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625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625B1
KR101194625B1 KR1020100110918A KR20100110918A KR101194625B1 KR 101194625 B1 KR101194625 B1 KR 101194625B1 KR 1020100110918 A KR1020100110918 A KR 1020100110918A KR 20100110918 A KR20100110918 A KR 20100110918A KR 101194625 B1 KR101194625 B1 KR 10119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ontact
insulating film
connection objec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486A (ko
Inventor
다케하루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88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05K3/32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the printed circuit having integral resilient or deformable parts, e.g. tabs or parts of flexible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59Connections made by press-fit inser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2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 H05K3/2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by affixing prefabricated conductor pattern using self-supporting metal foil patter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커넥터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장착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 상측 절연 필름을 제 1, 제 2 컨택트 및 캐리어의 상면에 고착시키고, 그 후, 제 1, 제 2 컨택트와 캐리어의 연결을 끊고, 마지막으로 하측 절연 필름을 제 1, 제 2 컨택트 및 캐리어의 하면에 고착시킨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LED (발광 다이오드) 용 고정 장치 (커넥터) 가 알려져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40454호 (단락 0014 ~ 0017, 0022, 도 1) 참조).
이 고정 장치는, 차량의 테일 램프의 하우징 등의 절연 재료제 베이스 부품에 LED 를 고정시킴과 함께, LED 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1 쌍의 리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리드 프레임의 일방 리드 프레임의 형상은 타방 리드 프레임의 형상의 좌우를 반대로 한 형상이다. 일방 리드 프레임과 타방 리드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이다. 1 쌍의 리드 프레임은 연결편으로 연결되어 있다.
1 쌍의 리드 프레임은 각각 프레임 본체와 컬부와 탄성편을 갖는다. 프레임 본체는 평판 형상이다. 프레임 본체에는 비스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컬부는 프레임부 본체에 연결되고, 프레임 본체 상에 놓여진 LED 를 삽입 발출 가능하게 유지한다. 탄성편은 프레임 본체에 연결되고, 컬부에서 유지된 LED 의 리드 단자에 접촉된다.
상기 서술한 고정 장치를 베이스 부품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스 구멍에 삽입된 비스를 베이스 부품의 나사구멍에 넣고 조여 1 쌍의 리드 프레임을 베이스 부품에 고정시키고, 그 후, 연결부를 절단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1 쌍의 리드 프레임을 2 개의 독립된 리드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고정 장치는 차량의 테일 램프의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것이지만, 만일 이 고정 장치를 예를 들어 백라이트용 LED 의 커넥터로서 사용하고자 하면, 1 쌍의 리드 프레임과 이 1 쌍의 리드 프레임이 장착되는 금속제 섀시 사이에 절연판을 개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1 쌍의 리드 프레임의 장착에 적합한 절연판을 반드시 준비해야 함과 함께, 그 절연판을 섀시에 비스 등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또, 절연판을 사용하여 1 쌍의 리드 프레임을 섀시에 장착한다면, 그 후, 1 쌍의 리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절단하고, 1 쌍의 리드 프레임을 2 개의 독립된 리드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섀시에 대한 리드 프레임의 장착 작업이 번잡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과제는 커넥터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장착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일방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타방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를 갖는 제 1 컨택트,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2 유지부와, 상기 타방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갖는 제 2 컨택트, 및 상기 제 1 컨택트 및 상기 제 2 컨택트를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서,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에 고착되는 하측 절연 필름을 갖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의 하측 절연 필름이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에 고착되므로, 커넥터를 예를 들어 금속제 섀시에 장착할 때, 제 1, 제 2 컨택트와 섀시 사이에 절연판을 개재시킬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는 제 1, 제 2 컨택트를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하고 있어, 커넥터를 섀시에 장착하기 전에, 제 1 컨택트와 제 2 컨택트의 전기적인 연결은 끊겨 있으므로, 커넥터를 섀시에 장착한 후에, 제 1 컨택트와 제 2 컨택트를 분할할 필요는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복수 쌍의 컨택트로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제 2 컨택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일방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타방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2 유지부와, 상기 타방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 쌍의 컨택트 중 인접하는 2 쌍의 컨택트의 일방 쌍의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당해 2 쌍의 컨택트의 타방 쌍의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기 제 2 접속부가 연결되는 복수 쌍의 컨택트, 및 상기 복수 쌍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서,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에 고착되는 하측 절연 필름을 