 동일한 음악 시퀀스를 도식한 도면이다.
도 4D는 종래의 키패드 입력 포맷과 이에 대응하는 도 4A에서의 입력된 음악 시퀀스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도식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는 음악 시퀀스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도식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뤄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조합되어 설명되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렇기는커녕 대 안예, 수정예, 동치예가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세부사항의 일부, 또는 전체가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또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작업 동작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의 키패드 상에서 음악 시퀀스가 형성된다. 상기 핸드헬드 무선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의 숫자 키는, 1 옥타브의 온음계에서 대응하는 음표의 시퀀스에 직접 매핑(mapping)된다. 상기 키패드 상에서 하나 이상의 번호 키를 누름으로써, 그리고 상기 시퀀스의 숫자적 표현을 핸드헬드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악보의 시퀀스가 입력된다.
문자 캐릭터를 사용함으로써, 음악 악보는 음의 톤(tone)과, 그 수정을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은 웨스턴 보표(Western staff) 악보 시스템, 또는 그 밖의 다른 시스템을 대신하여, 숫자 음악 악보 시스템의 특징을 이용하는 음악 악보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 음악을 작곡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종이 음악 악보로 알려진, 웨스턴 보표 악보는 전세계,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즐겨 사용되고 있다. 이는 높은음자리표, 또는 낮은음자리표가 일반적으로 표시된, 인쇄된 보표이다. 다양한 음표, 또는 그 밖의 다른 기호가 상기 보표에 인쇄된다. 바람직하지 않게도, 이러한 그래픽적 디스플레이에 의존함으로써, 상기 웨스턴 보표 시스템을 사용하여,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착신음, 또는 그 밖의 다른 음악을 작곡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웨스턴 보표 시스템에 의해 표현되는 매개변수 모두는 아니지만 대다수를 표현할 수 있으며, 숫자 음 포맷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쉽게 전송될 수 있는 악보 시스템을 사용하여,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음악을 작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악보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 중 두 가지는 음높이(pitch)와 음길이(duration)이다. 웨스턴 보표 악보가 그 사용 범위가 넓게 퍼져 있고, 음악가와 작곡가에게 알려져 있기 때문에, 비교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웨스턴 보표에서, 음높이는 보표 상에 음표를 위치함으로써 결정된다. 보표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등간격을 두고 있는 5개의 선으로서 형성된다. 음자리표는 주파수 공간내에서 보표의 위치를 명시하기 위한 피스의 시작부에서 사용되는 기호이다.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 또는 “G”음자리표는 중앙 C(가온 다)(즉, 약 261㎐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의 위에 위치하는 보표를 나타낸다. 이와 대조적으로, 낮은음자리표, 또는 “F”음자리표는 중앙 C의 아래에 위치하는 보표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웨스턴 보표 악보는 음원 시퀀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음높이에 대한 그래픽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사용되는 악보 시스템과 별개로, 옥타브에 대한 온음계가 그렇듯이, 상기 옥타브도 음원에서 있어 중요하다. 음원에서, 하나의 음표와 두 배 주파수의 음높이를 갖는 또 다른 음원 간의 간격이 1 옥타브이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에서, 1 옥타브 떨어진 음표에는 동일한 음표 표식이 주어진다. 따라서 모든 C 음표는 인접 C로부터 1 옥타브만큼 떨어져 있으며, 이 두 음표는 2:1의 주파수 비를 갖는다.
웨스턴 도표 시스템의 그래픽적 표시와 달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텍 스트 기반의 숫자가 부여된 악보 시스템을 사용한다. 음표의 음높이는, 1 옥타브 동안, 온음계에 대한 음표의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의 숫자 키로의 매핑(바람직하게는 키 1 ~ 7)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옥타브를 옥타브의 7도를 나타내는 7개의 숫자 키에 매핑하기 위한 기반을 이해하기 위해, 1 옥타브에 대한 반음계와 온음계에 대한 논의가 추가로 제공된다.
상기 반음계는 하나의 옥타브를 12개의 음높이로 세분화한 음계이다. 다시 말하자면, 옥타브 내에서, 하나의 선택된 음표에는 11개의 음표가 뒤따른다. 반음계에서, 각각의 음높이는 1/2음정, 즉 반음만큼 인접 음높이와 구별된다. 옥타브에 대한 시퀀스에서 각각의 중간 주파수는, 앞선 중간 주파수에 대해 약 6%의 증가를 나타낸다.
반음계의 부분 집합으로서의 온음계는 음높이에 대한 옥타브를 7개의 음표, 또는 도(degree)로 나타낸다. 음악 작곡에 있어, 특정한 조화를 제공하도록 이러한 도(degree)가 선택되어 진다. 선택된 음표에서 음표의 옥타브(octave of note), 즉, 상기 선택된 음표의 주파수보다 두 배 높은 주파수, 즉 두 배 높은 음높이를 갖는 음표까지에서, 옥타브의 7개의 도(degree)는 더 높아지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에 대하여, 이러한 음계의 도(degree)는 문자 A~G로 표시되며, 이때, (반음계의) 12개의 음높이 모두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적인 임시 기호(가령, 샵, 또는 플랫)가 선택된 문자 앞에 붙여진다. 샵(sharp)은 음높이에 있어서 1/2음정 올림을 나타내고, 플랫(flat)은 1/2내림을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숫자 악보 시스템은, 온음계의 도(degree)에 숫자 1~7을 할당하고, 이에 대응하는 키패드 상의 숫자 키를 이러한 음계의 도(degree)에 할당한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에서, 음자리표는 주파수 영역내에서, 보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악보의 시작에서 사용되는 기호이다.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 즉 “G”음자리표는 중앙 “C”(즉, 약 261㎐의 주파수를 갖는 음표)의 위쪽에 위치하는 보표를 나타낸다. 이와는 반대로, 낮은음자리표, 즉 “F”음자리표는 중앙“C"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보표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웨스턴 보표 악보는 음원 시퀀스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음높이의 그래픽적 표시를 제공한다.
