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914B1 - 모노 레그 변형 시트 - Google Patents

모노 레그 변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914B1
KR101194914B1 KR1020087000453A KR20087000453A KR101194914B1 KR 101194914 B1 KR101194914 B1 KR 101194914B1 KR 1020087000453 A KR1020087000453 A KR 1020087000453A KR 20087000453 A KR20087000453 A KR 20087000453A KR 101194914 B1 KR101194914 B1 KR 10119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assembly
pin
leg
adjustme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090A (ko
Inventor
칼 제이. 홀댐프
Original Assignee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filed Critical 인티어 오토모티브, 인크.
Publication of KR2008001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7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 B60N2/3075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on a lower level of a multi-level vehicle floor stowed in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탑승자를 리세스를 갖는 플로어 위에 지지하기 위한 차량 시트 조립체는 시트 쿠션 및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를 구비한다. 라이저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전방 및 후방 레그를 구비하며, 각각의 레그는 플로어에 피봇 결합되는 하단부와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시트 쿠션과 상기 후방 레그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조절 기구는, 상기 레그들이 상기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착석 위치와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착석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를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전방 레그에 장착된 측방 연장되는 안내 핀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상기 후방 레그에 아치형 채널이 작동 결합된다.
시트 쿠션, 시트 등받이, 라이저 기구, 시트 조절 기구, 착석 위치, 격납 위치, 아치형 채널, 안내 링크, 브래킷, 핸들, 플로어 패널

Description

모노 레그 변형 시트 {MONO LEG TRANSFORME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착석 위치와, 자동차의 플로어에 형성된 리세스 내의 격납(stowed)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시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량 내부에서 탑승자를 플로어 위에 지지하기 위한 시트 조립체를 구비한다. 시트 조립체는 통상 시트 쿠션, 및 다수의 젖혀진 착석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리클라이너(recliner) 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를 구비한다. 통상, 시트 등받이는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중 어느 하나의 위치와, 시트 등받이의 뒷면에 하중 플로어(load floor)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쿠션 위에 놓이는 대체로 수평한 전방 절첩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시트 조립체를 시트 쿠션이 플로어 위에 이격되어 있는 착석 위치와 시트 쿠션 및 시트 등받이가 플로어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플로어와 시트 쿠션 사이에 라이저(riser) 기구를 장착하는 것은 자동차 착석(seating) 분야에 있어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조립체를 착석 위치와 플로어의 리세스 내의 격납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개선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자동차 내에서 탑승자를 리세스를 갖는 플로어 위에 지지하기 위한 시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시트 조립체는 시트 쿠션, 및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 등받이는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와, 시트 쿠션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조립체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및 후방 레그를 갖는 라이저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각각은, 플로어에 피봇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단부와,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는 상이한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측방으로 오프셋된다. 시트 쿠션과 후방 레그의 상단부 사이에는 시트 조절 기구가 배치된다. 상기 시트 조절 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이 상기 상단부 주위로 피봇하는 동안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가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상기 시트 쿠션이 플로어 위에 이격되어 있는 착석 위치와 상기 시트 쿠션 및 시트 등받이가 플로어의 리세스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전방 레그에 장착된 측방 연장되는 안내 핀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후방 레그에는 아치형 채널이 작동 결합된다. 상기 아치형 채널 및 안내 핀은 전방 및 후방 레그를 시트 조립체가 착석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 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검토되는 하기 상세한 설명에 의거하 여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임을 쉽게 알 것이다.
도1은 완전 전방(full forward) 착석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2는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전방 우측 사시도이다.
도3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전방 좌측 사시도이다.
도4는 완전 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5는 용이한 진입(easy-entry)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6은 중심상(on-center) 조건에 있는 라이저 기구를 도시하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7은 플로어에 형성된 리세스 내의 격납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8은 후퇴가능한(retractable) 스프링 편향식(spring-biased) 핀을 도시하는 시트 조립체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9는 고정 링크를 결합하는 피봇 링크를 도시하는 시트 조립체의 확대 부분 사시도이다.
도10은 안내 링크 및 롤러의 확대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11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2는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전방 좌측 사시도이다.
도13은 용이한 진입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4는 플로어에 형성된 리세스 내의 격납 위치에 있는 시트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자동차용 시트 조립체(10)가 전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시트 조립체(10)는 탑승자를 플로어(14) 위에 지지하기 위한 시트 쿠션(12), 및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기 위한 시트 등받이(16)를 구비한다. 시트 등받이(16)는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시트 쿠션(12)에 대해 피봇 결합된다. 또한, 시트 등받이(16)는 차량의 화물 운송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또는 후술하듯이 시트 조립체(10)를 플로어(14) 내에 격납할 때 시트 쿠션(12)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시트 쿠션(12)은 상부 착석면(18) 및 반대쪽의 하면(20)을 구비한다. 시트 쿠션(12)은 또한 도2에 도시하듯이 대체로 평행한 이격된 사이드 부재(22, 24)를 갖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또한, 사이드 부재(22, 24)에는 한 쌍의 시트 쿠션 브래킷(26)이 고정 체결된다.
