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852B1 -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852B1
KR102413852B1 KR1020200077675A KR20200077675A KR102413852B1 KR 102413852 B1 KR102413852 B1 KR 102413852B1 KR 1020200077675 A KR1020200077675 A KR 1020200077675A KR 20200077675 A KR20200077675 A KR 20200077675A KR 102413852 B1 KR102413852 B1 KR 10241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ealed container
air inlet
contain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117A (ko
Inventor
맹현배
Original Assignee
맹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현배 filed Critical 맹현배
Priority to KR1020200077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8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6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6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indirect by means of a gasket or similar intermediate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 B65D2543/00842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outside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밀폐상태로 안전성 있게 밀봉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용기내의 밀폐상태를 해제시켜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적 수단은,
"밀폐용기(10) 상부에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 하부에 밀폐용 패킹(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20) 외주부 일측에는 관통공(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된 연장손잡이(400)와 상기 밀폐용 패킹(30)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접지부(410)와 상기 연장손잡이(400)와 접지부(410) 사이에 구비된 라운딩부(420)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용 패킹(30)은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홈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300)의 외측에 패킹날개(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날개(301) 소정의 위치 끝부분에 상기 접지부(4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의 연장손잡이(400)을 상측으로 쉬프트하면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는 밀폐용 패킹(30)의 패킹날개(301)이 일부분이 상측으로 쉬프트되면서 동시에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과 밀폐용 패킹(30)간에 갭 즉, 공기유입구(H)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H)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밀폐용기(1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지됨으로서 뚜껑(20)과 밀폐용기(10)가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와,
상기 연장손잡이(400) 중앙에는 걸이공(4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 저면에 구비된 밀폐용 패킹 일측에 외부로 연장손잡이가 구비된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상기 밀폐용 패킹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상측으로 쉬프트하여 공기유입구를 형성함으로서 밀폐용기내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하게 함으로서 밀폐용기와 뚜껑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밀폐용기내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을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용이하게 밀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밀폐용기와 뚜껑의 분리는 물론, 밀폐용기내의 밀폐상태를 손쉽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for easy opening}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밀폐상태로 안전성 있게 밀봉할 수 있으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용기내의 밀폐상태를 해제시켜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의 범람이나 냄새의 유출,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또는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시 부폐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내를 밀폐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단턱을 형성시키고, 이와 결합되는 뚜껑 저면의 외주연에 요입홈을 형성시켜 상기 단턱과 요입홈이 결합됨으로써 밀폐력이 유지되도록 한 것과, 또는 뚜껑의 하단에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된 밀폐용 패킹을 더 구비하여 용기의 상단 개구부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은 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한 밀폐용기용 뚜껑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뚜껑은, 정밀한 제조공정이 요구되는 것이나 제조하기가 까다로워 미세한 누설이 발생되면 밀폐력이 저하되어 내용물이 범람하거나 세균의 침입으로 변질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뚜껑과 용기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강하게 밀착되도록 제작할 수 밖에 없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하기가 힘들고 뚜껑의 내구성도 저하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일회성의 뚜껑으로 밀폐시켜 된 밀폐용기가 제안되었으나 사용 후 쓰레기 회수가 어렵고 사용자에게 밀폐용기 구입 비용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밀폐용기용 뚜껑(실용신안등록 제 261828호)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삽입공을 갖는 복수의 파지홈이 중심부 상면에 형성되고, 이 삽입공의 하부에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편을 포함하여 된 호형의 겉뚜껑과; 단면이 대략 'ㄴ'자 형상의 판상으로써 절곡부위에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누름부가 형성되며 상부 끝단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누름편과; 내측 중심부에 가압판이 형성되고 측벽의 외주연에 일정 두께의 환턱이 형성된 채 상기 겉뚜껑 외주연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형의 속뚜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종래 밀폐용기용 뚜껑은, 중심부에 복수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회동돌기을 갖는 끼움홈부가 형성되어 된 호형의 겉뚜껑과, 내측 중심부에 가압판이 형성되고 측벽의 외주연에 일정 두께의 환턱이 형성된 채 상기 겉뚜껑 외주연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되는 원형의 속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누름편에 대한 원터치 조작으로 뚜껑과 용기간의 밀폐력을 간단히 해제시킴으로써 뚜껑의 개폐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구입비용의 부담이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 또한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여 생산단가의 증감은 물론, 상기 누름편을 조작하는 방법이 양측에서 잡아 조이는 방법임에 따라 자칫 잘못사용할 경우, 이 누름편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새것을 재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가계에 적지않은 비용부담을 준다.
