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729B1 -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729B1
KR101201729B1 KR1020120034413A KR20120034413A KR101201729B1 KR 101201729 B1 KR101201729 B1 KR 101201729B1 KR 1020120034413 A KR1020120034413 A KR 1020120034413A KR 20120034413 A KR20120034413 A KR 20120034413A KR 101201729 B1 KR101201729 B1 KR 101201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ation shaft
forward direction
rot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102012003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6/00Machines with more than one rotor or st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10Arrangements of brushes or commut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roving commu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에 기단이 고정된 제2모터용 제2케이스에 제2모터의 제2고정자를 내접시키고 상기 제2케이스에 제1모터의 제1케이스를 회전가능하게 내접시키고, 상기 제1모터의 제1케이스에 제1고정자를 내접시키고, 상기 제1모터의 고정자에 접촉되는 상기 제1케이스의 부분이 브러시로 되어서 외부의 전원과 상기 고정자가 상기 브러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변속기를 배제한 상태에서 구동대상물의 속도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제1모터의 회전축을 정지시킬 때에도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관성력이 작용되지 않게 하여, 원하는 위치에 그리고 원하는 시점에 구동대상물을 위치결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가능한 구동장치{drive apparatus with variable speed}
본 발명은 변속가능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소위 전동기라 불러 진다.
모터는 케이스에 내접 고정된 고정자, 상기 고정자에 대하여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배치된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고정 결합된 회전축을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고정된 자계속에 전류방향을 정역으로 변경하여서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거하여 회전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모터는 각종 산업기기, 공작기기, 가전기기, 전동차량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 모터를 채용한 모터 기반의 구동장치는 변속을 위해 변속기를 상기 회전축과 출력축 사이에 개재하여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 기반의 구동장치는 출력축에 구동대상물을 결합시켜 상기 구동대상물에 회전력을 부여하지만, 모터가 정지될 시에, 회전하고 있는 회전자와 구동대상물의 관성력으로 인하여 구동대상물이 원하는 지점 또는 원하는 시점에서 정지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상기 모터 기반의 구동장치는 변속을 위해 복잡한 구조의 변속기가 필요 된다고 하는 문제를 가진다.
상기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계류중에 있는 특허출원 제10-2012-0025822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구동장치는 구동대상물에 결합된 회전축에 정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인가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고정자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제1모터의 고정자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모터의 회전축에 상기 제1모터의 고정자를 고정시켜 이들 회전축들의 중심축선이 동축선 상에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모터들을 직렬로 결합시키고, 제2모터의 회전축을 제2모터의 정지시에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제2모터에 구비시키고, 구동대상물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제1모터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모터를 정방향으로 가동하여 제1모터의 회전축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구동대상물을 정방향으로 증속 회전시킬 시에는 제2모터의 정방향으로의 가동 중에서 제1모터를 정방향으로 가동하여 제1모터의 회전축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고, 구동대상물을 정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킬 시에는 제2모터의 정방향으로 가동중에 제1모터를 역방향으로 가동하여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구동대상물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킬 시에는 제2모터의 정방향으로 가동중에 제1모터를 역방향으로 가동하여 제2모터의 회전축의 정방향으로의 회전력만큼 상기 제1모터의 회전축에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구동장치는 제1모터의 고정자가 회전하는 관계로 전류가 고정자에 공급되는 타입의 전동기에서는 상기 고정자에 전류를 공급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베이스에 기단이 고정된 제2모터용 제2케이스에 제2모터의 제2고정자를 내접시키고 상기 제2케이스에 제1모터의 제1케이스를 회전가능하게 내접시키고, 상기 제1모터의 제1케이스에 제1고정자를 내접시키고, 상기 제1모터의 고정자에 접촉되는 상기 제1케이스의 부분이 브러시로 되어서 외부의 전원과 상기 고정자가 상기 브러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속기를 배제한 상태에서 구동대상물의 속도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제1모터의 회전축을 정지시킬 때에도, 원하는 위치에 그리고 원하는 시점에 구동대상물을 위치결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변속가능한 구동장치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변속가능한 구동장치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변속가능한 구동장치는 제1 및 제2모터(10, 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모터(10, 20) 각각은, 유도전동기로서, 코일이 감긴 제1 및 제2고정자(13, 23),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13, 23) 각각에 대하여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회전자(14, 24), 상기 제1 및 제2회전자(14, 24) 각각에 고정 결합된 제1 및 제2회전축(11, 21),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13, 23)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제1 및 제2케이스(12, 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모터(10)는 구동대상물(50)에 결합된 상기 제1회전축(11)에 정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며, 그리고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1모터(10)의 상기 제1케이스(12)에 상기 제2회전축(21)이 결합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를 정방향 또는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1, 21), 상기 제1 및 제2회전자(14, 24),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13, 23), 및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2, 22)들의 중심축선이 동축선 상에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모터들(10, 20)이 일렬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케이스(22)의 기단은 베이스(40)에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대상물(50) 쪽으로 뻗은 상기 제2케이스의 선단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제1케이스(12)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는 연장부(6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케이스(22) 내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제2모터의 제2회전축(21)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기단이 상기 제2케이스(22)에 고정되어 선단이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제2플랜지부(6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스(12) 