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807B1 - 커넥터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807B1
KR101271807B1 KR1020110066472A KR20110066472A KR101271807B1 KR 101271807 B1 KR101271807 B1 KR 101271807B1 KR 1020110066472 A KR1020110066472 A KR 1020110066472A KR 20110066472 A KR20110066472 A KR 20110066472A KR 101271807 B1 KR101271807 B1 KR 10127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bstrate
contact
circumferential wall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341A (ko
Inventor
사토루 와타나베
가츠노리 미야조노
나오키 구라사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443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2033456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백라이트장치(1)는, 샤시(2)와, 샤시(2)에 장착된 발광유니트(3)와, 발광유니트(3)에 접속되는 커넥터(33)를 포함한다. 발광유니트(3)를 탑재하는 기판(20)은, 샤시(2)의 주벽(5)에 대해서 세워지는 제1 방향(D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33)의 커넥터 하우징(36)은, 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을 따라서 기판(20)의 단자부(22)를 받아들이는 삽입오목부(63)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커넥터의 조립에 관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결과,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고, 부품 점수를 저감하며, 한층 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의 장착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텔레비젼 등의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백라이트장치는 액정패널을 향해서 광을 발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발광소자로서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등의 형광관이나, LED(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고 있다.
백라이트장치에는, 발광소자가 액정패널의 후방에, 그리고 액정패널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배치된 구조인 엣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24030호 공보 참조). 엣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장치에서는, 발광소자는 액정패널의 주면(主面)과 평행하게 광을 발하며, 발하여진 광이 광확산판 등에 의해서 확산되도록 되어 있다.
엣지라이트형의 백라이트장치로서 예를 들면, 몸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조가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몸체 프레임은, 액정패널과 평행한 직사각형의 판(메인패널)이며, 그 외주부(外周部)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직사각형의 외주벽이 형성되고 있다. 직사각형의 외주벽의 하나(1변)는, 고정벽으로 되어 있다. 고정벽에는, 이 고정벽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기판이 고정되어 있다. 기판의 표면(실장면이라고 함)에는 복수의 LED가 실장되어 있다.
기판의 실장면의 일단에는, 급전용의 암커넥터가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 암커넥터는, LED에 의한 액정패널로의 광 조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외주벽의 코너부의 좁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암커넥터에 결합되는 수커넥터는, 암커넥터에 착탈될 때 암커넥터에 대해서, 메인패널의 주면방향과 평행한 방향(액정패널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구성에서는, 암커넥터가 좁은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암커넥터에 수커넥터를 장착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커넥터의 장착 작업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수커넥터의 착탈 작업을 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커넥터를 암커넥터에 완전하게 찔러 넣을 수가 없어 한 쌍의 커넥터 사이에서 접속 불량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급전용의 커넥터로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라고 하는 2개의 커넥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게다가 커넥터 주변의 구조가 대형화해 버린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장착에 관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접속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부품점수를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한층 더 소형화를 달성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판상(板狀)의 주벽(主壁)을 포함하는 샤시와, 상기 샤시 내로 향해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된 기판본체, 이 기판본체의 일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단자부, 및 이 단자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단자를 가지며, 상기 주벽에 대해서 세워지는 제1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상의 기판과, 상기 샤시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기판의 상기 단자부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서 받아들일 수 있는 삽입오목부를 가지는 절연성의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유지되어 상기 삽입오목부 내에서 상기 단자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장착구조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벽에 대해서 세워지는 방향(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서 기판을 변위시킴으로써, 기판의 단자부를, 커넥터 하우징의 삽입오목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판의 단자를 콘택트의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샤시의 주벽의 앞의 넓은 공간에서, 기판을 제2 방향을 따라서 커넥터를 향해서 변위시킴으로써, 기판을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을 커넥터에 접속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샤시의 주벽 앞의 넓은 공간에서, 기판을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판을 파지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을 작업자의 손이나 로봇 암 등으로 강하고 파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기판을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기판의 단자부, 커넥터의 삽입오목부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의 단자와 콘택트의 접촉부를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불량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의 단자부를 커넥터의 삽입오목부에 찔러 넣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이 직접 커넥터에 찔러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에는 상기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수커넥터 등)를 실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커넥터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장착구조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기판과 커넥터를 접속할 때, 샤시의 주벽의 근방에서 기판과 커넥터를 주벽의 주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기판이나 커넥터의 주변에, 기판과 커넥터를 주벽의 주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스페이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기판본체는, 상기 주벽의 일가장자리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기판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단자부를 기판본체의 일부에만 배치함으로써,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을 커넥터에 접속할 때, 기판으로부터 커넥터에 전해지는 힘은, 기판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예를 들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배치된 단자부에 집중한다. 이것에 의해, 단자부를 삽입오목부에 끼워넣는 작업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의 일부(정렬발광소자라고 함)와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단자부와 정렬발광소자와 주벽이 똑바로 늘어서는 방향이 제2 방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부와 정렬발광소자가 똑바로 늘어서도록 한 상태에서, 기판을 커넥터를 향해서 변위시키면 제2 방향을 따라서 기판을 커넥터를 향해서 변위시키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정렬발광소자 및 단자부를, 커넥터로 기판을 끼워 넣는 방향(제2 방향)을 가리키는 안내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을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커넥터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와 정렬발광소자를 제2 방향으로 늘어놓음으로써, 기판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기판본체를 상기 샤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면, 샤시에 기판본체를 유지하는 기능을 겸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고정용의 전용의 받침자리가 불필요하고,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본체를 샤시에 고정하므로, 기판본체의 위치가 샤시에 대해서 진동이나 충격등으로 어긋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그 결과, 기판이 커넥터로부터 빠져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샤시는 상기 주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세워진 세로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판본체와 상기 세로벽을 고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세로벽과 기판본체를 평행하게 따르게 한 상태에서, 기판본체를 세로벽에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벽 및 기판이 전체로서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주벽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주벽을 향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주벽에 대해서 개방된 공간을 가지는 구조이면, 주벽과 커넥터 하우징과 기판을 일방향으로 겹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소형화(얇게)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 하우징 내의 공간과 주벽과의 사이에는, 커넥터 하우징의 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제2 방향에 관한 커넥터 하우징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소형화(얇게)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주벽상에 배치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오목부는, 상기 다리부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면, 커넥터 하우징 가운데, 콘택트의 접촉부를 수용하는 부분의 주변만을 다리부로부터 연장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소형으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의 접촉부를 커넥터의 제1 방향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을 삽입오목부에 찔러 넣기 시작할 시점부터, 기판의 단자에 콘택트의 접촉부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의 단자와 콘택트의 접촉부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접속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콘택트의 접촉부와 샤시의 주벽과의 사이에, 접속부재의 일단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L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주벽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샤시의 주벽으로부터의 콘택트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있어서, 샤시의 주벽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1 부분에 접속부재를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부재를 샤시의 주벽과 평행하게 뻗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방향과 관련하여 커넥터의 장착구조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으면, 제2 방향을 대체로 따르도록 제2 부분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삽입오목부에 삽입된 단자부의 단자와 제2 부분과의 서로의 대향 부분을, 제2 방향으로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의 단자와 콘택트의 제2 부분의 접촉부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부분은 주벽과 평행하므로, 커넥터가 대형이 되지 않게 되어, 커넥터의 장착구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주벽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주벽에 홈형상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주벽의 굽힘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의 주벽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주벽을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벽 가운데 커넥터를 수용하는 부분 등의 일부만을 움푹 파이게 하면 된다. 따라서, 주벽이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면, 커넥터를 주벽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가 충격이나 진동으로 주벽에 대해 예기치 않게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지기구는,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 마련된 유지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부에 받아들여지는 피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지부와 피유지부와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가 기판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평탄한 면이며,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유지부에 마찰 접촉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평탄한 유지부에 돌기를 마찰접촉시킨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홈에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불량을 억제하면서, 커넥터를 주벽에 조립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주벽은, 예를 들면 대형의 패널이므로, 복잡하고 정밀도가 높은 형상을 비교적 형성하기 어렵다. 이 주벽의 유지부는 심플한 형상인 평탄부로 되어 있다. 