갖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이고, 상기 제 1, 제 2 컨택트는 각각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된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위치 결정된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걸어 맞춰지는 2 레그 형상의 걸어맞춤부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에 고착되는 상측 절연 필름을 가지고,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제 1 및 제 2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에 고착되는 상측 절연 필름을 가지고,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양측에, 상기 제 1, 제 2 컨택트로부터 분리된 캐리어가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이 고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과,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양측에 위치하고, 그들의 컨택트에 연결되는 캐리어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을 고착시키는 제 1 고착 공정과,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와 상기 캐리어의 연결을 끊는 분단 공정과, 하측 절연 필름을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과,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고착시키는 제 2 고착 공정을 포함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관련된 방법에 따르면, 커넥터를 예를 들어 금속제 섀시에 장착할 때, 제 1, 제 2 컨택트와 섀시 사이에 절연판을 개재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섀시에 장착할 때, 작업자는 제 1, 제 2 컨택트와 캐리어를 분단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장착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근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층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의 쌍의 컨택트에 발광 다이오드를 유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의 쌍의 컨택트에 발광 다이오드를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의 쌍의 컨택트에 발광 다이오드를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의 컨택트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을 첩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커넥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낸 커넥터의 복수 쌍의 컨택트와 캐리어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커넥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쌍의 컨택트에 발광 다이오드를 유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에 나타낸 커넥터에 접속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경사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9 에 나타낸 커넥터에 발광 다이오드를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쌍의 컨택트에 발광 다이오드를 유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커넥터에 접속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 는 도 12 에 나타낸 커넥터에 발광 다이오드를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2 에 나타낸 커넥터의 제 2 걸어맞춤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1 ~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00) 는 복수 쌍의 컨택트 (50) 와 1 쌍의 절연 부재 (60) 를 구비한다. 커넥터 (100) 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용 커넥터로서, 금속제 섀시 (도시 생략) 에 고정되고, 일방 접속 대상물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1100) (도 2 참조) 를 직렬로 접속시킨다.
복수 쌍의 컨택트 (50) 는 1 쌍의 캐리어 (51) 와 함께 1 매의 도전성 및 탄성을 갖는 금속판 (도시 생략) 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쌍의 컨택트 (50) 는 각각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컨택트 (10) 는 제 1 베이스부 (11) 와 제 1 접촉부 (13) 와 전측 지지부 (16A) 와 후측 지지부 (16B) 와 제 1 접속부 (17) 와 위치 결정부 (18) 를 갖는다.
제 1 베이스부 (11) 는 프레임 형상이다. 제 1 접촉부 (13)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13) 는 커넥터 (100) 의 전후 방향 (F) (도 2 참조) 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을 향하여 위가 앞, 아래가 뒤이다.). 제 1 접촉부 (13) 는 제 1 베이스부 (11) 의 후부에 연결되고, 제 1 접촉부 (13) 에 형성된 접점 (13a) 은 제 1 베이스부 (11)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지지부 (16A)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이며, 제 1 베이스부 (11) 의 전부에 연결된다. 후측 지지부 (16B)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이며, 제 1 베이스부 (11) 의 후부에 연결된다. 제 1 베이스부 (11) 와 전측 지지부 (16A) 와 후측 지지부 (16B) 로 제 1 지지부 (제 1 유지부) (15) 가 구성된다. 제 1 지지부 (15) 는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일방 측부를 커넥터 (100) 의 전후 방향 (F) 을 따라 삽입 발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제 1 접속부 (17) 는 평판 형상이다. 위치 결정부 (18)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이며, 전측 지지부 (16A) 에 연결된다.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전면이 위치 결정부 (18) 에 부딪치며, 제 1 지지부 (15) 에 수용된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전후 방향 (F) 의 위치가 정해진다. 위치 결정부 (18) 에 의해 위치 결정된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저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제 1 전극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 은 제 1 접촉부 (13) 에 접촉된다.
제 1 접속부 (17) 는 연결부 (19) 를 갖는다. 연결부 (19) 는 평판 형상이며, 커넥터 (100) 의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고, 제 1 베이스부 (11) 와 제 1 접속부 (17) 를 연결한다.
제 2 컨택트 (30) 는 제 2 베이스부 (31) 와 제 2 접촉부 (33) 와 전측 지지부 (36A) 와 후측 지지부 (36B) 와 제 2 접속부 (37) 와 위치 결정부 (38) 를 갖는다.
