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8960B1 -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8960B1
KR101198960B1 KR1020110064792A KR20110064792A KR101198960B1 KR 101198960 B1 KR101198960 B1 KR 101198960B1 KR 1020110064792 A KR1020110064792 A KR 1020110064792A KR 20110064792 A KR20110064792 A KR 20110064792A KR 101198960 B1 KR101198960 B1 KR 101198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steel wire
bridge
prestress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옥근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11006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거더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미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게 되는 강선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에 대한 기술로서, 교각 등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는 중공관; 상기 중공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의 양단부에서 각 단부가 고정되는 강선; 상기 중공관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강선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강선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BRIDGE GIRDE WITH THE FUNCTION OF ADJUSTING PRE-STRESS}
본 발명은 교량용 거더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미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게 되는 강선의 장력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에 대한 기술이다.
교량의 시공시에는 교량이 설치될 지형조건이나 차량용인지 도보용인지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면서도 최소한의 비용으로 시공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한다. 교량의 종류에는 현수교, 사장교, 아치교, 트러스교, 거더교 등 다양하며, 이들은 상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방식에 있어 큰 차이점이 있다.
교량은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구성되며, 상부구조는 교량의 주체를 이루는 부분이고,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과 열차 등을 직접 지지하는 바닥판, 바닥틀,주트러스등으로 구성된다. 하부구조는 상부구조를 지지하고,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교대, 교각 및 기초로 이루어진다.
보다 세부적으로 교량을 분류할 때 교량의 상부구조 형식에 따라 거더교, 단순교, 연속교, 게르버교, 트러스교, 아치교, 현수교, 라멘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거더교(Girder Bridge)는 거더(보)를 수평방향으로 가설한 교량으로서 거더를 주형이라 하기도 한다. 거더교의 종류에는 강 거더교, 철근콘크리트 거더교, PC 거더교, 강판형교, 박스거더교 등이 있다. 특히, PC 거더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로서 소정 형상의 거더에 강선을 배치하여 강선에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도록 한 후 콘크리트를 채워서 양생하여 만들어진다.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진 거더는 보다 큰 하중에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한편 콘크리트 충전 강관(Concrete Filled Steel Tube, CFT)을 교량용 거더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교량을 CFT 합성거더교라 부르기도 한다. CFT는 강관 내부를 콘크리트계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강관과 충전재간 상호구속효과로 부재의 변형성능, 강성 및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 충전재는 강관의 국부좌굴을 억제하게 되며, 강관은 콘크리트계 충전재에 대한 구속효과로 충전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어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CFT는 축방향 압축력이 주하중으로 작용하는 기둥부재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거더로서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CFT 합성거더교량은 비교적 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고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매우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예상된다. 하지만 축방향이 아닌 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거더에서는 콘크리트와 강관의 결합이 파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또한 예상된다.
교량 시공업체 입장에서는 경쟁업체에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시공기술을 확보해야 함을 물론이고 보다 간편하면서 저렴하게 시공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19099호(2010.02.18 공개)가 있으며, PSC 거더교량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PSC 거더가 사용되는 교량에 종래기술1에 의한 유지관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 1에 따르면 PSC 거더 내부에 다수의 철근(미도시)과 긴장재(미도시)가 내설된 상태로서 사용중 압축응력을 추가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단면이 큰 PSC 거더(21)DML 양단부에 교축직각 방향의 관통공을 형성시키고, 이를 관통하는 연결재(23a)로 정착구(23)를 고정한 후 정착구(23)를 연결하는 긴장재(24)를 긴장시켜 PSC 거더에 압축응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 1의 교량 유지관리방법은 정착구(23)를 PSC 거더(21)의 양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뚫어 연결재(23a)로 고정해야 하며 구멍을 뚫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위험할 뿐 아니라, 연결재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을 뚫는 과정에서 PSC 거더 내부의 철근과 긴장재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 2에 따른 PSC 거더교의 유지관리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 2에서는 바닥판 콘크리트(32)의 하측에 위치한 PSC 거더(31)의 양단부에 미리 정착을 위한 정착부(31a)를 형성시킨 후 정착부(31a)를 연결하는 통로를 쉬스관(미도시)에 의해 미리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설되는 긴장재(34)를 마련하도록 한다. 