따라서, 손쉽게 용기내의 밀폐상태를 해제할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조작이 용이한 밀폐용기용 뚜껑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1367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936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182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밀폐용기용 뚜껑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밀폐용내의 공기를 토출하여 뚜껑을 개방하는데에 전혀 무리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밀폐용기(10) 상부에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 하부에 밀폐용 패킹(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20) 외주부 일측에는 관통공(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된 연장손잡이(400)와 상기 밀폐용 패킹(30)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접지부(410)와 상기 연장손잡이(400)와 접지부(410) 사이에 구비된 라운딩부(420)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용 패킹(30)은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홈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300)의 외측에 패킹날개(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날개(301) 소정의 위치 끝부분에 상기 접지부(4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의 연장손잡이(400)을 상측으로 쉬프트하면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는 밀폐용 패킹(30)의 패킹날개(301)이 일부분이 상측으로 쉬프트되면서 동시에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과 밀폐용 패킹(30)간에 갭 즉, 공기유입구(H)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H)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밀폐용기(1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지됨으로서 뚜껑(20)과 밀폐용기(10)가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와,
삭제
상기 연장손잡이(400) 중앙에는 걸이공(4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 저면에 구비된 밀폐용 패킹 일측에 외부로 연장손잡이가 구비된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상기 밀폐용 패킹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상측으로 쉬프트하여 공기유입구를 형성함으로서 밀폐용기내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하게 함으로서 밀폐용기와 뚜껑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밀폐용기내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을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용이하게 밀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밀폐용기와 뚜껑의 분리는 물론, 밀폐용기내의 밀폐상태를 손쉽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있어서 밀폐용 패킹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있어서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쉬프트하여 공기유입구를 형성하여 밀폐용기로 부터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하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있어서 밀폐용 패킹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에 있어서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쉬프트하여 공기유입구를 형성하여 밀폐용기로 부터 뚜껑을 용이하게 개방하고자 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성요소인 밀폐용기(10), 뚜껑(20), 상기 뚜껑(20) 하부에 밀폐용 패킹(30)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뚜껑(20) 외주부 일측에는 관통공(2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은, 상기 뚜껑(20)의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된 연장손잡이(400); 상기 밀폐용 패킹(30)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접지부(410); 상기 연장손잡이(400)와 접지부(410) 사이에 구비된 라운딩부(420); 가 일체로 구비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손잡이(400) 중앙에는 걸이공(4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며,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용 패킹(30)은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홈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300)의 외측에 패킹날개(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날개(301) 소정의 위치 끝부분에 상기 접지부(4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10)와 뚜껑(2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밀폐용기(10)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상기 뚜껑(20)을 밀폐용기(10)와 분리하고자 할때 용이하게 분리되지 아니하며,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의 구성요소중 상기 뚜껑(10)에 구비된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일측인 연장손잡이(400)가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타측은 접지부(410)는 상기 밀폐용 패킹(30)의 홈부(300)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패킹날개(301) 끝단부 소정의 위치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의 연장손잡이(400)을 상측으로 쉬프트하면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는 밀폐용 패킹(30)의 패킹날개(301)이 일부분이 상측으로 쉬프트되면서 동시에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과 밀폐용 패킹(30)간에 갭 즉, 공기유입구(H)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H)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밀폐용기(1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지됨으로서 뚜껑(20)과 밀폐용기(10)가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뚜껑 저면에 구비된 밀폐용 패킹 일측에 외부로 연장손잡이가 구비된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상기 밀폐용 패킹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을 상측으로 쉬프트하여 공기유입구를 형성함으로서 밀폐용기내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하게 함으로서 밀폐용기와 뚜껑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밀폐용기내를 다시 밀폐시키기 위해서는 뚜껑을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용이하게 밀폐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밀폐용기와 뚜껑의 분리는 물론, 밀폐용기내의 밀폐상태를 손쉽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밀폐용기 20 : 뚜껑
