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844B1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844B1
KR101208844B1 KR1020050119158A KR20050119158A KR101208844B1 KR 101208844 B1 KR101208844 B1 KR 101208844B1 KR 1020050119158 A KR1020050119158 A KR 1020050119158A KR 20050119158 A KR20050119158 A KR 20050119158A KR 101208844 B1 KR101208844 B1 KR 101208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icity
cleaning tool
reducing component
clean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6194A (ko
Inventor
아케미 츠치야
마사토시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0Cleaning implements actuat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Devices for cleaning same; Magnetic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9Cleaning or scouring pads; W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8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06M13/238Tannins, e.g. gallotann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06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dispersed in a gas, e.g. aeroso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0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organic solvents; Processes for the recovery of organic solv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2/00Cleaning articles, e.g. mops, w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71Multiple nonwoven fabric layers composed of the same polymeric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Autogenously bonded nonwoven fabric
    • Y10T442/692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7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적어도 청소 상태에서는 대전성을 구비하고 있는 대전성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걸레질 용구로서,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 속 또는 쥐똥나무 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IMP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 용구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섬유형 기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섬유형 기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 용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청소 용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유지 시트
2: 기재 시트
3: 섬유 다발(솔부)
3a, 16a: 제1 섬유 다발
3b, 16b: 제2 섬유 다발
3c, 16c: 제3 섬유 다발
3d, 16d: 제4 섬유 다발
5: 세그먼트 시트
6: 전층(全層) 접합선
7: 접합선
10, 20, 30: 청소 용구
11, 15, 31: 청소용 시트(섬유형 기재)
12, 22, 32: 파지구(把持具)
13: 유지 공간
32a: 선단부
33: 볼록부
본 발명은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는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앓는 사람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들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이 소위 알레르겐(allergen)으로, 현재 확인되어 있는 것만도 그 수가 약 200종류에 이른다. 진드기, 진드기의 사체, 애완동물의 털, 꽃가루 등은 그 대표예로서, 이들 알레르겐이 어떤 형태로 인체와 접촉하거나 또는 체내에 들어감으로써 여러가지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된다.
이 경우, 임시로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진드기 등을 약제 등으로 사멸시키더라도, 그 사충도 항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의 근본적인 해결에 는 이르지 않는다. 따라서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경감 혹은 새로운 감작을 막기 위해서는, 생활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알레르겐을 제거하거나, 알레르겐을 변성시키는 등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불활성화)시켜야 한다.
상기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약제로서, 예컨대, 물푸레나무과 올리브 속(屬) 또는 쥐똥나무 속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식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겐 불활화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수용액 상태로, 다다미, 융단, 마루 등에 살포 또는 도포 가능한 약제로서, 유효 성분으로서 황산알루미늄 및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알레르겐 저감화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정전기에 의해 진애를 제거하는 청소 용구로서, 일렉트릿화(electret)한 올레핀계 극세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유지시킴으로써 진애를 흡착시키는 청소 용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대전열이 다른 섬유 형상물을 조합시켜 제거 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대전을 높게 하여 진애의 흡착량을 높인 불식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1] 특허 공개 제2003-55122호 공보
[특허문헌 2] 특허 공개 제2003-334240호 공보
[특허문헌 3] 특허 공개 평성 제5-305049호 공보
[특허문헌 4] 특허 공개 제2004-65731호 공보
실내의 진애 등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걸레, 자루걸레, 와이퍼 등의 청소 용구에 있어서는, 청소에 의해 상기한 알레르겐이 청소 용구에 부착되어, 이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경감 혹은 새로운 알레르기 질환의 발증을 막기 위해서는 청소 용구에 유지된 알레르겐의 항원성도 저감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의 약제는 모두 다다미, 융단, 마루, 의류 등 인체에 닿을 우려가 있는 개소에 직접 살포 또는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도포한 후에 닦아내거나, 청소기로 흡수하거나 해야하므로 번거롭다. 그러나 일상 중 가장 빈번히 청소하는 마루나 가구의 먼지?더스트의 청소에 관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간단히 제거하는 방법은 검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대상물을 젖게 하기 때문에 말리는 시간이 필요하다. 또, 자루걸레 등의 섬유형 기재를 갖는 청소 용구에 받아들인 먼지?더스트에 포함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특히, 실내용 청소 용구에 있어서는 일회용이거나 교환이 가능하고, 시트형이나 솔형의 섬유형 기재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청소 용구가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이러한 청소 용구의 경우, 청소 대상물에 닦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먼지나 더스트를 흡착할 수 있고,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섬유형 기재 표면에 부착 또는 함침시키는 일이 요구된다.