긴장재(34)는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쉬스관 내부로 긴장재를 넣어서 긴장시킨 후 정착하도록 하거나 쉬스관에 긴장재를 내설시켜두고 유지관리가 필요한 경우에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PSC, PC 거더교 등은 거더의 외부에 소정의 긴장수단을 마련하여 필요시 긴장재를 긴장시켜 압축응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거더의 양단부에서 긴장재를 당겨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하기 때문에 긴장재를 당길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고 긴장 후 고정시키는 것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거더의 외부에 긴장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빗물의 잦은 접촉에 의한 손상이 예상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기존의 PSC 거더교는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차량 통행용 교량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보행용 교량의 거더로는 적합치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보행용 교량의 거더도 충분한 안전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거더를 이용한다면 보다 저렴하면서 간단한 구조이고 안전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19099호(2010.02.1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거더로서 비교적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강선의 장력을 조정하여 프리스트레스를 형성시킬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강선이 중공관 내부에 배치되게 하여 외관이 보다 깔끔하게 하며, 강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보행용 교량거더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하도록 경량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는, 교각 등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는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의 양단부에서 각 단부가 고정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거더로서, 상기 중공관의 외면에 마련되며, 상기 강선에 하중을 작용시켜서 상기 강선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마련되되, 상기 중공관의 상부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에 고정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를 향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강선과 접촉되어 상기 강선에 하중을 부가하게 되는 가압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은, 상기 중공관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 좌우로 하나 이상이 마련되되, 상기 중공관의 상부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에 고정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를 향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강선과 접촉되어 상기 강선에 하중을 부가하게 되는 가압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유닛은, 나사방식으로 이루어져 수동조작되거나 유압방식으로 자동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 하며, 상기 가압헤드는, 상기 강선을 감싸는 튜브이거나 상기 강선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접촉홈이 형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중공관은, 그 양단부에 밀폐캡이 결합되고, 상기 밀폐캡에는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강선의 각 단부는 스토퍼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강선이 상기 중공관의 양단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밀폐캡은, 상기 중공관의 각 단부 내면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는 교량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강선의 장력 변화가 발생되거나 거더에 미치는 하중에 변화가 있는 경우 강선의 장력을 조정하여 거더에 압축응력이 도입되게 함으로써 거더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고, 경량이기 때문에 특히 보행용 교량에 사용되는 거더로 활용되기에 적합하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중공관 내부에 강선이 배치되기 때문에 미관이 깔끔하고 빗물에 의한 부식이나 기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PSC 거더가 사용되는 교량에 종래 기술 1에 의한 유지관리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 2에 따른 PSC 거더교의 유지관리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의 단면도.
도 7은 가압헤드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었을 때의 중공관의 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의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거더는 대규모의 교량에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보행용 거더교에 적용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용 거더는 중공관(100),강선(200) 및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이며, 중공관(100)은 교각 등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교량의 길이에 따라 다수의 중공관(100)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중공관(100) 중 일부에만 프리스트레스 조정기능이 부여될 수도 있다. 다수의 중공관(100)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중공관(100) 중 교량의 주탑(10)이 세워지는 곳과 같이 큰 하중이 집중되는 중공관(100)에 프리스트레스 조정기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량의 용도나 사이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중공관(100)이 사용될 수 있고, 중공관(100)이 거더의 기본적인 외형을 이루게 된다. 중공관(100)은 양단부가 개구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강재가 된다.
중공관(100)의 내부에 강선(200)이 배치되는데, 강선(200)의 각 단부는 중공관(100)의 각 단부에서 고정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중공관(100)의 양단부는 밀폐되어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관(100)의 양단부 각각에 밀폐캡(400)을 두도록 하며, 도 6과 같이 밀폐캡(400)은 중공관(100)의 내경면에 끼워져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강선(200)을 중공관(100) 각 단부에 고정시키는 하나의 수단은 중공관(100)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밀폐캡(400)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밀폐캡(400)은 중공관(100)의 양단부를 막는 역할도 하면서 강선(200)을 고정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도록 한다.
밀폐캡(400)의 상부 근처에 강선(200)이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관통홀(410)을 형성시키며, 관통홀(410)을 통해 강선(200)의 단부가 통과되게 한 후 강선(200)의 단부에 스토퍼(420)를 결합되게 한다.
스토퍼(420)는 관통홀(410)보다 큰 치수로 하며 강선(200)과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강선(200)은 밀폐캡(400)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스토퍼(420)는 강선(200)의 단부와 고정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 될 수도 있다.