상기 웨스턴 시스템이 널리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음표에 할당되는 문자는 직관적으로 식별될 수 없다, 즉, 음악 초심자에 의해 이해되기 쉽지 않다. 예를 들어, 높은음자리표에 있어서, 선은 아래서부터 E, G, B, D, F의 순서로 되어 있는 음표를 나타낸다. 공간은 아래서부터 음표 F, A, C, E를 나타낸다. 이와는 달리, “F”음자리표는 선과 공간에 대하여 다른 음표 지정 방식을 사용한다. 즉, 선은 G, B, D, F, A를 나타내고, 공간은 A, C, E, G를 나타낸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음표 식별과, 이에 대응하는 보표 상의 위치를 기억하고 학습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의사 코드(mnemonics), 가령 ("F"음자리표에 대한) “All Cows Eat Grass”와, (“G”음자리표에 대한) “Every Good Boy Does Fine”이 대응하는 보표 상의 음표 위치의 기억을 돕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점을 판단하고, 이를 핸드 헬드 장치로 적용하기 위해 시도하기 위해, 종래의 웨스턴 시스템에서의 음의 시퀀스의 예가 설명된다. 도 1A는 종래의 웨스턴 보표 악보의 예를 나타낸다. 특히, 9개의 서로 다른 음높이가 (문자로 표시되는) 음표의 시퀀스에 의해 나타난다. 개별 음표의 음높이는 보표 상의 그들의 위치와, 보표의 지정(여기서는 높은음자리표, 즉 “G”음자리표)에 따라 결정된다. 도 1B는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의 조합인 피아노 보표(piano staff), 또는 그랜드 보표(grand staff)를 나타낸다. 상기 낮은음자리표는 높은음자리표에 의해 나타나는 가장 낮은 음표보다 낮은 음표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러한 악보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사용될지라도, 특히, 웨스턴 음악의 미묘한 차이가 표현될 때, 개별적인 음표 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음높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을 필요로 한다. 덧붙이자면, 그래픽적 디스플레이에 의존하는 특성이 핸드헬드 전자 장치, 가령 무선 전화기 상의 작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제공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번호 1 내지 7이 키패드 상에서 입력되어, 이에 대응하는 온음계의 각각의 음계의 도(degree)에 대응될 수 있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이 음표와 그 음높이 간에서 고정된 대응을 사용하기 때문에, 키 변환(key transposition)이 어렵다. 다시 말하자면, 특정 음자리표에 의해 지정된 보표 상에 위치하는 특정 음표는 항상 지정 음높이를 갖는다. 키를 변환하기 위해, 음표, 또는 보표가 변환되거나, 또는 그 밖의 다른 기호(가령, 임시기호)가 부가되어야만 한다. 이는 음의 시퀀스의 그래픽적 표시를 복잡하게 만든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주음(root note), 또는 으뜸음(tonic note), 즉, 옥타 브의 위로 올라가는 7개의 음표에서 제 1 음표에 의해 각각의 온음계는 일컬어진다. 음표와 상기 음표의 옥타브 사이의 음계에 대하여, 12개의 반음 간격을 가로지르기 위해, 장조계(major key scale)가 항상 2-2-1-2-2-2-1의 반음 올림을 갖는 반면에, 단조계(Minor scale)는 2-1-2-2-1-2-2의 단음 올림을 가지며, 이때 각각의 “2”는 음높이 간격(온 음정)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작곡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C 장조계에서, (임시 기호 없는) 문자는 상기 음계의 각각의 음정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밖의 다른 여러 장조계에 대하여, 온음계의 7도가 임시 기호(즉, 샵, 또는 플랫)에 의해 수정되는 몇몇의 문자를 포함한다. 특정 예를 들자면, G장조계의 음계의 7개의 도는 시퀀스 G-A-B-C-D-E-F#-G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G의 키로 쓰여지는 음악의 작곡은 F 대신 F#을 포함할 것이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은 조표(key signature)를 사용함으로써, 키의 변화를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음자리표 기호 뒤에 위치하는 임시기호의 조합에 의해 표시된다(도 1C 참조). 특히, 도 1C는 다양한 키의 지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G 장조로 이뤄진 곡의 재생을 받아 적기 위해, 보표의 다섯 번째 선 상에 위치하는 임시 기호 “샵”에 의해, 곡 전체에서 상기 선 상에서 나타나는 음표는 모두 “샵 적용(sharped)”된다, 즉, 반음 올림된다. 이러한 악보 방법은 음표의 음높이를 지시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기능할 수 있으나, 하나의 키(key)에서 다른 키로 음악 시퀀스의 완전한 변환을 다루기에는 어렵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온음계에 따르는 음악 시퀀스는 옥타브에 대하여 2-2-1-2-2-2-1로써 정의된다. 따라서 C 장조계를 D 단조계로 변환하기 위해, 4개의 음표로 구성된 예제 시퀀스는 C-D-E-F에서 D-E-F#-G로 변환된다. 웨스턴 보표 악보 시스템의 음표와 그 음높이 간의 고정된 대응으로 인하여 이러한 일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웨스턴 악보 시스템의 이러한 문제점과 그 밖의 다른 문제점을, 숫자 악보 시스템에 따라 음악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극복한다. 상기 숫자 악보는 18세기에 Jean Jacques Rousseau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었고, 중국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음높이를 표현하기 위해, 문자 A~G를 사용하는 대신에, 숫자 1~7이 사용된다. 덧붙이자면, 하나의 문자에 고정 음높이를 할당(가령, 261㎐를 중앙 C에 할당)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용되는 숫자 시스템은 각각의 숫자를 옥타브의, 즉, 특정 옥타브에 대해 사용되는 온음계의 특정 도(degree)에 할당, 또는 매핑한다.
숫자가 부여된 키를 온음계의 도(degree)에 매핑하는 이러한 시스템은 또한 키 변환(key transposition)을 용이하게 해준다. 곡의 분위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키(key)는 중요하다. 키는 곡의 바람직한 음역대에 종속된다. 예를 들어, 보컬, 악기의 특정 음역대를 위해 쓰여지는 곡은, 상기 곡이 특정 음악적 키에서 이뤄졌을 때, 가장 훌륭하게 들린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F장조 키가 C 장조 키보다 더 부드럽게 들린다고 생각하며, C장조 키는 더 쾌활하게 들린다고 생각한다. 요컨대, 키 변환은 서로 다른 음악, 서로 다른 악기, 서로 다른 보컬 음역대에 순응하도록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음악을 더 흥미롭게 만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변환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키패드의 숫 자 시스템에 따라 작곡된 곡이나 착신음의 키가 다른 키로 변환될 때, 예를 들어, C에서 E로 변환될 때, 음표에 대한 숫자는 변경되지 않는다. 키의 변경은 착신음, 또는 그 밖의 다른 음악 파일의 헤더에서 키 지정(key designation)을 변경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 입력되는 동일한 번호로서 음표를 나타내는 의미 있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편곡이 용이해진다. 다음에서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숫자 시스템에 따라, 착신음을 입력하는 것이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쉽게 이뤄진다.