한편, 수지의 사출성형 등으로 복잡한 형상을 비교적 제조하기 쉬운 커넥터 하우징에 피유지부로서의 돌기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기구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택트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접속부재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홈에 접속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홈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깊이보다 상기 접속부재의 중간부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깊이가 얕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조에 의하면, 수용홈에 수용하는 부재의 형상에 맞추어 수용홈의 깊이를 변경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홈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시는 상기 주벽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세워지는 세로벽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벽은 상기 샤시의 외측을 향해서 움푹 파여진 웅덩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벽과 상기 주벽과의 협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조에 의하면, 세로벽을 수용홈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벽 주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세로벽에 웅덩이부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샤시의 굽힘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샤시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장착구조는, 상기 발광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전력공급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판,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전력공급기판에 의해서 기판유니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벽은 상기 기판유니트의 일부가 삽입통과된 삽통공을 가지며, 상기 주벽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전력공급기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에 기판과 전력공급기판 양쪽을 접속하는, 이른바 board to board 접속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과 전력공급기판과의 사이에 커넥터 이외의 접속부재(전선 등)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판과 전력공급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판과 전력공급기판을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에 기판과 전력공급기판을 접속하는 간단하고 쉬운 작업으로, 기판과 전력공급기판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발광소자와는 주벽을 사이에 둔 반대측에 전력공급기판을 배치하는 적층구조에 의해,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박형화(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는, 상기 삽통공을 지나 상기 삽입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부는 발광소자에 대해서 주벽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소자를 주벽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박형화(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기판은, 전극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삽입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삽입오목부와, 상기 전극부를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삽입오목 내에서 상기 전극과 접촉 가능한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제2 삽입오목부에 전력공급기판의 전극부를 찔러 넣는다고 하는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커넥터와 전력공급기판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와 전력공급기판을 접속하기 위해서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오목부에 상기 단자부를 삽입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삽입오목부에 상기 전극부를 삽입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으면, 주벽과, 전력공급기판을 대략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장착구조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주벽과 전력공급기판을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발광소자의 광을 주벽이 연장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조사할 수 있다. 발광소자의 광을 주벽이 연장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조사함으로써, 샤시 내에서의 광의 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장착구조의 소형화라고 하는 효과와, 샤시 내에서의 광의 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인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2 접촉부가 배치된 U자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오목부에 삽입된 상기 전극부를 상기 U자형상부에 의해 끼우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면, 전극부를 U자형상부에 의해 끼움으로써, 전극부와 U자형상부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기판의 전극과 U자형상부의 제2 접촉부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U자형상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제2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전력공급기판의 전극과 U자형상부의 제2 접촉부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평판상(平板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접촉부를 가지며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탄성편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연설(延設)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설부에 상기 제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조에 의하면, 탄성편부와 전력공급기판과의 탄성적 접촉에 의해, 탄성편부의 제2 접촉부를 전극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평판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높은 제1 부분으로부터 연설부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설부의 제1 접촉부가 기판의 단자와 접촉하고 있을 때의 기판으로부터의 반력을 제1 부분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판으로부터의 반력이 제2 접촉부와 전력공급기판과의 접촉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전력공급기판이 상기 샤시에 고정되어 있으며, 서로 결합된 기판, 커넥터 및 전력공급기판을 일괄하여 샤시에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 커넥터 및 전력공급기판을 샤시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기판, 커넥터 및 전력공급기판을 샤시에 장착하는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앞서 설명한 이점, 특징 및 효과, 또한 다른 이점,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넥터의 장착에 관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접속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를 저감함으로써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구비한 백라이트장치의 주요부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백라이트장치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비스듬하게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주변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콘택트의 우측면도이며, 도 4의 (B)는 콘택트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4의 (C)는 콘택트를 좌측에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넥터 주변의 단면도이며, 커넥터를 좌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커넥터 및 한 쌍의 피복전선의 일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백라이트장치의 조립 및 분해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백라이트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력공급기판의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백라이트장치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백라이트장치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장치(1)의 주요부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백라이트장치(1)의 주요부를 우측에서 비스듬히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장치(1)는 액정패널 등의 비자발광식의 표시부재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장치이다. 이 백라이트장치(1)는 액정 텔레비젼 등의 액정표시장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액정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백라이트장치(1)는 액정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광확산판의 상하의 엣지에 LED가 배치된 엣지식의 백라이트장치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에 대해서 말할 때는, 백라이트장치(1)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 볼 때의 좌우, 상하 및 전후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백라이트장치(1)는 몸체로서의 샤시(2)와, 샤시(2)에 지지되는 발광유니트(3) 및 하네스(4, harness)를 구비하고 있다.
샤시(2)는 금속제의 일체 성형품으로, 두께가 1mm 정도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샤시(2)는 직사각형 판상의 주벽(5)과, 주벽(5)의 외주 가장자리부 (5a)로부터 전방(앞)을 향해서 수직하게 연장하는 세로벽으로서의 둘레벽(6)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샤시(2) 및 둘레벽(6) 중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둘레벽(6)은 주벽(5)의 상단 가장자리부(5b)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지는 제1 세로벽으로서의 상벽(7)과, 주벽(5)의 좌단 가장자리부(5c)로부터 전방으로 세워지는 제2 세로벽으로서의 좌벽(8)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둘레벽(6)은 주벽(5)의 외주 가장자리부(5a)의 모든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7)은 좌우방향(X1)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좌벽(8)은, 상하방향(Y1)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좌벽(8)의 상단과 상벽(7)의 좌단은 연속하고 있으며 협동하여 둘레벽(6)의 모서리부(9)를 형성하고 있다. 이 모서리부(9)(상벽(7)의 좌단)에는, 상부방향(Y2)을 향해서 움푹 파여진 웅덩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웅덩이부(11)는, 샤시(2)의 외측을 향해서 움푹 파여져 있다. 웅덩이부(11)의 폭(좌우방향(X1)의 길이)은 약 10 mm 정도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둘레벽(6) 및 주벽(5)의 협동에 의해서, 샤시 내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벽(5) 및 둘레벽(6)의 협동에 의해서 하네스(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홈(13)은, 주벽(5)과, 웅덩이부(11)와, 좌벽(8)과의 협동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3)은, 주벽(5)의 주면(5d)을 후방으로 움푹 파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13)의 저부는, 제1 저면(15) 및 제2 저면(16)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저면(15)은 주벽(5)의 좌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저면(16)은 제1 저면(15)과 대비하여 주벽(5)의 주면(5d)으로부터의 깊이가 얕게 되어 있다.
이 수용홈(13)의 전방(앞)에는, 광확산시트(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광확산시트는, 주벽(5)의 주면(5d)상에 배치되어 발광유니트(3)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발광유니트(3)는 기판본체(21) 및 단자부(22)를 포함하는 기판(20)과, 기판본체(21)에 실장된 발광소자로서의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23)를 포함하고 있다.
기판(2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제의 재료의 표면에 절연성의 제1 레지스터층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기판(20)은 제1 레지스터층상에 도체패턴이 더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위에 제2 레지스터층이 형성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기판(20)은 방열성이 뛰어난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제의 재료를 모재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판(20)은 기판본체(21)와 단자부(22)를 포함하고 있다. 기판본체(21)는 주벽(5)의 상단 가장자리부(5b)와 평행한 좌우방향(X1)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방향(X1)과 관련된 기판본체(21)의 중간부에는, 나사삽통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20)의 단자부(22)는, 기판본체(21)의 좌단부(21c)(기판(20)의 길이방향의 일부인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부(22)는 기판본체(21)의 후방 가장자리부1b)로부터 후방방향(Z3)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22)가 마련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기판(20)은 카드엣지형의 기판이 되고 있다.
단자부(22)에는 노출한 한 쌍의 전극단자(24, 25)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단자(24, 25)는, 기판(20)의 실장면(20a)(기판(20)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다.이들 한 쌍의 전극단자(24, 25)는, 좌우방향(X1)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전극단자(24, 25)는, 각각, 기판(20)의 내부에서, 각 LED(23)의 양극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전극단자(24, 25)는 직사각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각 전후방향(Z1)으로 연장하고 있다.
각 LED(23)는, 백색 다이오드 등이며, 기판(20)의 실장면(20a)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기판본체(21)에 실장되는 LED의 수는, 1개 이상이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 LED(23)는 좌우방향(X1)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실장면(20a)에 고정되어 있다. 각 LED(23)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장면(20a)과 직교하는 방향(하부방향(Y3))을 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LED(23)는 샤시 내 공간(12)에 광을 조사하게 되어 있다.
각 LED(23) 가운데, 기판(20)의 좌단에 배치된 LED(231)는, 단자부(22)에 연결되어 있다. LED(231)와, 단자부(22)와, 후술하는 커넥터 하우징(36)은 전후방향(Z1)(제2 방향(D2))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LED(231)를 「정렬발광소자」라고 한다.