시트 등받이(16)에 고정 체결되는 한 쌍의 시트 등받이 브래킷(28)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형태의 한 쌍의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30)에 의해 시트 쿠션 브래킷(26)에 피봇 결합된다.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30)는, 시트 조립체(10)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핸들(33)이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30)를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동시에 작동시키 도록 상부 누화(cross-talk) 튜브(32)에 의해 함께 작동 결합된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플로어(14)에는 리세스(34)가 형성되며, 리세스는 리세스 바닥 플로어(36)를 갖는다. 상기 리세스(34)는 플로어 패널(38)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된다. 상기 플로어(14)를 따라서 한 쌍의 하부 장착 브래킷(40)이 고정 체결되며, 이 브래킷은 리세스(34) 내로 부분 연장된다. 그러나, 하부 장착 브래킷(40)이 리세스(34) 내부에 고정 체결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면부호 42로 지칭되는 라이저 기구는 시트 쿠션(12)과, 플로어(14)를 따라서 설치되는 하부 장착 브래킷(40) 사이에서 연장된다. 라이저 기구(42)는 시트 조립체(10)가 도1에 도시된 완전 전방 착석 위치와 도4에 도시된 완전 후방 착석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착석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시트 조립체(10)는 도5에 도시된 용이한 진입 위치와, 도7에 도시된 플로어(14)에 형성된 리세스(34)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라이저 기구(42)는 한 쌍의 대체로 평행한 이격된 전방 레그(44)를 구비한다. 전방 레그(44)의 각각은 하단부(46)와 상단부(48) 사이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레그(44) 각각의 하단부(46)는 플로어(14)를 따라서 설치된 하부 장착 브래킷(40) 중 하나에 대해 피봇부(50)에서 피봇 결합된다. 전방 레그(44) 각각의 상단부(48)는 피봇부(52)에서 시트 쿠션(12)의 사이드 부재(22, 24) 중 하나에 피봇 결합된다.
라이저 기구(42)는 또한 각각의 전방 레그(44)의 후방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대체로 평행한 이격된 후방 레그(54)를 구비한다. 후방 레그(54)의 각각은 하단부(56)와 상단부(58) 사이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후방 레그(54)는 하단부(56)와 상단부(58) 사이에 곡률 또는 만곡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후방 레그(54)의 하단부(56)는 플로어(14)를 따라서 설치된 하부 장착 브래킷(4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60)에 피봇 결합된다. 상기 로드(60)의 주위에는 한 쌍의 스프링(62)이 배치된다. 이들 스프링(62)은 상기 로드(60)에 고정 체결된 포스트(64)와, 후방 레그(54) 사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62)은 시트 조립체(10)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각각의 후방 레그(54)의 상단부(58)는 시트 쿠션(12)의 사이드 부재(22, 24)에 고정 체결된 시트 쿠션 브래킷(26)에 대해 시트 조절 기구(66)에 의해 피봇 결합된다. 시트 조절 기구(66)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형태의 리클라이너 기구일 수 있다. 시트 조절 기구(66)는, 하부 누화 튜브(68)의 회전이 시트 조절 기구(66)를 동시에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도록 하부 누화 튜브(68)에 의해 함께 작동 결합된다.
언로크 상태에서, 시트 조절 기구(66)는 전방 레그(44) 및 후방 레그(54)가 각각 피봇부(50)와 로드(60) 주위로 전후로 피봇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시트 조립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후방 레그(54)가 각각의 전방 레그(44)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상이한 평면에서 피봇하며, 시트 조립체(10)의 동작 중에 상호 간섭하지 않는다. 로크 상태에서, 시트 조절 기구(66)는 시트 조립체(10)의 동작을 방지한다. 시트 조절 기구(66)는 로크 상태를 향해서 가압된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시트 쿠션(12)의 일 측면에 피봇 장착된 사이드 핸 들(70)과, 도2에 도시되어 있는 시트 등받이(16)에 피봇 장착된 후방 핸들(72) 양자는, 시트 조절 기구(66)를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하부 누화 튜브(68)에 작동 결합된다. 도8을 참조하면, 사이드 핸들(70)과, 하부 누화 튜브(68)에 고정 체결된 링크 레버(76) 사이에는 제1 보우덴(Bowden)형 케이블(74)이 연장된다. 사이드 핸들(70)을 조작하면 제1 케이블(74)이 견인되고, 그로인해 링크 레버(76)가 전방으로 피봇되어 하부 누화 튜브(68)를 회전시킴으로써 시트 조절 기구(66)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킨다.