제 2 베이스부 (31) 는 프레임 형상이다. 제 2 접촉부 (33)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다. 제 2 접촉부 (33) 는 전후 방향 (F)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접촉부 (33) 는 제 2 베이스부 (31) 의 후부에 연결되고, 제 2 접촉부 (33) 에 형성된 접점 (33a) 은 제 2 베이스부 (31)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전측 지지부 (36A)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이며, 제 2 베이스부 (31) 의 전부에 연결된다. 후측 지지부 (36B)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이며, 제 2 베이스부 (31) 의 후부에 연결된다. 제 2 베이스부 (31) 와 전측 지지부 (36A) 와 후측 지지부 (36B) 로 제 2 지지부 (제 2 유지부) (35) 가 구성된다. 제 2 지지부 (35) 는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타방 측부를 전후 방향 (F) 을 따라 삽입 발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제 2 접속부 (37) 는 평판 형상이다. 위치 결정부 (38) 는 단면이 거의 L 자형이며, 전측 지지부 (36A) 에 연결된다.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전면이 위치 결정부 (38) 에 부딪치며, 제 2 지지부 (35) 에 수용된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전후 방향 (F) 의 위치가 정해진다. 위치 결정부 (38) 에 의해 위치 결정된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저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제 2 전극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 은 제 2 접촉부 (33) 에 접촉된다.
제 2 접속부 (37) 는 연결부 (39) 를 갖는다. 연결부 (39) 는 평판 형상이며, 커넥터 (100) 의 길이 방향 (L) 으로 연장되고, 제 2 베이스부 (31) 와 제 2 접속부 (37) 를 연결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지지부 (16B, 36B) 의 내면에는 각각 빠짐 저지부 (16a, 36a) 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저지부 (16a, 36a) 는 위치 결정된 발광 다이오드 (1100) 후면의 양측 테두리에 걸어맞춤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1100) 가 제 1, 제 2 지지부 (15, 35) 로부터 빠져 나가는 것을 저지시킨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쌍의 컨택트 (50) 중 인접하는 2 쌍의 컨택트 (50) 의 일방 쌍의 컨택트 (50) 의 제 1 컨택트 (10) 의 제 1 접속부 (17) 와 상기 2 쌍의 컨택트 (50) 의 타방 쌍의 컨택트 (50) 의 제 2 컨택트 (30) 의 제 2 접속부 (37) 는 연결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복수 쌍의 컨택트 (50) 는 1 쌍의 캐리어 (51) 를 개재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 (51) 는 연결부 (51a) 를 가지고, 연결부 (51a) 는 제 1 접속부 (17) 와 제 2 접속부 (37) 의 접합 부분에 연결된다. 캐리어 (51) 에는 볼트 삽입 구멍 (51b) 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도 5, 도 6 에는 후술하는 구멍 (52) (도 7, 도 8 참조) 이 기재되어 있지 않고, 도 1, 도 5, 도 6 은 완성품 상태의 커넥터 (100) 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반면에, 도 7, 도 8 은 완성품 상태의 커넥터 (100) 를 나타내는 것이다.
절연 부재 (60) 는 상측 절연 필름 (70) 과 하측 절연 필름 (80) 으로 구성 되어 있다. 상측 절연 필름 (70) 은 띠형상이고, 그 전후 가장자리부에 등간격으로 볼트 삽입 구멍 (71) 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 (71) 은 캐리어 (51) 의 볼트 삽입 구멍 (51b) 에 대향된다. 또, 상측 절연 필름 (70) 에는 등간격으로 창구멍 (노출부) (72) 이 형성되어 있다. 창구멍 (72) 은 제 1, 제 2 접촉부 (13, 33), 제 1, 제 2 지지부 (15, 35) 등에 대향된다. 상측 절연 필름 (70) 의 양 단부에는 절결 (73) 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절연 필름 (80) 은 띠형상이고, 그 전후 가장자리부에는 등간격으로 볼트 삽입 구멍 (81) 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입 구멍 (81) 은 캐리어 (51) 의 볼트 삽입 구멍 (51b) 에 대향된다.