이 점,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에서는, 상기한 진애의 수집성, 닦은 흔적의 잔존 방지와,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착성이나 함침성의 양립을 고려한 청소 용구로서의 검토는 행해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소 대상물에 닦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진애를 흡착하는 청소 용구로서, 또한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청소 용구의 섬유형 기재에 대전성을 구비하고 있는 섬유를 이용하여, 상기 섬유형 기재에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적어도 청소 상태에서는 대전성을 구비하고 있는 대전성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걸레질 용구로서,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부여되어 있는 청소 용구.
본 발명의 청소 용구에 의하면, 섬유형 기재가 대전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닦은 흔적을 남기지 않고 먼지나 더스트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TV나 유리 제품 등 소비자가 닦은 흔적을 남기고 싶어 하지 않는 장소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청소 용구에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저감화할 수 있다. 또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섬유형 기재에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어, 각 성분의 부여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 중 에 섬유형 기재측으로부터 청소 대상측으로의 이행을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는 일렉트릿 가공된 섬유인 (1)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일렉트릿 가공에 의한 대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 대상물과의 마찰이 없더라도 대전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나 더스트를 항상 흡착할 수 있고, 닦은 흔적도 남기지 않고 취한 오물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에 전하를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이 쉽게 탈락하지 않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중인 제품에 있어서도 안심하고 보관할 수 있다.
(3)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는 대전열이 다른 2종 이상의 섬유를 조합시킨 것인 (1)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대전열이 다른 섬유를 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섬유들의 마찰로 정전기가 발생하여 청소 대상물과의 마찰을 필요로 하지 않아, 용이하게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과 음극 어느 한쪽의 대전을 갖는 먼지나 더스트라도 흡착이 가능해져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흡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4)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를 구성하는 섬유 재료가 소수성 섬유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구성 섬유가 소수성이기 때문에 대전 상태를 길게 유지할 수 있다.
(5)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이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용해된 용액 상태로 부여된 것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물이나 에탄올 등에 희석하여 부여하기 때문에 섬유에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닦아낸 먼지나 더스트 등에 포함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과의 접촉 반응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희석 용액에는 섬유에 쉽게 친숙해지도록 계면 활성제나, 섬유에 쉽게 정착하도록 유기 고분자 물질 등의 바인더 성분 등이 첨가할 수 있다.
(6)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식물 추출 성분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사용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식물 유래이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높다.
(7)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 속 또는 쥐똥나무 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올리브 속 또는 쥐똥나무 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하, 올리브 추출물이라고도 함)은 항원성의 저감화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소량 부여하여도 항원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식물 유래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종류에 따라서는 성분 자체가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형 기재에 부여했을 때 이 기재의 착색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올리브 추출물 자체의 색조는 황색~황갈색이며, 올리브 추출물을 희석하여 섬유형 기재에 부착했을 때는 거의 무색 투명하게 되기 때문에 기재측으로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레우로페인(Oleuropein)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서 이용되는 올레우로페인은 페놀성의 이리도이드(iridoid) 배당체로, 상기한 올리브 속 또는 쥐똥나무 속의 식물에 많이 함유된다. 이 이리도이드 배당체에는 포르밀기와 수산기가 있으며, 이것이 알레르겐 단백에 함유된 아미노기와 결합함으로써 항원성의 저감화 작용을 행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9)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는 백색인 (7) 또는 (8)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상기한 올리브 추출물이나 올레우로페인은 착색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섬유형 기재로의 착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백색의 섬유형 기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착된 진애의 인식이 용이해진다.