내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제1모터의 제1회전축(11)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기단이 상기 제1케이스(12)에 고정되어 선단이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플랜지부(61) 사이의 상기 제1케이스(12) 부위에는 상기 제1모터의 상기 고정자(13)에 미끄럼 접촉가능하게 외접된 브러시(63)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63)에는 베이스(40)에 장착된 전원(64)에 도선(6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모터의 고정자(23)에는 상기 전원(64)에 도선(6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모터(10)는 제1모터(10)의 정지시에 제1회전축(11)을 회전고정시키고 제1모터(10)의 가동시에 회전축(11)을 회전자유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1스톱퍼(2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모터(20)는 제2모터(20)의 정지시에 제2회전축(21)을 회전고정시키고 제2모터(20)의 가동시에 제2회전축(21)을 회전자유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제2스톱퍼(2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모터의 상기 제1스톱퍼(25)는 상기 제1케이스(12)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축(11)의 기단과 마주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모터의 상기 제2스톱퍼(26)는 상기 제2케이스(22)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축(21)의 기단과 마주하고 있다.
상기 제1스톱퍼(25)는, 예를 들면, 제1모터(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비자화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대한 잡음을 해제하고, 제1모터(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자화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대한 잡음을 실시하는 전자척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2스톱퍼(26)는, 예를 들면, 제2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비자화되어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대한 잡음을 해제하고, 제2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자화되어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대한 잡음을 실시하는 전자척이 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변속가능한 구동장치가 2개의 스톱퍼를 구비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제1모터에만 스톱퍼가 상기 변속가능한 구동장치에 구비되거나 또는 제2모터에만 스톱퍼가 상기 변속가능한 구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상기 변속가능한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1. 제1모터에만 스톱퍼가 구비된 제1경우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제1모터(10)를 정지시켜 스톱퍼(25)가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을 고정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모터(20)의 제2고정자(23)와 제2회전자(24) 사이에 전자기력인 정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1)은 상기 스톱퍼(25)에 의해 상기 제1케이스(12)를 경유하여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증속회전시킬 시에는,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톱퍼(25)에 의한 제1회전축(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전자기력인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킨다.
결국,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이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에 고정된 제1고정자(1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배가되어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정방향으로 증속되게 된다.
또한,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킬 시에는,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톱퍼(25)에 의한 제1회전축(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전자기력인 역방향 회전력을 인가한다.
결국,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이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대한 결합상태가 해제되어도, 제2모터(20)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1케이스(12) 및 제1고정자(13) 내에 수용되어 있어서, 계속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런 분위기 하에서 상기 제1모터(10)를 가동하여 상기 제1모터의 제1고정자(13)와 제1회전자(14) 사이에 전자기력인 역방향으로 회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이 역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1케이스(12) 내에서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의 회전수보다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의 회전수가 작은 경우에,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보게 되면,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정방향으로 감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대상물(50)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킬 시에는,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톱퍼(25)에 의한 제1회전축(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의 정방향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11)에 전자기력인 역방향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를 동시에 작동중지시킨다.
결국,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이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상기 제2회전축(21)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수 만큼의 회전수에 상당하는 전자기력인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되기 때문에, 제1케이스(12)의 정방향 회전수 만큼의 회전수를 가지고서 제1회전축(1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보게 되면,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정지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모터(10, 20) 들이 가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볼 때, 상기 구동대상물(50)이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를 동시에 작동중지시켜도,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원하는 위치에서 그리고 원하는 시간에 바로 정지될 수 있다.
2. 제2모터에만 스톱퍼가 구비된 제2경우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제2모터(20)를 정지시켜 제2스톱퍼(26)가 제2모터(21)의 제2회전축(21)을 회전고정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모터(10)의 제1고정자(13)와 제1회전자(14) 사이에 전자기력인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발생시켜 제1회전축(11)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킨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11)은 상기 제1모터(10)의 제1고정자(13) 내에서 회전자유상태에 있지만, 상기 제1고정자(13)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가 상기 제2스톱퍼(26)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뉴턴의 제3법칙(작용 반작용 법칙)에 의거하여 상기 정방향 회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즉, 회전축은 고정자가 고정되어 있어야만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발생된 전자기력인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예는 고정자를 고정하고 있는 통상의 모터의 케이스가 고정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원리와 같다.