각 LED(23)는, 단자부(22)의 전방(앞)에 배치되어 있다. 즉, 좌우방향(X1)으로 늘어서는 각 LED(23)의 후단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면에 대해서, 단자부(22)가 방향(Z3)을 따라서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20)은, 고정부재로서의 고정나사(27)를 이용하여, 샤시(2)의 상벽(7)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벽(7)에 나사구멍(7a)이 형성되며, 고정나사(27)는 기판본체(21)의 나사삽통공(21a)을 삽입통과하고, 또한, 상벽(7)의 나사구멍(7a)에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은 상벽(7)을 따르도록 하여 이 상벽(7)에 고정되며, 전후방향(Z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기판(20)은 주벽(5)에 대해서 세워지는 제1 방향(D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제1 방향(D1)은 전방방향(Z2)과 동일한 방향임). 이와 같이, 기판(20)은 주벽(5)에 대해서 세워지도록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네스(4)는 주벽(5)의 후방에 배치된 전원회로(28)와 발광유니트(3)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하네스(4)는 수용홈(13)에 수용되며, 한 쌍의 피복전선(31, 32)과, 이들 한 쌍의 피복전선(31, 32)에 접속된 커넥터(33)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피복전선(31, 32)은 커넥터(33)와 전원회로(28)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이다. 각 피복전선(31, 32)은 좌우방향(X1)으로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수용홈(13)에 수용되어 있다. 각 피복전선(31, 32)의 일단부(31a, 32a)는 커넥터(33)에 접속되어 있다. 각 피복전선(31, 32)의 타단부(31b, 32b)는 샤시(2)의 주벽(5)의 수용홈(13)의 제2 저면(16)에 형성된 관통공(5e)을 지나 주벽(5)의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전원회로(2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2에서는 각 피복전선(31, 32)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평행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피복전선(31, 32)은 트위스트되어 있어도 된다.
각 피복전선(31, 32) 가운데, 일단부(31a, 32a) 및 그 근방이 제1 저면(15)을 따르고 있으며, 타단부(31b, 32b) 및 중간부(31c, 32c)가 제2 저면(16)을 따르고 있다.
커넥터(33)는 수용홈(13)에 수용되어 있다. 도 3은, 커넥터(33) 주변의 정면도이며,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는, 커넥터(33)에 기판(20)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33)는 좌우 한 쌍의 도전성의 콘택트(34, 34)와, 이들 콘택트(34, 34)를 지지하는 절연성의 커넥터 하우징(36)을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콘택트(34, 34)는 좌우방향(X1)으로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36)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콘택트(34, 34)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좌측의 콘택트(34)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우측의 콘택트(34)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A)는 콘택트(34)의 우측면도이며, 도 4의 (B)는 콘택트(34)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4의 (C)는 콘택트(34)를 좌측에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4의 (C)를 참조하면, 콘택트(34)는 두께가 1 mm 미만 정도의 얇은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고, 또한 소정의 형상으로 굽혀서 형성된 일체 성형품이다. 상기 금속판은, 예를 들면 동, 황동, 인청동 등의 탄성을 가지는 도전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 금속판의 표면에 주석, 금 등의 도금이 행해진 것이어도 된다.
콘택트(34)는 L자형상으로 형성된 일체 성형품이며, 서로 직교하는 제1 부분(41)과 제2 부분(42)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41)은 피복전선(31)의 일단부(31a)에서 피복부(38)로부터 외부로 노출하고 있는 심선(芯線)(37)에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1 부분(41)은 주벽(5)의 수용홈(13)의 제1 저면(15)과 평행하게(상하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부분(41)은 상하방향(Y1)으로 연장하는 제1 부분본체(44)와, 제1 부분본체(44)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피복전선(31)의 일단부(31a)의 피복부(38)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45)와, 제1 부분본체(44)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피복전선(31)의 심선(37)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46)를 포함하고 있다. 제2 고정부(46)는, 피복전선(31)의 심선(37)에 압착되어 있으며, 이 심선(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있다.
도 5는, 커넥터(33) 주변의 단면도이며, 커넥터(33)를 좌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콘택트(34)의 제2 부분(42)은 기판(20)의 단자부(22)의 전극단자(2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제2 부분(42)은 제1 부분본체(44)의 상단부로부터 전방방향(Z2)(제1 방향(D1))으로 세워져 있으며, 수용홈(13)의 제1 저부(1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4의 (A), 도 4의 (B) 및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제2 부분(42)은 제2 부분본체(48)와, 고정편부(49)와, 탄성편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부분본체(48)는, 좌편부(左片部)(48a)와, 상편부(上片部)(48b)와, 하편부(下片部)(48c)와, 우편부(右片部)(48d)를 포함하고 있다. 좌편부(48a)는 제1 부분본체(44)의 상단부로부터 전방방향(Z2)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편부(48b)는 좌편부(48a)의 후부 상단으로부터 전방방향(Z2)으로 연장하고 있다.
하편부(48c)는 좌편부(48a)의 앞부분 하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하편부(48c)와 상편부(48b)는 전후방향(Z1)의 위치가 어긋나 있으므로, 방향(Y3)으로부터 보아 겹치는 부분이 없다. 하편부(48c)는 탄성편부(50)과 상하방향 (Y1)으로부터 보아 겹쳐져 있다.
우편부(48d)는 하편부(48c)의 우단으로부터 방향(Y2)으로 연장하고 있다. 우편부(48d), 하편부(48c) 및 좌편부(48a)에 의해서, 탄성편부(50)를 보호하는 보호벽(48e)이 형성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편부(49)는 콘택트(34)를 커넥터 하우징(36)에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고정편부(49)는 하편부(48c)로부터 후방에서 비스듬하게 아래로 연장하고 있다.
탄성편부(50)는 기판(20)의 단자부(22)의 전극단자(24)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편부(50)는 하편부(48c)의 전단으로부터 연장하는 굴곡부(50a)와, 굴곡부(50a)에 연속하는 산형부(山形部)(50b)를 포함하고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굴곡부(50a)는 보호벽(48e)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굴곡부(50a)는 전방방향(Z2)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매끄러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형부(50b)는 상부방향(Y2)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산모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보호벽(48e)의 상방(上方)으로 나와 있다. 산형부(50b)의 꼭대기부에 접촉부(50c)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50c)는 단자에 접촉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 하우징(36)은 수용홈(13)의 제1 저면(15)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6)의 전체가, 수용홈(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6)의 일부가, 샤시(2)의 웅덩이부(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6)은 주벽(5)과 기판(2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36)은 폴리아미드(Polyamide), LCP(Liquid Crystal Polymer), PC(Polycarbonate), PPS(Polyphenylene Sulfide), PBT(Polybuthylene Terephtha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등의 합성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다. 커넥터 하우징(36)은 수용홈(13)의 제1 저면(15)과 전후방향(Z1)으로 인접하는 다리부(51)와, 다리부(51)로부터 전방방향(Z2)을 향해서 연장하는 머리부(52)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커넥터(33) 및 한 쌍의 피복전선(31, 32)의 일단부(31a, 32a)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51)는 주벽(5)의 제1 저면(15)상에 배치되어 있다. 다리부(51)는 외주부(54)와, 외주부(54) 내에 배치된 구획부(55)와, 외주부(54)의 전단에 배치된 천판부(天板部)(56)를 포함하고 있다. 외주부(54)는 상하방향(Y1)으로 긴 직사각형의 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부(54)의 하단부에는 절결(切缺)(57)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후방방향(Z3)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를 통해 외주부(54) 내의 공간이 하방(下方)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외주부(54) 내의 공간은, 주벽(5)의 제1 저면(15)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구획부(55)는 좌우방향(X1)과 관련하여 외주부(54)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구획부(55)에 의해서 외주부(54) 내의 공간이 좌우 2개로 구획된다. 이것에 의해, 외주부(54) 내에서 구획부(55)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 쌍의 제1 수용부(61, 6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수용부(61, 61)는 접속부재의 수용부로서 기능한다.
좌측의 제1 수용부(61)에는, 좌측의 피복전선(31)의 일단부(31a) 및 이 일단부(31a)에 고정된 좌측의 콘택트(34)의 제1 부분(41)이 수용되어 있다(도 4의 (C)도 참조). 좌측의 피복전선(31)의 일단부(31a)는 외주부(54)의 하단의 절결(57)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3 및 도 5, 도 6을 참조하면, 천판부(56)는 외주부(54)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외주부(54)의 하측 절반부분을 덮고 있다. 천판부(56)에는 일방의 피복전선(31)의 일단부(31a)가 근접하고 있다. 이 일단부(31a)는 수용홈(13)의 제1 저부(15)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의 피복전선(31)의 심선(37)과 제1 저면(15)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외주부(54)의 후단을 막지 않고, 일방의 피복전선(31)의 심선(37)으로부터 전류가 리크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홈(13)의 제2 저면(16)은 제1 저면(15) 보다 주면(5d)으로부터의 깊이가 얕게 되고 있으며, 수용홈(13) 내에 있어서, 제2 저면(16)상에 한 쌍의 피복전선(31, 32)의 중간부(31c, 32c)가 배치되어 있다(도 5에서, 중간부(32c)는 도시하지 않음).