(10)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 100 질량%당 O.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부여되어 있는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의하면,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섬유형 기재 전체에 대하여 O.001 질량% 이상 부여함으로써 충분한 항원성의 저감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극히 미량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10 질량%를 넘으면,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불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식물 유래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알레르겐)로는, 예컨대, 진드기, 하우스 더스트, 동물, 진균(곰팡이), 곤충 등의 흡입성 알레르겐이나, 삼목, 벼과 꽃가루 등이다.
이러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올리브 추출물, 쥐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 멀구슬나무(neem), 감나무, 차, 대나무, 차조기, 박하, 노송나무, 나한백, 유칼리나무(eucalyptus), 차나무 등의 추출물을 예시할 수 있고, 추출한 화합물로서는 탄닌산, 몰식자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파라폴리비닐페놀 등의 1가 이상의 페놀기를 선형 고분자의 반복 단위의 측쇄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 디옥시안식향산 중합물 등의 1가 페놀기를 반복 단위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 라우릴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디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쇄 및/혹은 에틸렌쇄를 분자 중에 갖는 2가 이상의 벤젠술폰산염,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쇄 및/혹은 에틸렌쇄를 분자 중에 갖는 2가 이상의 황산염, 테르펜계 골격을 갖는 알콜, 2,5-디히드록시안식향산 등의 히드록시안식향산, 방향족 히드록시 화합물,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명반, 라우릴벤젠술폰산염, 라우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염, 인산염, 황산아연 및/또는 아세트산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 중에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올리브 추출물」이란, 올리브 속 또는 쥐똥나무 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레우로페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레우로페인은 이리도이드 배당체로, 이 이리도이드 배당체에는 포르밀기와 수산기가 있고, 이것이 알레르겐 단백에 함유된 아미노기와 결합함으로써 항원성의 저감화를 행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올리브 추출물로서는, 구체적으로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탄닌산은 폴리페놀의 수산기가 알레르겐 단백의 아미노기나 펩티드 부분과 결합함으로써 항원성의 저감화를 행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상기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통상 올레우로페인 등의 유효 성분 및 그 추출액 등을 함유한 용액 등의 상태(이하, 항원성 저감화제라고 함)로 부여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한 올리브 추출물은 항원성 저감화제의 일례이며, 올레우로페인 이외에 에탄올 및 물을 함유한 용액으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 용구에는, 그 성형을 크게 변동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 이외의 각종 성분이 부여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성분은 항원성 저감화제와 혼합하여 부여하더라도 좋고, 또한 항원성 저감화제와는 별개로 청소 용구에 부여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항원성 저감화제에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반응을 높이기 위해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보조제로서는 알칼리토류 금속염 등의 흡습성 조성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고원성 저감화 성분을 섬유형 기재에 부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유제(油劑), 계면 활성제 등을 부여할 수 있다.
<청소 용구>
[제1 실시 형태(정전기 발생 타입)]
다음에, 상기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하는 청소 용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전기 발생 타입의 청소 용구는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로, 닦아내는 면과의 마찰, 섬유들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하는 청소 용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 용구에 사용되는 섬유는 종래부터 부직포나 의료품에 사용되고 있는 섬유라면 사용할 수 있지만, 화학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스티렌, 나일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로서는 양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섬유를 복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섬유를 복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전성으로 음극성을 나타내는 섬유와, 양극성을 나타내는 섬유 양쪽을 교대로 배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극성의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더스트?먼지의 극성에 상관없이 흡착된다. 또한, 닦아내는 면과의 마찰이 없더라도 섬유들에 의한 마찰로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정전기를 효율적으로 발생/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섬유를 가능한 한 소수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다.
