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700B1 -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700B1
KR101194700B1 KR1020100137451A KR20100137451A KR101194700B1 KR 101194700 B1 KR101194700 B1 KR 101194700B1 KR 1020100137451 A KR1020100137451 A KR 1020100137451A KR 20100137451 A KR20100137451 A KR 20100137451A KR 101194700 B1 KR101194700 B1 KR 101194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cuum
pressure
outer cylin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169A (ko
Inventor
강두환
Original Assignee
강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두환 filed Critical 강두환
Priority to KR1020100137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7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진공 용기는 상측이 개방되는 용기 외통 및 이 용기 외통에 패킹재와 잠금요소로 밀폐 결합되는 용기뚜껑으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 용기뚜껑에 진공밸브가 구비되고 용기 외통에 압조절부가 구비되어 용기 내부 진공압에 따라 진공밸브와 압조절부가 상호 접촉함으로써 용기 내부압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에 대한 발명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진공 용기는 과도한 진공압이 형성되어 진공 용기가 파손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도 자동으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적정 진공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진공 용기가 널리 보급되도록 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용기{Vacuum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 용기의 내부 진공압에 따라 자동으로 압조절이 가능한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진공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 별도의 조작력이나 장치없이 간소한 구조에 의해 진공압을 낮추도록 하여 용기의 영구적인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제작되는 보관용기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 그리고 재질로 성형되고 있으며, 대부분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의 외통에 잠금요소가 구비된 뚜껑과 패킹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보관용기 중 식품류를 저장하는 용도의 경우 내용물의 보존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시켜 공기 중의 미생물이나 산소에 의한 내용물의 부패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도록 밀폐구조를 갖는 밀폐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밀폐용기는 내용물이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특히 저장물이 식품류인 경우 신선도를 일반용기에 비해 비교적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오랜 시간 동안 보존해야 할 식품 또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해야 할 저장물을 저장하는데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밀폐용기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되게 함으로써 내용물을 더욱 신선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진공 용기가 개발되었으나 진공비닐백에 대한 사용이 대중화된 반면 진공 용기에 대한 보급은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진공 용기 특성상 밀폐용기와 비교하여 진공시 용기의 내부 진공압에 의하여 용기 자체가 파손되기 때문에 진공 용기의 재질의 선택이 대단히 제한적이고 용기 형상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각형일 경우나 용기 크기가 클 경우가 그렇지 않을 경우보다 훨씬 파손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가 진공 용기에서 해결되지 않으면 진공 용기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보급이 활성화가 되기 어렵다.
진공보관의 장점으로 진공비닐백이 고가이면서도 일회 또는 수회 밖에 사용될 수 없음에도 사용이 보편화된 것은 진공 용기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면 진공비닐백과 함께 널리 보급될 것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이와 같은 진공 용기에 대한 대중화를 위해 다양한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상품이 발명되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9536호에는 '진공펌프가 일체로 형성된 밀폐용기'가 제한된 바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4638호에는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 용기'가 제안되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703호에는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용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펌프 일체형 용기를 비롯하여 진공펌프 분리형의 제품은 진공 용기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시킴에 있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펌핑 조작으로 실시함에 따라 진공 용기 내부에 생성되는 진공압의 적정 유무를 판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 내부의 과도한 진공압을 형성시키는 경우 진공압에 의해 용기가 수축하여 영구변형 또는 파손이 유발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용기 본체 내부에 적정압에 미치지 못하는 진공압이 작용하는 경우 내용물 보존성이 저하되는 폐단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 내부에 적정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과도한 진공압이 형성되는 경우 별도의 조작력 없이 자동으로 진공압을 적정치로 조절되게 하여 용기의 영구적인 변형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다양한 재질, 다양한 형상 그리고 다양한 크기의 진공 용기를 생산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품에 대한 신뢰성과 만족도를 높임은 물론 사용 보급을 확대하는데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는, 상측이 개방되는 용기 외통 및 이 용기 외통에 패킹과 잠금요소로 밀폐 결합되는 용기 뚜껑으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 용기 뚜껑에 