30 : 밀폐용 패킹 40 : 공기유입용 브라켓
200 : 관통공 300 : 홈부
301 : 패킹날개
400 : 연장손잡이 401 : 걸이공
410 : 접지부 420 : 라운딩부
H : 공기유입구

Claims (4)

  1. 밀폐용기(10) 상부에 뚜껑(20)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20) 하부에 밀폐용 패킹(3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20) 외주부 일측에는 관통공(20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00)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형성된 연장손잡이(400)와 상기 밀폐용 패킹(30)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접지부(410)와 상기 연장손잡이(400)와 접지부(410) 사이에 구비된 라운딩부(420)가 일체로 구비된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용 패킹(30)은 링 형상으로 외주면에 홈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300)의 외측에 패킹날개(3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패킹날개(301) 소정의 위치 끝부분에 상기 접지부(4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태에서,
    상기 공기유입용 브라켓(40)의 연장손잡이(400)을 상측으로 쉬프트하면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있는 밀폐용 패킹(30)의 패킹날개(301)이 일부분이 상측으로 쉬프트되면서 동시에 상기 밀폐용기(10) 내측면과 밀폐용 패킹(30)간에 갭 즉, 공기유입구(H)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구(H)를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밀폐용기(10) 내부의 진공상태가 해지됨으로서 뚜껑(20)과 밀폐용기(10)가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손잡이(400) 중앙에는 걸이공(40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4. 삭제
KR1020200077675A 2020-06-25 2020-06-25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KR10241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75A KR102413852B1 (ko) 2020-06-25 2020-06-25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75A KR102413852B1 (ko) 2020-06-25 2020-06-25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17A KR20220000117A (ko) 2022-01-03
KR102413852B1 true KR102413852B1 (ko) 2022-06-27

Family

ID=7934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675A KR102413852B1 (ko) 2020-06-25 2020-06-25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8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34Y1 (ko) * 2015-02-26 2015-10-06 강성일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28Y1 (ko) 2001-10-26 2002-01-24 엄재운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65936Y1 (ko) 2004-07-27 2004-10-28 (주)명문엘씨 제조가 용이한 플라스틱 밀폐용기뚜껑
KR20100009527U (ko) * 2009-03-19 2010-09-29 (주)명문엘씨 노출된 패킹구조를 갖는 밀폐용기 뚜껑
KR101301367B1 (ko) 2013-02-22 2013-08-29 박소규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KR20160133081A (ko) * 2015-05-12 2016-11-22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밀폐용기
KR20170025090A (ko) * 2015-08-27 2017-03-08 임지현 밀폐 용기 뚜껑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34Y1 (ko) * 2015-02-26 2015-10-06 강성일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117A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871B2 (ja) 真空容器用ゴム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容器蓋
JP2015525715A (ja) 密閉容器用蓋組立体
JPH1024946A (ja) 外し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US20090223986A1 (en) Preservation container cover
KR102413852B1 (ko) 개방이 용이한 밀폐용기
KR20060116628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 밀폐용기
US6609630B1 (en) Leak-proof closure apparatus
KR200441528Y1 (ko) 밀폐 용기 뚜껑
KR20190028033A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CN208291698U (zh) 一种开启时防洒的易拉罐
KR200261828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04840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100012828U (ko) 용기 커버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0286542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0067014A (ko) 밀폐형 식품용기
JPH11227816A (ja) 耐熱容器用キャップ
KR100526358B1 (ko) 용기의 뚜껑
CN213620738U (zh) 一种一次性密封餐盒
KR200419790Y1 (ko) 밀폐용기
KR20120084878A (ko) 액상 식품용 용기 캡
JP3121472U (ja) ガラス・陶磁器製等の容器の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