또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증속 회전시킬 시에는,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회전축(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스톱퍼(26)에 의한 제2회전축(21)의 회전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전자기력인 정방향 회전력을 인가시킨다.
결국,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이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에 고정된 제1고정자(1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의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보게 되면, 상기 구동대상물(50)은 배가된 회전수로 정방향으로 증속되게 된다.
또한,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킬 시에는,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회전축(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스톱퍼(26)에 의한 제2회전축(2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전자기력인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한다.
결국, 상기 제1모터의 제1고정자(13)와 제1회전자(14) 사이에 정방향으로 전자기력인 회전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이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제1케이스(12) 내에서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의 회전수보다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의 회전수가 큰 경우에,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보게 되면,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정방향으로 감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대상물(50)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킬 시에는,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회전축(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스톱퍼(26)에 의한 제2회전축(2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의 정방향 회전수만큼의 회전수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역방향으로의 전자기력인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를 동시에 작동중지시킨다.
결국, 상기 제1모터의 제1고정자(13)와 제1회전자(14) 사이에 정방향으로 전자기력인 회전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된 상태에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의 회전수만큼의 회전수를 가지고서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보게 되면,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정지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모터(10, 20) 들이 가동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볼 때, 상기 구동대상물(50)이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를 동시에 작동중지시켜도, 상기 구동대상물(50)은 원하는 위치에서 그리고 원하는 시간에 바로 정지될 수 있다.
3. 제1 및 제2모터에 스톱퍼가 구비된 제3경우
상기 제1 및 제2경우에서 같이 구동대상물에 대하여 정방향으로의 회전작용, 정방향으로의 증속작용, 정방향으로의 감속작용, 및 정방향으로의 정지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경우에서는 상기 작용들에 더하여, 신속한 역방향 기동회전과 신속한 정방향 기동회전 작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과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동일한 회전수를 가지고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터중 어느 하나를 작동중지시키면, 지면 또는 베이스에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보게 되면, 상기 구동대상물(50)이 정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작동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신속하게 상기 구동대상물(50)를 기동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모터(10, 20)의 가동과 정지는 제1 및 제2모터(10, 20) 각각에 구비된 엔코더로부터 수신된 회전속도정보와 자체적으로 설정된 상기 일정 시간 정보를 상기 변속가능한 구동장치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의 연산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변속가능한 구동장치는 변속기가 배제된 상태에서도 구동대상물의 속도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구동대상물을 어떠한 진동 없이 원하는 위치에 그리고 원하는 시점에 위치결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0; 제1모터, 20; 제2모터, 40; 베이스, 50; 구동대상물

Claims (6)

  1. 유도전동기로서, 코일이 감긴 제1 및 제2고정자(13, 23),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13, 23) 각각에 대하여 일정 공극을 갖고서 내접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회전자(14, 24), 상기 제1 및 제2회전자(14, 24) 각각에 고정 결합된 제1 및 제2회전축(11, 21), 및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13, 23) 각각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제1 및 제2케이스(12, 22)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제1 및 제2모터(10, 20)를 구비하고 있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10)는 구동대상물(50)에 결합된 상기 제1회전축(11)에 회전력을 인가시키며, 그리고 상기 제2모터(20)는 상기 제1모터(10)의 상기 제1케이스(12)에 상기 제2회전축(21)이 결합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케이스(12)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 중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정역방향으로 상기 하나의 모터의 회전축에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11, 21), 상기 제1 및 제2회전자(14, 24), 상기 제1 및 제2고정자(13, 23), 및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12, 22)들의 중심축선이 동축선 상에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모터들(10, 20)이 일렬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케이스(22)의 기단은 베이스(40)에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구동대상물(50) 쪽으로 뻗은 상기 제2케이스의 선단은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제1케이스(12)를 회전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는 연장부(60)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고정자(13)와 마주하는 상기 제1케이스(12) 부위에는 상기 제1모터의 상기 고정자(13)에 미끄럼 접촉가능하게 외접된 브러시(63)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63)에는 베이스(40)에 장착된 전원(64)에 도선(6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모터의 고정자(23)에는 상기 전원(64)에 도선(65)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모터(10) 및 상기 제2모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터에는 정지시에 상기 어느 하나의 모터의 회전축을 회전고정시키고 가동시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모터의 회전축을 회전자유상태로 유지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22) 내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제2모터의 제2회전축(21)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기단이 상기 제2케이스(22)에 고정되어 선단이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제2플랜지부(6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케이스(12) 내에는, 베어링을 개재하여 제1모터의 제1회전축(11)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기단이 상기 제1케이스(12)에 고정되어 선단이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제1플랜지부(6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의 스톱퍼는 상기 제1케이스(12)에 고정되어 상기 제1회전축(11)의 기단과 마주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2모터의 스톱퍼는 상기 제2케이스(22)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축(21)의 기단과 마주하고 있으며,