도9를 참조하면, 하부 누화 튜브(68)에 고정 체결된 고정 링크(80) 부근에서 하부 누화 튜브(68)에 대해 피봇 링크(78)가 피봇 결합된다. 피봇 링크(78)는 상단부(82)와 하단부(84) 사이에서 연장된다. 피봇 링크(78)의 상단부(82)는 후방으로 피봇될 때 고정 링크(80)에 대해 푸시됨으로써, 하부 누화 튜브(68)를 회전시킨다. 후방 핸들(72)과 피봇 링크(78)의 상단부(82) 사이에는 제2 보우덴형 케이블(86)이 연장된다. 후방 핸들(72)을 조작하면 제2 케이블(86)이 견인되고, 그로인해 피봇 링크(78)의 상단부(82)가 하부 누화 튜브(68) 주위에서 후방으로 피봇되고 고정 링크(80)에 대해 푸시되며, 이는 하부 누화 튜브(68)를 회전시켜 시트 조절 기구(66)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킨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상기 피봇 링크(78)의 하단부(84)와, 시트 쿠션 브래킷(26)중 하나에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작동 장착되는 후방 핀(90) 사이에서 제3 보우덴형 케이블(88)이 연장된다. 상기 후방 핀(90)은 통상 시트 쿠션 브래킷(26)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스프링 편향된다. 제2 케이 블(86)이 피봇 링크(78)의 상단부(82)를 후방으로 견인하면, 하단부(84)는 전방으로 피봇되어 제3 케이블(88)을 견인하며, 이는 후방 핀(90)을 내측으로 후퇴시킨다. 대안적으로, 제1 케이블(74)이 링크 레버(76)를 견인하여 하부 누화 튜브(68)를 회전시키면, 고정 링크(80)는 피봇 링크(78)가 피봇되지 않도록 피봇 링크(78)로부터 멀리 회전하며, 따라서 제3 케이블(88)은 후방 핀(90)을 후퇴시키도록 견인되지 않는다.
도10을 참조하면, 전방 레그(44)중 하나의 내표면(96)에는 안내 브래킷(94)이 피봇부(50) 주위로 함께 피봇되도록 고정 체결된다. 안내 브래킷(94)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상부 롤러(98) 및 하부 롤러(100)가 연장된다. 상부 롤러(98) 및 하부 롤러(100)는 안내 브래킷(9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조립체(10)에 있어서, 안내 브래킷(94)이 고정 장착된 전방 레그(44)와 동일한 측부에서, 후방 레그(54)의 하단부(56)에는 링크 브래킷(102)이 고정 장착된다. 안내 링크(104)는 제1 단부(106), 제2 단부(108), 및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 트랙(110)을 구비한다. 안내 링크(104)의 제1 단부(106)는 피봇부(112)에서 링크 브래킷(102)에 피봇 결합된다. 제2 단부(108)는 대체로 아치형의 채널(114)을 구비하며, 이 아치형 채널은 제1 단부(116)와 제2 단부(118)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단부(106)와 제2 단부(108)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 트랙(110)은 하부 롤러(100)를 그 안에 수용하기 위해 대체로 C자 형상을 갖는다. 하부 롤러(100)는 안내 트랙(110)과 롤링 결합되고 롤러 샤프트(122)를 가지며, 상기 롤러 샤프트는 안내 링크(104)의 슬롯(124)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지 와셔(126)에 의해 그곳 에 고정된다. 슬롯(124)은 제1 단부(128)와 제2 단부(130) 사이에서 연장된다.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하부 롤러(100)는 롤러 샤프트(122)가 슬롯(124)의 제1 단부(128)에 위치하도록 안내 트랙(110)에 배치된다.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후방 착석 위치에서 완전 전방 착석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하부 롤러(100)는 안내 트랙(110) 내에서 후방으로 구르며, 따라서 롤러 샤프트(122)는 슬롯(124)의 제2 단부(130)를 향해서 이동한다.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로부터 격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함에 따라, 라이저 기구(42)는 도6에 도시된 중심상 위치에 도달한다. 피봇 지점(50, 52, 60, 66)이 직선으로 정렬될 때 라이저 기구(42)는 중심상 조건에 있게 된다.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있을 때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반대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6을 참조하면, 전방 레그(44)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는 반면 후방 레그(54)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며, 그 결과 시트 쿠션(12)이 하방 및 전방으로 경사진다. 대안적으로, 전방 레그(44)는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는 반면 후방 레그(54)는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며, 그 결과 시트 쿠션(12)이 상방 및 후방으로 경사진다. 어느 경우에나, 시트 조립체(10)는 격납 위치로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내 링크(104)는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도달하기 전에 아치형 채널(114) 내에서 상부 롤러(98)를 수용하며, 그로인해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의 하단부(46, 56) 사이에 고정 링크를 생성하여 이들이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을 통과할 때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피봇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접근함에 따라, 하부 롤러(100)는 롤러 샤프트(122)가 슬롯(124)의 제2 단부(130)에 설치되도록 배치되어 상부 롤러(98)가 아치형 채널(114)의 제1 단부(116)에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의 하단부(46, 56) 사이에 고정 링크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후방 레그(54) 및 링크 브래킷(102)의 시계방향(도5에서 보았을 때) 회전은 아치형 채널(114)이 상부 롤러(98)에 접촉하도록 안내 링크(104)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부 롤러(98)에 인가되는 그 결과적인 힘은 상부 롤러(98)가 아치형 채널(114)을 따라서 제2 단부(118)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전방 레그(44)가 후방 레그(54)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게 한다.
