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03Y1 -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03Y1
KR200396403Y1 KR20-2005-0019657U KR20050019657U KR200396403Y1 KR 200396403 Y1 KR200396403 Y1 KR 200396403Y1 KR 20050019657 U KR20050019657 U KR 20050019657U KR 200396403 Y1 KR200396403 Y1 KR 200396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id portion
container
container body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완순
Original Assignee
장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완순 filed Critical 장완순
Priority to KR20-2005-0019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inside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in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31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made of several pieces
    • B65D2543/0024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made of several pieces two pieces, one forming at least the whole skirt, the other forming at least the whole upper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14Combination, e.g. laminates, several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주변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제2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고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리를 상기 제2 뚜껑부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턱에 밀착함으로써 용기의 밀폐력을 높이고,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뚜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점 또는 식당 등의 그릇 사용량이 많은 곳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랩'을 대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용기{.}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주변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제2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밀폐용기는 합성수지를 이용한 뚜껑을 사용하는 합성수지 밀폐용기가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기온에 따라 밀폐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뚜껑을 열 때에도 힘이 많이 들고, 하절기의 경우에는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일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수지를 사용한 밀폐용기 외에도 스텐레스를 사용한 스텐레스 밀폐용기가 있는데, 이는 몸통에 고리장식을 여러개 설치하여 뚜껑을 잠그게 하여서 밀폐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스텐레스 밀폐용기는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결합은 방지하지만 여러개의 고리장식을 설치하는데 기존의 밀폐용기보다 제작비용이 더 들어 원가가 높아지고, 또한, 튀어나온 고리장식에 의하여 휴대에 불편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이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기의 결합부에 고정홈을 내고 그 속에 패킹을 결합하여 뚜껑의 접촉부와 접촉되게 하는 밀폐용기가 나왔지만 이 방식은 오래 사용하게 되면 고무패킹이 손상되어 접촉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밀폐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밀폐용기들은 각 용기에는 그 용기에 맞는 적정규격의 뚜껑이 제작되어, 상기 뚜껑을 분실했을 경우에는 뚜껑만 새로 마련하거나, 없을 시에는 비닐 등의 대체 수단을 사용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거나, 용기를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종래의 밀폐용기는 뚜껑개폐상의 문제점과 밀폐력의 미비로 인한 내용물의 누출, 뚜껑의 분실 또는 손상시 뚜껑의 대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주변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제2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고리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리를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턱에 밀착함으로써 용기의 밀폐력을 높이고,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뚜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점 또는 식당 등의 그릇 사용량이 많은 곳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랩'을 대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밀폐용기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주변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제2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의 중심부는 합성수지, 유리 또는 스텐레스 등의 경도가 강한 재질로 구성된 제1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부의 주변에 상기 제2 뚜껑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뚜껑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2 뚜껑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리가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턱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뚜껑부는, 일정 구간이 원주 방향으로 주름이 잡혀 있어서, 상기 고리가 상기 걸림턱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늘어날 수 있게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뚜껑부와 제2 뚜껑부가 연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의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 뚜껑부는 제1 뚜껑부보다 얇게 구성되어서, 제2 뚜껑부를 당겨도 제1 뚜껑부는 쉽게 늘어나지 않고 제2 뚜껑부는 쉽게 늘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밀폐용기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밀폐용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폐용기는 걸림턱(210)이 형성된 용기본체(200), 합성수지 또는 유리 또는 스텐레스 등의 일반적인 용기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재질로 구성된 제1 뚜껑부(120) 및 실리콘고무 등의 탄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제1 뚜껑부(120)와 결합하는 제2 뚜껑부(130)로 구성된 뚜껑(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2 뚜껑부(130)에 사용되는 소재가 천연고무처럼 강한 탄력을 지닌 것이 아니라 천연고무보다 탄력성이 작은 합성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뚜껑부(130)의 끝에는 용기본체(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걸림턱(210)과 결합하기 위한 고리(131)가 포함되어 있다.
제1 뚜껑부(120)의 내부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밀폐용기의 사용에 대한 설명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뚜껑부(120)와 제2 뚜껑부(130)를 실리콘 고무 등의 탄력있는 재질로 일체형으로 제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 뚜껑부(120)를 두껍게 제작하고, 제2 뚜껑부(130)는 얇게 제작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2 뚜껑부(130)를 늘일 때, 제1 뚜껑부(120)는 변형이 없거나, 미비하게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뚜껑(100)의 제2 뚜껑부(130)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력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뚜껑부(120)와 제2 뚜껑부(13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1 뚜껑부(120)와 제2 뚜껑부(130)가 결합된 전체의 크기는 용기본체(200)의 입구보다 작아서 사용자가 약간의 힘을 가하여 제2 뚜껑부(130)를 늘어나게 하여 고리(131)를 걸림턱(210)에 걸어서 용기본체(200)와 뚜껑(100)을 결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131)는, 제2 뚜껑부(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걸림턱(210)과 단단하게 밀착할 수 있게 안쪽에 홈이 파여진 갈고리 형태로 되어있다.
제2 뚜껑부(130)의 크기가 용기본체(200)의 입구보다 작게 제작하여, 제2 뚜껑부(130)의 재질적 특성을 이용하여 용기를 밀폐하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한 밀폐용기는 용기본체(200) 입구의 크기에 상관없이 뚜껑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뚜껑부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뚜껑부(130)를 제작할 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이 잡힌 형태로 제작하여 탄력이 없는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할 시에도, 제2 뚜껑부(130)가 늘어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력이 없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할 때 뿐만 아니라, 탄력이 있는 재질을 이용할 때에도 주름이 잡힌 형태로 제2 뚜껑부(130)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밀폐용기의 구성에서 용기본체(200) 및 뚜껑(100)의 형상은 꼭히 원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 제품의 다양한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사각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뚜껑(100)의 경우는 제2 뚜껑부(130)의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용기본체(200)의 모양과 상관없이 뚜껑(100)의 크기가 용기본체(200)의 입구보다 작다면 뚜껑(100)을 서로 교환하거나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리(131)의 외부모양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안전상에 좋으나, 필요에 따라서 제품의 다양한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날카롭지 않은 각진형 등으로 고리(131)의 외부모양을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주변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제2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고리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리를 상기 제2 뚜껑부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턱에 밀착함으로써 용기의 밀폐력을 높이고, 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뚜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음식점 또는 식당 등의 그릇 사용량이 많은 곳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랩'을 대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밀폐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밀폐용기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밀폐용기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뚜껑부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Claims (5)