머리부(52)는, 다리부(51)의 상측 절반부분으로부터 전방방향(Z2)을 향해서 기둥형상으로 연장하고 있다. 머리부(52)와, 외주부(54)는 좌우방향(X1)의 폭이 일치하고 있으며, 또한 좌우방향(X1)의 위치가 맞춰져 있다. 또한, 머리부(52)의 상단 위치와 외주부(54)의 상단 위치가 맞춰져 있다.
머리부(52)는,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제1 수용부(61)에 연속하고 있는 제2 수용부(62)와 삽입오목부(63)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수용부(62)는, 머리부(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수용부(62)는 좌측의 콘택트(34)의 제2 부분(42)을 수용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으며, 다리부(51)로부터 전방방향(Z2)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 수용부(62)의 내측면에는 고정홈(6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64)에 콘택트(34)의 고정편부(49)가 배치되어 있다. 고정홈(64)의 후단은 계단부로 되어 있으며, 이 계단부에 고정편부(49)의 후단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의 콘택트(34)가 커넥터 하우징(6)에 유지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수용부(61) 및 제2 수용부(62)를 포함하는 콘택트 수용부(60)가 형성되고 있다. 콘택트 수용부(60)에는, 커넥터 하우징(36)의 후방으로부터 전방방향(Z2)을 향해서 콘택트 수용부(60) 내로 삽입된 좌측의 콘택트(34)가 배치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콘택트 수용부(60)는 구획부(55)의 우측에도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우측의 콘택트 수용부(60)에 우측의 콘택트(34)가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콘택트 수용부(60)에 있어서의 우측의 콘택트(34)의 수용상태는, 좌측의 콘택트 수용부(60)에 있어서의 좌측의 일방의 콘택트(34)의 수용상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삽입오목부(63)는 머리부(52)에서 제2 수용부(62)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으며, 다리부(51)에 대해서 제1 방향(D1)측으로 연장하고 있고, 머리부(52)의 전단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삽입오목부(63)는 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후방방향(Z3))을 따라서, 기판(20)의 단자부(22)를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삽입오목부(63) 내의 형상은, 기판(20)의 단자부(22)의 외형형상과 합치하고 있다. 삽입오목부(63) 내에는 한 쌍의 콘택트(34, 34)의 탄성편부(50, 50)의 접촉부(50c, 50c)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부(50c, 50c)는 좌우방향(X1)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부(50c, 50c)에는 삽입오목부(63)에 삽입된 단자부(22)의 한 쌍의 전극단자(24, 25)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삽입오목부(63) 내에 기판(20)의 단자부(22)가 삽입되었을 때, 각 콘택트(34, 34)의 탄성편부(50, 50)는 탄성변형한다. 이 때, 기판본체(21)의 후방 가장자리부(21b)는 머리부(52)의 전방단면(52b)에 받아들여진다.
커넥터 하우징(36)의 상부(36a), 즉 다리부(51)의 상부 및 머리부(52)의 상부는, 샤시(2)의 웅덩이부(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벽(7)에 고정된 기판(20)의 단자부(22)와 삽입오목부(63)가 상하방향(Y1)의 위치를 맞춘다.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장치(1)에는, 커넥터(33)를 샤시(2)의 수용홈(13) 내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기구(66)가 구비되어 있다. 유지기구(66)는 커넥터(33)의 커넥터 하우징(36)과 수용홈(13)을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지기구(66)는 수용홈(13)의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과, 커넥터 하우징(36)에 형성된 제1 돌기(81) 및 제 2 돌기(82)로 구성된다.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은 유지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측면(71)은 샤시(2)의 좌벽(8)의 내측면 가운데, 수용홈(13)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이며,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면(72)은 샤시(2)의 주벽(5)에 의해서 형성된 평탄한 면이다.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은 좌우방향(X1)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1 측면(71)의 후단 가장자리 및 제2 측면(72)의 후단 가장자리는 제1 저면(15)을 통하여 연속하고 있다.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는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 사이에 끼워져 있다.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는 피유지부로서 마련되어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36)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돌기(81)는 다리부(51)의 좌측면(54a)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돌기(81)의 선단은 제1 측면(71)과 평행한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제2 돌기(82)는 다리부(51)의 우측면(54b)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돌기(82)의 선단은 제2 측면(72)과 평행한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제1 돌기(81)의 선단과 제2 돌기(82)의 선단과의 사이의 좌우방향(X1)의 거리는, 커넥터(33)가 수용홈(13)에 배치되지 않을 때의 제1 측면(71)과 제2 측면(72)과의 사이의 좌우방향(X1)의 거리와 비교해서, 약간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6)이 수용홈(13)에 수용되었을 때, 제1 돌기(81)는 제1 측면(71)에 받아들여져 마찰접촉하고, 제2 돌기(82)는 제2 측면(72)에 받아들여져 마찰접촉한다. 즉, 제1 돌기(81)는 제1 측면(71)에 받아들여지고 제2 돌기(82)는 제2 측면(72)에 받아들여진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6)이 수용홈(13) 내에 유지된다.
이상의 개략적인 구성을 가지는 백라이트장치(1)의 조립의 주요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백라이트장치(1)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네스(4)를 수용홈(13)의 전방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하네스(4)의 커넥터(33) 및 한 쌍의 피복전선(31, 32)을 샤시(2)에 대해서 제2 방향(D2)(후방방향(Z3))으로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도 3 및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네스(4)의 커넥터(33) 및 한 쌍의 피복전선(31, 32)을 수용홈(13) 내에 배치한다. 이때, 유지기구(66)의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가, 수용홈(13)이 대응하는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에 마찰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6)이 수용홈(13)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발광유니트(3)를 샤시(2)의 전방에 배치한다. 이 상태로부터, 발광유니트(3)를 제2 방향(D2)(후방방향(Z3))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유니트(3)의 단자부(22)가 커넥터(33)의 삽입오목부(63)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34)의 탄성편부(50)가 탄성변형하면서, 단자부(22)의 각 전극단자(24, 25)가 대응하는 접촉부(50c, 50c)에 접촉한다(도 5에서는, 단자(25) 및 단자(25)에 접촉하는 접촉부(50c)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음).
다음으로, 고정나사(27)를 기판본체(21)의 나사삽통공(21a)에 삽입통과시키며, 또한 샤시(2)의 상벽(7)의 나사구멍(7a)에 나사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이 상벽(7)에 고정된다.
한편, 백라이트장치(1)를 분해할 때에는, 먼저,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나사(27)를 상벽(7)으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으로,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유니트(3)를 주벽(5)에 대해서 제1 방향(D1)(전방방향(Z2))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발광유니트(3)의 기판(20)과 커넥터(33)와의 접속이 해제되며, 한 쌍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와 한 쌍의 전극단자(24, 25)와의 접속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네스(4)를 주벽(5)에 대해서 제1 방향(D1)(전방방향(Z2))으로 변위함으로써 수용홈(13)으로부터 떼어낸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벽(5)에 대해서 세워지는 방향(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을 따라서 기판(20)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기판(20)의 단자부(22)를 커넥터 하우징(36)의 삽입오목부(63)에 삽입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기판(20)의 전극단자(24, 25)를 대응하는 콘택트(34, 34)의 접촉부(50c, 50c)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즉, 샤시(2)의 주벽(5)의 앞의 넓은 공간에서, 기판(20)을 제2 방향(D2)(후방방향(Z3))을 따라서 커넥터(33)를 향하여 변위시킴으로써, 기판(20)을 커넥터(33)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0)을 커넥터(33)에 접속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을 커넥터(33)로부터 떼어낼 때는, 기판(20)을 커넥터(33)에 대해서 전방방향(Z2)(제1 방향(D1))으로 변위시키면 된다. 즉, 기판(20)을 기판(20)의 전방의 넓은 공간을 향하여 끌어당기면 된다. 이 때문에, 기판(20)을 커넥터(33)로부터 떼어낼 때에, 기판(20)을 커넥터(33)의 주위의 좁은 공간에서, 주벽(5)의 주면(5d)과 평행한 방향(상하방향(Y1) 및 좌우방향(X1))으로 변위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판(20)의 교환 등을 행할 때에, 기판(20)을 커넥터(33)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샤시(2)의 주벽(5) 앞의 넓은 공간에서, 기판(20)을 커넥터(33)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판(20)을 파지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을 작업자의 손이나 로봇 암 등으로 강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게다가 기판(20)을 움직이기 쉽기 때문에, 기판(20)의 단자부(22)를 커넥터(33)의 삽입오목부(63)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20)의 각 전극단자(24, 25)와 콘택트(34)의 대응하는 접촉부(50c, 50c)를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의 단자부(22)를 커넥터(33)의 삽입오목부(63)에 찔러 넣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판(20)이 직접 커넥터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에는 커넥터(33)에 접속하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수커넥터 등)를 실장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 점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별도의 커넥터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백라이트장치(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기판(20)과 커넥터(33)를 접속할 때, 샤시(2)의 주벽(5)의 근방에서 기판(20)과 커넥터(33)를 주벽(5)의 주면방향(좌우방향(X1) 및 상하방향(Y1))으로 상대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이나 커넥터(33)의 주변에, 기판(20)과 커넥터(33)를 주벽(5)의 주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기 위한 스페이스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에 의해, 둘레벽(6)의 바로 근방에까지 LED(23, (231))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장치(1)의 좌벽(8)의 주변에서 한층 더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2)는 기판본체(21)의 좌단부(21c)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자부(22)를 기판본체(21)의 길이방향의 일부인 단부에만 배치함으로써,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을 커넥터(33)에 접속할 때, 기판(20)으로부터 커넥터(33)로 전해지는 힘은, 기판본체(21)의 좌단부(21c) 에 배치된 단자부(22)에 집중한다. 이것에 의해, 단자부(22)를 삽입오목부(63)에 끼워넣는 작업을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LED(231)는 단자부(22)와는 제2 방향(D2)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단자부(22)와, LED(231)와, 주벽(5)가 똑바로 늘어선 방향이 제2 방향(D2)이 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부(22)와, LED(231)와, 주벽(5)이 똑바로 늘어서도록 한 상태에서, 기판(20)을 커넥터(33)를 향하여 변위시키면 제2 방향(D2)에 따라서 기판(20)을 커넥터(33)를 향해서 변위시키게 된다.