도1 및 도4를 참조하면, 시트 조립체(10)는 또한 시트 조립체(10)에 있어서 후방 핀(90)과 동일한 측에 로킹 플레이트(132)를 구비한다. 로킹 플레이트(132)는 후방 레그(54)의 상단부(58)에서 내측 표면(134)에 고정 체결된다. 로킹 플레이트(132)는 전방 슬롯(136)과 후방 슬롯(138)을 갖는다. 사이드 핸들(70)의 조작은 시트 조절 기구(66)가 언로크되도록 하부 누화 튜브(68)를 회전시켜 시트 조립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방 슬롯(136)은 도4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시트 쿠션 브래킷(26)에 고정 체결된 전방 핀(140)과 접촉한다. 후방 슬롯(138)은 도1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후방 핀(90)과 접촉한다. 따라서, 시트 조립체(10)의 전후 조절은 사이드 핸들(80)의 조작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로킹 플레이트(132)와 후방 핀(90) 사이의 접촉은 시트 조립체(10)가 전후 조절 중에 부주의 하게 용이한 진입 위치와 격납 위치 중 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후방 핸들(72)의 조작은 시트 조절 기구(66)가 언로크되도록 하부 누화 튜브(68)를 회전시키고, 시트 조립체(10)가 용이한 진입 위치와 격납 위치 중 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방 핀(90)을 후퇴시킨다. 시트 조립체(10)가 용이한 진입 위치로 이동할지 또는 격납 위치로 이동할지는 플로어 패널(38)의 존재 또는 부재에 의존된다.
플로어 패널(38)이 존재하면,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도5에 도시하듯이 전방 레그(44)가 플로어 패널(38)에 접촉하고 시트 조립체(10)가 용이한 진입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전방으로 피봇될 것이다. 한편, 플로어 패널(38)이 제거된 상태일 때,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시트 조립체(10)가 격납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전방으로 피봇될 것이다. 격납 위치에서, 시트 쿠션(12)과 시트 등받이(16)는, 도7에 도시하듯이 시트 쿠션(12)의 바닥면(20)이 리세스 바닥 플로어(36)에 인접한 상태에서 플로어(14)에 형성된 리세스(34) 내에 배치된다. 시트 조절 기구(66)는 시트 조립체(10)를 격납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시트 조립체(10)가 격납 위치에 있을 때 로크 상태로 조작된다.
작동 시에, 도1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상태부터 시작하면, 사이드 핸들(70)의 조작은 제1 케이블(74)을 견인하고, 이는 링크 레버(76)를 전방으로 견인하여 하부 누화 튜브(68)를 도8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하부 누화 튜브(68)의 회전은 시트 조절 기구(66)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켜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가 각각 피봇부(50, 60) 주위로 피 봇될 수 있게 한다. 이 때, 시트 조립체(10)는, 도1에 도시하듯이 로킹 플레이트(132)의 후방 슬롯(138)이 후방 핀(90)과 접촉하는 완전 전방 착석 위치와 도4에 도시하듯이 로킹 플레이트(132)의 전방 슬롯(136)이 전방 핀(140)과 접촉하는 완전 후방 착석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어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시트 조립체(10)가 소정 위치에 있을 때, 사이드 핸들(70)을 해제시키면 시트 조절 기구(66)가 로크 상태로 작동되어 시트 조립체(10)의 추가 전후 운동을 방지한다.
다시 한번, 도1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는 상태부터 시작하면, 로킹 플레이트(132)의 후방 슬롯(138)은 후방 핀(90)과 접촉한다. 시트 조립체(10)를 용이한 진입 위치와 격납 위치 중 한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핸들(33)은 상부 누화 튜브(32)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 상부 누화 튜브(32)의 회전은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30)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켜 시트 등받이(16)가 시트 쿠션(12)의 착석면(18)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로 피봇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후방 핸들(72)의 조작은 제2 케이블(86)을 견인하고 이는 피봇 링크(78)의 상단부(82)를 후방으로 견인함으로써 상단부(82)가 고정 링크(80)에 대해 푸시되게 하여 하부 누화 튜브(68)를 도9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하부 누화 튜브(68)의 회전은 시트 조절 기구(66)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킨다. 동시에, 피봇 링크(78)의 하단부(84)는 전방으로 피봇되어 제3 케이블(88)을 견인하며, 이는 후방 핀(90)을 내측으로 후퇴시켜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가 피봇부(50)와 로드(60) 주위에서 각각 플로어(14)를 향해 전방으로 피봇될 수 있게 한다.
플로어 패널(38)의 존재 또는 부재는 후방 핸들(72)의 조작 시에 시트 조립체(10)의 단부 위치를 결정할 것이다. 플로어 패널(38)이 리세스(34)를 커버하고 있으면,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전방 레그(44)가 플로어 패널(38)에 접촉할 때까지 피봇부(50)와 로드(60) 주위에서 각각 (도1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피봇될 것이다. 이 위치에서, 시트 조립체(10)는 도5에 도시하듯이 용이한 진입 위치에 있다.
그러나, 플로어 패널(38)이 후방 핸들(72)의 조작 이전에 제거되었으면,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도7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립체(10)가 격납 위치에 있을 때까지 피봇부(50)와 로드(60) 주위에서 각각 (도1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피봇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 조립체(10)가 격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접근함에 따라, 상부 롤러(98)는 아치형 채널(114)의 제1 단부(116)에 진입하여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의 하단부(46, 56) 사이에 고정 링크를 생성한다. 후방 레그(54)와 링크 브래킷(102)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안내 링크(104)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안내 링크(104)의 후방 이동은 상부 롤러(98)가 아치형 채널(114)을 따라서 제1 단부(116)로부터 제2 단부(118)로 이동할 때 아치형 채널(114)이 상부 롤러(98) 상에 작용하게 하여,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을 통과할 때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가 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게 한다.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시트 조립체(10)가 플로어(14)의 리세스(34)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에 있을 때까지 시계 방향으 로 계속 피봇된다. 시트 조절 기구(66)는 시트 조립체(10)를 격납 위치에 유지하기위해 로크 상태로 작동된다. 마지막으로, 플로어 패널(38)은 플로어(14)에 형성된 리세스(34) 내의 시트 조립체(10)를 커버하도록 교체될 수 있다.