진공밸브가 구비되고 용기 외통에 압조절부가 구비되어 용기 내압에 따라 진공밸브와 압조절부가 상호 접촉할 수 있도록 용기 외통의 하측면으로부터 압조절부 세팅 위치까지 이격거리(H)를 형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용기 외통 하판에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융기부를 이루어 용기 내부의 진공압에 따라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용기 외통과는 별도로 착탈이 가능하고 탄성재로 구성되며 압조절수단에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융기부를 이루어 용기내부 진공압에 따라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방안으로서, 용기 외통에 압조절수단인 융기부를 착탈이 불가능하고 탄성재로 구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봉합되도록 융착시켜 내부진공압에 따라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는 과도한 진공압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적정 진공압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과도한 진공압 형성에 따른 용기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기재질을 채택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용기형상과 크기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 용기가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되고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는데 이바지하리라 예측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상품적 가치와 소비자의 만족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로서 용기 내통이 1개인 경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로서 용기 내통이 1개인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로서 용기 내통이 1개인 경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에 대한 진공시 밸브의 개폐상태 및 공기의 흐름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에 대한 과진공시 용기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에 대한 과진공 상태가 해소된 후 밸브의 상태 및 외부 압력 부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압조절부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융착된 탄성재로 구성된 압조절부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통이 없는 일반 소형의 진공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단의 용기 내통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통이 3개인 도시락용 진공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통(3)이 1개인 경우의 진공 용기에 대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내통(3)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이를 내재하는 용기 외통(4)와, 잠금요소가 구비되어 있고 패킹(2)이 조립되어 있는 용기뚜껑(1), 그리고 진공하고 해제시키는 기능의 진공밸브(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능을 하기 위한 이격거리(H)를 도시하였고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진공동작을 위한 수동식 진공펌프(8)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로서 용기 내통(3)이 1개인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 도면에는 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밀폐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외통(4)와 용기뚜껑(1) 그리고 상기 밀폐공간내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거나 외부공기를 밀폐공간에 인입시켜 진공을 해제시키도록 용기뚜껑(1)의 구멍을 개폐하는 진공밸브(5), 그리고 용기 외통(4)의 내부에서 이중벽을 이루며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 내통(3), 또한 용기 외통(4)에 조립되어져 용기 내부의 진공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조절부(6A)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특별히 진공밸브(5)와 압조절부(6A)에 대한 형상을 상세히 도시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격거리(H)는 용기 외통(4)의 하측면으로부터 압조절부 세팅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진공밸브(5)와 압조절부(6)가 연동하기 위해서 용기 외통(4)의 내외벽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원통형으로 파인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진공밸브(5)가 접촉되는 진공뚜껑(1)의 상단 돌기부(13)는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돌출되어 있어 진공 후에 외부공기가 밀폐되어 있는 용기 내부로의 인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진공뚜껑(1)의 하단 돌기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진공동작시 밀폐공간을 이루는 용기 내부의 공기가 공기구멍(12)를 통하여 강제 배출시킬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진공밸브(5)의 밸브 하단면(16)이 접촉되는 곳이 융기부(14)로써 압력에 의해 신축성을 이루도록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융기부(14)는 압조절부(6A)의 상단면을 형성하여 진공시 대기외압에 의해 팽창되어지고 용기 내부의 밀폐공간의 진공압이 떨어지게 되면 팽창된 부분이 낮아지게 되어 팽창과 신축이 용이한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압조절부(6A)의 측면은 기밀부(15)가 형성되어 있어 압조절부(6A)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압조절부(6A)의 상단면과 하단면, 그리고 측면이 용기 외통(4)에 압착되도록 한다.
용기 내부의 진공압을 해제시키고 용기뚜껑(1)을 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진공밸브(5)를 손으로 잡아 당겨 공기구멍(12)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용기 외통(4)과 용기뚜껑(1) 사이에 구비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공간으로 형성하도록 기밀을 유지시키는 패킹(2)와 잠금요소에 대한 것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구성품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되었지만 다음의 도 4, 도 5, 도 6, 도 7 그리고 도 8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과 기능에 대한 상세 설명시 더 부연토록 한다.