<청소 용구의 예>
도 1, 2에는 이러한 청소 용구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청소 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청소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청소 용구(10)는 소위 핸디(handy) 타입으로, 본 발명에서의 섬유형 기재에 해당하는 청소용 시트(11)와 파지구(12)로 구성되어 있다. 또, 파지구(12)는 적절하게 교환 가능하며,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지구(22)를 장착함으로써, 도 1의 청소 용구로는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이나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용 시트(11)는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세그먼트편이 형성된 유지 시트(1), 마찬가지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세그먼트편이 형성된 기재 시트(2), 토우 섬유(tow fiber)로 이루어진 제1 섬유 다발(3a),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섬유 다발(3b),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3 섬유 다발(3c),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4 섬유 다발(3d), 복수의 세그먼트편이 형성된 세그먼트 시트(5)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섬유 다발(3a), 제2 섬유 다발(3b), 제3 섬유 다발(3c) 및 제4 섬유 다발(3d)이 본 발명에서의 솔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솔부에 의해 청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솔부에만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하면 좋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솔부」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에 있어서, 주로 청소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 으로, 섬유형 기재의 일부라도 좋고 전부라도 좋다. 각 층은 전층 접합선(6)에 있어서 유지 시트(1), 기재 시트(2), 제1 섬유 다발(3a), 제2 섬유 다발(3b), 제3 섬유 다발(3c), 제4 섬유 다발(3d) 및 세그먼트 시트(5)가 접합되고, 접합선(7)에 있어서 유지 시트(1), 기재 시트(2), 제1 섬유 다발(3a) 및 제2 섬유 다발(3b)만이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 시트(1)와 기재 시트(2) 사이에 유지 공간(13)이 형성되어, 파지구(12)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핸디 타입의 청소 용구(10, 20)에서는, 제1 섬유 다발(3a), 제2 섬유 다발(3b), 제3 섬유 다발(3c) 및 제4 섬유 다발(3d)로 구성되는 솔부에만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 용구의 다른 예>
도 5에는 청소 용구의 다른 예로서, 마루면을 청소하는 데 적합한 플로어 타입의 청소 용구(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청소 용구(30)에서는, 본 발명에서의 섬유형 기재에 해당하는 청소용 시트(31)를 파지구(32)의 선단부(32a)에 감아 붙여 사용한다. 또, 청소용 시트(31)의 안팎에는 토우로 이루어진 볼록부(33)가 형성되어 있어, 홈 부분 등 평면형의 것으로는 쉽게 청소할 수 없는 개소의 청소를 행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청소 용구(30)로 마루면 등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정전기력에 의해 먼지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플로어 타입의 청소 용구(30)에는 청소용 시트(31)의 전체에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 방법>
상기한 청소 용구에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섬유형 기재에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분무법이나 롤러 코트법, 침지법 등에 의해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부여할 때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량이 미량이기 때문에, 물, 유기 용매에 희석하여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으로 해서 부여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의 용매는 부여 후 휘발하여, 결과적으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부여되어 있는 청소 용구를 제조할 수 있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량은 섬유형 기재 전체에 대하여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0.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0.002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이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0.001 질량% 미만이면, 수집한 먼지에 대한 항원성 저감화율이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10 질량%를 넘으면,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이 불량해지고 또한 고가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2 실시 형태(일렉트릿 가공 타입)]
일렉트릿 가공 타입의 청소 용구는 세그먼트형으로 절단한 부직포를 중합시킨 섬유형 기재를 이용할 수 있어, 이 청소 용구를 일렉트릿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도 3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청소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용 시트(15)는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세그먼트편이 형성된 유지 시트(1), 마찬가지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세그 먼트편이 형성된 기재 시트(2), 마찬가지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세그먼트편이 형성된 제1 섬유 다발(16a), 제2 섬유 다발(16b), 제3 섬유 다발(16c), 제4 섬유 다발(16d)의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부직포에 사용하는 섬유는 올레핀계의 섬유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이 최적이다. 섬유의 지름은 극세 타입이 바람직하며, O.1 ㎛ 이상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며, 단위 중량 10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렉트릿화는 장섬유 상태, 부직포, 청소 용구의 제조 후 등에 행할 수 있으며, 종래부터 공지되어 있던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전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직류 고전압에 의해 시료를 분극하는 방법, 직류 고전압을 바늘형 전극에 걸쳐 대기 중에서 이온을 발생시켜 이것을 섬유에 인가하는 방법, 펄스 방전에 의해 섬유에 인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함유하는 항원성 저감화제의 제조>
(올리브 추출물)
식물 올리브의 잎을 특허문헌 1의 조성물 실시예 3에 기초하여 물로 추출한 (물 100 g 중에 올리브의 생잎을 20 g 넣고, 믹서로 분쇄하여, 여과지로 여과한 여 과액)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올레우로페인 0.6%가 되도록 조정한 액이다.