시트 조립체(10)를 완전 전방 착석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시트 조립체(10)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플로어 패널(38)이 제거된다. 다음으로, 후방 핸들(72)이 작동되어 제2 케이블(86)을 견인하고 이는 피봇 링크(78)의 상단부(82)를 고정 링크(80)에 대해 푸시되도록 후방으로 견인하여 하부 누화 튜브(68)가 회전되게 한다. 하부 누화 튜브(68)의 회전은 시트 조절 기구(66)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켜 스프링(62)이 시트 조립체(10)를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시트 조립체(10)는,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가 피봇부(50)와 로드(60) 주위에서 각각 (도7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도록 리프트된다.
전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시트 조립체(10)가 리프트되고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접근함에 따라, 상부 롤러(98)는 아치형 채널(114)의 제2 단부(118)에 진입함으로써,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의 하단부(46, 56) 사이에 고정 링크를 생성한다. 후방 레그(54)와 링크 브래킷(102)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안내 링크(10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안내 링크(104)의 전방 이동은 상부 롤러(98)가 아치형 채널(114)을 따라서 제2 단부(118)로부터 제1 단부(116)로 이동할 때 아치형 채널(114)이 상부 롤러(98) 상에 작용하게 하여,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을 통과할 때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가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게 한다.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도1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 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피봇된다. 시트 조립체(10)가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도달하면, 후방 핀(90)은 시트 쿠션 브래킷(2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로킹 플레이트(132)의 후방 슬롯(138)에 접촉한다. 마지막으로,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핸들(33)은 상부 누화 튜브(32)를 회전시키도록 작동된다. 상부 누화 튜브(32)의 회전은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30)를 언로크 상태로 작동시켜 시트 등받이(16)가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 중 한 위치로 피봇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가 홑따옴표 병기된(') 도면부호로 지칭되는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시트 조립체(10')는 후방 레그(54')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면(144)을 따라서 고정 장착되는 안내 부재(142)를 구비한다. 안내 부재(142)는 제1 단부(148)와 제2 단부(150)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체로 아치형의 채널(146)을 구비한다. 시트 조립체(10')에서 안내 부재(142)가 고정 장착된 후방 레그(54')와 동일한 측면에서 전방 레그(44')의 하단부(46')에는 하부 링크(152)가 근접 단부(154)에서 고정 체결된다. 하부 링크(152)는 피봇부(50') 주위에서 전방 레그(44')와 함께 피봇된다. 하부 링크(152)의 먼 단부(158)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롤러(156)가 연장된다. 시트 조립체(10')가 격납 위치를 향해서 이동하고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접근함에 따라 안내 부재(142)는 아치형 채널(146) 내에 롤러(156)를 수용하여, 라이저 기구가 중심상 조건을 통과할 때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가 동일 방향으로 함께 피봇되도록 강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저 기구(42')가 중심상 조건에 접근함에 따 라, 롤러(156)는 아치형 채널(146)의 제1 단부(148)에 진입한다. 그러므로, 후방 레그(54')의 반시계방향(도13에서 보았을 때) 회전은 안내 부재(142)와 그로인해 아치형 채널(146)이 롤러(156) 상에 작용하게 하여, 롤러(156)가 아치형 채널(146)을 따라서 제2 단부(150)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전방 레그(44') 및 후방 레그(54')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피봇되게 한다. 전방 레그(44')와 후방 레그(54')는 도14에 도시하듯이 시트 조립체(10')가 플로어(14')의 리세스(34')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에 있을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계속 피봇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교시 내용에 비추어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특정하게 기술된 것과 달리 실시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31)

  1. 자동차 내에서 탑승자를 리세스를 갖는 플로어 위에 지지하기 위한 시트 조립체이며,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로서,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와 상기 시트 쿠션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등받이와,
    적어도 하나의 전방 레그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레그를 구비하는 라이저 기구로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각각은 플로어에 피봇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단부와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는 상이한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측방으로 오프셋되는 라이저 기구와,
    상기 시트 쿠션과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조절 기구로서, 상기 시트 쿠션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주위로 피봇하는 동안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가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상기 시트 쿠션이 플로어 위에 이격되어 있는 착석 위치와 상기 시트 쿠션 및 시트 등받이가 플로어의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시트 조절 기구와,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착석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를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방 레그에 장착된 측방 연장되는 안내 핀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후방 레그에 작동 결합되는 아치형 채널을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에 피봇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와 상기 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에 피봇식으로 및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착석 위치와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를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에 장착된 상기 측방 연장되는 안내 핀을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상기 아치형 채널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연장 안내 핀은 상기 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인 시트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핀을 규정하는 상부 롤러와, 하부 롤러를 갖는 브래킷을 구비하며, 각각의 롤러는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에 고정 체결되어 그와 함께 피봇되는 시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링크는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안내 트랙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롤러는 상기 안내 트랙과 구름 결합되는 시트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채널은 상기 라이저 기구가 중심상 조건을 통과할 때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를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롤러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직선으로 정렬되는 시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부근에서 상기 시트 쿠션에 작동 결합되는 후방 핀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핀은 상기 후방 레그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시트 쿠션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핀의 전방 및 상방에 배치되는 전방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핀은 상기 시트 쿠션에 고정 체결되며 상기 후방 레그와의 결합을 위해 시트 쿠션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시트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절 