도 2A는 웨스턴 형식의 다양한 음악 키 지정을 나타내고 있는 테이블을 제공한다. 테이블을 살펴보면, 웨스턴 시스템에서의 키 변환의 어려움이 발견된다. 테이블의 가장 상단의 줄은 반음계를 이루는 반음계의 1/2음정(즉, 반음)을 나타내며, 두 번째 줄은 반음에 대한 웨스턴 보표 시스템의 음표 지정을 나타낸다. 상기 두 번째 줄 및의 각각의 줄은 온음계에 대한 장조 키 C, D, E, F, G, A에서의 음표 지정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숙련된 음악가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장조 키에서의 첫 번째 음표는 키에 의해 지정되는 음표로 시작한다. 즉, 웨스턴 시스템에서, C 장조계에서의 첫 번째 음표(음계의 도)는 C이다. 비교하자면, 숫자 시스템에서, 상기 음표는 “1”로 지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숫자 시스템이 숫자 1 내지 7을 음계의 도에 할당하기 때문에, 이러한 테이블은 선택되는 키에 따라, (웨스턴 시스템 문자에 의해 지정되는) 특정 음표의 대응하는 숫자 시스템의 숫자로의 매핑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매핑은 도 2B~2F에서 상세하게 나타난다.
특히, 도 2B~2F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웨스턴 보표 시스템에서의 음높이 매개변수를 참조하여, 음표의 시퀀스의 매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D장조의 키(key)에서, 1옥타브의 음계의 도(degree)는 시퀀스 D-E-F#-G-A-B-C#에 따라 진행하고, 이는 도 2D에서 나타나 있다. C장조(즉, 키 기준 = C)에 대하여, 1옥타브의 음계의 도(degree)는 도 2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퀀스 C-D-E-F-G-A-B에 따라 진행한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E장조의 키에서, 1옥타브의 음계의 도(degree)는 도 2C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E-F#-G#-A-B-C#-D#에 따라 진행한다. 각각의 경우에서, 옥타브 동안, 온음계의 도의 매핑은 시퀀스 1-2-3-4-5-6-7에 따라 진행한다. 즉, 각각의 키에 대하여, 숫자 시스템에서는, 웨스턴 보표 지정에 의한 음표는 시퀀스 1~7로 매핑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의 음표의 입력은 디폴트 C 키로 진행한다. 이는 중국의 숫자 시스템을 이용하여, 잘 대응하며, 디폴트에 따라서, 첫 번째 음표는 중앙 C에 할당된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르는, (온음계에 대하여) 웨스턴 시스템에서 키패드 숫자 시스템으로의 C, D, E 장조계의 매핑을 도식한다. 도2E는 온음계의 7개의 도에 대하여, 웨스턴 시스템에서 키패드 숫자 시스템으로의 C, D, E 장조계의 매핑을 도식하고, 임시 기호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웨스턴 보표 시스템의 C장조계에서 “E”음표는 숫자 시스템의 “3”에 매핑되지만, 웨스턴 보표 시스템의 D장조계의 F#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숫자 시스템에서 “3”에 매핑된다. 도 2F를 참조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2”지정은 “2”보다 1옥타브 높 은 음표를 일컫는다.
음표보다 하나 높은 음표에 플랫을 추가하는 것은 상기 음표에 샵을 추가하는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자면, “C#”음은 "D♭"음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랫”을 사용하는, 음-숫자 매핑까지로 확장될 수 있고, 하나 낮은 음표 지정에 샵을 추가하는 것의 대안이 된다.
숫자 악보는 특정 기호를 특정 음높이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숫자를 옥타브의 온음계의 도(degree) 지정에 할당하는 것에 따른다. 따라서 숫자 악보 시스템에 익숙한 사람들은, 음악을 입력하거나 편집할 때, 키 변환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음악이 하나의 키에서 다른 키로 변환될 때, 각각의 문자를 변경시키는 것, 그리고 일부 경우에서는 임시 기호를 추가하는 것 대신, 숫자 시스템에서의 숫자는 변경되지 않는다. 숫자 시스템은 키들 간의 변환을 용이하게 한다. 왜냐하면, 각각의 음높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숫자는 음계의 도(degree)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즉, 숫자 1은 항상 음계의 첫 번째 도를 일컫는다. 따라서 C장조계에서, 옥타브에서 가장 낮은 것부터 3개의 음의 시퀀스는 1-2-3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D장조계에서, 3개의 음의 시퀀스는 1-2-3이 된다. 따라서 C장조 키에서 D장조 키로(또는 임의의 다른 키로) 변환하는 것은, 음악 시퀀스, 즉, 곡의 시작에서, "키 기준(key reference)"만 변경시키기만 하면 이뤄진다. 이는 휴대용 장치, 가령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 상에서 음악을 작곡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키를 변경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재입력 대신, 본 발명의 방법은 키 입력의 최소화된 횟수에 의한 변환을 가능케 한다.
곡은 종종 하나 이상의 옥타브를 포함한다. 따라서 더 높거나, 더 낮은 옥타브를 표현하기 위해, 상기 숫자 악보 시스템은 음을 나타내는 특정 숫자 위해 단일 점을 위치시킨다. 2 옥타브 높음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2개의 점을 위치시키고, 1옥타브 아래의 음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숫자 아래에 하나의 점을 위치시키며, 숫자 아래의 두 개의 점은 2옥타브 낮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숫자 위에 하나의 점을 갖는 숫자는 숫자 아래에 하나의 점을 갖는 동일한 숫자보다 2옥타브 더 높다.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의 입력을 위해, 특정 음에 대하여 옥타브를 변경시키는 것은, 1옥타브 높음에 대해서는 아포스트로피(')을 추가하고, 1 옥타브 낮음에 대해서는 콤마(,)를 추가함으로써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B~2F).