(탄닌산)
탄닌산(와코쥰야쿠 제조)을 물 및 에탄올에 용해하여 탄닌산 15%가 되도록 조정한 액이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의 제조>
상기한 2 종류의 항원성 저감화제를 이용하여 표 1에 도시한 배합 비율로 혼합?교반하여, 제조예 1~3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을 조정하였다. 또한, 물만을 이용하는 경우를 제조예 4로 하였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의 배합량(단위: 중량%)
명칭 시료 항원성 저감화 성분
항원성 저감화 성분 무첨가 용액 제조예 4 - 100
탄닌산 조성물
제조예 1 1 99
제조예 2 10 90
올레우로페인 조성물 제조예 3 10 90
<청소 용구로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
다음에, 상기한 제조예 1 내지 3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 및 제조예 4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 무첨가 용액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청소 용구(이하 핸디 타입이라 함)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청소 용구(이하 플로어 타입이라 함)에 스프레이로 부여하였다. 청소 용구는 정전기 발생 타입의 청소 용구를 사용하였다. 우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섬유로 이루어진 토우 섬유 3개와 나일론 섬유로 이루어진 토우 섬유 1개를 중합시켜 섬유 다발[도 2에서의 섬유 다발(3a, 3b, 3c, 3d)]을 제조하였다. 이 섬유 다발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도 2에서의 세그먼트 시트(5)]를 접합하여 청소 용구를 제조하였다. 플로어 타입, 핸디 타입 각각에 대해서, 실시예 1 내지 3(제조예 1 내지 3을 부여한 것) 및 비교예 1(제조예 4를 부여한 것)의 청소 용구를 얻었다.
또, 핸디 타입에서는 섬유형 기재[도 1에서의 시트(11)] 전체에 대하여 5 질량%가 되도록 부여하였다. 또한, 플로어 타입에서는 섬유형 기재[도 5에서의 시트(31)] 전체에 대하여 7.5 질량%가 되도록 항원성 저감화 성분 희석액을 부여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항원성 저감화 성능의 평가〕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청소 용구에 대해서 이하의 순서로 삼목 꽃가루 및 표피 진드기류에 대한 항원성 저감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여 표 2, 3에 나타낸다. 또, 표 중 「저감화율」은 100 - 100 ×(항원성 저감화제를 부여한 청소 용구의 ELISA법에 의한 알레르겐량) / (항원성 저감화제를 부여하지 않은 청소 용구의 ELISA법에 의한 알레르겐량)에 의해 구한 값이며, 표 중의 기호는 하기의 저감화율을 나타낸다.