따라서, LED(231) 및 단자부(22)를, 커넥터(33)로 기판(20)을 찔러 넣는 방향(제2 방향(D2))을 가리키는 안내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을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커넥터(33)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2)와 LED(231)를 제2 방향(D2)으로 늘어놓음으로써, 기판(20)의 좌우방향(X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나사(27)를 이용하여 기판본체(21)를 샤시(2)에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2)에 기판본체(21)를 유지하는 기능을 겸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전용의 받침자리가 불필요하여,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기판본체(21)를 샤시(2)에 고정하므로, 기판본체(21)의 위치가 샤시(2)에 대해서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어긋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그 결과, 기판(20)이 커넥터(33)로부터 빠져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벽(7)과 기판본체(21)를 평행하게 따르게 한 상태에서 기판본체(21)를 상벽(7)에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벽(7) 및 기판(20)이 전체로서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6)은, 주벽(5)과 기판(2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36) 내의 콘택트 수용부(60)는 주벽(5)을 향해서 개방되어 있다. 즉, 주벽(5)과 커넥터 하우징(36)과 기판(20)의 좌단부(20c)를 전후방향(Z1)으로 겹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를 보다 소형화(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6) 내의 공간과 주벽(5)과의 사이에는, 커넥터 하우징(36)의 벽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전후방향(Z1)과 관련하여 커넥터 하우징(36)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를 보다 소형화(얇게)할 수 있다.
또한, 삽입오목부(63)를 다리부(51)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6) 가운데, 각 콘택트(34, 34)의 접촉부(50c, 50c)를 수용하는 부분의 주변만을 다리부(51)로부터 연장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33)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택트(34)의 접촉부(50c, 50c)를 커넥터(33) 가운데, 제1 방향(D1)의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20)을 삽입오목부(63)에 찔러 넣기 시작한 시점부터, 기판(20)의 각 전극단자(24, 25)에, 대응하는 콘택트(34)의 접촉부(50c, 50c)를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의 각 전극단자(24, 25)와 각 콘택트(34, 34)의 대응하는 접촉부(50c, 50c)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택트(34, 34)의 접촉부(50c, 50c)와 샤시(2)의 주벽(5)과의 사이에, 피복전선(31, 32)의 일단부(31a, 32a)를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36) 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택트(34, 34)의 제1 부분(41, 41)은 주벽(5)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부분(42, 42)은 제1 부분(41, 41)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2)의 주벽(5)으로부터의 각 콘택트(34, 34)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샤시(2)의 주벽(5)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각 콘택트(34, 34)의 제1 부분(41, 41)에, 대응하는 피복전선(31, 32)의 일단부(31a, 32a)를 접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제1 부분(41, 41)을 샤시(2)의 주벽(5)과 평행하게 따르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방향(D1)과 관련하여 백라이트장치(1)가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보다 적게 할 수 있어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택트(34, 34) 가운데, 제2 부분(42, 42)에 접촉부(50c, 50c)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방향(D2)으로 대체로 따르도록 각 제2 부분(42, 42)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삽입오목부(63)에 삽입된 단자부(22)의 각 전극단자(24, 25)와 제2 부분(42, 42)과의 서로의 대향 부분을 제2 방향(D2)과 관련하여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의 각 전극단자(24, 25)와, 각 콘택트(34, 34)의 제2 부분(42, 42)의 접촉부(50c, 50c)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어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각 제1 부분(41, 41)은 주벽(5)의 주면(5d)과 평행이므로, 커넥터(33)가 대형이 되지 않아 백라이트장치(1)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주벽(5)에 홈형상(수용홈(13))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주벽(5)의 굽힘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2)의 주벽(5)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주벽(5)을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벽(5) 가운데, 커넥터(33)를 수용하는 부분 등의 일부만을 움푹 파이게 하면 된다. 따라서, 주벽(5)이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적게 할 수 있어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유지기구(66)를 이용함으로써, 커넥터(33)를 주벽(5)에 일정한 유지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33)가 충격이나 진동으로 주벽(5)에 대해서 예기치 못하게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33)가 기판(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시(2)의 수용홈(13)에 형성된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과, 대응하는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와의 결합에 의해, 커넥터(33)가 기판(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접속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33)의 커넥터 하우징(36)을 샤시(2)에 대해서 제2 방향(D2)으로 변위시킨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커넥터 하우징(36)을 수용홈(13)에 유지할 수 있다. 즉, 평탄한 제1측면(71) 및 제2 측면(72)과 대응하는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를 마찰접촉시킨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으로, 커넥터 하우징(36)을 수용홈(13)에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속 불량을 억제하면서, 커넥터(33)를 주벽(5)에 조립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은 평탄하므로, 대응하는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가 접촉 가능한 범위가 넓다. 따라서, 커넥터(33)의 커넥터 하우징(36)을 수용홈(13)에 장착할 때에, 수용홈(13)에 대한 커넥터 하우징(36)의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높게 할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33)를 주벽(5)에 장착하는 작업을 보다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주벽(5)은, 대형의 패널이므로, 복잡하고 정밀도가 높은 형상을 비교적 형성하기 어렵다. 이 점을 고려하여, 주벽(5)의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은, 심플한 형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수지의 사출 성형 등으로 복잡한 형상으로 비교적 제작하기 쉬운 커넥터 하우징(36)에,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를 마련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기구(66)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3)를 수용하는 수용홈(13)에 피복전선(31, 32)을 수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홈(13)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장치(1)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3) 가운데, 커넥터(33)를 수용하고 있는 제1 저면(15) 주변의 부분의 깊이보다도 피복전선(31, 32)의 중간부(31c, 32c)를 수용하고 있는 제2 저면(16) 주변 부분의 깊이가 얕다. 이와 같이, 수용홈(13)에 수용하는 부재의 형상에 맞추어 수용홈(13)의 깊이를 변경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홈(13)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장치(1)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샤시(2)의 둘레벽(6)과 주벽(5)와의 협동에 의해 수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둘레벽(6)을 수용홈(13)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주벽(6) 주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장치(1)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둘레벽(6)에 웅덩이부(11)가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샤시(2)의 굽힘강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2)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샤시(2)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백라이트장치(1)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점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도면에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기판(20)에 대신하여,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내는 기판(20A)을 이용해도 된다. 기판(20A)이 기판(20)과 달라져 있는 것은, 기판본체(21)의 좌단부(21c)에 단자부(22)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기판본체(21)의 우단부(21d)에도 단자부(22A)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단자부(22)와 단자부(22A)는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22A)의 전극단자(24A, 25A)는 복수의 LED(23) 중, 예를 들면 우측반분의 LED(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22)의 전극단자(24, 25)는 복수의 LED(23) 중, 예를 들면 좌측 절반부분의 LED(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백라이트장치(1A)에는, 단자부(22A)에 접속되는 하네스(4A) 및 이 하네스(4A)를 수용하는 수용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하네스(4A)는, 하네스(4)와 좌우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수용홈(13A)은 수용홈(13)과 좌우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판(20A)의 단자(24A, 25A)에는 하네스(4A)의 커넥터(33A)의 대응하는 한 쌍의 접촉부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홈(13, 13A)에는 커넥터(33, 33A)의 전부가 수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만이 수용홈(13, 13A)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3)의 커넥터 하우징(36)에,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의 리테이너(84)를 마련해도 된다. 리테이너(84)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 하우징(36)의 외주부(54)를 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리테이너(84)는 커넥터 하우징(36)의 외주부(54)와 수용홈(13)의 제1 저면(15)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84)는 도시하지 않은 래칫부 등을 이용하여, 외주부(54)에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34)를 흐르는 전류가 샤시(2)로 리크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기구(66)의 제1 돌기(81) 및 제2 돌기(82)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 하우징(36)의 좌측면이, 수용홈(13)의 제1 측면(71)에 마찰접촉하고, 커넥터 하우징(36)의 우측면이 수용홈(13)의 제2 측면(72)에 마찰접촉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36)의 제1 측면(71) 및 제2 측면(72)에 각각 돌기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가 커넥터 하우징(36)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마찰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백라이트장치(1)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커넥터(33)를 샤시(2)의 수용홈(13)에 장착한 후, 기판(20)을 커넥터(33)에 접속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33)를 샤시(2)의 수용홈(13)에 장착하기 전에, 커넥터(33)를 기판(20)의 단자부(22)에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33)와 기판(20)이 결합된 서브어셈블리를 샤시 내 공간(12)을 향해서 변위시킴으로써, 커넥터(33)가 수용홈(13)에 수용되고, 또한 서브어셈블리가 샤시 내 공간(12)에 배치된다.