다음으로, 커넥터 (100)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1 매의 금속판에 타발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캐리어 (51) 를 개재하여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 쌍의 컨택트 (50) 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의 컨택트 (50) 의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캐리어 (51) 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 (70) 을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고착시킨다 (제 1 고착 공정). 이 때, 캐리어 (51) 의 볼트 삽입 구멍 (51b) 에 상측 절연 필름 (70) 의 볼트 삽입 구멍 (71) 이 겹쳐지게 한다. 또,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의 제 1, 제 2 베이스부 (11, 31), 제 1, 제 2 접촉부 (13, 33), 전측, 후측 지지부 (16A, 16B), 전측, 후측 지지부 (36A, 36B), 위치 결정부 (18, 38), 연결부 (19, 39) 등은 상측 절연 필름 (70) 의 창구멍 (72) 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된다.
쌍의 컨택트 (50) 의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캐리어 (51) 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 (70) 을 고착시킬 때, 제 1, 제 2 컨택트 (10, 30) 는 캐리어 (51) 를 개재하여 일체화되므로,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소정 위치 관계가 유지되어 있다.
또, 상측 절연 필름 (70) 의 양 단부에는 절결 (73) 이 있으므로, 복수 쌍의 컨택트 (50) 의 양 단부는 절결 (73) 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 부분이 커넥터 (100) 의 제 1, 제 2 단자 (100a, 100b) 가 된다 (도 5 참조).
다음으로, 도 7,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발 가공에 의해 상측 절연 필름 (70) 및 캐리어 (51) 의 연결부 (51a) 에 구멍 (52) 을 형성한다 (분단 공정). 연결부 (51a) 는 구멍 (52) 에 의해 분단된다. 이 결과,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연결이 끊어져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사이가 절연된다. 한편, 복수 쌍의 제 1 및 제 2 컨택트 (10, 30) 중 인접하는 2 쌍의 일방 쌍의 제 1 컨택트 (10) 의 제 1 접속부 (17) 와 당해 2 쌍의 타방 쌍의 제 2 컨택트 (30) 의 제 2 접속부 (37) 는 연속되어 있으므로, 각각 제 1 및 제 2 컨택트 (10, 30) 로 구성되는 복수 쌍의 컨택트의 1 세트는, 그 양 단의 제 1, 제 2 단자 (100a, 100b) 가 전원 (타방의 접속 대상물) 의 일방 전극 (타방의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 과 타방 전극 (타방의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 에 각각 접속되고, 발광 다이오드가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 컨택트에 세트되면, 이들의 발광 다이오드를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쌍의 컨택트 (50) 의 제 1, 제 2 컨택트 (10, 30) 및 캐리어 (51) 의 하면에 하측 절연 필름 (80) 을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고착시킨다 (제 2 고착 공정). 그 결과,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의 제 1, 제 2 접속부 (17, 37) 및 캐리어 (51) 가 상측 절연 필름 (70) 과 하측 절연 필름 (80) 사이에 끼여 유지된다. 또, 구멍 (52) 은 하측 절연 필름 (80) 에 의해 막힌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거쳐 커넥터 (100) 가 완성된다.
커넥터 (100) 는 볼트 삽입 구멍 (51b, 71, 81) 에 삽입된 볼트 (도시 생략)로 금속제 섀시 (도시 생략) 에 고정된다. 또, 커넥터 (100) 의 제 1, 제 2 단자 (100a, 100b) 는 각각 그 내측의 접속부 (17, 37) 를 절곡시킴으로써 이면측에 위치하게 되고, 섀시의 이면에 설치된 타방 접속 대상물인 전원 (도시 생략) 에 접속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1100) 를 커넥터 (100) 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전후 방향 (F) 을 따라 발광 다이오드 (1100) 를 제 1, 제 2 지지부 (15, 35) 에 삽입하면 된다.
제 1, 제 2 지지부 (15, 35) 에 삽입된 발광 다이오드 (1100) 는, 위치 결정부 (18, 38) 에 부딪치며 위치 결정됨과 함께, 빠짐 저지부 (16a, 36a) (도 4 참조) 에 걸어 맞춰져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저면에 있는 제 1 전극은 제 1 접촉부 (13) 에,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저면에 있는 제 2 전극은 제 2 접촉부 (33) 에 각각 접촉시키고, 발광 다이오드 (1100) 와 전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 (60) 의 하측 절연 필름 (80) 이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의 하면에 고착되므로, 커넥터 (100) 를 예를 들어 금속제 섀시에 장착할 때,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와 섀시 사이에 절연판 (도시 생략) 을 개재시킬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연 부재 (60) 는 제 1, 제 2 컨택트 (10, 30) 를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하고 있고, 커넥터 (100) 를 섀시에 장착하기 전에,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전기적인 연결은 끊어지므로, 커넥터 (100) 를 섀시에 장착한 후에,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를 분할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커넥터 (100) 의 장착 작업이 용이해짐과 함께, 장착 비용이 저감된다.
