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070B1 -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070B1
KR101210070B1 KR1020100084856A KR20100084856A KR101210070B1 KR 101210070 B1 KR101210070 B1 KR 101210070B1 KR 1020100084856 A KR1020100084856 A KR 1020100084856A KR 20100084856 A KR20100084856 A KR 20100084856A KR 101210070 B1 KR101210070 B1 KR 10121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old
separation line
resin
mol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0921A (ko
Inventor
공병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070B1/ko
Priority to US13/075,798 priority patent/US9061648B2/en
Priority to CN201110103155.4A priority patent/CN102380927B/zh
Priority to DE201110002164 priority patent/DE102011002164A1/de
Publication of KR2012002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53Moulding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e.g. ribs, high polish
    • B29C37/0057Mould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8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of objects with parts connected by a thin section, e.g. hinge, tea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 B29C45/567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mould parts movable during or after injection, e.g. injection-compression moulding for making orifices in or through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1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에어백도어 분리선을 에어백 도어 형성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분리선 성형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분리선 부분의 수지 충전 시에 굴곡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분리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며, 또한, 에어백 도어 형성용 수지의 흐름을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시점에 블레이드를 전진시킴으로써 분리선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이 제공된다.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은, a) 사출 금형 내에서 에어백 도어 분리선 부분의 수지 흐름이 완료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b) 수지 도착 신호를 인몰드 블레이드를 작동시키는 블레이드 작동부에 전달하는 단계; c) 수지 도착 신호에 대응하는 인몰드 블레이드 전진 시점에 인몰드 블레이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d) 수지가 차단되고 보압이 시작될 때 인몰드 블레이드의 전진을 완료하는 단계; e) 보압이 완료되기 전에 인몰드 블레이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f) 냉각이 시작될 때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Method for forming tear line of airbag door using in-mold blad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도어의 분리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몰드 블레이드(In-mold blade)를 이용하여 차량용 에어백 도어(AirBag door)의 분리선(Tear Line)을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AirBag)은 운전석의 전방에 설치되거나 또는 사고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동승석의 전방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동승석의 전방에 설치된 에어백은 보통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단에 구비된 글로브박스(Glove Box)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수석에 장착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이 전개하기 시작하면 도어 플레이트(Door Plate)에 압력이 가해져서 도어 커버(Door Cover) 주위의 분리선(Tear Line)을 찢고 전개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 플레이트의 재질은 0.8t 내지 1.2t 사이의 스틸(Steel) 재질이고, 도어 커버 및 분리선은 크래쉬패드(Crash Pad)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도어(2)는 에어백 모듈(4)과 에어백(6)을 수납 설치한 크래쉬패드(8) 측에 조립되고 있다.
에어백 도어(2)는 크래쉬패드 아우터 스킨(10), 크래쉬패드 인너 스킨(12) 및 다공질의 폼(Form: 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에어백 도어(2)는 에어백 작동시 분리가 용이하도록 크래쉬패드(8)에 분리선(16)을 두고 있다.
상기 분리선(16)은 크래쉬패드 아우터 스킨(10)으로 형성된 에어백 도어(2)의 가장자리를 내측으로 절곡시킨 도어 플랜지부(18)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어 플랜지부(18)와 대응하는 크래쉬패드(8)에도 크래쉬패드 플랜지부(2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크래쉬패드 인너 스킨(12)에는 상측에 에어백 도어(2)의 열림을 용이하게 하는 홈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크래쉬패드 인너 스킨(12)의 승객쪽 분리선(16) 바로 내측에 지지용 브라켓(24)에 걸쳐 있게 함으로써 에어백의 팽창시 분리를 유도하도록 크래쉬패드 인너 스킨(10)의 내측단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내측단부(26)는 크래쉬패드 아우터 스킨(10)의 크래쉬패드 플랜지부(20)와는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 도어(2)의 열림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 도어(2)는 차량의 출돌 발생을 에어백 전자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인식하면, 인플레터(Inflator)를 작동시켜 에어백(6)을 팽창시키면 에어백도어(2)가 열리게 된다.
