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896B1 -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896B1
KR101109896B1 KR1020077005228A KR20077005228A KR101109896B1 KR 101109896 B1 KR101109896 B1 KR 101109896B1 KR 1020077005228 A KR1020077005228 A KR 1020077005228A KR 20077005228 A KR20077005228 A KR 20077005228A KR 101109896 B1 KR101109896 B1 KR 10110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genicity
cleaning tool
composition
antigenicity reduc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5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946A (ko
Inventor
아케미 즈치야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47L13/17Cloths; Pads; Sponges containin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6Securing scouring or polishing cloths or sponges to the handles by gripping means, tong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9Cleaning or scouring pads; W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96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시킬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한다. 건식 형태의 섬유상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로서, 상기 섬유상 기재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시키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 유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속 또는 쥐똥나무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청소 용구{CLEANING TOOL}
본 발명은 섬유상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는 청소 용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기관지 천식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안고 있는 사람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이들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물질이 소위 알레르겐이며, 현재 확인되어 있는 것만으로 그 수는 약 200 종류에 다다른다. 진드기, 진드기의 사체, 애완 동물의 털, 화분 등은 그 대표 예이며, 이들의 알레르겐이 어떠한 형태로 인체와 접촉, 또는 체내에 들어감으로서 여러 가지의 알레르기 증상이 유발된다.
이 경우, 만일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진드기 등을 약제 등으로 사멸시켜도 그 사충도 항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의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한다. 따라서,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 경감시키고 혹은 새로운 민감성을 막기 위해서는 생활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알레르겐을 제거하거나 알레르겐을 변성시키거나 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비활성화)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상기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약품으로서, 예컨대 물푸레 나무과 올리브속 또는 쥐똥나무속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식물로 이루어지는 알레르겐 불활화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공개 제2003-55122호 공보 ‥ 특허 문헌 1).
또한, 알레르겐을 저감화하는 약품으로는 수용액 상태로 마루, 카페트, 마루 매트 등에 산포 또는 도포 가능한 약품으로 유효 성분으로서 황산알루미늄 및 황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알레르겐 저감화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공개 제2003-334240호 공보 ‥ 특허 문헌 2).
발명의 개시
실내의 쓰레기나 먼지 등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걸레, 자루 걸레, 와이퍼 등의 청소 용구는 이들로 청소를 하는 것으로 상기한 알레르겐이 청소 용구에 부착되고, 이 상태로 장기간 유지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혹은 새로운 알레르기 질환의 발증을 막기 위해서는 청소 용구에 남아 있는 알레르겐의 항원성도 저감화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문헌 1, 2의 약품은 모두 마루, 카페트, 마루 매트, 의류 등 인체에 닿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직접 산포 또는 도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은 도포한 후에 닦아 내거나 청소기로 빨아들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그러나, 일상, 가장 빈번하게 청소하는 마루나 가구의 먼지?티끌의 청소에 관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간단히 제거하는 방법은 검토되어 있지 않다. 또한, 종래의 방법은 청소하려는 대상물을 젖도록 하기 때문에 건조시킬 시간이 필요하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을 저감화할 수 있는 건식 형태의 청소 방법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자루 걸레 등 건식 형태의 청소 용구에 모아진 먼지?티끌에 포함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것도 검토되어 있지 않다.
특히, 실내용 청소 용구는 일회용이거나 교환이 가능하며, 시트 형상이나 솔 형상의 섬유상 기재를 갖고,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건식 형태가 시장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이러한 건식 형태의 청소 용구의 경우, 부여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이 섬유상 기재에 부착성 또는 함침성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시 청소하려는 대상물로 적게 이행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부분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상기한 부착성이나 함침성을 고려한 조성물의 검토가 행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알레르겐 저감화제는 수용액 상태에서 소위 습식 상태에서 사용하여 알레르겐을 줄이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건식 형태의 청소 용구에의 적용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는 청소 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유제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특정한 조성물로서 청소 용구에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실내 청소용 청소 용구로서, 건식 형태의 섬유상 기재와 상기 섬유상 기재에 부가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가지며,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 유제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청소 용구.