또, 캐리어 (51) 를 개재하여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가 일체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 (70) 을 고착시키므로,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소정 위치 관계가 유지된 상태로 제 1 컨택트 (10) 와 제 2 컨택트 (30) 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 (70) 이 고착된다.
또한, 제 1, 제 2 컨택트 (10, 30) 및 캐리어 (51) 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 (70) 을 고착시킨 후, 구멍 (52) 을 형성하고 연결부 (51a) 를 절단하고, 그 후, 제 1, 제 2 컨택트 (10, 30) 및 캐리어 (51) 의 하면에 하측 절연 필름 (80) 을 고착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구멍 (52) 은 하측 절연 필름 (80) 에 의해 막혀 누전될 우려가 없어진다.
또, 제 1, 제 2 지지부 (15, 35) 에 의해 삽입 발출 가능하게 발광 다이오드 (1100) 가 유지되므로,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착탈이 용이하고,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리페어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 (18, 38) 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1100) 를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빠짐 저지부 (16a, 36a) 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 (1100) 가 커넥터 (100) 로부터 용이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쌍의 컨택트 (50) 의 제 1, 제 2 컨택트 (10, 30) 와 섀시는 하측 절연 필름 (80) 에 의해 절연되어 있으므로, 절연판을 커넥터 (100) 와 섀시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없고, 커넥터 (100) 의 저배화 (低背化) 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발광 다이오드 (1100) 에서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섀시에 방열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1100) 의 열에 의한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저지부 (16a, 36a) 및 위치 결정부 (18, 38) 를 채용했는데, 빠짐 저지부 (16a, 36a) 및 위치 결정부 (18, 38) 는 없어도 된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절연 필름 (70) 을 고착 (제 1 고착 공정) 시킨 후, 분단 작업 (분단 공정) 을 실시하고, 그 후, 하측 절연 필름 (80) 을 고착 (제 2 고착 공정) 시켰는데, 하측 절연 필름 (80) 을 고착 (제 2 고착 공정) 시킨 후, 분단 작업 (분단 공정) 을 실시하고, 그 후, 상측 절연 필름 (70) 을 고착 (제 1 고착 공정) 시켜도 되고, 상측 절연 필름 (70) 과 하측 절연 필름 (80) 을 고착 (제 1, 제 2 고착 공정) 시킨 후, 분단 작업 (분단 공정) 을 실시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9 ~ 도 11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 에 나타낸 커넥터에서는 설명 편의상, 상측 절연 필름 (70) 이 제거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의 컨택트 (250) 의 제 1 유지부로서의 제 1 압입부 (215) 는 제 1 컨택트 (210) 의 제 1 베이스부 (211) 의 측부에 연결되고, 커넥터 (200) 의 높이 방향 (H) 으로 연장되어 있다. 쌍의 컨택트 (250) 의 제 2 유지부로서의 제 2 압입부 (235) 는 제 2 컨택트 (230) 의 제 2 베이스부 (231) 의 측부에 연결되고, 높이 방향 (H)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제 2 압입부 (215, 235) 는, 일방 접속 대상물인 발광 다이오드 (1200) (도 10 참조) 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 (1203, 1204) 에 각각 상대적으로 압입된다. 구멍 (1203, 1204) 은 발광 다이오드 (1200) 의 높이 방향 H' 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다.
제 1 접촉부 (213) 는 제 1 베이스부 (211) 의 전부에 연결되고, 제 2 접촉부 (233) 는 제 2 베이스부 (231) 의 후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접촉부 (213) 와 제 2 접촉부 (233) 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213) 는 발광 다이오드 (1200) 의 저면에 있는 제 1 전극 (1201)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 에 접촉되고, 제 2 접촉부 (233) 는 발광 다이오드 (1200) 의 저면에 있는 제 2 전극 (1202)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 에 접촉된다.