웨스턴 보표 악보에 의해 표현되는 또 다른 중요 변수는 음의 길이이다. 웨스턴 보표 시스템은 음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기둥, 꼬리, 이음줄, 점에 따라 음표를 비우고 채우는 시스템을 사용한다. 온음표는 가장 단순하며, 기둥이나 꼬리를 갖지 않는다. 온음표의 1/2을 지속하는 음표를 2분 음표라고 한다. 온음표의 1/4을 지속하는 음표를 4분 음표라고 하며, 그 속에서 채워지는 2분 음표를 갖고 표현될 수 있다. 8분 음표, 16분 음표, 32분 음표, 64분 음표 등이 이러한 식으로 계속되며, 각각의 음표는 앞선 음표의 1/2 길이이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숫자 악보 시스템은 (음표의 길이의 1/2를 나타내는) 밑줄과, (웨스턴 보표의 점 음표(dotted note)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점(.)의 시스템을 사용한다. 즉, 점 하나를 4분 음표에 추가하면, 그 길이가 50% 증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키패드 숫자 악보 시스템은 밑줄을 대신하여 “슬래시”를 사용하고, 음높이 매개변수를 나타내는 숫자에 이웃하게 위치하는 점(.)을 사용함으로써, 텍스트 기반의 디스플레이의 표현을 수정할 수 있다. 음표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대시(dash)가 사용된다. 따라서 대시가 붙은 숫자는 2분 음표와 동치이다. 2개의 대시가 붙은 숫자는 4분의 3 음표와 동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음표의 축소를 나타내기 위해 슬래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숫자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쉼표를 사용한다. 즉, “0”이 쉼표를 나타낸다. 연장 쉼표 주기는 다수의 0들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온쉼표는 4개의 연속적인 “0”들로 나타날 수 있다. 8분 쉼표는 하나의 슬래시가 붙는 하나의 0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들은 도 2F에서 나타나 있으며, 이는 음표의 시퀀스의 바람직한 매핑이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웨스턴 음계에서의 음 길이에 대한 매개변수가 참조되어 있다. 참고로, 도 2F에서 나타낸 기호 “X”는 음높이에 대응하는 임의의 숫자 키를 일컫는 것이다. 다시 말해, 디폴트 C장조계에서, “3-”의 입력 및 디스플레이는 “E”에 대응하는 음높이에 대한 1/2 음 길이를 지정한다. 도 2F의 숫자 열은 Rousseau에 의해 개발된 숫자 악보 시스템 포맷에 대응한다. 핸드헬드 열은 핸드헬드의 키패드 상에서의 입력에 적절한 포맷을 일컫는다. 즉, 숫자 시스템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핸드헬드 상에서의 입력 및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수정되는 숫자 시스템이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종래의 숫자 시스템에 대한 그래픽적인 지정에 근접하게 대응하도록,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의 음높이와 음 길이 매개변 수의 입력이 선택된다. 그러나 입력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특정 기호는 예를 들기 위한 것이며, 제한받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핸드헬드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의 특정 제약을 충족시키기 위한 숫자 키 입력 및 디스플레이와 함께, 연장, 축소, 옥타브 변경에 대한 그 밖의 다른 기호의 사용까지로 확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숫자 악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음악 시퀀스를 입력하고 편집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입력, 표시, 편집 기능은 종래의 웨스턴 시스템을 능가하는 확실한 장점을 제공한다. 웨스턴 보표 악보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작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하는 것에 쉽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무선 전화기는 3줄, 또는 그 이하의 텍스트 줄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표 및 그 밖의 다른 기호를 포함하는 웨스턴 보표 같은 그래픽적 특징의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능력 밖이다. 핸드헬드 장치 상의 개선된 디스플레이가 전체 보표와 음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때라도, 음표를 입력하는 것은 작곡하는 사람(사용자)이 요망 음표를 대응하는 키패드의 알파벳, 또는 숫자 키로 변환할 수 있어야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숫자 악보 시스템은, 숫자의 직접 입력을 가능케함으로써,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에서 입력과 디스플레이 모두에 더욱 적합하다. 이때, 상기 숫자의 일련의 디스플레이는 음높이 매개변수의 유의미한 표현을 제공한다.
설명이 무선 핸드헬드 전화기 상의 음악 시퀀스를 입력하는 것에 관한 것이지만, 이는 예로서 간주되며, 제한받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저장 수단, 또는 송신 수단을 갖는 임의의 전자 장치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임의의 모든 핸드헬드 전자 장치로 확장되며, 그 예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핸드헬드 컴퓨터가 있다(그러나 제한받지 않음).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스타일러스/터치-스크린을 갖는 핸드헬드 컴퓨터, 또는 손바닥 크기의 컴퓨터가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음악 시퀀스를 입력하기위해 적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데이터 입력 방법은, 예를 들어, 스크린 상에 키보드의 형상을 포함하고, 스타일러스에 의해 스크린을 건드리는 것에 대해, 마치 "하드웨어" 키가 눌린 것처럼 반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키 입력의 대안적 형태를 사용하는 음악 시퀀스의 입력, 가령, 데이터 입력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또는 그 밖의 다른 소프트웨어 키 형식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음악을 작곡하도록 구성된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를 도식한다. 상기 전화기(300)는 종래의 전화기가 그러하듯이, 한단위 디지털 숫자(가령 0-9)와 연계되어 있는 10개 이상의 키를 갖는 키패드 구성을 포함한다. 온음계의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음높이를 표현하기 위한 그룹(302)의 1-7 숫자 키의 선택에 의해, 음표의 음높이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자면, 키 “1”을 누름에 따라, 온음계의 제 1 도(degree)가 입력되고, 동시에, 상기 핸드헬드 장치(300)의 디스플레이(304) 상에 숫자 “1”이 디스플레이된다. 숫자 키 “0”은 쉼표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04) 상에 “0”이 디스플레이된다. 나머지 숫자 키와 인접 키, 가령 “8”, “9”, “*”, “#”은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의 숫자 시스템의 반독을 위한 다양한 기능 및 기호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자면, 도 2F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슬래시, 마침표, 대시, 아포스트로피가 쓰여진 숫자 악보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호를 대신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특수 기호는,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키 중 하나에 의해, 직접 표현되거나, 키를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또는 하나의 키를 오래 누름으로써 접근되는 메뉴에서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키는, 상기 “*”키를 여러 번 누르는 것에 반응하여, (,)과, (')과, (.)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괄호 안의 값은 디스플레이되는 값을 나타낸다. 도 2F에서 도식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값은 1옥타브 낮은 음표와, 1옥타브 높은 음표와, 점음표에 대응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핸드헬드 장치의 키패드 상의 키“9”는 음표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대시(-)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키“8”은 음표의 길이를 축소하는 슬래시(/)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키 “#”가 사용되어, 입력되는 음표로 부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샵(#)과 하나 이상의 플랫(♭) 옵션을 제공하는 메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밑줄과 Rousseau의 숫자 악보 시스템에 대응하는 음표와 기호에 대한 숫자 키를 사용함으로써, 이미 숫자 악보 시스템에 익숙한 많은 사람들이 무선 전화기 상의 키패드 입력 시퀀스와 디스플레이를 인식할 수 있다.