두 밀폐캡(400)이 하나의 강선(200)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가 되고, 강선(200)에 후술될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에 의해 소정의 하중이 작용되면 자연스럽게 중공관(100)에 프리스트레스를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중공관(100)의 외면 다수의 지점에 강선(200)에 하중을 부가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이 마련된다.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은 중공관(100) 내부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강선(200)에 하중을 부가시킴으로써 중공관(100)에 프리스트레스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은 중공관(100)의 길이방향 중심부에 마련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공관(100)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좌우로 하나 이상씩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이 마련될 수 있고, 혹은 도 6과 같이 총 3개의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이 마련될 수도 있다.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은 크게 가압유닛(310)과 가압헤드(320)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00)의 상부면에 중공관(100)의 내부로 연통되는 설치홀(110)이 형성되도록 하며, 각 설치홀(110)에 가압유닛(310)이 하나씩 고정 설치된다. 각각의 가압유닛(310)은 중공관(100) 내부를 향하게 되며, 가압유닛(310)은 나사방식으로 수동조작되거나 유압방식으로 자동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유닛(310)은 기본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대표적으로 작업자가 핸들(312)을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가압축(311)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다수의 가압유닛(310)을 동시에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압방식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유압식 실린더(313)를 이용하는 것이다.
가압유닛(310)의 하단부에는 가압헤드(320)가 결합되며, 가압헤드(320)는 강선(200)과 접촉되고 가압유닛(31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가압헤드(320)도 상하로 움직이면서 강선(200)에 작용되는 하중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가압헤드(320)는 강선(200)을 감싸는 튜브(321) 형태이거나 강선(200)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접촉홈(323)을 갖는 블록(322)이 될 수 있다. 도 7은 가압헤드의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가압헤드(320)가 튜브(321) 형태인 경우에는 강선(200)을 중공관(100)에 고정시키기 전에 필요한 만큼의 가압헤드(320)가 강선(200)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튜브(321)형 가압헤드(320)는 가압유닛(310)과 나사방식 등으로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가압헤드(320)가 블록(322) 형태인 경우에는 블록(322)의 하부면에 강선(200)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대략 반원형의 접촉홈(323)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블록(322)의 상단면이 가압유닛(3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한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었을 때의 중공관의 상태 변화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거더의 외형을 이룰 중공관(100)을 교각 사이에 배치하며, 중공관(100) 내부에 강선(200)을 내설하고,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을 조정하여 가압헤드(320)가 강선(200)을 눌러 강선(200)이 하방으로 처지면서 중공관(100)의 양단부를 내측으로 당겨 압축응력이 도입되게 한다.
도 8과 같이 거더에 프리스트레스가 형성되면 중공관(100)은 상방으로 굽어지는 형태가 되며, 이에 따라 하방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잘 견딜 수 있게 되고 교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중공관(100)에 미리 프리스트레스가 작용하도록 하고 거더 위에 상판을 올리거나 기타 이후 작업을 실시하도록 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선(200)의 장력이 변화될 수 있고 자연적인 중공관(100)의 변형 혹은 부가적인 하중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300)을 이용하여 강선(200)의 장력을 조정하여 중공관(100)에 부가적인 압축응력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며, 시공 후에도 필요시 강선의 장력을 조정하여 중공관에 작용되는 압축응력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중공관 110 : 설치홀
200 : 강선 300 :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
310 : 가압유닛 311 : 가압축
312 : 핸들 313 : 유압실린더
320 : 가압헤드 321 : 튜브
322 : 블록 323 : 접촉홈
400 : 밀폐캡 410 : 관통홀
420 : 스토퍼

Claims (6)

  1. 삭제
  2. 교각 등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는 금속 재질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의 양단부에서 각 단부가 고정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거더로서,
    상기 금속 재질 중공관 길이방향 중심부에 마련되되 상기 중공관의 상부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에 고정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를 향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강선과 접촉되어 상기 강선에 하중을 부가하여 강선의 장력을 조정하는 가압헤드로 구성되는 프리스트레스 부가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3. 교각 등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는 금속 재질의 중공관과, 상기 중공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관의 양단부에서 각 단부가 고정되는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교량용 거더로서,