한편, 차량의 동승석에 구비된 인비져블 에어백(Invisible Passenger-side AirBag)의 경우, 플라스틱 사출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내면에 에어백의 팽창을 위한 PAB 도어(Passenger-side AirBag Door)의 분리선은, 예를 들면, 인몰드 성형, 밀링 가공 및 레이저 가공 등을 이용하여 미리 성형될 수 있는데,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몰드(In-mold) 성형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은, 코어 금형(31) 및 캐비티 금형(32) 사이에서 코어 금형(31)에 V자의 노치(Notch) 형상을 적용하여 에어백 도어(40)의 분리선(50)을 인몰드 성형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에 따르면, 노치부 및 노치 주변부 고화 속도 차이와 수지 흐름 속도 차이로 인한 분리선 외관이 굴곡 됨으로써, 분리선이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밀링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밀링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40) 성형 이후에, 에어백 도어(40) 후면의 분리선(50)에 밀링 헤드(60)를 사용하여 밀링 가공함으로써 노치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의 b)는 에어백 도어(40) 상에 분리선(5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며, 도 3의 c)는 도 3의 b)의 A-A 라인을 따라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밀링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의 경우, 분리선(50)의 파단강도는 분리선(50) 잔여 두께 및 그 중간의 브리지 폭으로 결정될 수 있는데, 후가공을 위한 가공설비 및 고정지그 투자가 필요하고, 공정 추가로 인한 원가상승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가공면 품질이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40) 성형 이후에 에어백 도어(40) 후면의 분리선(50)에 레이저 헤드(70)를 사용하여 레이저 가공함으로써 노치를 형성한다. 도 4의 b)는 에어백 도어(40) 상에 분리선(5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며, 도 4의 c)는 도 4의 b)의 B-B 라인을 따라 절개된 단면을 나타낸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에서, 분리선(50)의 파단 강도는 레이저 가공 홀의 잔여 두께 및 피치로 결정될 수 있는데,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40)의 후가공을 위한 가공설비(72) 및 고정지그(74)가 추가로 필요하고, 또한, 이러한 공정 추가로 인해 원가상승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79724호(출원일: 2000년 12월 21일), 발명의 명칭: "차량의 에어백 도어"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52055호(출원일: 2003년 10월 10일), 발명의 명칭: "인비져블 에어백용 피에이비 도어 설계 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17453호(출원일: 2005년 11월 08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조수석의 에어백 도어 구조" 4)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09-0063586호(공개일: 2009년 06월 18일), 발명의 명칭: "차량의 크래쉬패널 및 그 성형 방법"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에어백도어 분리선을 에어백 도어 형성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분리선 성형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리선 부분의 수지 충진 시에 굴곡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분리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에어백 도어 형성용 수지의 흐름을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시점에 블레이드를 전진시킴으로써 분리선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은, a) 사출 금형 내에서 에어백 도어 분리선 부분의 수지 흐름이 완료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도착 신호를 인몰드 블레이드를 작동시키는 블레이드 작동부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수지 도착 신호에 대응하는 인몰드 블레이드 전진 시점에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d) 상기 수지가 차단되고 보압이 시작될 때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의 전진을 완료하는 단계; e) 보압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f) 냉각이 시작될 때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를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에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최종 충전 완료 부분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수지 도착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에서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 시점은 보압이 완료되기 전 1~3초 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선 내측에 수지가 접합으로 인해 분리선 잔여 깊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하는 시점에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에서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 속도를 조절하여 보압 과정 중에 분리선 내부 수지 접합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와 주변 수지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c) 내지 f) 단계의 인몰드 블레이드 전진 및 후퇴 과정 중에 상기 분리선 주변의 온도를 조절하되, 분리선 외곽 스킨(Skin) 부분의 캐비티 금형 온도는 수지의 용융온도와 열변형 온도 사이로 유지하고,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의 금형 온도는 전진 시에는 수지의 용융온도와 열변형 온도 사이 범위로 조절하고, 후퇴 1초전부터는 수지가 고화되는 온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도어 분리선을 에어백 도어 형성시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분리선 성형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하여, 레이저 스코링에 비해 투자비 또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선 부분의 수지 충진 시에 굴곡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분리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이로 인해 인몰드 성형에 비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 도어 형성용 수지의 흐름을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시점에 블레이드를 전진시킴으로써 분리선 오차, 예를 들면, 외형 및 치수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인몰드 성형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밀링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레이저 가공을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선 부분인 C 영역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수지의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구체적인 사출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조기 전진에 따른 사출 결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조기 후퇴에 따른 사출 결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2는 도 9에서 블레이드의 후퇴가 없는 경우 사출 결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13은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최적의 블레이드 전진 및 후퇴에 따른 사출 결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분리선 부분인 C 영역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은, 에어백 도어 성형 과정 중에 인몰드 블레이드(140)를 전진 및 후퇴시킴으로써 분리선(120)의 외관 노출을 최소화 하게 된다.