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이 상기 상단부 주위로 피봇하는 동안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가 상기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전방 핀과 접촉하는 완전 후방 착석 위치와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는 완전 전방 착석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언로크 상태로 언로크되며, 상기 시트 조절 기구는 상기 완전 전방 및 완전 후방 착석 위치 사이의 이들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에서 상기 로크 상태에 로크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완전 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방 핀과 접촉하고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도록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에 고정 체결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핀과 접촉하기 위한 전방 슬롯, 및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기 위한 후방 슬롯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절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조절 기구에 작동 결합되는 제1 핸들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절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 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조절 기구에 작동 결합되며, 상기 후방 핀을 상기 시트 조절 기구가 상기 로크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연장 위치와 상기 시트 조절 기구가 상기 언로크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와 상기 격납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후방 핀에 작동 결합되는 제2 핸들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로어 내의 리세스를 커버하는 플로어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패널은 리세스를 커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시트 조립체를 격납 또는 제거하기 위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상기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와 상기 완전 전방 착석 위치의 전방 및 하방에 있는 용이한 진입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레그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과 접촉하는 시트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등받이와 시트 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는 상기 시트 등받이가 상기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와 상기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 사이를 이 동할 수 있도록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에 고정 체결되어 그와 함께 피봇하기 위한 근접 단부와, 상기 안내 핀이 결합되어 그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먼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부 링크를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연장되는 안내 핀은 상기 하부 링크의 상기 먼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인 시트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채널은 상기 라이저 기구가 상기 중심상 조건을 통과할 때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를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시트 조립체.
  20. 자동차 내에서 탑승자를 리세스를 갖는 플로어 위에 지지하기 위한 시트 조립체이며,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로서,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와, 상기 시트 쿠션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등받이와,
    적어도 하나의 전방 레그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레그를 구비하는 라이저 기 구로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각각은 플로어에 피봇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단부와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는 상이한 평면에서 회전하도록 측방으로 오프셋되는 라이저 기구와,
    상기 시트 쿠션과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조절 기구로서, 상기 시트 쿠션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주위로 피봇하는 동안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가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상기 시트 쿠션이 플로어 위에 이격되어 있는 착석 위치와 상기 시트 쿠션 및 시트 등받이가 플로어의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격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시트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부근에서 상기 시트 쿠션에 작동 결합되는 후방 핀을 구비하며, 상기 후방 핀은 상기 후방 레그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시트 쿠션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연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핀의 전방 및 상방에 배치되는 전방 핀을 구비하고, 상기 전방 핀은 상기 시트 쿠션에 고정 체결되며 상기 후방 레그와의 결합을 위해 시트 쿠션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시트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절 기구는, 상기 시트 쿠션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주위로 피봇하는 동안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가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전방 핀과 접촉하는 완전 후방 착석 위치와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는 완전 전방 착석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언로크 상태로 언로크되며, 상기 시트 조절 기구는 상기 완전 전방 및 완전 후방 착석 위치 사이의 이들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에서 상기 로크 상태에 로크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완전 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방 핀과 접촉하고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완전 전방 착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도록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에 고정 체결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전방 핀과 접촉하기 위한 전방 슬롯, 및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기 위한 후방 슬롯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절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조절 기구에 작동 결합되는 제1 핸들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절 기구를 상기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조절 기구에 작동 결합되며, 상기 후방 핀을 상기 시트 조절 기구가 상기 로크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연장 위치와 상기 시트 조절 기구가 상기 언로크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가 상기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와 상기 격납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후방 핀에 작동 결합되는 제2 핸들을 구비하는 시트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플로어 내의 리세스를 커버하는 플로어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플로어 패널은 리세스를 커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시트 조립체를 격납 또는 제거하기 위한 접근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상기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와, 상기 완전 전방 착석 위치의 전방 및 하방에 있는 용이한 진입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전방 레그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플로어 패널과 접촉하는 시트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등받이와 시트 쿠션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등받 이 리클라이너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시트 등받이 리클라이너 기구는 상기 시트 등받이가 상기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와 상기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시트 조립체.