우선 도 4 및 도 5,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에 대한 진공과정과 진공압에 따라 진공밸브(5)의 개폐상태, 압조절부(6A)의 융기부(14)의 팽창과 수축, 그리고 이에 따른 공기의 흐름 방향을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진공 용기를 진공시키기 위해서는 수동식 진공펌프(8) 또는 전동식 진공펌프(9)를 사용한다. 수동식 진공펌프(8)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나 진공 용기의 내부 진공압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손으로 진공펌프 작업을 하기에 힘이 많이 들어가는 불편함이 있다.
반면에 전동식 진공펌프(9)는 전기에 의한 모터로 진공시키기 때문에 진공압에 따른 작동 힘은 필요로 하지 않지만 전기모터가 내장되어 있어 무겁고 가격이 고가이며 진공시 모터 소음이 대단히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수동식 진공펌프(8)나 전동식 진공펌프(9)로 진공시키기 위해 펌프 흡입구(7)를 용기뚜껑(1)에 장착되어 있는 진공밸브(5)에 밀착시켜 진공이 시작되면 진공밸브(5)가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뚜껑(1)의 상단 돌기부(13)와 틈새가 생기면서 공기구멍(12)를 통하여 진공 용기의 밀폐공간에 내재되어 있던 공기가 강제 배출되어진다. 용기뚜껑(1)의 하단 돌기부(11)는 진공밸브(5)가 상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하단 돌기부(11)은 부분적인 돌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공기구멍(1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시켜 준다.
반대로 수동식 진공펌프(8)이나 전동식 진공펌프(9)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진공밸브(5)가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상단 돌기부(13)을 압착하여 가압된 공기가 진공 용기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이와 같은 진공과 가압동작이 반복되면서 진공 용기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진공작업이 완료되어 펌프 흡입구(7)를 진공밸브(5)가 장착된 용기뚜껑(1)의 상면으로부터 띄어 놓게 되면 순간적으로 진공밸브(5)에 대기압이 걸리면서 진공밸브가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상단 돌기부(13)에 압착되어져 진공 용기의 내부가 밀폐공간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진공압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용기 외통(4)와 용기뚜껑(1)이 수축현상이 생기면서 용기 외통(4)와 용기뚜껑(1)의 재질이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수축현상이 파손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용기 외통(4)와 용기뚜껑(1)이 형성하는 밀폐공간 내에 일정한 압력 이상의 진공압이 작용하면 수축변형 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수축변형을 이용하여 일정압 이상의 진공압 작용시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과도하게 진공압이 걸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진공조절 수단을 부가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진공조절 수단은 용기뚜껑(1)에 장착된 진공밸브(5)와 용기 외통(4)에 장착되거나 형성되어 있는 압조절부(6A, 6B, 6C)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 내에 작용하는 진공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경우 용기의 파손과 영구적인 변형을 방지하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압을 낮추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진공밸브(5)는 용기뚜껑(1)에 진공압을 조절하기 위해 관통되어진 공기구멍(12)으로 삽입되어 진공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것에 의해 공기구멍(12)를 개방시키는 요소이다.
먼저 상기 진공밸브(5)의 개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요소인 융기부(14)를 설명한다.
상기 융기부(14)는 용기 외통 하측면으로부터 이격거리(H)만큼 올라온 용기 외통(4)에 구비되어 과도한 진공압에 의해 상향 이동함으로써 상기 진공밸브(5)의 밸브 하단면(16)을 상승 이동시켜 공기구멍(12)을 개방시키며, 진공압이 적정치로 낮아지는 경우에는 진공밸브(5)의 밸브 하단면(16)이 낮아지면서 융기부(14)가 더 이상 융기되지 않도록 하고 이때 진공밸브(5)가 하강하면서 상단 돌기부(13)을 압착하여 공기구멍(12)는 폐쇄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융기부(14)는 진공 용기가 진공압에 의한 영구변형과 파손이 방지될 수 있을 정도의 허용 진공압을 고려하여 그 융기되는 정도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일례로 진공 용기의 허용 진공압이 0.8 Torr인 경우 상기 융기부(14)는 0.8 Torr 부근에서 융기되도록 하여 전술한 진공밸브(5)의 밸브 하단면(16)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진공 용기의 내부 진공압이 0.8 Torr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진공 용기의 내부에 과도한 진공압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융기부(14)가 융기되는 것에 의해 진공밸브(5)의 밸브 하단면(16)을 가압하여 상승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공기구멍(12)을 개방시켜 공기구멍(12)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여 상기 용기 외통(4)와 용기뚜껑(1)에 의한 밀폐공간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에 의해 진공압이 감소된다.
