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358B1 - 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358B1
KR100526358B1 KR10-2002-0078395A KR20020078395A KR100526358B1 KR 100526358 B1 KR100526358 B1 KR 100526358B1 KR 20020078395 A KR20020078395 A KR 20020078395A KR 100526358 B1 KR100526358 B1 KR 10052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upper wall
air
clos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542A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to KR10-2002-007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35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형상의 용기를 밀폐하기 위하여 프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부에 의한 양호한 밀폐 및 원활한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를 커버하기 위한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주연부를 구비한 상부벽과; 상기 주연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측벽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스커트와; 상기 상부벽으로 일체 형성되고 개폐 조작시 신축자재 되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기 용기의 장착 림에 대하여 감합 밀폐되는 감합부 및 상기 상부벽으로 끼움 고정되고, 뚜껑의 닫음 조작시 용기 내부의 잔류 공기에 의한 팽창 압력을 외부로 적절히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용기의 뚜껑{A container cover}
본 발명은 각종 형상의 용기를 밀폐하기 위하여 프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부에 의한 양호한 밀폐 및 원활한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 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각종 식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각종 내용물을 담아 사용하거나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단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 내용물의 보관이나 운반상의 문제와 더불어 오물의 유입 및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로 금속재나 프라스틱으로 제작된 뚜껑을 용기의 입구에 덮어 밀폐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은 내용물의 종류나 운반 또는 보관상태 등의 여러 가지 사정에 의해 그 결합 형태를 달리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뚜껑을 자주 열고 닫아야하는 경우에는 간이 신속이라는 특성상 뚜껑의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결합 밀폐시키거나 또는 용기 및 뚜껑에 대응되게 형성된 별도의 로킹부재를 이용하여 밀폐 결합시키는 구조로 크게 대별된다.
하지만 전자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로킹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의 경우에는 로킹부재의 조작이라는 번거로움은 해소되는 것이나, 결합력의 약화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벗겨지거나 또는 밀폐력에 의문이 제기되는 등의 문제 소지가 있을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로킹부재에 의한 밀폐력은 유지되나 개폐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이 초래되는 것이어서 수시로 꺼내어 자주 사용되는 내용물의 보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도 종래 뚜껑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로킹부재 없이 가요성의 프라스틱으로 성형되는 밀폐 뚜껑에 있고, 현재 이러한 형태의 뚜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라스틱 뚜껑은 특히 양호한 밀봉 효과를 얻기가 매우 어렵고, 열고 닫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예컨대 용기의 장착 림에 대하여 뚜껑의 감합부가 매우 긴밀하게 끼워지도록 눌러 주어야하고, 또한 분리해내야 하는 것이며, 이들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 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무엇보다도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감합부의 자체 탄성에만 의존하여 밀폐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라스틱재 뚜껑이라 하더라도 양호한 밀폐 효과를 가지면서도 이를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의 상부벽으로 형성된 주름부의 신축성에 의해 양호한 밀폐성을 가짐과 동시에 간편한 개폐 조작이 가능하고, 또 용기 내부의 잔류 공기 소통에 의한 뚜껑의 닫음 조작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용기의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이러한 목적은 단일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상부벽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주름부의 신축자재력과 더불어 상부벽으로 구비되어 뚜껑의 닫음시 용기 내부의 잔류 공기에 의한 팽창 압력을 외부로 적절히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뚜껑(10)은 각종의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1)의 입구(2)위에 덮여져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나 내용물의 배출을 방지하도록 커버되는 것이다.
용기(1)의 입구(2)는 통상 바닥부(3)와, 이 바닥부(3)의 주연부로 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측벽(4)에 의해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양호하게는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 내지는 다양한 크기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1)의 측벽(4)은 바닥부(3)에 대하여 단일 유닛으로 형성 가능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 양호하게는 스테인레스로 프레싱 가공하거나, 또는 프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등 다양한 재료로 성형 가능하다.
뚜껑(10)은 주연부를 갖는 상부벽(12)을 포함한다. 상부벽(12)은 강도 유지를 위해 편평하게 될 수 있지만 보다 복잡한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수의 단차면을 가질 수 도 있을 것이다.
상부벽(12)의 주연부 하부로는 결합시 용기(1)의 측벽(4)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스커트(14)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커트(14)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제품의 용도나 수요층 등 여러 사정을 감안함과 동시에 디자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벽(12)의 주연부 둘레로는 용기(1)와의 결합시 신축자재 되는 주름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주름부(16)는 뚜껑(10)의 중앙부를 제외한 주연부 내 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부벽(12)의 중앙부로 형성되거나, 아니면 본래의 신축 기능이 유지되면서도 디자인성을 충분히 감안하여 상부벽(12)의 주연부 내 측이나 또는 중앙부로 집중 형성되게 하거나 아니면, 주연부 내 측과 중앙부분 내지는 적정한 위치에 간헐적으로 분리 형성될 수 도 있다.