또한, 백라이트장치(1)에 구비되는 발광유니트(3) 및 하네스(4)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개의 백라이트장치에 발광유니트(3) 및 하네스(4)를 복수 이용해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커넥터의 장착구조를 구비하는 백라이트장치(1B)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백라이트장치(1B)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이 백라이트장치(1B)에서는, 하네스(4)(도 1 참조)가 폐지되어 있다. 각 기판(20B)에는, 대응하는 커넥터(91, 92)를 통하여 전력공급기판(93)이 접속되어 있다.
백라이트장치(1B)는 샤시(2B)와 2개의 발광장치(94, 95)를 구비하고 있다. 샤시(2B)의 주벽(5B)은 요철이 없는 평탄한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벽(5B)은 전방을 향하는 제1 주면(96)과, 후방을 향하는 제2 주면(97)을 가지고 있다. 주벽(5B) 가운데, 상벽(7B)의 근방 및 하벽(98)의 근방에는, 각각 삽통공(99)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99)은 기판(20B)의 수와 동일한 수(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정면에서 보아, 둘레벽(6B)은 주벽(5B)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발광장치(94, 95)는 좌우방향(X1)에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발광장치(94, 95)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우측의 발광장치(94)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좌측의 발광장치(95)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광장치(94)는 상하방향(Y1)으로 늘어선 한 쌍의 발광유니트(3B, 3B)와, 커넥터(91, 92)와, 전력공급기판(93)을 구비하고 있다.
각 발광유니트(3B, 3B)의 기판(20B, 20B)은 좌우방향(X1)과 관련하는 기판본체(21B)의 중앙부에 단자부(22B)가 배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T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기판(20B, 20B)은, 주벽(5B)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기판(20B)의 기판본체(21)는 둘레벽(6B)의 하벽(98)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의 기판(20B)의 기판본체(21)는 주벽(6B)의 상벽(7B)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각 기판(20B, 20B)을 둘레벽(6B)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서 나사부재나 접착제를 예시할 수 있다.
커넥터(91, 92) 및 전력공급기판(93)은 주벽(5B)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커넥터(91, 92)는 대응하는 기판(20B, 20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커넥터(91, 92)는 전력공급기판(93)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91)는, 주벽(5B)의 우측하부의 삽통공(99)을 지나, 대응하는 기판(20B)의 단자부(22B)에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92)는, 주벽(5B)의 우측상부의 삽통공(99)을 지나, 대응하는 기판(20B)의 단자부(22B)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공급기판(93)은, 각 커넥터(91, 92)를 통하여 대응하는 기판(20B, 20B)의 LED(2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각 커넥터(91, 92)에 결합되어 있다. 전력공급기판(93)은 상하방향(Y1)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인버터 회로(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2는 전력공급기판(93)의 주요부의 배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력공급장치(93)는, 기판본체(101)와, 기판본체(101)로부터 상하로 돌출하는 전극부(102, 103)를 가지고 있다.
일방의 전극부(102)는 전력공급기판(93)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타방의 전극부(103)는 전력공급기판(9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전극부(102, 103)의 배면에는, 2개의 전극(106, 107)이 배치되어 있다. 2개의 전극(106, 107)의 일방은 양극이며, 타방은 음극이다.
전극부(102, 103)의 폭(좌우방향(X1)의 길이)은, 기판본체(101)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본체(101)와 일방의 전극부(102)와의 경계부에 계단부(104)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기판본체(101)와 타방의 전극부(103)과의 경계부에 계단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91)와, 우축하부의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에 의해서, 제1 기판유니트(10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92)와, 우측상부의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의 전극부(103)에 의해서, 제2 기판유니트(109)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기판유니트(109)는 제1 기판유니트(108)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기판유니트(108)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제2 기판유니트(109)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도 11의 XIII-XIII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넥터(91)는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을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커넥터(91)는, 주벽(5B)의 제2 주면(97)측(주벽(5B)의 제1 주면(9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91)의 전방단부(110)는 주벽(5B)의 삽통공(99)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넥터(91)는, 삽통공(99)을 지나 주벽(5B)의 전방에 노출되어 있다.상하방향(Y1)과 관련하여, 삽통공(99)이 하벽(98)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커넥터(91)는 하벽(98)의 상방 및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14는, 커넥터(91)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커넥터(91)는, 절연성의 커넥터 하우징(111)과 커넥터 하우징(111)에 유지된 좌우 한 쌍의 콘택트(112, 113)를 포함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111)은, 내열성이 뛰어난 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 일체 성형품이며, 사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11)에는, 제1 삽입오목부(121) 및 제2 삽입오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오목부(121)는,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방단면(111a)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 삽입오목부(121)에는, 기판(20B)의 단자부(22B)가 삽입되어 있다. 제1 삽입오목부(121)는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방단면(111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좌우방향(X1)을 따라서 볼 때, 제1 삽입오목부(121)는 단자부(22B)의 형상에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삽입오목부(121)는 단자부(22B)를 상하방향(Y1)으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부(121a, 121b)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대향부(121a, 121b) 사이의 간격은, 단자부(22B)의 두께보다 조금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부(22B)에 대한 커넥터(91)의 위치가 상하방향(Y1)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단자부(22B)를 제1 삽입오목부(121)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삽입오목부(122)는 커넥터 하우징(111) 가운데, 전력공급기판(93)의 기판본체(101)에 대향하는 대향면(111b)(예를 들면, 상단면)에 개방되어 있다. 제2 삽입오목부(122)는, 제1 삽입오목부(12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삽입오목부(122)에는, 전력공급기판(93)의 일방의 전극부(102)가 삽입되어 있다. 좌우방향(X1)을 따라서 볼 때, 제2 삽입오목부(122)는 전극부(102)의 형상에 대략 합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삽입오목부(122)는 일방의 전극부(102)를 전후방향(Z1)으로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부(122a, 122b)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대향부(122a, 122b) 사이의 간격은, 일방의 전극부(102)의 두께보다 조금 길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일방의 전극부(102)에 대한 커넥터(91)의 위치가 전후방향(Z1)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일방의 전극부(102)를 제2 삽입오목부(122)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력공급기판(93)의 계단부(104)는 커넥터(91)의 커넥터 하우징(111)의 대향면(111b)에 받아들여지고 있다. 전력공급기판(93)의 타방의 계단부(105)는, 커넥터(92)의 커넥터 하우징(111)의 대향면(111b)에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공급기판(93)은 상하방향(Y1)으로 위치결정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기판(20B)의 단자부(22B)는 제2 방향(D2)을 따라서 후방으로 변위됨으로써, 제1 삽입오목부(121)에 삽입된다. 이것에 대해, 일방의 전극부(102)는 상하방향(Y1)(하부방향(Y3))을 따라서 변위됨으로써, 제2 삽입오목부(12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 삽입오목부(121)에 단자부(22B)를 삽입하는 방향과, 제2 삽입오목부(122)에 일방의 전극부(102)를 삽입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콘택트(112, 113)는, 전력공급기판(93)과 기판(20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콘택트(112, 113)는 좌우방향(X1)으로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111)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콘택트(112, 113)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우측의 콘택트(112)에 대해서 주로 설명하고, 좌측의 콘택트(113)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택트(112)는, 두께가 1 mm 미만 정도의 얇은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고, 또한 소정의 형상으로 굽혀서 형성된 일체 성형품이다. 콘택트(112)는 커넥터 하우징(111)에 형성된 유지부(123)에 삽입통과되고 또한 유지되고 있다.