본 발명의 청소 용구에 따르면 항원성 저감화 성분, 유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 조성물을 건식 형태의 섬유상 기재에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성물 상태로 부여함으로서 장기간 안정된 상태로 항원성 저감화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 부여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중에 섬유상 기재에서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조성물이 이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식 형태」란 청소 용구에 부여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제와 수분의 중량 비율에서 오일(油) 쪽이 많은 것을 의미하고, 수분량은 5.0% 이하가 적당하다. 유제에 수분이 가용화되어 있어야 하며, 유제가 유화되고 있는 경우, 티끌 수집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2)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수용성 또는 친수 성분인 (1)에 기재한 청소 용구이며, 또한, (3)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식물 추출 성분인 (1) 또는 (2)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따르면 사용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수용성 또는 친수 성분이며, 또는 식물 유래이기 때문에 인체에의 안전성이 높다.
(4)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속 또는 쥐똥나무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따르면 올리브속 또는 쥐똥나무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하, 올리브 추출물이라고도 함)은 항원성 저감화 작용이 우수하기 때문에 보다 소량이 부여되어도 항원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식물 유래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종류에 따라 성분 자신이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상 기재에 부여하였을 때에 상기 기재의 착색이 문제가 된다. 그러나, 올리브 추출물 자신의 색조는 황색~황갈색이기 때문에 올리브 추출물을 희석하여 섬유상 기재에 부착하였을 때에는 거의 무색 투명이 되어 기재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
(5)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유로핀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 형태에서 사용되는 올리유로핀은 페놀성 이리도이드 배당체이며, 상기한 올리브속 또는 쥐똥나무속의 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 이리도이드 배당체에는 포르밀기와 수산화기가 있으며, 이것이 알레르겐 단백질에 함유된 아미노기와 결합하여 항원성 저감화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6)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따르면 항원성 저감화 성분과 유제를 안정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7) 상기 유제는 분진-점착성 유제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 용구이며, 또한, (8) 상기 유제는 광유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따르면 유제로서 분진-점착성 유제, 광유를 이용하는 것으로 섬유상 기재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부착을 쉽게 하고, 또한, 일단 섬유상 기재에 부여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이탈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되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먼지의 수집력이 높아지고 재탈락을 막을 수 있다.
(9) 상기 광유는 30℃에서의 점도가 10~200 ㎟인 (8)에 기재한 청소 용구.
광유의 30℃에서의 점도는 10~200 ㎟/s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120 ㎟/s이다. 점도가 10 ㎟/s 미만의 경우는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면에 다량으로 이행되거나 손에 부착되어 끈적임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있다. 200 ㎟/s를 초과하면, 티끌의 흡착성이 좋지 않게 된다.
(10) 상기 섬유상 기재는 백색인 (4) 또는 (5)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에 따르면 상기한 올리브 추출물이나 올리유로핀은 착색 정도가 적기 때문에 섬유상 기재의 착색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래와 동일하게 백색의 섬유상 기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된 쓰레기나 먼지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11)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0.01~10 질량%, 상기 유제를 50~95 질량%, 상기 계면활성제를 1~50 질량% 함유하는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청소 용구.
이 형태에 따르면 상기 범위의 배합 비율로 하는 것으로 섬유상 기재 자신 및 유제의 티끌-점착력에 의해 먼지를 포집한다. 또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에 의해 수집물에 포함되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할 수 있다.
(12)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부여된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1~15 질량%가 되도록 부여되어 있는 (11)에 기재한 청소 용구.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1 질량% 이상 부여하는 것으로 충분한 항원성의 저감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첨가 비율은 0.01~10 질량%가 되기 때문에 극히 미량의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15 질량% 이하 부여하는 것으로 과잉의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부착에 의해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이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3)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부여된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3~15 질량%가 되도록 부여되어 있는 (11)에 기재한 청소 용구.