○??? 양호 저감화율 50% 이상
△??? 뒤떨어짐 저감화율 10~50%
×??? 불량 저감화율 O~10%
핸디 타입: 약 0.05 g의 진드기 알레르겐(표피 진드기류)을 포함하는 먼지 및 약 0.01 g의 삼목 꽃가루를 각각 지름 9 cm 높이 17 cm의 유리병에 넣고 뚜껑을 덮어 병 내벽 전체에 먼지 및 삼목 꽃가루를 분산시켰다. 뚜껑을 벗기고 핸디 타입의 청소 용구로 병 내의 먼지 및 삼목 꽃가루를 닦아냈다. 이 청소 용구로부터 추출액으로 알레르겐을 추출하여, ELISA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플로어 타입: 약 0.05 g의 진드기 알레르겐(표피 진드기류)을 포함하는 먼지 및 약 0.01 g의 삼목 꽃가루를 각각 30 × 30 cm의 플로어 패널 위에 분산시켰다. 그 먼지 및 삼목 꽃가루를 플로어 타입의 청소 용구로 닦아냈다. 이 청소 용구로부터 추출액으로 알레르겐을 추출하여, ELISA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또, 추출액으로서 인산 완충액(pH 7)을 이용하였다. 또한, ELISA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고상 효소 면역 검정법)이란, 항원 항체 반응에 있어서 효소의 발색을 이용하여 물질을 정량하는 방법[EIA법(enzyme immunoassay: 효소 면역 항체법)]의 일종으로,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을 2종류의 항체로 끼워 정량하는 샌드위치법이다.
삼목 꽃가루 알레르겐성 저감화율

시료
저감화율
핸디 타입 플로어 타입
비교예 1 ×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진드기 알레르겐성 저감화율

시료
저감화율
핸디 타입 플로어 타입
비교예 1 × ×
실시예 1 ×
실시예 2
실시예 3
표 2, 3의 결과로부터 플로어 타입의 청소 용구는 모든 항원성 저감화 성분에 있어서 저감화 효과가 확인된다. 또, 실시예 1의 핸디 타입의 청소 용구에 있어서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량이 적고, 효과가 약간 불충분하였다.
[시험예 2: 가온, 광조사 후의 저감화 효과의 평가〕
가온 시험: 실시예 2, 3의 청소 용구의 섬유형 기재만을 핸디 타입의 청소 용구는 종이 용기에 수용하여 포장하고, 플로어 타입의 청소 용구는 필름으로 필로우(pillow) 포장하였다. 이 포장체를 실내의 응달, 40℃ 항온조, 50℃ 항온조에 각각 방치하였다. 그리고 방치 직후, 1개월 경과 후에 상기한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광조사 시험: 핸디 타입, 플로어 타입의 청소 용구의 섬유형 기재를 함께 포장하지 않고 시트인 채로 방치하였다. 크세논 램프 웨더 미터로 태양광 1개월 상당, 6개월 상당을 조사하여 상기한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중 저감화율 및 기호는 표 2, 3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실시예 2, 3 모두의 청소 용구는 가온 1개월 방치 후에 있어서도 저감화 효과가 유지되고 있고, 또한 광조사 후에 있어서도 저감화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드기 알레르겐성 저감화율
실시예 2 실시예 3
조건 시간 경과 핸디 타입 플로어 타입 핸디 타입 플로어 타입
부여 직후 0일
RT 1개월
40℃ 1개월
50℃ 1개월
광조사 1개월 상당
광조사 6개월 상당 - -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고, 또한 닦아낸 후에 대상물 표면에 닦은 흔적을 남기지 않는 청소 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적어도 청소 상태에서는 대전성을 구비하고 있는 대전성 섬유형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로서,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세그먼트형으로 절단된 기재 시트 및 유지 시트와 복수의 섬유 다발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일렉트릿(electret) 가공된 섬유에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부여된 섬유형 기재이고,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 속(屬)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올리브 추출물이고,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상기 올리브 추출물에 포함된 올레우로페인이 0.6%가 되도록 에탄올 또는 물에 용해된 용액이 다시 물로 희석된 상태로, 분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섬유 다발에만 부여되고,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부여된 대전성 섬유형 기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먼지 및 더스트를 포집하는 청소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는 백색인 청소 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상기 대전성 섬유형 기재 100 질량%당 0.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부여되어 있는 청소 용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119158A 2004-12-28 2005-12-08 청소 용구 KR101208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81391 2004-12-28