핸드헬드 장치는 위/아래 방향을 지시하는 하나 이상의 조이스틱 타입의 키(308)를 갖는다. 이러한 다기능 키가 옥타브 올림과 옥타브 내림을 지정하는 키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키는 선택된 키를 누름 으로써 발생되는 메뉴를 스크롤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키의 특수 문자로의 매핑, 또는 특수 문자의 메뉴로의 매핑은 종래의 기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지침과 양립할 수 있는 이러한 모든 매핑을 포함한다. 즉, 특정 키로 슬래시를 매핑하는 것은 다양한 설계적 고려의 기능이다. 키의 특정 매핑에 관계없이, 특히, 특수 문자 키에 관한 것은 입력 및 편집에 있어서, 키패드 입력 시퀀스는 단순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된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숫자 키를 각각의 옥타브의 음계의 도에 매핑함으로써, 쉽게 이해가능한 음악 시퀀스가 입력되고, 디스플레이되고, 편집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높이와 음 길이 매개변수를 포함하여, 다수의 음표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키의 개수는 최소화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핸드헬드 장치, 특히, 무선 전화기는 키패드 상에서의 제한된 세트의 키(일반적으로 숫자 0-9에 대응하는 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키의 대다수는 연계되어 있는 일련의 알파벳 문자를 갖는다. 온음계를 포함하여 7개의 상대적인 음높이를 표현하기 위해, 키의 그룹을 선택하고, 음 길이 매개변수를 제공, 또는 조정항기 위해 나머지 사용되지 않는 키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키를 선택함으로써, 키패드 입력 단계의 횟수는 제한되거나 최소화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음 길이 매개변수는 비-알파벳 키를 사용하여 조정된다.
도 4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키패드 숫자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디스플레이된 시퀀스(402)가 도 4B의 쓰여진 숫자 악보 시스템의 그래픽적 포맷(404)에 가깝게 대응한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텍스트 기반의 곡 을 가령 이메일 메시지로,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텍스트 기반 디스플레이에 국한되는 전자 장치로 발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된 실시예에 따라 발생되는 악보 시스템이 이러한 기능을,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표시된다는 이점과 함께 제공한다. 덧붙이자면, 디스플레이(402)에서 표시되는 문자는 핸드헬드 장치 상에 눌리는 실제 숫자 키에 근접하게 대응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40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숫자의 시퀀스 5, 4, 3, 2, 3, 2에 의해 나타나는 음표를 생성하기 위해, 숫자 5, 4, 3, 2, 3, 2 등을 갖는 키가 각각 눌린다. 이와 달리, 현재 사용되는 종래의 키 누름 시스템은 눌려진 키와 디스플레이된 최종 문자 사이에 거의 연관이 없다.
종래의 착신음 포맷은 착신음 파일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Ring Tone Text Transfer Language(RTTTL)를 사용한다. 도 4C-4D는 종래의 시스템에서 발견되는 키 누름 시퀀스, 드시플레이 시퀀스와, 키 변환 사이의 차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도 4C는 종래의 핸드헬드 장치에서, 디스플레이(422)에서의 도 4A의 곡을 C#장조 키로 나타낸다. 이러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핸드헬드 시퀀스와 디스플레이가 블록(420)에서 나타난다. (종래의 핸드헬드에서) D장조 키로 변환되는 동일한 곡이 도 4D에서 나타난다. 특히, 블록(430)에서 나타나는 키 누름 시퀀스는 종래의 기법에 의해 사용되어, 디스플레이(432)에서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되는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각각의 디스플레이(422, 432)는 종래의 RTTTL 포맷의 샘플에 대응한다. 나타낸 종래의 RTTTL 포맷에서, 음표는 콤마에 의해 분리되고, 이때 음표, 또는 이벤트는 음길이, 음이름, 임시 기호, 옥타브에 의해 설명된다. 나 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법은 키패드 상에서 입력될 완전히 새로운 시퀀스를 요청한다. 덧붙이자면, 디스플레이에서 발생되는 시퀀스는 키패드 상에 입력되는 것과 동일한 곡조로 쉽게 인식될 수 없다.
본 발명이 고유한 시퀀스의 작곡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임의의 시퀀스의 디스플레이, 또는 수정으로 확장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편집을 위해, 메모리 저장소로부터 숫자 포맷으로 고유하게 작곡된 시퀀스를 검색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시퀀스는 표준 포맷, 가령 RTTTL, 또는 iMelody, 또는 MIDI, 또는 무선 전화기 제조업체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그 밖의 다른 포맷에 따라 정렬된 것일 수 있다. 표준 포맷과 관련하여, 핸드헬드 장치는 숫자 포맷에서 편집으로의 표준 포맷의 변환을 위한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작곡하거나 편집하기 위한 단계에 대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스는 동작(500)에서 시작한다. 먼저, 동작(502)에서, 상기 프로세스가 시퀀스의 편집을 포함하는지 새로운 음악 시퀀스의 작곡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뤄진다. 새로운 시퀀스의 작곡을 위해, 프로세스는 동작(510)의 키(key)를 설정하는 단계로 직접 진행된다. 동작(504)에서 편집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메모리 저장 위치로부터 시퀀스가 검색된다(예컨대, 다수의 음표를 검색한다). 검색된 시퀀스에 대하여, 동작(506)에서, 상기 검색된 시퀀스가 편집에 적합한 포맷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뤄진다. 상기 시퀀스가 숫자 포맷일 경우, 프로세스는 동작(510)으로 다시 진행되어, 음악의 키를 설정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핸드헬드 장치내의 모듈에서 변환이 이뤄진다. 무선 전화기에 표준 포맷을 숫자 포맷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변환 모듈(conversion module)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준 포맷은 iMelody, RTTTL, MIDI 등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동작(508)에서의 변환 후, 프로세스는 동작(510)으로 진행되며, 이때, 동작의 시퀀스는, 고유의 음악 시퀀스를 편집하거나 작곡하거나 유사하다.
동작(510)에서, 기준 음악 키, 즉, 중심음이 설정된다. 이번 단계는 주파수 간격에서, 즉, 시퀀스 음높이의 결정에서, 시퀀스를 배치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번 단계는 키를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초기 키를 설정하는 메뉴가 단축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디폴트 키가 시퀀스의 할당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폴트 키는 C 장조이다. 이는 헤더에서 설정되는 것, 즉, 실제 음악 시퀀스의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블록으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동작(512)에서, 개별적 음표가 설정된다. 이는 키패드 상의 키1~7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옥타브 변환은 특수 키를 입력하여 “X'”, 또는 “X”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또는 도 2C에서 추가로 설명될 바와 같이 이와 유사한 변형 방법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의 선택에 의한 음표의 시퀀스의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음악 시퀀스가 수신되며, 선택된 상기 숫자 키는 음표의 매핑(mapping)을 기반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의 선택에 의한 음표의 시퀀스의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음악 시퀀스가 수신되며, 선택된 상기 숫자 키는 음표의 매핑(mapping)을 기반으로 한다.