인몰드 블레이드(140)는 인몰드 블레이드 작동용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 150)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이때, 도면부호 110은 에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Invisible Passenger-side AirBag Door)을 나타내며, 분리선(120)은 FAB 도어 뒷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전진 시점을 분리선(120) 부분의 수지 흐름이 완료되는 시점에 정확히 시작될 수 있도록, 에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110) 내의 최종 충전 완료 부분에 온도센서를 설치하며, 상기 온도센서에서 수지 도착 신호를 블레이드 작동부, 예를 들면, 슬라이드 코어(150)에 전달하여 인몰드 블레이드(140)가 전진하게 된다.
또한,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후퇴 시점은 보압이 완료되기 전 1~3초 내에서 수행하되, 분리선(120) 내측에서 상기 수지가 접합으로 인해 분리선(120) 잔여 깊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하는 시점에 후퇴시키게 된다.
이때,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후퇴 속도, 예를 들면, 시간 및 후퇴변위 기울기의 조절을 통해서, 보압 과정 중에 분리선(120) 내부 수지의 접합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몰드 블레이드(140)와 주변 수지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분리선(120) 내부의 후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이 확보되는 단면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a)는 인몰드 블레이드가 분리선 부분까지 전진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6의 b)는 인몰드 블레이드에 의해 분리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에 따르면, 에어백 전개시 파단 예정부인 에어백 도어의 분리선 성형을 위해 분리선 부분의 충전이 완료된 시점을 온도센서로 감지한 후에 인몰드 블레이드를 전진시키고 보압 및 냉각 시점에 후퇴시킴으로써, 분리선 성형 조건을 주변과 최대한 동일하게 하고, 이에 따라 분리선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에어백 도어의 분리선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수지의 흐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으로서, 먼저,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전진 시점을 분리선(120) 부분의 수지 흐름이 완료되는 시점에 정확히 시작될 수 있도록, 에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110) 내의 최종 충전 완료 부분에 온도센서(1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수지 도착 신호를 블레이드 콘트롤러(170)에 전달하고(S10), 상기 블레이드 콘트롤러(170)가 제어신호를 블레이드 작동부, 예를 들면, 슬라이드 코어(150)에 전달함으로써(S20) 인몰드 블레이드(140)가 전진하게 된다.
이후의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구체적인 전진 및 후퇴 동작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에서, 상기 블레이드 콘트롤러(170)로부터 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인몰드 블레이드(140)가 전진하게 되며(S30), 수지가 차단되고 보압이 시작될 때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전진이 완료된다(S40).