연결부 (219) 의 전부에는 거의 L 자형인 프레임부 (221) 가 연결되고, 연결부 (219) 의 후부에는 거의 L 자형인 프레임부 (222) 가 연결된다. 연결부 (239) 의 전부에는 거의 L 자형인 프레임부 (241) 가 연결되고, 연결부 (239) 의 후부에는 거의 L 자형인 프레임부 (242) 가 연결된다. 프레임부 (221, 222, 241, 242) 는 높이 방향 (H) 에서 발광 다이오드 (1200) 를 수용한다.
발광 다이오드 (1200) 를 커넥터 (200) 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 H 을 따라 발광 다이오드 (1200) 를 프레임부 (221, 222, 241, 242) 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하면 된다. 이 때, 제 1, 제 2 압입부 (215, 235) 가 각각 상대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1200) 의 구멍 (1203, 1204) 에 압입됨과 함께, 제 1, 제 2 접촉부 (213, 233) 가 각각 발광 다이오드 (1200) 의 제 1, 제 2 전극 (1201, 1202) 에 접촉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도 12 ~ 도 1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낸 커넥터에서는 설명 편의상, 상측 절연 필름이 제거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의 컨택트 (350) 의 제 1, 제 2 유지부로서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는, 일방 접속 대상물인 발광 다이오드 (1300) (도 13 참조) 의 양측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 (1303, 1304) 에 각각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관통 구멍 (1303, 1304) 은 발광 다이오드 (1300) 의 높이 방향 (H') 으로 관통되는 구멍이다.
제 1 걸어맞춤부 (315) 는 2 레그 형상이며, 제 1 컨택트 (310) 의 제 1 베이스부 (311) 의 측부에 연결되고, 커넥터 (300) 의 높이 방향 (H)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부 (315) 는 그 레그폭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 1 걸어맞춤부 (315) 의 상단부의 폭은 관통 구멍 (1303) 의 폭보다 조금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 관통 구멍 (1303) 에 삽입된 제 1 걸어맞춤부 (315) 의 상단부는 관통 구멍 (1303) 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4 참조).
제 2 걸어맞춤부 (335) 는 2 레그 형상이며, 제 2 컨택트 (330) 의 제 2 베이스부 (331) 의 측부에 연결되고, 커넥터 (300) 의 높이 방향 (H)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부 (335) 는 그 레그폭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 2 걸어맞춤부 (335) 의 상단부의 폭은 관통 구멍 (1304) 의 폭보다 조금 넓게 설정되어 있다. 또, 관통 구멍 (1304) 에 삽입된 제 2 걸어맞춤부 (335) 의 상단부는 관통 구멍 (1304) 으로부터 돌출된다.
제 1 접촉부 (313) 는 제 1 베이스부 (311) 의 전부에 연결되고, 제 2 접촉부 (333) 는 제 2 베이스부 (331) 의 후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접촉부 (313) 와 제 2 접촉부 (333) 의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 1 접촉부 (313) 는 발광 다이오드 (1300) 의 저면에 형성된 제 1 전극 (1301)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 에 접촉되고, 제 2 접촉부 (333) 는 발광 다이오드 (1300) 의 저면에 형성된 제 2 전극 (1302)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 에 접촉된다.
연결부 (319) 의 전부에는 L 자형의 프레임부 (321) 가 연결되고, 연결부 (319) 의 후부에는 L 자형의 프레임부 (322) 가 연결된다. 연결부 (339) 의 전부에는 L 자형의 프레임부 (341) 이 연결되고, 연결부 (339) 의 후부에는 L 자형의 프레임부 (342) 가 연결된다. 프레임부 (321, 322, 341, 342) 는 높이 방향 (H) 에서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수용한다.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커넥터 (300) 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높이 방향 H 를 따라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프레임부 (321, 322, 341, 342) 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하면 된다.