단계(512)에서 음높이를 설정한 후, 디폴트 값에서 필요할 경우, 음의 길이가 동작(514)에서 조정된다. 디폴트 값은 4분 음표로서 설정되며, 따라서 음 길이가 상기 디폴트 값과 다를 경우, 또 다른 특수 키의 입력을 필요로 한다(동 작(516)). 음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키 입력을 특정하는 것은 설명되지 않았으며, 도 2F의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이 시점에서, 선택 사항인 미리보기 기능(517)이 시퀀스에 대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핸드헬드 장치의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음표, 또는 음표들의 시퀀스가 재생될 수 있다. 작곡된 시퀀스를 미리보기함으로써, 리스너는 음표의 입력에 있어서, 오류를 검출하고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키패드 상에서 키를 수동으로 누르는 것, 또는 자동으로 누르는 것이 있다.
그 후, 동작(518)에서, 시퀀스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뤄진다. 추가적인 음표가 입력될 필요가 있을 경우, 프로세스의 흐름은 음악 시퀀스로의 추가적인 음표(즉, 숫자)의 입력을 위한 스텝(512)으로 진행된다. 어떠한 추가적인 음표도 필요하지 않을 경우(어떠한 추가적인 음표도 입력되거나 수정될 필요가 없을 경우), 프로세스 흐름은 시퀀스가 저장되는 동작(520)으로 진행한다. 핸드헬드 장치는 저장된 숫자 시퀀스가 앞서 언급된 다양한 표준 구성들(즉, RTTTL, MIDI 등) 중 하나로 변환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후, 상기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입력된 시퀀스가 MIDI 파일로서 저장된 후, 편집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숫자 포맷으로 다시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는, 착신음, 또는 그 밖의 다른 음악 시퀀스를 저장하기 위해 임의의 기존의 포맷으로부터의 양-방향 방식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음표를 수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음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다수의 음표를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음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키패드로부터 대체 음표를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음표를 수정하는 단계는 다수의 음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다수의 음표를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다수의 음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키패드로부터 대체 음표를 받아들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편집을 위해, 전자 장치는 커서(cursor)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서 기능에 의해, 검색된 (또는 새로운) 시퀀스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커서에 의해 나타나는 위치에서의 문자의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해진다. 문자의 모든 추가 또는 삭제는 검색된 (또는 새로운) 시퀀스에 대한 키-입력된 대체 음표를 수신함에 따라 제시될 수 있다.
공유 목적을 위하여, 음악 시퀀스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예컨대, 전화기)의 텍스트 메시징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텍스트 메시지로 다른 개인에게 전송될 수 있다.
공유 목적을 위하여, 음악 시퀀스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예컨대, 전화기)의 텍스트 메시징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텍스트 메시지로 다른 개인에게 전송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키 누름 시퀀스와 디스플레이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음악 악보를 이해하기 쉽다. 덧붙이자면,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임의의 음악 시퀀스는, 최소한의 개수의 키스트로크(keystroke)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키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웨스턴 음표 대신, 음계의 도(degree)를 사용하여, 가령 이메일을 통해, 텍스트 포맷으로 쉽게 전송될 수 있으며, 핸드헬드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보여질 때, 쉽게 식별되는 성질은 간직하고 있다. 이는 숫자 악보 시스템에 이미 익숙한 사람들에 대한 경우이다.
이는 RTTTL과 iMelody 같은 그 밖의 다른 언어를 통한 개선도 제공한다. 덧붙이자면, 이러한 악보 시스템에 의해, 핸드헬드 장치의 제한된 스크린 상에서 곡이 쉽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직관적 특성에 의해, 불필요한 변환 단계를 피하면서, 하모니와 멜로디에 대한 더 나은 이해가 가능해진다.
Claims (20)
- 키패드(keypad) 및 디스플레이(display)를 갖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handheld electronic device) 상에서 음악 시퀀스(musical sequence)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상기 키패드는 하나 이상의 옥타브에서 대응하는 음표(note)로 매핑(mapping)되는 다수의 숫자 키(numbered key)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를 선택함으로써 음표의 시퀀스(sequence of note)를 입력하여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숫자 키는 음표의 매핑(mapping)을 기반으로 함; 및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기 음악 시퀀스의 숫자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음악 시퀀스는, 디스플레이된 상기 숫자 표현의 변경 없이, 임의의 음악 키(musical key)로 변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은, 1 옥타브의 온음계(diatonic scale)의 음표에 대한 상기 키패드 상의 7개의 숫자의 지정을 기반으로 하며, 옥타브에서 점점 높아지는 각각의 음표가 점점 더 커지는 숫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옥타브의 음표는 1 내지 7의 숫자 키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1 내지 7의 숫자 키가 아닌 나머지 키패드의 키는, 음악 시퀀스의 하나 이상의 음표에 대한 길이 매개변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비-알파벳?숫자 키(non-alphanumeric key)는 음악 시퀀스의 하나 이상의 음표에 대한 길이 매개변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상의 7개의 숫자와 무관한 다수의 키가, 길이 매개변수를 디폴트 값(default value)으로부터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 1 다수의 키는 길이를 증가시키며, 제 2 다수의 키는 길이를 감소시키고, 제 3 다수의 키는 길이의 50%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는 숫자 표현은, 각각의 음표에 대하여 상기 음표의 음높이를 표현하는 숫자와, 하나 이상의 음표에 대하여, 상기 음표에 대한 길이 매개변수를 표현하기 위해, 숫자에 부착되는 슬래시(slash), 대시(dash), 마침표(perio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음표의 시퀀스를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포맷은 MIDI 포맷과 무선 전화기 착신음 포맷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는 전화기이고, 상기 음표의 시퀀스는 착신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전화기의 텍스트 메시징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텍스트 메시지로 음악 시퀀스를 다른 개인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는, 상기 키패드의 키들 중에서 지정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음표의 음높이를 수정하기 위한 임시기호(accidental)의 입력이 허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다수의 음표를 검색하는 단계,상기 검색된 다수의 음표를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다수의 음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상기 키패드로부터 대체 음표를 받아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다수의 음표는 표준 포맷이며,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나는 소프트웨어 키를 선택함으로써, 음표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 핸드헬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는디스플레이 스크린;하나 이상의 옥타브에서의 대응하는 음표로 매핑(mapping)되는 다수의 숫자 키(numbered key)를 갖는 키패드(keypad); 