(14)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가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되는 (13)에 기재한 청소 용구.
(13) 및 (14)의 형태에 따르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3 질량% 이상 부여하는 것으로 청소 용구에 있어서 충분한 항원성 저감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가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의 항원성 저감화 효과와 유제가 이행됨에 따른 왁스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다.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15 질량% 이하로 부여함으로서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에 필요 이상으로 이행되거나, 손에 부착되어 끈적임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13) 및 (14)의 형태는 청소 용구의 항원성 저감화 효과와 함께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의 항원성 저감화 효과 및 마루면에 왁스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마루용, 소위 마루형 청소 용구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청소 용구에 부착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청소 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대상, 특징, 장점은 하기의 참조 번호에 표시되는 도면과 함께 하기의 기재에 의해 명백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본 발명의 청소 용구에 부여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a)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 (b) 유제 및 (c)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하는 것이며, 식물 유래 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알레르겐)로는, 예컨대 삼나무, 벼과 화분, 진드기, 집먼지, 동물, 진균(곰팡이), 곤충 등의 흡입성 알레르겐 등이다.
이러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한 올리브 추출물, 쥐똥나무 추출물, 석류나무, 님(neem), 굴, 차, 대나무, 차조기, 박하, 편백나무, 나한백, 유칼립투스, 티트리 등의 추출물을 예시할 수 있다. 추출한 화합물로서는 탄닌산, 갈릭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선형 고분자 반복 단위의 측쇄에 파라폴리비닐페놀 등의 1가 이상의 페놀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디옥시벤조에이트 중합물 등의 1가의 페놀기를 반복 단위로 갖는 고분자 화합물, 라우릴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디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 사슬 및/혹은 에틸렌 사슬을 분자 중에 갖는 2가 이상의 벤젠술폰산염 및/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사슬 및/혹은 에틸렌 사슬을 분자 중에 갖는 2가 이상의 황산염, 2,5-디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의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방향족 히드록시 화합물, 알칼리 금속 탄산염, 명반, 라우릴벤젠술폰산염, 라우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염, 인산염, 황산아연 및/또는 아세트산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올리브 추출물」이란 올리브속 또는 쥐똥나무속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유로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올리유로핀은 이리도이드 배당체이며, 이 이리도이드 배당체에는 포르밀기와 수산기가 있으며, 이것이 알레르겐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기와 결합하는 것으로 항원성의 저감화를 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올리브 추출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닌산은 폴리페놀의 수산기가 알레르겐 단백질의 아미노기나 펩티드 부분과 결합하는 것으로 항원성의 저감화를 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단독 성분으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에 배합되어도 좋고, 올리유로핀 등의 유효 성분 및 그 추출액 등을 함유한 용액 등의 상태(이하, 항원성 저감화제라고 함)로 배합되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한 올리브 추출물은 항원성 저감화제의 일례이며, 올리유로핀 이외에 에탄올 및 물을 함유한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유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제」는 먼지나 티끌의 흡착 유지 능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유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광유, 합성유, 실리콘유, 식물유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유로서는 파라핀계 탄화수소, 나프텐계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유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그 중에서도 유제의 주성분이 유동 파라핀인 경우, 섬유상 기재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일단 섬유상 기재에 부여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이탈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청소 용구로의 부여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조성물을 균일화하기 위해 첨가된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솔비탄에스테르로서는 솔비탄라우린산모노에스테르, 솔비탄팔미트산모노에스테르, 솔비탄스테아르산모노에스테르, 솔비탄올레인산모노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모노미리스트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모노올레인산글리세릴, 모노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올레인산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유로서는 호호바유, 아보카도유, 올리브유, 살구씨유, 포도씨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등이 바람직하다. 솔비탄트리올레이트로서는 솔비탄스테아르산트리에스테르, 솔비탄올레인산트리에스테르 등이 바람직하다. 피마자유 혹은 경화 피마자유의 에틸렌옥사이드(EO) 부가물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라우르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에는 그 특성을 크게 변동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한 항원성 저감화 성분, 유제, 계면활성제 이외의 각종 성분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배합]