주름부(16)는 단일 또는 다수개의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신축자재 기능이 가능한 형태라면 특정의 형태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주름부(16)의 두께에 있어서 비 주름부를 갖는 상부벽(12)과 비교할 때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주름부(16)의 두께를 주름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비하여 보다 얇게 형성하여 용기(1)에 대한 뚜껑(10)의 열고 닫음시 양호한 신축력(신장/수축)이 발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뚜껑(10)을 구성하는 상부벽(12)과 스커트(14)는 각기 다른 재질로도 성형가능하나, 양호하게는 단일의 가용성 재료,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특정의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다른 소재로 각각 이중 사출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부벽(12)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체적으로 평탄도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형태의 투시창을 형성하여 뚜껑(10)을 열지 않고서도 용기(1)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양호하게는 투시창을 형성하는 부분은 평탄한 광택 표면으로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차단 표면 무늬로 형성함으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차단 표면무늬로는 차단표면 자체를 무광택 면으로 형성하거나, 각종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감합부(18)는 용기(1)의 입구(2)를 커버하기 위하여 용기(1)의 측벽(4)상단으로 형성되는 장착 림(5)에 끼워져 용기(1) 내부를 밀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감합부(18)는 통상 용기(1)의 장착 림(5)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감합부(18)는 본 발명의 특성상 뚜껑(10)이 주름부(16)의 신축 작용을 통해 열고 닫힘되는 것을 감안하면, 용기(1)의 장착 림(5)과 동일한 영역일 필요는 없고, 이 보다 약간 적은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감합부(18)로는 용기(1)의 장착 림(5) 형태에 따라 밀봉시 의도하지 않은 뚜껑(10)의 분리 방지 보강을 위한 걸림턱(181)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본 발명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조는 아니며, 장착 림(5)의 형태에 따라 불필요할 수도 있고, 아니면 다양한 다른 형태로의 형성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감합부(18)에 의한 밀폐는 용기(1)의 장착 림(5)에 대한 끼워 맞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므로, 각종 이물질의 유입이나 내용물의 배출 및 수분의 통과에 대해서도 확실한 차단 효과를 갖도록 하는 바람직하고, 공기의 통과에 대해서도 저지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1을 참조하면, 뚜껑(10)으로는 도면 20으로 표시된 공기배출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수단(20)은 주름부(16)가 형성되지 않은 상부벽(12)으로 형성된 공기구멍(22)과, 고정공(24)에 끼워 결합되는 공기 밸브판(26)을 포함한다.
공기구멍(22)은 용기(1)에 대한 뚜껑(10)의 닫음 조작시 뚜껑(10)의 커버로 인해 용기 내부에 잔류되는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공(2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기 밸브판(26)은 평상시 예컨대 뚜껑(10)의 닫음 조작시에만 공기의 배출 압력에 의해 들려져 공기구멍(22)을 해제하고 그 이외에는 항상 폐쇄하도록 탄성력이 양호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위생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합성고무나 실리콘 등의 다양한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뚜껑(10)은 공기배출수단(20)이 배제된 채로 독립 사용 가능하고, 또한 공기배출수단(20)이 동시에 채용된 상태로의 사용도 가능하다.
뚜껑(10)에 대한 공기배출수단(20)의 장착은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뚜껑(10)의 밀폐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1)의 입구(2)를 커버하기 위해 장착 림(5)에 대하여 뚜껑(10)의 감합부(18)를 끼워 맞춤 할 때 용기(1) 내부의 밀폐에 따른 압축 공기의 반발로 인한 뚜껑(10)의 닫음 조작시 이를 채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부드러운 닫음 조작은 용기(1)내부에 잔류되는 압축 공기가 바닥면(12)으로 형성된 공기구멍(22)을 통해 강제로 배출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용기(1) 내부의 압축 공기의 배출로 인해 뚜껑(10)의 닫음시 그 만큼 밀폐 저항을 적게 받게 되는 것이어서 부드러운 닫힘이 가능하게되는 것이고, 비교적 적은 가압에 의해서도 장착 림(5)에 대한 감합부(18)의 확실한 밀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뚜껑(10)의 스커트(14)로는 용기(1)에 대한 뚜껑(10)의 열림 조작을 위한 재침편(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오래 전부터 사용되고 있던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특이한 기술은 아니며 그 형태 또한 다양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름부(16)를 갖는 뚜껑(10)의 개폐 조작 상태는 이후 참조되는 도2 내지 도5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2 및 도3은 용기(1)에 대하여 뚜껑(10)을 닫기 전 상태 및 일 측부터 서서히 닫힘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용기(1)에 대하여 뚜껑(10)이 닫히기 전에는 상부벽(12)으로 형성된 주름부(16)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호 오므려든 상태(수축)를 유지하고 있고, 공기구멍(22) 역시 공기 밸브판(2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3과 같이 용기(1)의 입구(2)를 커버하기 위하여 뚜껑(10)의 일 측 감합부(18)를 용기(1)의 측벽(4) 상단으로 형성된 장착 림(5)에 끼워 맞춤 한 다음 타방 측을 화살표방향(도3의 "A"참조)으로 눌러주거나 아니면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벽(12)의 대략 중앙부를 가압하여 준다.