이 때,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가 관통 구멍 (1303, 1304) 에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또,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가 관통 구멍 (1303, 1304) 에 상대적으로 삽입될 때,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의 레그폭은 좁아지고,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의 상단부가 관통 구멍 (1303, 1304) 로부터 돌출되면,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의 레그폭은 원래대로 돌아가,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의 상단부는 발광 다이오드 (1300) 의 상면에 걸려, 발광 다이오드 (1300) 는 커넥터 (300) 에 유지된다.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에 의해 유지된 발광 다이오드 (1300) 의 제 1 전극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 (1301) 은 제 1 접촉부 (313) 에, 제 2 전극 (일방의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 (1302) 은 제 2 접촉부 (333) 에 각각 접촉된다.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에 의해 유지된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커넥터 (300) 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의 레그폭을 좁혀,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의 상단부와 발광 다이오드 (1300) 의 상면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커넥터 (300) 로부터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끌어 올리면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함과 함께, 제 1, 제 2 걸어맞춤부 (315, 335) 에 의해 높이 방향 (H) 에서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착탈 가능하므로, 복수의 커넥터 (300) 가 커넥터 (300) 의 전후 방향 (F) 으로 나란히 하고 있어도, 발광 다이오드 (1300) 를 간단히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200, 300) 는 복수 쌍의 컨택트 (50, 250, 350) 를 구비하고 있는데, 1 쌍의 컨택트로 이루어지는 커넥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200, 300) 의 절연 부재 (60) 는 상측 절연 필름 (70) 과 하측 절연 필름 (80) 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절연 부재를 하측 절연 필름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에서는, 1 매의 상측 절연 필름 (70) 에 창구멍 (72) 을 형성하고 제 1, 제 2 유지부 등을 노출시키도록 했는데, 복수의 상측 절연 필름을 제 1, 제 2 유지부 등을 피하도록 하여 커넥터 (100, 200, 300) 의 상면에 고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이웃하는 상측 절연 필름의 사이가 노출부가 된다.
또, 일방 접속 대상물로서는 발광 다이오드에 한정되지 않고, 타방 접속 대상물로서는 전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절연 필름 (70) 과 하측 절연 필름 (80) 을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시켰는데, 상측 절연 필름 (70) 과 하측 절연 필름 (80) 을 초음파나 레이저 등을 사용하여 용착 또는 융착시켜도 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의 설명으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일방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타방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를 갖는 제 1 컨택트;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2 유지부와, 상기 타방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갖는 제 2 컨택트; 및
    상기 제 1 컨택트 및 상기 제 2 컨택트를 소정 간격을 두고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서,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에 고착되는 하측 절연 필름을 갖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이고,
    상기 제 1, 제 2 컨택트는 각각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된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위치 결정된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걸어 맞춰지는 2 레그 형상의 걸어맞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에 고착되는 상측 절연 필름을 가지고,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에 고착되는 상측 절연 필름을 가지고,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양측에, 상기 제 1, 제 2 컨택트로부터 분리된 캐리어가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이 고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이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복수 쌍의 컨택트로서,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제 2 컨택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컨택트는, 일방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1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타방 접속 대상물의 일방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에 접촉되는 제 2 접촉부와,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유지하는 제 2 유지부와, 상기 타방 접속 대상물의 타방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 쌍의 컨택트 중 인접하는 2 쌍의 컨택트의 일방 쌍의 컨택트의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기 제 1 접속부와 당해 2 쌍의 컨택트의 타방 쌍의 컨택트의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기 제 2 접속부가 연결되는 복수 쌍의 컨택트; 및
    상기 복수 쌍의 컨택트를 유지하는 절연 부재로서,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에 고착되는 하측 절연 필름을 갖는 절연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을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하며,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이고,
    상기 제 1, 제 2 컨택트는 각각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수용된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 결정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위치 결정된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기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빠짐을 저지하는 빠짐 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압입되는 압입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는 각각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의 두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일방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걸어 맞춰지는 2 레그 형상의 걸어맞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에 고착되는 상측 절연 필름을 가지고,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부재는,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에 고착되는 상측 절연 필름을 가지고,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은, 적어도 상기 제 1,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제 2 유지부를 노출시키는 노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양측에, 상기 제 1, 제 2 컨택트로부터 분리된 캐리어가 배치되고,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상기 하측 절연 필름이 고착되고,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상기 상측 절연 필름이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제 2 컨택트의 상면과,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양측에 위치하고, 그들의 컨택트에 연결되는 캐리어의 상면에 상측 절연 필름을 고착시키는 제 1 고착 공정과,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와 상기 캐리어의 연결을 끊는 분단 공정과,