이후,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후퇴 시점은 보압이 완료되기 전 1~3초 내에서 수행하되(S50), 분리선(120) 내측에서 상기 수지가 접합으로 인해 분리선(120) 잔여 깊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하는 시점에 후퇴시킴으로써 냉각이 시작될 때 후퇴를 완료한다(S60). 이때,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후퇴 속도, 예를 들면, 시간 및 후퇴변위 기울기의 조절을 통해서, 보압 과정 중에 분리선(120) 내부 수지의 접합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전진 또는 후퇴 사이클 과정 중에 분리선(120) 주변의 온도를 조절하되, 상기 분리선(120)의 외곽 스킨(Skin) 부분의 캐비티 금형(130)의 온도는 수지의 용융온도와 열변형 온도 사이의 범위로 유지하고, 이때, 인몰드 블레이드(140)의 온도는 전진 시에는 수지의 용융온도와 열변형 온도 사이의 범위로 조절하고, 후퇴 1초전부터는 수지가 고화되는 온도로 조절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구체적인 사출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조기 전진에 따른 사출 결과를 예시하고, 도 11은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조기 후퇴에 따른 사출 결과를 예시하며, 도 12는 도 9에서 블레이드의 후퇴가 없는 경우 사출 결과를 예시하고, 도 13은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최적의 블레이드 전진 및 후퇴에 따른 사출 결과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시 구체적인 사출 과정에서, 후퇴 시점에 따른 분리선 형상의 최적조건으로서, 전진 시점은 분리선 주변에서 수지 흐름 속도는 0이 되며, 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110)의 사출 완료 직후가 된다. 또한, 후퇴 시점은 보압 완료 1~3초 전이고, 후퇴 속도는 그 기울기를 조절함으로써 분리선 접합이 없는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금형 온도는 전진 시에는 열변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후퇴 시에는 고화 촉진 온도로 떨어뜨리게 된다.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조기 전진에 따른 사출 결과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선 노출이 발생하게 되며,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조기 후퇴에 따른 사출 결과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선 접합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도 9에서 블레이드의 후퇴가 없는 경우 사출 결과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 사이클 이후의 변형이 발생하므로 내열 시험 또는 도장이 필요한 것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9에서 블레이드의 최적의 블레이드 전진 및 후퇴에 따른 사출 결과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선 노출이 없고, 분리선 접합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열 사이클 이후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에 따르면, 에어백도어 분리선을 에어백 도어 형성시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분리선 성형을 위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하여, 레이저 스코링에 비해 투자비 또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분리선 부분의 수지 충전 시에 굴곡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분리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이로 인해 인몰드 성형에 비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백 도어 형성용 수지의 흐름을 감지하여 항상 일정한 시점에 블레이드를 전진시킴으로써 분리선 오차, 예를 들면, 외형 및 치수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에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Invisible FAB Door)
120: 에어백 도어 분리선(Tear Line)
130: 캐비티(Cavity) 금형
140: 인몰드 블레이드
150: 슬라이드 코어
160: 온도 센서
170: 블레이드 콘트롤러

Claims (6)

  1. 인몰드 블레이드(In-mold Blade)를 이용한 에어백도어(AirBag) 분리선(Tear Line)의 성형 방법에 있어서,
    a) 사출 금형 내에서 에어백 도어 분리선 부분의 수지 흐름이 완료되는 시점을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수지 도착 신호를 인몰드 블레이드를 작동시키는 블레이드 작동부에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수지 도착 신호에 대응하는 인몰드 블레이드 전진 시점에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를 전진시키는 단계;
    d) 상기 수지가 차단되고 보압이 시작될 때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의 전진을 완료하는 단계;
    e) 보압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를 후퇴시키는 단계; 및
    f) 냉각이 시작될 때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를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에어백 도어 겸용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의 최종 충전 완료 부분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수지 도착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 시점은 보압이 완료되기 전 1~3초 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선 내측에 수지가 접합으로 인해 분리선 잔여 깊이가 축소되지 않도록 하는 시점에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인몰드 블레이드의 후퇴 속도를 조절하여 보압 과정 중에 분리선 내부 수지 접합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와 주변 수지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내지 f) 단계의 인몰드 블레이드 전진 및 후퇴 과정 중에 상기 분리선 주변의 온도를 조절하되, 분리선 외곽 스킨(Skin) 부분의 캐비티 금형 온도는 수지의 용융온도와 열변형 온도 사이로 유지하고, 상기 인몰드 블레이드의 금형 온도는 전진 시에는 수지의 용융온도와 열변형 온도 사이 범위로 조절하고, 후퇴 1초전부터는 수지가 고화되는 온도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리선 성형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분리선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에어백도어.