상기한 각 성분은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 혼합?교반되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필수 3 성분인 항원성 저감화 성분, 유제, 계면활성제의 배합 비율로서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전체에 대해 항원성 저감화 성분 0.01~10 질량%, 유제 50~95 질량%, 계면활성제 1~50 질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 0.02~1 질량%, 유제 60~80 질량%, 계면활성제 20~40 질량%이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이 0.01 질량% 미만이면, 포집한 먼지에 대한 항원성 저감화률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고, 10 질량%를 초과하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성이 좋지 않게 되며 또한 고가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유제가 50 질량% 미만이면, 유제 성분 부여에 의한 티끌류 흡착량의 향상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고, 95 질량%를 초과하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성이 좋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계면활성제가 1 질량% 미만이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안정성이 좋지 않게 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50 질량%를 초과하면 첨가할 수 있는 유제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티끌류의 흡착량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청소 용구>
다음으로 상기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하는 청소 용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소 용구는 실질적으로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섬유상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 소위 건식 형태의 청소 용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시트 형상이어도 좋고, 시트를 절단한 스트립 형상이어도 좋으며, 자루 걸레과 같이 다수의 끈 형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토우 섬유(섬유의 집합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섬유상 기재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섬유 형태는 직물, 편물, 부직포 중 어느 것이라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청소 용구의 예>
도 1, 2에는 이러한 청소 용구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1은 청소 용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청소용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청소 용구(10)는 소위 핸디형이며, 본 발명의 섬유상 기재에 상당하는 청소용 시트(11)와 파지구(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지구(12)는 적절하게 교환 가능하며, 예컨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지구(22)를 장착함으로써, 도 1의 청소 용구는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장소나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청소용 시트(11)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스트립편이 형성된 유지 시트(1), 동일하게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스트립편이 형성된 기재 시트(2),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1 섬유 다발(3a),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2 섬유 다발(3b),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3 섬유 다발(3c), 토우 섬유로 이루어진 제4 섬유 다발(3d), 복수의 스트립편이 형성된 스트립 시트(5)의 순으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섬유 다발(3a), 제2 섬유 다발(3b), 제3 섬유 다발(3c) 및 제4 섬유 다발(3d)이 본 발명의 솔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 솔부에 의해 청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솔부에만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하면 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솔부」란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용구에서 주로 청소 기능을 발휘하는 부분이며, 섬유상 기재의 일부이어도 좋고 전부이어도 좋다. 각 층은 전층 접합선(6)에서 유지 시트(1), 기재 시트(2), 제1 섬유 다발(3a), 제2 섬유 다발(3b), 제3 섬유 다발(3c), 제4 섬유 다발(3d) 및 스트립 시트(5)가 접합되고, 접합선(7)에서 유지 시트(1), 기재 시트(2), 제1 섬유 다발(3a) 및 제2 섬유 다발(3b)만이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지 시트(1)와 기재 시트(2) 사이에 유지 공간(13)이 형성되며, 파지구(12)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핸디형 청소 용구(10, 20)에 있어서는 제1 섬유 다발(3a), 제2 섬유 다발(3b), 제3 섬유 다발(3c) 및 제4 섬유 다발(3d)로 구성된 솔부에만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소 용구의 다른 예>
도 4는 청소 용구의 다른 예로서, 마루면을 청소하는 데 적합한 마루형 청소 용구(30)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청소 용구(30)에서는 본 발명의 섬유상 기재에 상당하는 청소용 시트(31)를 파지구(32)의 선단부(32a)에 감아 사용한다. 또한, 청소용 시트(31)의 앞?뒤에는 토우로 이루어지는 볼록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홈 부분 등, 평면 형상인 것으로는 청소하기 어려운 장소의 청소를 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 청소 용구(30)가 마루면 등에 닿는 것만으로도 청소용 시트(31)에 의해 먼지 등을 포집할 수 있다. 이러한 마루형 청소 용구(30)는 청소용 시트(31)의 전체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부여 방법>