    하측 절연 필름을 상기 제 1, 제 2 컨택트의 하면과,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고착시키는 제 2 고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00110918A 2009-11-10 2010-11-09 커넥터 KR101194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7208 2009-11-10
JP2009257208A JP5517239B2 (ja) 2009-11-10 2009-11-10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486A KR20110052486A (ko) 2011-05-18
KR101194625B1 true KR101194625B1 (ko) 2012-10-29

Family

ID=4397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918A KR101194625B1 (ko) 2009-11-10 2010-11-09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44440B2 (ko)
JP (1) JP5517239B2 (ko)
KR (1) KR101194625B1 (ko)
CN (1) CN102110761B (ko)
TW (1) TWI4377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0678A (ja) * 2011-10-05 2013-05-02 Yazaki Corp 電子部品の接続構造
TWI445899B (zh) * 2011-11-21 2014-07-21 Lextar Electronics Corp 組裝式燈條結構
EP2648289B1 (en) 2012-04-02 2018-03-0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Contact element, clamping element, base and arrangement for holding and contacting an LED
DE102013219333A1 (de) * 2013-09-25 2015-03-26 Osram Gmbh LED-Leuchte
US10976032B2 (en) 2014-11-07 2021-04-13 Sls Superlight Solutions Ug Luminaire comprising an LED chip
CN116717759A (zh) * 2023-05-11 2023-09-08 广州柏曼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组装的模块化led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11B1 (ko) 2008-02-05 2010-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7601A1 (en) * 1993-09-07 1995-03-16 Motorola, Inc. Device with external electrical interface
US5730620A (en) * 1995-09-08 1998-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electrical circuit members
JP4298068B2 (ja) * 1998-08-18 2009-07-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6139334A (en) * 1998-09-16 2000-10-31 Cooper Automotive Products, Inc. Integral socket backplate
JP3737683B2 (ja) * 1999-09-29 2006-01-18 日本碍子株式会社 コンタクトシート
JP2003036950A (ja) * 2001-05-16 2003-02-0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Icソケットおよびicパッケージの取付方法
JP4133141B2 (ja) * 2002-09-10 2008-08-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851911B2 (ja) * 2004-05-26 2006-11-29 株式会社アドバネクス 発光ダイオードの固定装置及び固定構造
JP4191128B2 (ja) * 2004-11-16 2008-12-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と電子部品との接続構造
JP2006286456A (ja) * 2005-04-01 2006-10-19 Smk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CN100589292C (zh) * 2006-04-14 2010-02-10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装置及使用该装置的背光灯组合体
JP4391555B2 (ja) * 2007-09-14 2009-12-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
CN101226976B (zh) * 2007-10-09 2012-01-0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发光二极管装置及其定位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411B1 (ko) 2008-02-05 2010-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17239B2 (ja) 2014-06-11
TWI437778B (zh) 2014-05-11
US8444440B2 (en) 2013-05-21
TW201126840A (en) 2011-08-01
KR20110052486A (ko) 2011-05-18
US20110111632A1 (en) 2011-05-12
JP2011103200A (ja) 2011-05-26
CN102110761A (zh) 2011-06-29
CN102110761B (zh)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625B1 (ko) 커넥터
US7764335B2 (en) Liquid crystal module
KR10139916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계 커넥터, 백라이트 유닛
CN102620165B (zh) 照明装置
US9625645B2 (en) Large area light source
JP2018507517A (ja) Ffcコネクタ、直下式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配線装置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EP1758179A1 (en) Fixing device and fixing structure for light emitting diode
JP2012033456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US20130120995A1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mounting module an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 module
TWI474083B (zh) 用於經由連接器供應電力至發光元件的背光總成,以及使用該背光總成的背光單元及液晶顯示器
CN112254103A (zh) 光源单元及其制造方法及车辆用灯具
JP2007305434A (ja) 照明装置
JP2007059674A (ja) 発光素子実装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素子モジュール
KR101356257B1 (ko) 커넥터 및 조명 장치
JP5303579B2 (ja) 半導体発光素子取付用モジュール、及び、半導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
JP2001143793A (ja) 基板へのフラット配線材の接続構造及び接続用クリップ
CN212204389U (zh) 光源单元及车辆用灯具
KR101271807B1 (ko) 커넥터의 장착구조
JP5369086B2 (ja) 半導体発光素子取付用モジュール、及び、半導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
JPH1130775A (ja) バックライト式液晶表示装置の構造
JP2008292530A (ja) 薄型表示装置
JP5634120B2 (ja) コンタクト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TWI426660B (zh) 連接器、背光模組及其組裝方法及顯示裝置及其組裝方法
KR101007047B1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