  31. 자동차 내에서 탑승자를 리세스를 갖는 플로어 위에 지지하기 위한 시트 조립체이며,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시트 등받이로서, 다수의 경사진 착석 위치와 상기 시트 쿠션 위에 놓이는 전방 절첩된 편평 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트 등받이와,
    적어도 하나의 전방 레그와 적어도 하나의 후방 레그를 구비하는 라이저 기구로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각각은 플로어에 피봇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단부와 상기 시트 쿠션에 피봇 결합되는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라이저 기구와,
    상기 쿠션에 고정 체결되고 그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핀과,
    상기 전방 핀의 후방 및 하방에 배치되는 후방 핀으로서, 상기 쿠션에 고정 체결되고 그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핀과,
    상기 시트 쿠션과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 조절 기구로서, 상기 시트 쿠션이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 주위로 피봇하는 동안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가 상기 전방 및 후방 레그의 상기 하단부 주위로 피봇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시트 조립체를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가 상 기 전방 핀과 접촉하는 완전 전방 착석 위치와 상기 후방 레그의 상기 상단부가 상기 후방 핀과 접촉하는 완전 후방 착석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 상태와 언로크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완전 전방 및 완전 후방 착석 위치 사이의 이들 위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착석 위치 중 임의의 착석 위치에서 상기 로크 상태에 로크될 수 있는 시트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시트 조립체.
KR1020087000453A 2005-06-09 2006-06-09 모노 레그 변형 시트 KR101194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912705P 2005-06-09 2005-06-09
US60/689,127 2005-06-09
PCT/CA2006/000930 WO2006130975A1 (en) 2005-06-09 2006-06-09 Mono leg transformer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090A KR20080017090A (ko) 2008-02-25
KR101194914B1 true KR101194914B1 (ko) 2012-10-25

Family

ID=3749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453A KR101194914B1 (ko) 2005-06-09 2006-06-09 모노 레그 변형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0220B2 (ko)
EP (1) EP1888367B1 (ko)
KR (1) KR101194914B1 (ko)
CN (1) CN101193771B (ko)
CA (1) CA2610750C (ko)
WO (1) WO2006130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3883B2 (en) * 2005-12-28 2016-05-10 Ts Tech Co., Ltd. Tip-up/dive-down type reclining seat for vehicle
US7703567B2 (en) * 2007-06-12 2010-04-27 Freerider Corp. Mechanism for reducing and folding a person carrying vehic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me
DE102007059641A1 (de) * 2007-08-02 2009-02-05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US7887085B2 (en) * 2008-05-13 2011-02-15 Arthur Wang Folding and fixing structure of a people-carrying vehicle
DE102008053476B4 (de) * 2008-10-28 2019-03-2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stellbarer Fahrzeugsitz
DE102008053475B4 (de) * 2008-10-28 2019-09-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stellbarer Fahrzeugsitz
FR2938217B1 (fr) * 2008-11-10 2011-09-0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iege reglab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FR2938218B1 (fr) * 2008-11-10 2010-11-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ieg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59999A1 (de) * 2008-12-02 2010-06-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Kraftfahrzeugsitz mit einer Verstellvorrichtung
WO2012021492A1 (en) * 2010-08-09 2012-02-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seat with a recliner mechanism
CN103380025B (zh) * 2010-11-30 2016-05-25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的折叠式座椅装置
CN103298653B (zh) * 2011-01-07 2016-01-13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收纳式后座
WO2012174654A1 (en) * 2011-06-23 2012-12-27 Magna Seating Inc. Stow-in-floor seat assembly
CN102973035A (zh) * 2012-11-07 2013-03-20 蒋克红 一种摇椅底座拆卸固定机构
KR101534908B1 (ko) * 2013-02-27 2015-07-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격납 장치
GB2517989A (en) * 2013-09-09 2015-03-11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seating
US9193281B2 (en) * 2014-04-17 2015-11-24 Fca Us Llc Reclining vehicle seat system
US9776544B2 (en) * 2014-05-20 2017-10-03 Norco Industries, Inc. Stowable seat
US9873354B2 (en) * 2014-12-19 2018-01-2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ateral slide pickup truck rear seat
DE102016202513B4 (de) * 2016-02-18 2019-06-13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US9855860B2 (en) 2016-05-19 2018-01-02 Waymo Llc Second row priority seating for vehicles
CA2971818C (en) * 2016-06-23 2023-02-28 Magna Seating Inc. Stow-in-floor seat assembly with pitched easy entry position
AT519127B1 (de) * 2016-10-24 2018-04-15 Roland Edmund Bachstein Liegemöbel
CN106627267A (zh) * 2017-01-06 2017-05-10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可以往后让位的后排座椅折叠机构
JP6888374B2 (ja) * 2017-04-03 2021-06-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888407B2 (ja) * 2017-05-10 2021-06-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111094059B (zh) * 2017-09-26 2022-09-02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乘坐物用座椅
US10327968B1 (en) * 2017-12-05 2019-06-25 Siemens Healthcare Gmbh Jumpseat for an emergency transport vehicle
TWI667000B (zh) * 2018-03-22 2019-08-01 漢翔航空工業股份有限公司 椅背連動座盤機構
US10953780B2 (en) * 2019-01-29 2021-03-23 B/E Aerospace, Inc. Deployable infill assembly and passenger seat construction
US11772517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seat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US11772519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seat arrangement