상기한 청소 용구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섬유상 기재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분무법이나 롤러 코팅법, 침지법 등에 의해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부여량은 도 1과 같은 핸디형 청소 용구에 있어서는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해 1~10 질량%가 바람직하다. 1 질량% 미만에서는 분말 형상의 티끌을 모두 집어낼 수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10 질량%를 초과하면,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에 다량으로 이행되고, 또한, 손에 부착되어 끈적임을 느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4와 같은 마루형 청소 용구에 있어서는 핸디형보다 약간 많고,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해 3~15 질량%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10 질량%를 부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부여량이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가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청소 용구의 항원성 저감화 효과와 함께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되어 남아 있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도 항원성 감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의 항원성 저감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중 유제 역시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으로 이행되기 때문에 바닥면에의 왁스 효과도 함께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형태는 소위 마루형인 마루용 청소 용구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부여량이 3 질량% 미만에서는 청소 용구가 분말 형상의 티끌을 모두 집어낼 수 없고, 또한,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이행되는 것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5 질량%를 초과하면,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청소하고자 하는 대상에 다량으로 이행되고, 또한, 손에 부착되어 끈적임을 느끼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 용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섬유상 기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청소 용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청소 용구의 다른 추가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함유하는 항원성 저감화제의 제조>
(올리브 추출물)
식물 올리브의 잎을 특허 문헌 1의 조성물 실시예 3에 기초하여 물로 추출한 (물 100 g 중에 올리브의 생잎을 20 g 넣어, 믹서로 분쇄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여과액)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올리유로핀 0.6%가 되도록 조정한 액이다.
(탄닌산)
탄닌산(와코준야쿠제)을 물 및 에탄올에 용해하고, 탄닌산이 15%가 되도록 조정한 액이다.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제조>
상기한 2 종류의 항원성 저감화제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난 배합 비율로 제조예 1~4의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얻었다.
유제로서는 유동 파라핀, 홍화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였다. 또한,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솔비탄올레인산모노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린산글리세릴, 솔비탄올레인산트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하며, 그 외 물을 혼합?교반하여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조정하였다.
Figure 112007018085148-pct00001
주 1) (탄닌산): 탄닌산(준코준야쿠제)을 물 및 에탄올에 용해하여 탄닌산15%가 되도록 조정한 액이다.
(올리브 추출물): 식물 올리브의 잎을 특허 문헌 1의 조성물 실시예 3에 기초하여 물로 추출한 후, 에탄올을 첨가하여 올리유로핀 0.6%가 되도록 조정한 액이다.
주 2)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EO 첨가 몰수는 5 몰, 구성하는 알킬기의 탄소수 12~14.
주3) 30℃에서의 점도는 50 ㎟/s.
주4)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의 EO 첨가 몰수는 60 몰.
주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의 EO 첨가 몰수는 3 몰, 구성하는 알킬기의 탄소수 12~14.
<청소 용구에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의 부여>
다음으로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및 제조예 4의 조성물을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청소 용구(이하 핸디형이라고 함)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청소 용구(이하 마루형이라고 함)에 스프레이로 부여하고, 각각의 타입에 대해 실시예 1 내지 3(제조예 1부터 3을 부여한 것) 및 비교예 1(제조예 4를 부여한 것)의 청소 용구를 얻었다.
또한, 핸디형에 있어서는 섬유상 기재[도 1의 시트(11)] 전체에 대해 5 질량%가 되도록 부여하였다. 또한, 마루형에 있어서는 섬유상 기재[도 4의 시트(31)] 전체에 대해 7.5 질량%가 되도록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을 부여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항원성 저감화 성능의 평가]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청소 용구에 대해 하기의 순서로 삼나무 화분 및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항원성 저감화의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통합하여 표 2, 3에 나타낸다. 또한, 표 내의 「저감화율」은 100-100×(ELISA 법으로 측정한 항원성 저감화제를 부여한 청소 용구의 알레르겐량)/(ELISA 법으로 측정한 항원성 저감화제를 부여하지 않은 청소 용구의 알레르겐량)에 의해 구한 값이며, 표 내의 기호는 하기와 같은 저감화율을 나타낸다.