및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키패드 상의 하나 이상의 숫자 키의 선택에 의한 음표의 시퀀스의 입력에 의해 형성되는 음악 시퀀스를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선택된 상기 숫자 키는 음표의 매핑(mapping)을 기반으로 함;음악 시퀀스의 숫자 표현을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및디스플레이된 상기 숫자 표현의 변경 없이, 상기 음악 시퀀스를 임의의 음악 키(musical key)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은, 1 옥타브의 온음계(diatonic scale)의 음표에 대한 상기 키패드 상의 7개의 숫자의 지정을 기반으로 하며, 옥타브에서 점점 높아지는 각각의 음표가 점점 더 커지는 숫자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메모리로부터 다수의 음표를 검색하는 동작,검색된 상기 다수의 음표를 상기 핸드헬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그리고상기 다수의 음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키(key)-입력된 대체 음표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욱 수행하도록 구성되며,상기 대체 음표는 대응하는 음표에 대한 숫자 지정에 대응하는 키패드 상의 숫자 키를 선택함으로써 키(key)-입력되며, 디스플레이가 상기 음표의 숫자 표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 키패드(keypad) 및 디스플레이(display)를 갖는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 상에서 음악 시퀀스(musical sequence)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의 상기 키패드는 하나 이상의 옥타브에서 대응하는 음표(note)로 매핑(mapping)되는 다수의 숫자 키(numbered key)를 가지며, 옥타브의 점점 높아지는 각각의 음표는 점점 높아지는 숫자에 대응하며, 상기 방법은상기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의 키패드 상의 다수의 숫자 키를 선택함으로써 음표의 시퀀스(sequence of note)를 입력하여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숫자 키는 음표의 매핑(mapping)을 기반으로 하는 시퀀스에서의 각각의 음표에 대하여 선택됨; 및상기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기 음악 시퀀스의 숫자 표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숫자 표현의 각각의 숫자는 상기 음표의 매핑에 대응함;을 포함하며,상기 음악 시퀀스는, 디스플레이된 상기 숫자 표현의 변경 없이, 임의의 음악 키(musical key)로 변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헬드 무선 전화기 상에서 음악 시퀀스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892,630 | 2004-07-15 | ||
US10/892,630 US7893338B2 (en) | 2004-07-15 | 2004-07-15 | Method of composing music on a handheld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1384A KR20070031384A (ko) | 2007-03-19 |
KR101212403B1 true KR101212403B1 (ko) | 2012-12-13 |
Family
ID=3559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0675A KR101212403B1 (ko) | 2004-07-15 | 2005-06-29 |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음악을 작곡하기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893338B2 (ko) |
JP (1) | JP5153328B2 (ko) |
KR (1) | KR101212403B1 (ko) |
CN (1) | CN1984702B (ko) |
WO (1) | WO2006019535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49320B (en) * | 2004-01-08 | 2006-02-11 | Asustek Comp Inc | Method and device to switch the editing format |
IL165817A0 (en) * | 2004-12-16 | 2006-01-15 | Samsung Electronics U K Ltd | Electronic music on hand portable and communication enabled devices |
JP2006195043A (ja) * | 2005-01-12 | 2006-07-27 | Yamaha Corp | 電子音楽装置およ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 |
US20070240559A1 (en) * | 2006-04-17 | 2007-10-18 | Yamaha Corporation | Musical tone signal generating apparatus |
US7479595B2 (en) * | 2006-05-09 | 2009-01-20 | Concertizer Enterprises, Inc.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music on a computer device |
US20070283799A1 (en) * | 2006-06-07 | 2007-12-13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involving playing music by means of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s instruments |
KR20080025772A (ko) * | 2006-09-19 | 2008-03-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음악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음악 메시지서비스 시스템 |
US7453036B1 (en) * | 2007-06-05 | 2008-11-18 | Beverly Henkel |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piano |
US8145278B2 (en) * | 2007-12-17 | 2012-03-27 | Embarq Holdings Company Llc | System and method for ringtone shuffle |
US7586031B1 (en) * | 2008-02-05 | 2009-09-08 | Alexander Baker | Method for generating a ringtone |
JP4737212B2 (ja) * | 2008-03-07 | 2011-07-27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メロディ作成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
JP5455671B2 (ja) * | 2009-01-30 | 2014-03-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 |
KR101554221B1 (ko) * | 2009-05-11 | 2015-09-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
US20120055319A1 (en) * | 2010-09-03 | 2012-03-08 | Chia-Yen Lin | Multi-Key Electronic Music Instrument |
HUE045978T2 (hu) * | 2011-10-21 | 2020-01-28 | Jazz Pharmaceuticals Res Llc | Liofilizált liposzómák |
US8822803B2 (en) | 2012-09-12 | 2014-09-02 | Ableton Ag | Dynamic diatonic instrument |
CN103729141A (zh) * | 2013-12-26 | 2014-04-16 | 安徽科大讯飞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实现输入法键盘音乐发声的方法及系统 |
CN103902647A (zh) * | 2013-12-27 | 2014-07-02 |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应用于智能设备上的乐谱识别方法及智能设备 |
TW201543466A (zh) * | 2014-05-07 | 2015-11-16 | Vontage Co Ltd | 作曲方法、作曲程式產品及作曲系統 |
CN104216612A (zh) * | 2014-08-04 | 2014-12-17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
US9721551B2 (en) | 2015-09-29 | 2017-08-01 | Amper Music, Inc. | Machines, systems, processes for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mploying linguistic and/or graphical icon based musical experience descriptions |
US10854180B2 (en) | 2015-09-29 | 2020-12-01 | Amper Music, Inc. |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qualities of musical energy embodied in and expressed by digital music to be automatically composed and generated by an automated music composition and generation engine |
EP3729415B1 (en) * | 2017-12-19 | 2022-04-06 | Kemonia River S.r.l. | Keyboard for writing musical scores |
US10515614B2 (en) * | 2018-01-29 | 2019-12-24 | Jianxun Zhou | Musical notation system |
CN108847207B (zh) * | 2018-08-02 | 2023-06-02 |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交互智能设备及其编曲方法和装置 |
US10657938B2 (en) * | 2018-10-15 | 2020-05-19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Appliance with user customizable alert tunes |