US11904732B2 (en) 2020-11-09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first arrangement to a child care arrangement
US11772520B2 (en) 2020-11-09 2023-10-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notification and adjustment of a passenger compartment arrangement
US11731535B2 (en) 2020-11-09 2023-08-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ular system capable of adjusting a passenger compartment from a child care arrangement to a second arrangement
KR20240000273A (ko) 2022-06-23 2024-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쿠션 팁업 앤 다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8628A (en) 1922-03-31 1923-06-12 Raymond F Pardy Auxiliary seat for automobiles
US4105245A (en) * 1976-10-22 1978-08-08 Paccar Inc. Forward, stowable seat and back
DE3017433A1 (de) * 1980-05-07 1981-11-12 P.A. Rentrop Hubbert & Wagner, Fahrzeugausstattungen GmbH &Co KG, 3060 Stadthagen Beschlag an einem sitz,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
JPH0355457Y2 (ko) 1986-06-18 1991-12-10
US4986591A (en) * 1988-10-12 1991-01-22 Ford Motor Company Low profile folding seat
US5195795A (en) * 1992-04-01 1993-03-23 Cannera Raymond C Automotive vehicle seat assembly fully retractable below the vehicle's floor
US5527087A (en) * 1993-10-28 1996-06-18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apparatus including a locking mechanism
US5383699A (en) * 1993-11-12 1995-01-24 Lear Seating Corporation Folding vehicle seat assembly with self advancing backrest
CA2111725C (en) 1993-12-18 1998-10-13 Wojciech Smuk Combination reclining and folding mechanism for automotive seat assemblies
DE19705281C2 (de) 1997-02-12 1999-03-11 Daimler Benz Ag Fahrzeug mit Hintersitz
US6199951B1 (en) 1997-08-18 2001-03-13 Prefix Corporation Collapsible seat
US6234553B1 (en) * 1998-10-02 2001-05-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lexible seat system
US6293603B1 (en) 1998-10-05 2001-09-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Vehicular seat
JP4314714B2 (ja) 2000-02-28 2009-08-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支持機構
US6644730B2 (en) * 2000-06-08 2003-11-11 Takashimaya Nippatsu Kogyo Co., Ltd. Storage type seat for automobile and seat storage structure
PL371186A1 (en) 2002-03-14 2005-06-13 Intier Automotive Seating Of America, Inc. Drop down stow in floor automotive vehicle seat assembly
US6869138B2 (en) * 2002-08-23 2005-03-2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US7165801B2 (en) * 2002-09-20 2007-01-23 Intier Automotive Inc. Stow in floor seat assembly with automatic lateral displacement
CA2454590C (en) 2003-01-06 2007-07-03 Faurecia Automotive Seating Canada Limited Stowable rear seat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s
CN2639072Y (zh) * 2003-08-22 2004-09-08 重庆市江北区晨兴汽配有限责任公司 可联动翻折的双座车用座椅骨架
DE10344978B4 (de) * 2003-09-27 2007-08-30 Opel Eisenach Gmbh Vorrichtung zur erleichterten Entriegel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0355765A1 (de) * 2003-11-26 2005-06-30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raftfahrzeugsitz
DE602005018617D1 (de) * 2004-04-02 2010-02-11 Intier Automotive Inc Im boden verstaubare sitzanordnung mit einziehbarer vorderbeingestängeanordnung
WO2006012738A1 (en) * 2004-08-03 2006-02-09 Intier Automotive Inc. Extended travel rotating mechanism
CN100506595C (zh) * 2004-09-17 2009-07-01 爱信精机株式会社 活动装置
US7201426B2 (en) * 2004-11-10 2007-04-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seating apparatus
US7290822B2 (en) * 2005-08-26 2007-11-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ccupant seat system
KR100794038B1 (ko) * 2006-06-05 2008-0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폴딩 시트 고정 장치
JP5104335B2 (ja) * 2008-01-22 2012-12-1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格納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8367A4 (en) 2009-03-04
CN101193771A (zh) 2008-06-04
CA2610750C (en) 2015-02-17
WO2006130975A1 (en) 2006-12-14
CA2610750A1 (en) 2006-12-14
EP1888367A1 (en) 2008-02-20
US7850220B2 (en) 2010-12-14
US20080203772A1 (en) 2008-08-28
KR20080017090A (ko) 2008-02-25
CN101193771B (zh) 2010-11-03
EP1888367B1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914B1 (ko) 모노 레그 변형 시트
US6000742A (en) Multi-positional seat mounting apparatus
US6279982B1 (en) Vehicle seat storing device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US8534750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167372B2 (en) Seat assembly having dual actuated locking mechanism
JP2001171407A (ja) 平坦折り畳み式車両シート
US8465096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6935691B1 (en) Vehicle seat with seat cushion tip-up structure
KR20010040787A (ko) 일체형 아동용 시트를 구비한 용이 접근 텀블형 시트 및아동용 시트가 전개될 때의 텀블형 로크아웃부
JP482561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130200673A1 (en) Easy-entry vehicle seat with cover assembly
US20030098592A1 (en) Seat arrangement
JP4136846B2 (ja) ダイブダウンシート
JP4555734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3768428B2 (ja) 車両用シート
JP3309800B2 (ja) 車両用シート格納装置
KR10200398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H07164940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4211664B2 (ja) 車両用シート
JP4452565B2 (ja) シート装置
KR20230064716A (ko) 자동차용 시트 조절 장치
JPH10264692A (ja) 横跳ね収納式スライドシート
KR20190138531A (ko) 쿠션시트 팁업과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차량용 시트
JPH0585238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