○ … 저감화율 양호(50% 이상)
△ … 저감화율 뒤떨어짐(10~50%)
× … 저감화율 불량(0~10%)
핸디형: 약 0.05 g의 진드기 알레르겐(집먼지 진드기류)을 포함하는 쓰레기 및 약 0.01 g의 삼나무 화분을 각각 직경 9 cm, 높이 17 cm의 유리병에 넣고, 뚜껑으로 덮어 병 내벽 전체에 쓰레기 및 삼나무 화분을 분산시켰다. 뚜껑을 제거하고 핸디형 청소 용구로 병 내의 먼지 및 삼나무 화분을 닦아 내었다. 이 청소 용구로부터 추출액으로 알레르겐을 추출하고, ELISA 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마루형: 약 0.05 g의 진드기 알레르겐(집먼지 진드기류)을 포함하는 먼지 및 약 0.01 g의 삼나무 화분을, 각각 30×30 cm의 마루 판넬 위에 분산시켰다. 먼지 및 삼나무 화분을 마루형 청소 용구로 닦아 내었다. 이 청소 용구로부터 추출액으로 알레르겐을 추출하여, ELISA 법에 의해 정량적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또한, 추출액으로는 인산 완충액(pH 7)을 사용하였다. 또한, ELISA 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고상 효소 면역 검정법)이란 항원 항체 반응에 있어서 효소의 발색을 이용하여 물질을 정량하는 방법[EIA 법(enzyme immunoassay: 효소 면역 항체법]의 일종이며, 검출하고자 하는 물질을 2 종류의 항체로 삽입하여 정량하는 샌드위치법을 이용하였다.
삼나무 화분 항원성 저감율
저감화율
시료 손에서 마루에서
비교예 1 ×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진드기 항원성 저감화율
저감화율
시료 손에서 마루에서
비교예 1 × ×
실시예 1 ×
실시예 2
실시예 3
표 2, 3의 결과로부터, 마루형 청소 용구는 어떠한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에 있어서도 저감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의 핸디형 청소 용구에 있어서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의 부여량이 적었고, 효과가 다소 충분하지 않았다.
[시험예 2: 가온, 광조사 후의 저감화 효과의 평가]
가온 시험: 실시예 2, 3의 청소 용구의 섬유상 기재만을 핸디형 청소 용구는 종이 용기에 넣어 포장하고, 마루형 청소 용구는 필름으로 필로우 포장하였다. 이 포장체를 실내의 응달, 40℃ 항온조, 50℃ 항온조에 각각 방치하였다. 그리고, 방치 직후, 1개월 경과 후에, 상기한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광조사 시험: 핸디형, 마루형 청소 용구의 섬유상 기재와 함께 포장하지 않고 시트 상태로 방치하였다. 크세논 램프 내후성 시험기(weather meter) 하에서 태양광 1개월 상당, 6개월 상당을 조사하고, 상기한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레르겐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내의 저감화율 및 기호는 표 2, 3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실시예 2, 3의 어떠한 청소 용구에서도 가온 1개월 방치 후에도 저감화 효과가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광조사 후에도 저감화 효과가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진드기 항원성 저감화율
실시예 2 실시예 2
조건 경과시간 손에서 마루에서 손에서 마루에서
부여 직후 0일
RT 1개월
40℃ 1개월
50℃ 1개월
광조사 1개월 상당
광조사 6개월 상당 -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엄밀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리고, 당업자에 의해 첨부한 청구범위가 명백해지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개량이 행해지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건식 형태의 섬유상 기재를 갖는 실내용 청소 용구로서,
    상기 섬유상 기재는, 복수의 섬유로 구성된 섬유 다발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섬유의 일부는 상기 복수의 섬유 각각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섬유상 기재의 폭 방향에서 중앙에 형성되는 접합선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폭방향 중앙의 접합선으로부터 상기 폭방향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섬유 각각에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의 항원성을 저감화하는 항원성 저감화 성분, 유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부여되어 있는 청소 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수용성 또는 친수 성분인 청소 용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식물 추출 성분인 청소 용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브속(oleum) 또는 쥐똥나무속(ligustrum)의 식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청소 용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은 올리유로핀(oleuropein)인 청소 용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청소 용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는 분진-점착성 유제인 청소 용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제는 광유인 청소 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는 30℃에서의 점도가 10~200 ㎟/s인 청소 용구.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기재는 백색인 청소 용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상 기재는 백색인 청소 용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 전체에 대해 상기 항원성 저감화 성분을 0.01~10 질량%, 상기 유제를 50~95 질량%, 상기 계면활성제를 1~49.99 질량%로 포함하는 것인 청소 용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부여된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해 1~15 질량%가 되도록 부여되어 있는 것인 청소 용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은 상기 항원성 저감화 조성물이 부여된 섬유상 기재 전체에 대하여 3~15 질량%가 되도록 부여되어 있는 것인 청소 용구.