유지부(123)는,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방단면(111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제1 삽입오목부(121) 및 제2 삽입오목부(122)에 연속하고 있다. 상하방향(Y1)과 관련하여, 유지부(123)의 길이는, 제1 삽입오목부(121)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유지부(123)가 마련됨으로 인해서, 제1 삽입오목부(121)의 대향부(121a, 121b)의 일부는, 상하로 움푹 파이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제2 삽입오목부(122)의 대향부(122a)의 일부는, 후방으로 움푹 파이게 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유지부(123)에 유지된 콘택트(112)는, 제1 삽입오목부(121) 내에서 단자부(22B)에 접촉하고, 또한, 제2 삽입오목부(122) 내에서 일방의 전극부(102)에 접촉하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콘택트(112)는 일방의 전극부(102)와 접촉하기 위한 U자형상부(124)와, 이 U자형상부(124)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되어 단자부(22B)와 접촉하기 위한 연설부(125)를 포함하고 있다.
U자형상부(124)는, 좌우방향(X1)을 따라서 볼 때에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U자형상부(124)는, 전후방향(Z1)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 부분(126) 및 제2 부분(127)과, 제1 및 제2 부분(126, 127)의 기단부 사이를 접속하는 제3 부분(128)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126)은 평판상(직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방향(Y1)을 따라서 연장하고 있다. 제1 부분(126)은, 제2 삽입오목부(122)의 대향부(122b)에 인접하고 있으며, 전력공급기판(93)의 일방의 전극부(102)를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부분(127)은, 제1 부분(126)과 평행하게 형성된 평판상의 기초부(127a)와, 기초부(127a)로부터 연장하는 탄성편부(127b)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편부(127b)는, 전체적으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초부(127a)의 선단부(상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굴곡부(127c)와, 굴곡부(127c)에 연속하는 산형부(127d)를 포함하고 있다. 굴곡부(127c)는, 상부방향(Y2)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매끄러운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형부(127d)는, 전방방향(Z2)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산모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제2 삽입오목부(1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산형부(127d)의 꼭대기부에 제2 접촉부(13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접촉부(132)는, 전극(106, 107)의 어느 한 쪽(예를 들면, 전극(106))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2 삽입오목부(122)에 삽입된 일방의 전극부(102)는, U자형상부(124)에 의해 끼워져 있으며, 제2 접촉부(132)와 전극(106)과의 사이에서 충분한 접압이 작용하고 있다.
연설부(125)는, U자형상부(124)의 제1 부분(126)의 선단부(상단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설부(125)는, U자형상부(124)의 제1 부분(126)으로부터 연장하는 평판상의 기초부(125a)와, 이 기초부(125a)로부터 연장하는 탄성편부(125b)를 포함하고 있다.
기초부(125a)는, U자형상부(124)의 제1 부분(126)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다. 기초부(125a)는 단자부(22B)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기초부(125a)의 좌우방향(X1)의 양단부는, 커넥터 하우징(111)에 끼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콘택트(112)가 커넥터 하우징(11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112) 가운데, 탄성변형할 필요가 없는 부분으로서의 기초부(125a)가 커넥터 하우징(111)에 고정되어 있다.
탄성편부(125b)는, 전체적으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초부(125a)의 선단부(전단부)로부터 연장하는 굴곡부(125c)와, 굴곡부(125c)에 연속하는 산형부(125d)를 포함하고 있다. 굴곡부(125c)는, 전방방향(Z2)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매끄러운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산형부(125d)는, 하부방향(Y3)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꼭대기부를 포함하는 일부가 제1 삽입오목부(12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산형부(125d)의 꼭대기부에 제1 접촉부(13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접촉부(131)는 제1 부분(126)에 삽입된 단자부(22B)의 단자(24B, 25B)의 어느 한 쪽(예를 들면, 전극단자(24B))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 삽입오목부(121)에 삽입된 단자부(22B)는 제1 삽입오목부(121)의 대향부(121a)에 받아들여지며, 또한 제1 접촉부(131)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접촉부(131)와, 단자부(22B)와의 사이에서 충분한 접압이 작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공급기판(93)의 전극(106)과, 단자부(22B)의 전극단자(24B)는, 콘택트(112)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111)은, 샤시(2B)에 고정된 기판(20B)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샤시(2B)에는 커넥터 하우징(111)을 지지하기 위한 전용의 부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1 기판유니트(108)의 일부로서의 기판(20B)의 단자부(22B), 및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방단부(111a)는, 주벽(5B)의 삽통공(99)을 삽입통과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주벽(5B)을 사이에 두도록 기판(20B) 및 전력공급기판(93)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백라이트장치(1B)의 조립의 일례의 주요점을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백라이트장치(1B)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단품의 전력공급기판(93)의 각 전극부(102, 103)에 각각 대응하는 커넥터(91, 92)의 제2 삽입오목부(122)를 상하방향(Y1)을 따라서 삽입함으로써, 서브어셈블리(133)를 형성한다.이 서브어셈블리(133)를 2개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어셈블리(133)를 주벽(5B)의 제2 주면(97)측(후방측)에 배치한다. 이때, 각 서브어셈블리(133)의 커넥터(91, 92)의 커넥터 하우징(111)의 전단부(110)를, 대응하는 삽통공(99)에 삽입통과하여 둔다. 다음으로, 4개의 기판(20B)을 준비하고, 각 기판(20B)을 주벽(5B)의 제1 면(96) 측(주벽(5B)의 전방)에 배치한다. 그리고, 각 기판(20B)을 제2 방향(D2)을 따라서 주벽(5B)을 향하여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판(20B)의 단자부(22B)가 주벽(5B)의 삽통공(99)을 삽입통과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1 삽입오목부(12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각 기판(20B)은 주벽(5B)에 고정된다.
한편, 백라이트장치(1B)를 분해할 때는, 각 기판(20B)을 제1 방향(D1)을 따라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판(20B)을 둘레벽(6B)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으로, 각 서브어셈블리(133)를 주벽(5B)에 대해서 제1 방향(D1)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서브어셈블리(133)를 샤시(2B)로부터 떼어낸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커넥터(91, 92)에, 대응하는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의 쌍방을 접속하는 이른바 board to board 접속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과의 사이에 커넥터(91, 92) 이외의 접속부재(전선 등)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을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B)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91, 92)에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을 접속하는 간이한 작업으로, 기판(20B)과 전력공급기판(93)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B)의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LED(23)와는 주벽(5B)을 사이에 둔 반대 측에 전력공급기판(93)을 배치하는 적층구조에 의해, 백라이트장치(1B)를 보다 박형화(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22B)는, LED(23)에 대해서 주벽(5B)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LED(23)를 주벽(5B)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B)를 보다 박형화(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91, 92)의 제2 삽입오목부(122)에 전력공급기판(93)의 대응하는 전극부(102, 103)를 찔러 넣는다고 하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각 커넥터(91, 92)와 전력공급기판(93)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각 커넥터(91, 92)와 전력공급기판(93)을 접속하기 위해서 큰 공간이 필요없기 때문에, 백라이트장치(1B)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삽입오목부(121)에 단자부(22B)를 삽입하는 방향(제2 방향(D2))과, 제2 삽입오목부(122)에 전력공급기판(93)을 삽입하는 방향(상하방향(Y1))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주벽(5B)과 전력공급기기판(93)을 대략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B)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주벽(5B)과 전력공급기판(93)을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LED(23)의 광을 주벽(5B)이 연장하는 방향(상하방향(Y1))과 대략 평행하게 조사할 수 있다. LED(23)의 광을, 주벽(5B)이 연장하는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조사함으로써, 샤시(2B) 내에서의 광의 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백라이트장치(1B)의 소형화라고 하는 효과와, 샤시(2B) 내에서의 광의 강도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라고 하는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전극부(102, 103)를 U자형상부(124)에 의해 끼움으로써, 각 전극부(102, 103)와 U자형상부(124)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기판(93)의 각 전극(106, 107)과 U자형상부(124)의 제2 접촉부(132)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U자형상부(124)에 제2 접촉부(132)를 배치하고 있음으로 인해서, 전력공급기판(93)의 전극(106, 107)과 제2 접촉부(132)를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127b)와 전력공급기판(93)과의 탄성적인 접촉에 의해서, 탄성편부(127b)의 제2 접촉부(132)를, 대응하는 전극(106, 107)에 대해서 보다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평판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높은 제1 부분(126)으로부터, 연설부(125)가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설부(125)의 제1 접촉부(131)가 기판(20B)의 대응하는 전극단자(24B, 25B)와 접촉하고 있을 때의 기판(20B)으로부터의 반력을, 제1 부분(126)에서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기판(20B)으로부터의 반력이 제2 접촉부(132)와 전력공급기판(93)과의 접촉상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전력공급기판(93)에 의해서, 2개의 기판(20B, 20B)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력공급기판(93)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장치(1B)의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기판(20B)을 샤시(2B)에 고정함으로써, 기판(20B, 20B), 커넥터(91, 92) 및 전력공급기판(93)을 일괄하여 샤시(2B)에 고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판(20B, 20B), 커넥터(91, 92) 및 전력공급기판(93)을 샤시(2B)에 장착하기 위한 부착부재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기판(20B, 20B), 커넥터(91, 92) 및 전력공급기판(93)을 샤시(2B)에 장착하는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공급기판(93)은, 커넥터(91, 92) 및 기판(20B, 20B)을 통하여 샤시(2B)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전력공급기판(93)을 주벽(5B)의 제2 주면(97)에 고정함으로써, 전력공급기판(93)을 샤시(2B)에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기판(20B)은 샤시(2B)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발광장치(94)에 기판유니트를 2개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발광장치(94)에 기판유니트를 1개만 마련해도 된다.