KR1020100084856A 2010-08-31 2010-08-31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KR10121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56A KR101210070B1 (ko) 2010-08-31 2010-08-31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US13/075,798 US9061648B2 (en) 2010-08-31 2011-03-30 Method of forming tear line of airbag using in-mold blade
CN201110103155.4A CN102380927B (zh) 2010-08-31 2011-04-18 使用模具内叶片形成安全气囊门的撕裂线的方法
DE201110002164 DE102011002164A1 (de) 2010-08-31 2011-04-19 Verfahren zum Formen einer Reißlinie einer Airbagklappe mittels einer Spritzgießkli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856A KR101210070B1 (ko) 2010-08-31 2010-08-31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921A KR20120020921A (ko) 2012-03-08
KR101210070B1 true KR101210070B1 (ko) 2012-12-07

Family

ID=4556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856A KR101210070B1 (ko) 2010-08-31 2010-08-31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61648B2 (ko)
KR (1) KR101210070B1 (ko)
CN (1) CN102380927B (ko)
DE (1) DE1020110021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6928A (zh) * 2013-06-29 2013-11-27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气囊盖板撕裂线成型装置及成型方法
DE102019127188B3 (de) * 2019-10-09 2021-03-25 Matthias Wexl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bauteils mittels eines Spritzgießprozesses, Vorrichtung hierfür und Kunststoffbauteil
CN115447057B (zh) * 2022-08-11 2024-03-26 无锡铃派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塑件一体化注塑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0202A1 (en) 2001-07-27 2003-01-30 Toyoda Gosei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interior article
KR100717453B1 (ko) 2005-11-08 2007-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의 에어백 도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35156A1 (en) * 2000-11-06 2002-05-15 Frederick J. Buj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ld melt-flow process using temperature sensors
DE10112126B4 (de) * 2001-03-14 2004-03-25 Priamus System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automatischen Balancieren der volumetrischen Füllung von Kavitäten
JP2003326559A (ja) 2002-05-09 2003-11-19 Toyoda Iron Works Co Ltd 溝を有する樹脂製板状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0580470B1 (ko) * 2003-12-10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장치
US7687003B2 (en) * 2004-12-08 2010-03-3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plastic part having hidden thin walled section
JP2006248073A (ja) 2005-03-11 2006-09-21 Nishikawa Kasei Co Ltd エアバッグドア部付き内装品の成形方法
JP2006272650A (ja) 2005-03-28 2006-10-12 Nishikawa Kasei Co Ltd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表皮材付き内装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型装置
US7651644B2 (en) * 2006-05-31 2010-01-26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rolling delivery of polymer material in a sequential injection molding process
KR100805468B1 (ko) * 2006-12-07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JP5028097B2 (ja) 2007-02-01 2012-09-19 ダイキョーニシカワ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ドア部付きパネル成形金型
JP5050731B2 (ja) * 2007-08-23 2012-10-1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溝の形成方法
KR20090062127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크래쉬 패드
KR20090126087A (ko) * 2008-06-03 2009-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978672B1 (ko) 2009-01-19 2010-08-30 삼성전기주식회사 Ofdm 채널 매트릭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0202A1 (en) 2001-07-27 2003-01-30 Toyoda Gosei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interior article
KR100717453B1 (ko) 2005-11-08 2007-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의 에어백 도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80927B (zh) 2015-11-25
DE102011002164A1 (de) 2012-03-01
US9061648B2 (en) 2015-06-23
KR20120020921A (ko) 2012-03-08
US20120049489A1 (en) 2012-03-01
CN102380927A (zh)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83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10076752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100968823B1 (ko) 수지 제품 제조장치 및 방법
JP671339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ドア及びハウジング一体型クラッシュパッド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210070B1 (ko) 인몰드 블레이드를 이용한 에어백도어 분리선 성형 방법
KR102378052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JP2007137088A (ja) エアバッグドアの破断予定部形成方法およびその形成装置
JP2006298364A (ja) エアバッグ展開ドアを有する内装パネル
JP2936010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ク展開開口部の構造およびその製法
JP4131319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およびインサート部材の溶着構造
JP5162357B2 (ja) 車両用内装部材の製造方法
JP3615155B2 (ja) エアバッグ用カバー体成形方法
JP3779568B2 (ja) 射出成形用金型を用いたエアバッグドア成形方法
JP2006248073A (ja) エアバッグドア部付き内装品の成形方法
KR20100134473A (ko) 인비저블 에어백 장치
US10369953B2 (en) Interior panels including substrates with inserts for defining integrated airbag deployment doors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6548815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方法、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および、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成形装置
GB2460531A (en) Motor vehicle pillar containing an airbag strap
JP3428402B2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車両用内装部材及びその成形方法
KR101490753B1 (ko)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패널 제조방법
JP2005067604A (ja) エアバッグ用カバー体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射出成形装置
JP3615158B2 (ja) エアバッグドア成形方法
KR102608621B1 (ko) 보강된 개구부를 구비한 시트 커버의 제조방법
JP2006272650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有する表皮材付き内装品の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