  1.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을 가진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가장자리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밀폐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주변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제2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걸림턱에 밀착되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중심부는 합성수지, 유리 또는 스텐레스 등의 경도가 강한 재질로 구성된 제1 뚜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뚜껑부의 주변에 상기 제2 뚜껑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뚜껑부는,
    연성 및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등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2 뚜껑부를 잡아당기면 상기 제2 뚜껑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고리가 상기 용기본체의 걸림턱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뚜껑부는,
    일정 구간이 원주 방향으로 주름이 잡혀 있어서, 상기 고리가 상기 걸림턱에 원활하게 걸릴 수 있도록 늘어날 수 있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뚜껑부와 제2 뚜껑부가 연성 및 탄성을 가진 재질의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제2 뚜껑부는 제1 뚜껑부보다 얇게 구성되어서, 제2 뚜껑부를 당겨도 제1 뚜껑부는 쉽게 늘어나지 않고 제2 뚜껑부는 쉽게 늘어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KR20-2005-0019657U 2005-07-06 2005-07-06 밀폐용기 KR200396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57U KR200396403Y1 (ko) 2005-07-06 2005-07-06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57U KR200396403Y1 (ko) 2005-07-06 2005-07-06 밀폐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736A Division KR20070005748A (ko) 2005-07-06 2005-07-06 밀폐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03Y1 true KR200396403Y1 (ko) 2005-09-21

Family

ID=4369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657U KR200396403Y1 (ko) 2005-07-06 2005-07-06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13B1 (ko) * 2006-05-30 2007-11-29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100789373B1 (ko) 2006-12-07 2007-12-28 이승규 밀폐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13B1 (ko) * 2006-05-30 2007-11-29 주식회사 락앤락 잠금날개 결착식 진공 밀폐용기
KR100789373B1 (ko) 2006-12-07 2007-12-28 이승규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510779T1 (de) Verschlussanordnung mit venti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7112958B2 (ja) 多成分射出成型技術によるスナップ係合カバー
US8256642B2 (en) Sippy cup assembly
US20190389622A1 (en) Storage container
RU2461503C2 (ru) Клапанное удерживающее кольц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RU2010132842A (ru) Комплект из контейнера и крышки
KR200476920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CN106458390B (zh) 用于饮用容器的盖装置
KR200396403Y1 (ko) 밀폐용기
JP2010089807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20070005748A (ko) 밀폐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070120007A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CN103635398A (zh) 具有适于折叠的防拆封环的封盖
JP4977709B2 (ja) 貯蔵容器用容器蓋
CN118019695A (zh) 用于容器的封闭盖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0754252B1 (ko) 샐러드볼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100526358B1 (ko) 용기의 뚜껑
KR200402818Y1 (ko)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액체 저장 용기
CN208339374U (zh) 锅盖及烹饪装置
KR200281846Y1 (ko) 김치보관용 그릇 및 뚜껑
KR200255388Y1 (ko) 패킹이 형성된 내열 광구 용기용 뚜껑
JP5656672B2 (ja) 注口付き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