그러면 이 때 뚜껑(10)의 주름부(16)는 그 가압력에 의해 어느 정도 신장되어진다. 예컨대 감합부(16)가 용기(1)의 장착 림(5)에 대하여 가압력에 의해 강제로 눌려져 끼움되어지는 것에 의해 해당 장착 림(5)의 영역 범위만큼 고루 신장되어지면서 결합되어지는 것이다. 이 때 신장되는 주름부(16)는 도4와 같이 주름부(16)가 형성되지 않은 상부벽(12)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비교적 단면이 얇게 형성되어 있고 파형의 단면을 갖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양호한 신장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이 닫힘 될 때 뚜껑(10)은 용기(1)의 내부에 잔류되는 압축공기는, 공기구멍(22)을 통해 공기 밸브판(26)을 강제로 들면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닫힘 저항을 그 만큼 적게 받게되는 결과 보다 부드러운 닫힘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3과 같이 뚜껑(10)이 용기에 대하여 일방부터 서서히 닫힘되어 도5와 같이 완전히 닫힘되는 경우, 뚜껑(10)의 닫힘 과정에서 용기(1) 내부로는 필수적으로 공기의 팽창 압력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공기의 팽창 압력을 해소하지 않으면 그 만큼 뚜껑(10)은 상부벽(12)이 외부로 배출되려고 하는 공기의 팽창 압력을 받게 됨으로 인해 닫힘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될 수도 있는 것이나, 이러한 공기의 팽창 압력을 그 즉시 공기 밸브판(26)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공기구멍(22)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에 따라 뚜껑(10)의 닫힘 저항은 감소하게되고, 이로 인해 적은 가압력에 의해서도 뚜껑(10)은 부드럽고 신속하게 닫힘되어 용기(1)를 커버하게 되고, 동시에 용기(1)의 장착 림(5)에 대하여 감합부(18)는 신장상태에 있는 주름부(16)의 수축력에 의해 확실한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그리고 도5와 같이 뚜껑(10)의 닫힘 조작이 완료되면 상부로 들려있던 공기 밸브판(26)은 다시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공기구멍(22)을 다시 폐쇄하게되고, 이러한 폐쇄 동작에 의해 용기(1)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어진다.
한편, 공기 배출수단(20)은 도4와 같이 뚜껑(10)의 닫음 조작시 용기(1) 내부에 발생되는 팽창 공기의 배출은 물론 필요에 따라 예컨대 용기(1)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발효 식품인 경우 발효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효 가스(도5의 화살표 "B" 참조)를 외부로 적절히 배출시킴으로서 용기(1) 내부가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팽창 가스로 인한 뚜껑(10)의 임의적인 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품의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뚜껑(10)을 용기(1)로 부터 인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부벽(12)의 스커트(14)로 형성된 재침편(15)을 상부로 살짝 들어 올려준다. 그러면 이 때 뚜껑(10)은 해당 재침편(15) 부분이 주름부(16)에 의해 부드러운 상부 재침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주름부(16)가 형성된 상부벽이 편평하지 않고 파형의 주름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부드러운 재침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재침편(15)의 재침에 의해 일방으로부터 열려지는 뚜껑(10)은 감합부(18)가 용기(1)의 장착 림(5)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면서 열려짐과 동시에 신장 상태에 있든 주름부(16)의 자체 수축 작용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열려져 용기(1)에 대한 밀폐상태를 해제하게되는 것이다.