    상기 제1모터의 스톱퍼는, 제1모터(10)에 전원이 공급되면 비자화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대한 잡음을 해제하고, 제1모터(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자화되어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대한 잡음을 실시하는 전자척이고, 그리고 상기 제2모터의 스톱퍼는, 제2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비자화되어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대한 잡음을 해제하고, 제2모터(2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자화되어 상기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대한 잡음을 실시하는 전자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제1모터(10)를 정지시켜 제1모터의 스톱퍼가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을 회전고정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모터(20)의 제2고정자(23)와 제2회전자(24) 사이에 정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증속 회전시킬 시에는,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모터의 스톱퍼에 의한 제1회전축(11)의 회전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킬 시에는,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1모터의 스톱퍼에 의한 제1회전축(11)의 회전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에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상기 구동대상물(50)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킬 시에는,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스톱퍼(25)에 의한 제1회전축(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의 정방향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수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11)에 전자기력인 역방향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를 동시에 작동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시에는, 상기 제2모터(20)를 정지시켜 상기 제2모터의 스톱퍼가 제2모터(21)의 제2회전축(21)을 회전고정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모터(10)의 제1고정자(13)와 제1회전자(14) 사이에 정방향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증속 회전시킬 시에는,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회전축(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의 스톱퍼에 의한 제2회전축의 회전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대상물(50)을 정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킬 시에는,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회전축(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모터의 스톱퍼에 의한 제2회전축(21)의 회전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역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상기 구동대상물(50)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을 정지시킬 시에는, 제1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제1회전축(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제2모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2스톱퍼(26)에 의한 제2회전축(21)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서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의 정방향 회전수만큼의 회전수로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역방향으로의 전자기력인 회전력을 인가시키고 나서 상기 제 1 및 제2모터(10, 20)를 동시에 작동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10)의 제1회전축(11)과 제2모터(20)의 제2회전축(21)에 동일한 회전수를 가지고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터중 어느 하나를 작동중지시켜서, 작동되고 있는 어느 하나의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으로 신속하게 구동대상물을 기동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KR1020120034413A 2012-04-03 2012-04-03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KR101201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13A KR101201729B1 (ko) 2012-04-03 2012-04-03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13A KR101201729B1 (ko) 2012-04-03 2012-04-03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729B1 true KR101201729B1 (ko) 2012-11-15

Family

ID=4756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413A KR101201729B1 (ko) 2012-04-03 2012-04-03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7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980B2 (ja) * 1991-05-08 2002-02-04 ベルマティック販売株式会社 多重構造型モータ
JP2006043153A (ja) 2004-08-04 2006-02-16 Nidec Shibaura Corp 洗濯機
KR100680377B1 (ko) 2005-11-19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고신뢰성 일축 이중 모터 장치와 그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980B2 (ja) * 1991-05-08 2002-02-04 ベルマティック販売株式会社 多重構造型モータ
JP2006043153A (ja) 2004-08-04 2006-02-16 Nidec Shibaura Corp 洗濯機
KR100680377B1 (ko) 2005-11-19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중 전원을 사용하는 고신뢰성 일축 이중 모터 장치와 그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1794B2 (ja) 磁気変調式複軸モータ
JP2008043138A (ja) 補機駆動装置
CN106026576B (zh) 一种能平滑自起动的异步起动永磁同步电机
JP6302638B2 (ja) ワイパ装置
JPWO2016114353A1 (ja) 極数切替型回転電機および極数切替型回転電機の駆動方法
JP2014158321A (ja) ブラシレスモータ、電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車両用開閉体駆動装置
KR101201729B1 (ko)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JP2006288109A (ja) サーボモータ制御装置
KR101201730B1 (ko) 변속가능한 병진구동장치
JP4329511B2 (ja) 同期モ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ユニット
JP2005057941A (ja) 回転電機
JP5858399B2 (ja) 磁気減速機構及び低速ロータ磁気減速回転制御方法
KR101209279B1 (ko)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JPWO2019022100A1 (ja) 回転電機
KR101201763B1 (ko)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JP5327498B2 (ja) 回転電機駆動システム
KR101338170B1 (ko)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JPH10257728A (ja) 同心多軸モータ
JP4525026B2 (ja) 回転電機
KR101212286B1 (ko)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JP5418281B2 (ja) 同期回転機の制御装置、及び同期回転機の制御方法
KR20140070938A (ko) 변속가능한 구동장치
KR101736412B1 (ko)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JP2005094932A (ja) モータ駆動装置
KR101582897B1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위치각 파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