  15. 삭제
KR1020077005228A 2004-09-09 2005-08-10 청소 용구 KR101109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62896 2004-09-09
JP2004262896 2004-09-09
JP2004341804A JP4021893B2 (ja) 2004-09-09 2004-11-26 掃除用具
JPJP-P-2004-00341804 2004-11-26
PCT/JP2005/014625 WO2006027926A1 (ja) 2004-09-09 2005-08-10 掃除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946A KR20070050946A (ko) 2007-05-16
KR101109896B1 true KR101109896B1 (ko) 2012-01-31

Family

ID=35996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228A KR101109896B1 (ko) 2004-09-09 2005-08-10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051434A1 (ko)
EP (1) EP1803383B1 (ko)
JP (1) JP4021893B2 (ko)
KR (1) KR101109896B1 (ko)
CA (1) CA2576433C (ko)
ES (1) ES2403634T3 (ko)
MX (1) MX2007002729A (ko)
MY (1) MY149516A (ko)
PL (1) PL1803383T3 (ko)
TW (1) TWI274573B (ko)
WO (1) WO2006027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0026B (zh) * 2004-12-28 2013-03-21 Uni Charm Corp 吸附灰塵用油劑
US7784141B2 (en) * 2005-01-28 2010-08-31 S. C. Johnson & Son, Inc.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US20070180640A1 (en) * 2005-01-28 2007-08-09 S. C. Johnson & Son, Inc.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US7356869B2 (en) 2005-04-15 2008-04-15 S.C. Johnson & Son, Inc.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JP5048274B2 (ja) * 2006-05-31 2012-10-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体及び清掃用具
US7976639B2 (en) * 2007-08-17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allergens picked up from a surface
JP5281825B2 (ja) * 2007-12-27 2013-09-04 花王株式会社 つや出し剤及び硬質表面用清掃シート
JP6073128B2 (ja) 2012-12-29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を用いた清掃部材の製造方法
JP6047400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187406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US10098516B2 (en) 2012-12-29 2018-10-16 Unicharm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cleaning member, and system for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047401B2 (ja) 2012-12-29 2016-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JP6057707B2 (ja) 2012-12-29 2017-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繊された繊維束の製造方法、清掃部材の製造方法、繊維束の開繊装置、及び清掃部材の製造システム
US20140182767A1 (en) 2012-12-29 2014-07-03 Unicharm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cleaning member
JP6103945B2 (ja) 2013-01-10 2017-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み重ね装置及びウェブ部材を製造する方法
JP6141023B2 (ja) 2013-01-10 2017-06-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US10722091B2 (en) * 2017-10-06 2020-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article with preferentially coated tow fib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924A (ja) * 1996-09-06 1998-03-24 Duskin Co Ltd 防ダニ処理した掃除用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8030A (en) * 1971-05-26 1972-10-17 Eugene C Lockett Mop
US4977142A (en) 1984-07-11 1990-12-11 University Of Sydney Antiallergenic agent
DE3575860D1 (de) * 1984-07-11 1990-03-15 Univ Sydney Antiallergikum.