JP2004381391A JP4822704B2 (ja) 2004-12-28 2004-12-28 掃除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6194A KR20060076194A (ko) 2006-07-04
KR101208844B1 true KR101208844B1 (ko) 2012-12-05

Family

ID=3610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158A KR101208844B1 (ko) 2004-12-28 2005-12-08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45354B2 (ko)
EP (1) EP1676519B1 (ko)
JP (1) JP4822704B2 (ko)
KR (1) KR101208844B1 (ko)
CN (1) CN1989892A (ko)
AT (1) ATE410950T1 (ko)
CA (1) CA2529993C (ko)
DE (1) DE602005010379D1 (ko)
ES (1) ES231581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1910B (zh) * 2019-03-08 2024-02-11 日商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清掃薄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2269B2 (en) 2006-12-15 2015-11-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2008214501A (ja) * 2007-03-05 2008-09-18 Japan Ecologia Co Ltd ダニアレルゲン低減化剤
JP4823105B2 (ja) 2007-03-05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及び清掃体
WO2008112959A2 (en) * 2007-03-14 2008-09-18 Donald Varner A compound water-wiper and pet hair/ fur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US7976639B2 (en) * 2007-08-17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allergens picked up from a surface
DE102008008576A1 (de) * 2008-02-11 2009-08-20 Carl Freudenberg Kg Elektrostatischer Staubfänger
JP4937952B2 (ja) * 2008-03-25 2012-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害物質除去材
EP2397059B1 (en) * 2009-02-13 2014-07-16 Kao Corporation Cleaning sheet
US8578564B2 (en) * 2009-11-05 2013-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removable cleaning implement
KR20120140003A (ko) * 2011-06-20 2012-12-28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다층 부직포
US9032584B1 (en) 2012-10-10 2015-05-19 Casey McAvoy Handheld cleaning tool kit
TW201524416A (zh) * 2013-12-26 2015-07-01 Oimo Ind Co Ltd 免沾手浴廁刷布及刷柄
US11006738B2 (en) 2017-01-26 2021-05-18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Cleaning devices having selectively flexible or rigid handles
US11458515B2 (en) * 2017-01-26 2022-10-04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Cleaning devices for cleaning of difficult to reach locations
US20180325254A1 (en) * 2017-05-09 2018-11-15 Kanako Hayashi Disposable hairbrush liner
USD905366S1 (en) * 2018-01-05 2020-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e for holding a clean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924A (ja) * 1996-09-06 1998-03-24 Duskin Co Ltd 防ダニ処理した掃除用具
JP2004065731A (ja) * 2002-08-08 2004-03-04 Toray Ind Inc 払拭布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5022A (en) * 1981-01-30 1981-10-01 Tamurakoma & Co Ltd Production of dust adsorbing tool
US4977142A (en) 1984-07-11 1990-12-11 University Of Sydney Antiallergenic agent
DE3575860D1 (de) 1984-07-11 1990-03-15 Univ Sydney Antiallergikum.