한편,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10)이 사각형상이 아닌 원형 형태를 이루고 있는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러한 뚜껑(10)의 다양한 형상 변형은 이미 전술한바 있고, 상부벽(12)으로 설치된 공기배출수단(20) 역시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벽으로 형성된 주름부의 신축자재력에 의한 뚜껑의 개폐 조작이 간편 용이하고 아울러 양호한 밀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부벽으로 설치된 공기배출수단에 의해 특히 뚜껑의 닫음 조작시 용기 내부에 잔류되는 공기의 팽창 압력에 의한 저항의 감소로 인해 적은 힘으로 누르더라도 뚜껑의 부드러운 닫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많은 실시 예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기 전의 측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측 단면;
도4는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될 때 에어 밸브판을 통해 용기 내부의 팽창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뚜껑이 용기에 결합된 후의 측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뚜껑이 원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용기 2: 입구
3: 바닥부 4: 측벽
5: 장착 림 10: 뚜껑
12: 상부벽 14: 스커트
16: 주름부 18: 감합부
20: 공기배출수단 22: 공기구멍
24: 고정공 26: 공기 밸브판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용기의 입구를 커버하기 위한 프라스틱 뚜껑을 구성함에 있어서:
    주연부를 구비한 상부벽과;
    상기 주연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용기의 측벽 일부를 커버하기 위한 스커트와;
    상기 상부벽으로 일체 형성되고 개폐 조작시 신축자재 되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기 용기의 장착 림에 대하여 감합 밀폐되는 감합부: 및
    상기 상부벽으로 끼움 고정되고, 뚜껑의 닫힘 조작시 용기 내부의 잔류 공기에 의한 팽창 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공기배출수단을 포함 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주름부를 제외한 상부벽의 소정 지점으로 형성된 공기구멍과. 상기 공기구멍을 막기 위하여 상기 상부벽으로 형성된 고정공에 대하여 끼움 결합되고 탄성력을 갖는 공기 밸브판 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가 구비된 상부벽과 스커트는 가요성을 갖는 단일 소재로 일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과 스커트의 소재는 경질소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뚜껑.
  9. 삭제
  10. 삭제
KR10-2002-0078395A 2002-12-10 2002-12-10 용기의 뚜껑 KR100526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395A KR100526358B1 (ko) 2002-12-10 2002-12-10 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395A KR100526358B1 (ko) 2002-12-10 2002-12-10 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542A KR20040050542A (ko) 2004-06-16
KR100526358B1 true KR100526358B1 (ko) 2005-11-08

Family

ID=3734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395A KR100526358B1 (ko) 2002-12-10 2002-12-10 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973A (ko) * 2003-07-01 2005-01-13 심순택 음식물 수납용기
KR100780813B1 (ko) 2006-05-30 2007-11-29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100754252B1 (ko) * 2007-01-30 2007-09-03 석종철 샐러드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82A (ja) * 1994-05-02 1995-11-14 Chiyou Pura Kogyo Kk 通気栓付き密閉容器での加圧調理と保存をする方法
JPH09110038A (ja) * 1995-10-16 1997-04-28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
KR0124224Y1 (ko) * 1996-05-23 1998-08-17 이성훈 즉석 취식 면류용기의 뚜껑
KR200161766Y1 (ko) * 1997-10-23 1999-12-01 한수길 포장용기
KR200253340Y1 (ko) * 2001-07-30 2001-11-22 손형순 진공용기
KR200304840Y1 (ko) * 2002-11-18 2003-02-19 민철기 밀폐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8982A (ja) * 1994-05-02 1995-11-14 Chiyou Pura Kogyo Kk 通気栓付き密閉容器での加圧調理と保存をする方法
JPH09110038A (ja) * 1995-10-16 1997-04-28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
KR0124224Y1 (ko) * 1996-05-23 1998-08-17 이성훈 즉석 취식 면류용기의 뚜껑
KR200161766Y1 (ko) * 1997-10-23 1999-12-01 한수길 포장용기
KR200253340Y1 (ko) * 2001-07-30 2001-11-22 손형순 진공용기
KR200304840Y1 (ko) * 2002-11-18 2003-02-19 민철기 밀폐용기용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542A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708B1 (ko) 용기 내접형 진공커버
US6685046B2 (en) Food preservative container
US20100263328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MXPA06015098A (es) Ensamble de contenedor ventilable.
US20110315702A1 (en) Storage container lids
US5395003A (en) Covered airtight container
MX2008011708A (es) Contenedor de almacenamiento al vacio.
WO2013055613A1 (en) Sealing overcap for a container
KR100856933B1 (ko) 진공형성을 위한 커버부재를 가진 진공용기
KR100526358B1 (ko) 용기의 뚜껑
KR200301395Y1 (ko) 음식물 수납용 밀폐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WO2000056623A1 (en) Package, lid and vent for pressure equalization
KR100662892B1 (ko)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밀폐용기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CN216469611U (zh) 一种防漏食物贮存盒
KR200396403Y1 (ko) 밀폐용기
KR20240020928A (ko) 식품보관용기의 누름식 뚜껑
CN216469609U (zh) 一种新型食品贮存盒
KR102413852B1 (ko)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JPH0734861Y2 (ja) 食品包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