US11024275B2 (en) | 2019-10-15 | 2021-06-01 | Shutterstock, Inc. | Method of digitally performing a music composition using virtual musical instruments having performance logic executing within a virtual musical instrument (VMI) library management system |
US11037538B2 (en) | 2019-10-15 | 2021-06-15 | Shutterstock, Inc. |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ed musical arrangement a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tyle transformation supported within an automated music performance system |
US10964299B1 (en) | 2019-10-15 | 2021-03-30 | Shutterstock, Inc. | Method of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digital performances of music compositions using notes selected from virtual musical instruments based on the music-theoretic states of the music compositions |
US11127383B1 (en) * | 2020-04-23 | 2021-09-21 | Jianxun Zhou | Musical notation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6066A (ja) | 2000-02-21 | 2001-08-31 | Yamaha Corp | 作曲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
US20020073827A1 (en) | 2000-12-14 | 2002-06-20 | Samuel Gaudet | Portable electronic ear-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1049A (en) * | 1980-12-23 | 1985-01-01 | Sharp Kabushiki Kaisha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JPH03184090A (ja) * | 1989-12-14 | 1991-08-12 | Yamaha Corp | 調律器 |
CN2251162Y (zh) * | 1995-09-21 | 1997-04-02 | 赵秋奇 | 电脑音乐键盘 |
US6018654A (en) * | 1996-10-29 | 2000-01-25 | Ericsso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tones to mobile terminals |
FI105308B (fi) * | 1996-12-30 | 2000-07-14 | Nokia Mobile Phones Ltd | Puhelimen soittoäänen ohjelmointi |
CN2290373Y (zh) * | 1997-04-25 | 1998-09-09 | 郑真 | 发音板 |
JPH11112615A (ja) * | 1997-09-30 | 1999-04-23 | Kokusai Electric Co Ltd | 携帯電話機 |
GB9902335D0 (en) * | 1999-02-02 | 1999-03-24 | Waind Mark | Ear training method |
JP3596737B2 (ja) * | 1999-04-05 | 2004-12-02 | シャープ株式会社 | 報知音作成装置 |
US6366791B1 (en) * | 1999-06-17 | 2002-04-02 | Ericsson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sical ringing tone on mobile stations |
JP2001069197A (ja) * | 1999-08-27 | 2001-03-16 | Namco Ltd | 着呼音設定支援装置、方法および記録媒体 |
JP2001100747A (ja) * | 1999-09-29 | 2001-04-13 | Toshiba Corp | 移動通信端末装置 |
JP2001195067A (ja) * | 1999-10-26 | 2001-07-19 | Denso Corp | 携帯電話装置 |
JP2001195066A (ja) * | 2000-01-06 | 2001-07-19 | Toshiba Corp | 通信端末装置 |
JP2001292199A (ja) * | 2000-01-31 | 2001-10-19 | Denso Corp | 電話装置及び読取対象記載物 |
JP3570332B2 (ja) * | 2000-03-21 | 2004-09-29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着信メロディ入力方法 |
JP4061812B2 (ja) * | 2000-03-28 | 2008-03-1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携帯電話および楽音発生制御方法 |
JP2002199446A (ja) * | 2000-12-25 | 2002-07-12 | Koji Hattori | 写真シール作製機 |
JP3627652B2 (ja) * | 2000-12-28 | 2005-03-09 | ヤマハ株式会社 | 楽曲データ処理機能がある携帯端末装置 |
JP2003044057A (ja) * | 2001-07-27 | 2003-02-1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楽譜配信システムおよび楽譜配信方法 |
JP2003131665A (ja) * | 2001-10-24 | 2003-05-09 | Uniquemedia Inc | 可搬型通信端末に於ける楽器システム |
US7223911B2 (en) * | 2001-10-29 | 2007-05-29 | Yamaha Corporation | Portable telephone set with reproducing and composing capability of music |
JP2004133360A (ja) * | 2002-10-10 | 2004-04-30 | Griot:Kk | ゲームシステム |
-
2004
- 2004-07-15 US US10/892,630 patent/US789333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6-29 JP JP2007521490A patent/JP515332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29 KR KR1020077000675A patent/KR1012124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6-29 CN CN2005800236973A patent/CN198470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6-29 WO PCT/US2005/023289 patent/WO2006019535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6066A (ja) | 2000-02-21 | 2001-08-31 | Yamaha Corp | 作曲機能を備えた携帯電話機 |
US20020073827A1 (en) | 2000-12-14 | 2002-06-20 | Samuel Gaudet | Portable electronic ear-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6019535A3 (en) | 2007-01-18 |
US7893338B2 (en) | 2011-02-22 |
WO2006019535A2 (en) | 2006-02-23 |
CN1984702A (zh) | 2007-06-20 |
KR20070031384A (ko) | 2007-03-19 |
CN1984702B (zh) | 2010-12-08 |
US20060011044A1 (en) | 2006-01-19 |
JP5153328B2 (ja) | 2013-02-27 |
JP2008506988A (ja) | 200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2403B1 (ko) | 핸드헬드 장치 상에서 음악을 작곡하기 위한 방법 | |
US5565641A (en) | Relativist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 |
KR101488257B1 (ko) |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 |
JP2002010355A (ja) | 通信装置、及び携帯電話機 | |
JP2000214759A (ja) | 和音提示装置および記憶媒体 | |
CN100437442C (zh) | 用于手持终端的和弦乐谱输入法 | |
CN101777343A (zh) | 使便携通信器件的多媒体外设同步的方法及对应通信器件 | |
US9818388B2 (en) | Method for adjusting the complexity of a chord in an electronic device | |
JP2007286312A (ja) | 楽音信号発生装置 | |
JP2002196779A (ja) | 音声信号の楽音変更のための方法と装置 | |
JP2005202204A (ja) | 楽譜表示プログラム及び楽譜表示装置 | |
JP2001318677A (ja) | 携帯電話機 | |
JP2018159741A (ja) | 歌詞候補出力装置、電子楽器、歌詞候補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01298504A (ja) | 通信装置 | |
JP4148355B2 (ja) | 携帯端末装置 | |
JP4144307B2 (ja) | 楽器鍵盤を使用する文字入力装置 | |
JP3694698B2 (ja) | 音楽データ生成システム、音楽データ生成サーバ装置 | |
US10593312B1 (en) | Digital musical synthesizer with voice note identifications | |
KR20040090134A (ko) |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연주의 옥타브 확장 방법 | |
JP2639381B2 (ja) | 電子楽器 | |
JP3713434B2 (ja) |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着信音発生方法 | |
JP2002082665A (ja) | 歌詞割当装置、歌詞割当方法、及び歌詞割当処理プログラム | |
JP3966465B2 (ja) | 携帯端末装置及び音声生成プログラム | |
JP2024040846A (ja) | 作曲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 |
KR20060032476A (ko) | 키 패드를 이용한 음악 연주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