US4874659A (en) * 1984-10-24 1989-10-17 Toray Industries Electret fiber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930472B2 (ja) 1992-05-01 1999-08-03 株式会社ダスキン 清掃具
JPH0966014A (ja) 1995-09-01 1997-03-11 Lion Corp 清掃用払拭具
JPH09164101A (ja) 1995-10-13 1997-06-24 Dainippon Jochugiku Co Ltd 清掃用物品
JP3208306B2 (ja) 1995-11-17 2001-09-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拭き取り用具
JP3611431B2 (ja) 1997-09-26 2005-01-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浄用組成物を含浸させた繊維シート及びその清浄用組成物
JP3100578B2 (ja) 1997-12-16 2000-10-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67079A (ja) 1998-03-25 1999-10-05 Uni Charm Corp 多層構造の清掃用物品
JP2000102492A (ja) 1998-09-30 2000-04-11 Uni Charm Corp 清浄用組成物を含浸させたリサイクル可能な生分解性の繊維シート、またはリサイクル可能な生分解性の繊維シートに含浸させる清浄用組成物、及び、それらの使用方法
US6494921B1 (en) * 2000-02-10 2002-12-17 M. Catherine Bennett Method of removing particulate debris, especially dust mite fecal material from fabric articles in a conventional clothes dryer
US6706272B2 (en) * 2000-03-08 2004-03-16 Shinto Fine Co., Ltd. Method for denaturing allergens
EP1632164B1 (en) 2000-07-10 2011-04-20 Uni-Charm Corporation Cleaning article
US6550639B2 (en) * 2000-12-05 2003-04-22 S.C. Johnson & Son, Inc. Triboelectric system
JP4804685B2 (ja) 2000-12-22 2011-11-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畳用清拭シート
JP4083978B2 (ja) 2000-12-27 2008-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物品
IL152340A (en) 2001-02-23 2007-12-03 Yoshinori Tanaka Cleaning accessory
JP4342120B2 (ja) 2001-04-27 2009-10-14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性化方法
JP4766639B2 (ja) * 2001-08-07 2011-09-07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化方法
FR2830195B1 (fr) * 2001-10-03 2004-10-22 Sederma Sa Compositions cosmetiques et dermopharmaceutiques pour les peaux a tendance acneique
JP2003334240A (ja) 2002-05-20 2003-11-25 Sekisui Chem Co Ltd アレルゲン低減化剤及びその使用方法
JP3983204B2 (ja) 2002-07-03 2007-09-26 花王株式会社 拭き取りシート
US20040007251A1 (en) * 2002-07-10 2004-01-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ers for the control and removal of allergens
US20050000050A1 (en) * 2003-06-18 2005-01-06 Nhoconnec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JP2005290331A (ja) * 2004-04-06 2005-10-20 Shinto Fine Co Ltd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性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924A (ja) * 1996-09-06 1998-03-24 Duskin Co Ltd 防ダニ処理した掃除用具
JP2004065731A (ja) * 2002-08-08 2004-03-04 Toray Ind Inc 払拭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31910B (zh) * 2019-03-08 2024-02-11 日商優你 嬌美股份有限公司 清掃薄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15813T3 (es) 2009-04-01
DE602005010379D1 (de) 2008-11-27
KR20060076194A (ko) 2006-07-04
JP2006181293A (ja) 2006-07-13
EP1676519B1 (en) 2008-10-15
ATE410950T1 (de) 2008-10-15
CA2529993A1 (en) 2006-06-28
CN1989892A (zh) 2007-07-04
EP1676519A1 (en) 2006-07-05
JP4822704B2 (ja) 2011-11-24
US7745354B2 (en) 2010-06-29
US20060137116A1 (en) 2006-06-29
CA2529993C (en) 201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844B1 (ko) 청소 용구
KR101176680B1 (ko) 청소 용구
KR101109896B1 (ko) 청소 용구
US8133991B2 (en) Allergen inactivating agent
JP2014520216A (ja) 抗アレルギー効果を有する多層不織布
JP3983204B2 (ja) 拭き取りシート
JP2003055122A (ja)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化方法
EP1131999B1 (en) Method for denaturing allergens
JP5281065B2 (ja) 掃除用具
JP4573640B2 (ja) 掃除用具
MXPA05014188A (en) Cleaning tool
WO2006028273A1 (en) Cleaning implement
CN100577082C (zh) 清洁用具
WO2006028280A1 (en) Clean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