    상기 금속 재질 중공관의 길이방향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 좌우로 하나 이상이 마련되되 상기 중공관의 상부면에 상기 중공관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에 고정되어 상기 중공관 내부를 향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가압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강선과 접촉되어 상기 강선에 하중을 부가하여 강선의 장력을 조정하는 가압헤드로 구성되는 프리스트레스 가압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나사방식으로 이루어져 수동조작되거나 유압방식으로 자동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 하며,
    상기 가압헤드는,
    상기 강선을 감싸는 튜브이거나 상기 강선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접촉홈이 형성되는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5.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그 양단부에 밀폐캡이 결합되고, 상기 밀폐캡에는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강선의 각 단부는 스토퍼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강선이 상기 중공관의 양단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은,
    상기 중공관의 각 단부 내면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KR1020110064792A 2011-06-30 2011-06-30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KR101198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92A KR101198960B1 (ko) 2011-06-30 2011-06-30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92A KR101198960B1 (ko) 2011-06-30 2011-06-30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960B1 true KR101198960B1 (ko) 2012-11-07

Family

ID=4756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92A KR101198960B1 (ko) 2011-06-30 2011-06-30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9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2957A (zh) * 2014-07-03 2014-09-10 江苏南通六建建设集团有限公司 体外管内预应力吊拉多层悬挑梁板结构及施工方法
CN109235288A (zh) * 2018-11-15 2019-01-18 天津城建大学 节段梁拼接面内预应力筋孔道的密封结构及方法
KR102277137B1 (ko) 2020-11-16 2021-07-14 (주)신흥이앤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47B1 (ko) 1999-07-13 2003-10-17 구민세 피에스씨 강봉을 이용한 단순형 합성보의 2차 프리스트레싱 공
KR200352048Y1 (ko) 2004-03-13 2004-06-04 박병준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장치
JP2006104863A (ja) 2004-10-08 2006-04-20 Takenaka Komuten Co Ltd 応力・変形の制御が可能な鋼管合成ボイドスラブ及びその施工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47B1 (ko) 1999-07-13 2003-10-17 구민세 피에스씨 강봉을 이용한 단순형 합성보의 2차 프리스트레싱 공
KR200352048Y1 (ko) 2004-03-13 2004-06-04 박병준 빔 하부 강선곡선배치 방법을 이용한 빔 보강장치
JP2006104863A (ja) 2004-10-08 2006-04-20 Takenaka Komuten Co Ltd 応力・変形の制御が可能な鋼管合成ボイドスラブ及びその施工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32957A (zh) * 2014-07-03 2014-09-10 江苏南通六建建设集团有限公司 体外管内预应力吊拉多层悬挑梁板结构及施工方法
CN109235288A (zh) * 2018-11-15 2019-01-18 天津城建大学 节段梁拼接面内预应力筋孔道的密封结构及方法
CN109235288B (zh) * 2018-11-15 2023-11-24 天津城建大学 节段梁拼接面内预应力筋孔道的密封结构的施工方法
KR102277137B1 (ko) 2020-11-16 2021-07-14 (주)신흥이앤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68098B2 (en) Method for pre-stressing a steel structure, and steel structure pre-stressed using said method
US6138309A (en) Tension members for erecting structures
KR101171039B1 (ko) 주경간 긴장수단을 이용한 일부 및 전부 타정식 사장교와 그 시공 방법
KR101136926B1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KR20070087902A (ko) 강재와 목재를 강결연결한 강합성목재세그먼트부재를이용한 환경친화형 강합성목재교량시공방법
KR100985139B1 (ko)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KR100949585B1 (ko)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 보의 시공방법
KR101198960B1 (ko) 프리스트레스 조정이 가능한 교량용 거더
CN105544415A (zh) 混凝土桥梁加固方法及加固结构
KR100977061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CZ308615B6 (cs) Mostní konstrukce pro mosty na pozemních komunikacích
JP5716117B1 (ja) 既設桁橋のヒンジ部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1012013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증대를 위한 콘크리트충전 강관 기둥용가설보강대
CN211815595U (zh) 用于索塔的下塔柱拉压结构
KR100931318B1 (ko) 트러스 구조의 지점부를 갖는 가설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CN108517759B (zh) 波形钢腹板组合梁形式的索塔横梁连接系统及施工方法
KR100707726B1 (ko) 활의 원리를 이용한 비-케이블(B-Cable)장스팬 및이의 시공방법
KR101751724B1 (ko) 부재의 강성비 조절을 통하여 모멘트를 재분배하여 형고를 낮춘 저형고 일체식 psc i형 거더교
KR101120163B1 (ko) 가설교량 시공방법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9972531B (zh) 一种用于提高贝雷梁临时支架跨度的体外预应力装置
KR100512663B1 (ko) 사장교 타입 장지간 가설 교량
CN101215820A (zh) 装配结构的抗拉抗压构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620

Effective date: 201210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