이어서, 상기 진공압이 어느 정도 낮아지는 것에 의해 상기 융기부(14)가 위치 복귀를 이루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진공밸브(5) 역시 하강하여 공기구멍(12)을 폐쇄시켜 상기 진공 용기의 내부를 밀폐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융기부(14)는 상기 진공 용기에 작용하는 진공압에 의한 수축변형률에 의해 융기되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안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기 외통(4)에 착탈이 가능하고 탄성재로 구성되며 용기 외통(4)과는 별도로 주름살 형상의 융기부(14)를 이루는 압조절부(6A)가 있고 용기 외통(4) 하판의 일부에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융기부(14)를 이루는 압조절부(6B), 그리고 용기 외통에 탄성재로 구성되고 착탈이 불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융착시킨 압조절부(6C)로 제공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형상과 구조를 갖는 압조절부(6A, 6B, 6C)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7 그리고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압조절부(6B)에 대한 단면도로서, 용기 외통(4)의 하판이 용기 외통 외측면으로부터 압조절부 세팅 위치까지의 거리인 이격거리(H)만큼 올라온 곳에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압조절부(6B)를 형성하여 과진공시 팽창함으로써 진공 용기를 이루는 용기 외통(4)와 용기뚜껑(1)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해준다.
이때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압조절부(6B)는 용기 외통(4)의 하판에 직접 가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진공밸브(5)와 압조절부(6B)가 접촉에 의하여 연동되기 위해서는 이격거리(H)를 유지하여야만 할 것이다.
또한 압조절부(6B)는 팽창과 수축이 용이하도록 재료 두께와 동심원의 간격을 설정해야 한다. 즉 과진공시에 팽창이 되어도 파손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수축시에는 원래의 형태로 복귀가 용이해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용기의 원주방향으로 융착된 탄성재로 구성된 압조절부(6C)에 대한 단면도로서, 압조절부(6C)는 용기 외통(4)과는 별도로 탄성재를 원주방향으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는 밀폐구조를 이루도록 열로 융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대한 동작은 탄성재의 압조절부(6A)와 동일하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통(3)이 없는 일반 소형의 진공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용기 내통(3)에 의한 이중벽을 이루지 않으므로 용기 외통(4)이나 용기뚜껑(1)이 파손되지 않도록 적정 진공압을 낮게 설정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원형보다는 사각형의 진공 용기가 더욱 동일 재질 기준으로 파손이 용이하므로 적정 진공압을 결정하는 압조절부(6)의 형상과 크기에 대한 결정시 유의하여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2단의 용기 내통(3A, 3B)으로 구성된 진공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용기 내통(3A, 3B)이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기 외통(4)의 높이가 클 수 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용기 내부의 진공압에 의해 용기 외통(4)의 외벽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용기 외통(4)이 높거나 큰 경우에는 필히 용기 내통(3A, 3B)이 내재되어 용기 외통(4)의 측면과 더불어 이중벽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원리는 용기 외통(4)은 내부 진공압에 의해 수축되어지지만 용기 내통(3A, 3B)은 진공압에 관계없이 자연상태로 있기 때문에 용기 외통(4)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여 줄 수 있어 이중벽의 효과를 이루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내통이 3개인 도시락용 진공 용기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락의 일반적인 형상인 사각형의 용기 외통(4)에 3개의 용기 내통(3A, 3B, 3C)이 이중벽을 형성하여 과도한 진공압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 용기의 경우 가장 취약한 곳은 용기뚜껑(1)의 중앙부가 되는 이유는 수축에 의한 파손이 가장 우려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정 내 진공압에 대한 기준은 용기뚜껑(1)의 중앙부 파손을 일으키지 않는 압력으로 설정되어 압조절부(6)가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더욱 재고되어야 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와 다르게 용기 외통(4)의 외측면에 압조절부(6)가 있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 내 진공압을 낮추어 설정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용기뚜껑 2 : 패킹
3(3A, 3B, 3C) : 용기 내통
4 : 용기 외통 5 : 진공밸브
6(6A, 6B, 6C) : 압조절부
7 : 펌프 흡입구 8 : 수동식 진공펌프