JP2639777B2 (ja) * 1993-01-26 1997-08-13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ダスト吸着用油剤
JPH0966014A (ja) * 1995-09-01 1997-03-11 Lion Corp 清掃用払拭具
JPH09164101A (ja) * 1995-10-13 1997-06-24 Dainippon Jochugiku Co Ltd 清掃用物品
US6326339B1 (en) * 1997-03-04 2001-12-04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Cleansing system comprising synthetic detergent bar and pouf
US6777064B1 (en) * 1997-05-23 2004-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sheets, implements, and articles useful for removing allergens from surfaces and methods of promoting the sale thereof
GB9814372D0 (en) * 1998-07-02 1998-09-02 Reckitt & Colmann Prod Ltd Treatment of airborne allergens
US20030086986A1 (en) * 1998-08-06 2003-05-08 Bruijn Chris De Ophthalmic, pharmaceutical and other healthcare preparations with naturally occurring plant compounds, extracts and derivatives
JP3558892B2 (ja) * 1998-09-24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US7074747B1 (en) * 1999-07-01 2006-07-1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compositions
ES2333875T3 (es) * 2000-07-10 2010-03-02 Uni-Charm Corporation Articulo de limpieza.
JP4804685B2 (ja) * 2000-12-22 2011-11-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畳用清拭シート
JP2003055127A (ja) 2001-08-07 2003-02-26 Kao Corp ポリオールインオイル製剤
JP4766639B2 (ja) * 2001-08-07 2011-09-07 住化エンビロサイエンス株式会社 抗アレルゲン組成物及びアレルゲン不活化方法
JP3983204B2 (ja) * 2002-07-03 2007-09-26 花王株式会社 拭き取りシート
US20040161435A1 (en) * 2003-02-14 2004-08-19 Gupta Shyam K. Skin Firming Anti-Aging Cosmetic Mask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5924A (ja) * 1996-09-06 1998-03-24 Duskin Co Ltd 防ダニ処理した掃除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02729A (es) 2007-04-23
PL1803383T3 (pl) 2013-12-31
WO2006027926A1 (ja) 2006-03-16
EP1803383A4 (en) 2009-05-06
EP1803383B1 (en) 2013-04-10
TW200614961A (en) 2006-05-16
CA2576433A1 (en) 2006-03-16
EP1803383A1 (en) 2007-07-04
KR20070050946A (ko) 2007-05-16
ES2403634T3 (es) 2013-05-20
CA2576433C (en) 2010-02-16
MY149516A (en) 2013-09-13
TWI274573B (en) 2007-03-01
JP2006102471A (ja) 2006-04-20
US20060051434A1 (en) 2006-03-09
JP4021893B2 (ja)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896B1 (ko) 청소 용구
KR101176680B1 (ko) 청소 용구
KR101208844B1 (ko) 청소 용구
US20050197319A1 (en) Allergen inactivating agent
JP4660179B2 (ja) 掃除用具
JP5959041B2 (ja) アレルゲン低減化機能を付与する方法
JP2006306835A (ja) 屋内塵性ダニ忌避用物品
JP3983204B2 (ja) 拭き取りシート
WO2015141712A1 (ja) アレルゲン低減化組成物、それを含む噴霧剤と表面加工剤、アレルゲン低減化方法
JP6109526B2 (ja) 屋内塵性ダニ忌避用粘着ローラー
JP2010116450A (ja) 抗アレルゲン組成物
CN101014694B (zh) 清洁工具
WO2006028273A1 (en) Cleaning implement
JP4573640B2 (ja) 掃除用具
WO2006028280A1 (en) Cleaning implement
MXPA05014188A (en) Clean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