9 : 전동식 진공펌프
11 : 하단 돌기부 12 : 공기구멍
13 : 상단 돌기부 14 : 융기부
15 : 기밀부 16 : 밸브 하단면
H : 이격거리(용기 외통 하측면으로부터 압조절부 세팅 위치까지의 거리)

Claims (4)

  1. 상측이 개방되는 용기 외통(4) 및 이 용기 외통(4)에 패킹(2)와 잠금요소로 밀폐 결합되는 용기뚜껑(1)으로 구성되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
    용기뚜껑(1)에 진공밸브(5)가 구비되고 용기 외통(4)에 압조절부(6)가 구비되어 용기 내압에 따라 진공밸브(5)와 압조절부(6)가 선택적으로 상호 접촉에 의해 연동될 수 있도록 용기 외통 하측면으로부터 압조절부 세팅 위치까지 이격거리(H)를 형성하여 압조절부(6)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 외통(4) 하판의 일부가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압조절부(6B)에 융기부(14)를 이루어 용기 내부 진공압에 따라 팽창과 수축에 의해 상하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 외통(4)과는 별도로 착탈이 가능하고 탄성재로 구성되며 동심원의 주름살 형상의 융기부(14)를 갖는 압조절부(6A)를 이루어 용기 내부 진공압에 따라 팽창과 수축에 의해 상하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 외통(4)의 하판에 탄성재로 구성되고 착탈이 불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압조절부(6C)에 융착시켜 밀폐구조를 이루어 용기 내부 진공압에 따라 팽창과 수축에 의해 상하 승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KR1020100137451A 2010-12-27 2010-12-27 진공 용기 KR101194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51A KR101194700B1 (ko) 2010-12-27 2010-12-27 진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451A KR101194700B1 (ko) 2010-12-27 2010-12-27 진공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169A KR20120074169A (ko) 2012-07-05
KR101194700B1 true KR101194700B1 (ko) 2012-10-29

Family

ID=4670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451A KR101194700B1 (ko) 2010-12-27 2010-12-27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7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157A (en) 1986-06-19 1987-04-14 Bs&B Safety Systems, Inc. Pressure relief method and rupture disk assembly
KR200424123Y1 (ko) 2006-05-22 2006-08-16 유니테크 주식회사 유류 또는 화학물질의 저장 탱크용 진공 릴리프 밸브
KR100718535B1 (ko) 2005-09-07 2007-05-17 주식회사 미르코 역류 차단 밸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7157A (en) 1986-06-19 1987-04-14 Bs&B Safety Systems, Inc. Pressure relief method and rupture disk assembly
KR100718535B1 (ko) 2005-09-07 2007-05-17 주식회사 미르코 역류 차단 밸브장치
KR200424123Y1 (ko) 2006-05-22 2006-08-16 유니테크 주식회사 유류 또는 화학물질의 저장 탱크용 진공 릴리프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169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690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JP6290422B2 (ja) 瓶の真空密閉装置
US6634384B2 (en) One-way valve for use with vacuum pump
KR100752223B1 (ko) 밀폐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친환경적 다목적용 밀폐뚜껑
EP1350737A1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the container
JP2016511727A (ja) 掛止部を有する真空密閉用容器蓋及びこれを採用した真空密閉容器
US20210061536A1 (en) Vacuum Sealable Container with Internal Pump Mechanism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KR101002507B1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EP3325860B1 (en) One-way degassing valve and container with such a valve
JP2012501920A (ja) 食物真空圧縮パックの真空転換装置
KR101194700B1 (ko) 진공 용기
KR101668071B1 (ko)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CN218908233U (zh) 一种硅胶翻折密封袋
KR102352535B1 (ko)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KR20150004669U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20120051814A (ko) 식품의 가스충전 포장방법과 포장장치 및 가스충전 포장된 식품
KR200200997Y1 (ko) 진공 음식물 보관 용기
KR200367933Y1 (ko) 진공밀폐형 식품용기 뚜껑
KR100526358B1 (ko) 용기의 뚜껑
KR19990010727U (ko) 기체배출 압력밸브가 형성된 음식물 저장용기
KR101465448B1 (ko) 커버승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