또한, 각 전극부(102, 103)의 전면(前面) 및 이면(裏面)의 쌍방으로 전극을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이들 전극을, U자형상부(124)의 제1 부분(126) 및 제2 부분(127)에 형성된 제2 접촉부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공급기판(93)과 커넥터(91, 92)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공급기판(93)과 커넥터(91, 92)와의 사이의 도통 불량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콘택트(112)는, 기판(20B)의 단자부(22B), 및 전력공급기판(93)의 대응하는 전극부(102, 103)의 쌍방과 접촉가능한 형상이면 되고, 상기 설명한 형상 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또한, 콘택트(113)는, 기판(20B)의 단자부(22B), 및 전력공급기판(93)의 대응하는 전극부(102, 103)의 쌍방과 접촉가능한 형상이면 되고, 상기 설명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판(20, 20A, 20B)의 각 단자부(22, 22A, 22B)에 2개의 전극단자(24, 25; 24A, 25a; 24B, 25B)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에 있어서의 단자의 수는, LED의 수×2이어도 된다. 이 경우, 커넥터의 콘택트의 수나, 피복전선의 수도, 기판의 단자의 수와 동일한 만큼 마련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각 LED를 개별적으로 점등·소등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섬세한 점등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기판(20, 20A, 20B)은, 알루미늄합금을 모재로 하여 형성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20, 20A, 20B)은, 프린트 기판 등의 다른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기판(20, 20A, 20B)의 전극단자(24, 25; 24A, 25A; 24B, 25B)는, 기판(20, 20A, 20B)의 실장면(20a)에 더하여 기판(20, 20A, 20B)의 실장면(20a)과는 반대인 이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기판(20, 20A)을 상벽(7)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서 고정나사(27)를 예시했지만, 고정핀 등의 다른 고정부재를 사용해도 되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기판(20, 20A)을 상벽(7)에 고정해도 된다.
또한, 제1 방향(D1)은, 전방방향(Z2)과 일치하는 방향인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방향(D1)은, 전방방향(Z2)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이어도 된다. 이 경우, 기판(20, 20A, 20B) 및 커넥터(33, 33A, 91, 92)의 삽입오목부(63, 121)는, 전방방향(Z2)에 대해서 경사진 제1 방향(D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기판(20, 20A, 20B)은 주벽(5)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발광소자로서 LED를 예시했지만, 유기EL(electroluminescence) 등의 다른 발광소자를 사용해도 된다.
2, 2B : 샤시 5, 5B : 주벽
5b : 상단 가장자리부(주벽의 일가장자리부)
6, 6B : 둘레벽(세로벽) 11: 웅덩이부
13, 13A : 수용홈 20, 20A, 20B : 기판
21 : 기판본체
21b : 후가장자리(기판본체의 일가장자리부)
21c : 좌단부(기판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부)
21d : 우단부(기판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부)
22, 22A, 22B : 단자부 23 : LED(발광소자)
24, 24A, 24B : 단자 25, 25A, 25B : 단자
27 : 고정나사(고정부재) 28 : 전원회로(전원)
31, 32 : 피복전선(접속부재) 31a, 32a : 피복전선의 일단부
33, 33A : 커넥터 34 : 콘택트
36 : 커넥터 하우징 41 : 제1 부분
42 : 제2 부분
45 : 제1 고정부(접속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
50c : 접촉부 51 : 다리부
60 : 콘택트 수용부(커넥터 하우징 내의 공간)
61 : 제1수용부(접속부재 수용부) 63 : 삽입오목부
66 : 유지기구
71 : 제1 측면(수용홈의 측면, 유지부)
72 : 제2 측면(수용홈의 측면, 유지부)
81 : 제1 돌기(피유지부) 82 : 제2 돌기(피유지부)
91, 92 : 커넥터 93 : 전력공급기판
99 : 삽통공 102, 103 : 전극부
106, 107 : 전극 108, 109 : 기판유니트
111 : 커넥터 하우징 112, 113 : 콘택트
121 : 제1 삽입오목부(삽입오목부) 122 : 제2 삽입오목부
124 : U자형상부 125 : 연설부
126 : 제1 부분 127 : 제2 부분
127b : 탄성편부 131 : 제1 접촉부(접촉부)
132 : 제2 접촉부 231 : LED(정렬발광소자)
D1 : 제1 방향 D2 : 제2 방향

Claims (26)

  1. 판상(板狀)의 주벽(主壁)을 포함하는 샤시와,
    상기 샤시 내로 향해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가 실장된 기판본체, 이 기판본체의 일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하는 단자부, 및 이 단자부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단자를 가지며, 상기 주벽에 대해서 세워지는 제1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상의 기판과,
    상기 샤시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본체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는 상기 기판본체의 길이방향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단자부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을 따라서 받아들일 수 있는 삽입오목부를 가지는 절연성의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유지되어 상기 삽입오목부 내에서 상기 전극단자와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가지는 도전성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소자 중 하나의 소자와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본체를 상기 샤시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샤시는 상기 주벽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세워진 세로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기판본체와 상기 세로벽을 고정하고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주벽과 상기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주벽을 향한 개구를 가지고, 상기 주벽에 대해서 개방된 공간을 가지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주벽상에 배치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오목부는, 상기 다리부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접속부재 수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L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주벽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콘택트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속부재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벽은,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에 상기 커넥터 하우징을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구는, 상기 수용홈의 측면에 마련된 유지부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유지부에 받아들여지는 피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평탄한 면이며, 상기 피유지부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유지부에 마찰 접촉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와 전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에 상기 접속부재가 수용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깊이보다 상기 접속부재의 중간부를 수용하고 있는 부분의 깊이가 얕고,
    상기 샤시는 상기 주벽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세워지는 세로벽을 포함하고,
    상기 세로벽은 상기 샤시의 외측을 향해서 움푹 파여진 웅덩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로벽과 상기 주벽과의 협동에 의해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전력공급기판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판,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전력공급기판에 의해서 기판유니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주벽은 상기 기판유니트의 일부가 삽입통과된 삽통공을 가지며,
    상기 주벽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전력공급기판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삽통공을 지나 상기 삽입오목부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기판은, 전극이 형성된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삽입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제1 삽입오목부와, 상기 전극부를 삽입할 수 있는 제2 삽입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삽입오목 내에서 상기 전극과 접촉 가능한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삽입오목부에 상기 단자부를 삽입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삽입오목부에 상기 전극부를 삽입하는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2 접촉부가 배치된 U자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오목부에 삽입된 상기 전극부를 상기 U자형상부에 의해 끼우고,
    상기 U자형상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제2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은 평판상(平板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접촉부를 가지며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탄성편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하여 마련된 연설(延設)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설부에 상기 제1 접촉부가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판 또는 상기 전력공급기판이 상기 샤시에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의 장착구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110066472A 2010-07-06 2011-07-05 커넥터의 장착구조 KR101271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4023 2010-07-06
JPJP-P-2010-154023 2010-07-06
JPJP-P-2010-244347 2010-10-29
JP2010244347A JP2012033456A (ja) 2010-07-06 2010-10-29 コネクタ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41A KR20120004341A (ko) 2012-01-12
KR101271807B1 true KR101271807B1 (ko) 2013-06-07

Family

ID=4561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472A KR101271807B1 (ko) 2010-07-06 2011-07-05 커넥터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8840A (zh) * 2012-02-16 2012-07-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85A (ko) * 2001-06-22 2003-01-0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잠금부를 갖는 전기적 접속장치
KR20080012507A (ko) * 2006-08-03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KR20090131175A (ko) * 2008-06-17 2009-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1285A (ko) * 2001-06-22 2003-01-0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잠금부를 갖는 전기적 접속장치
KR20080012507A (ko) * 2006-08-03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모듈
KR20090131175A (ko) * 2008-06-17 2009-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41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7783B1 (en) Illumination device and connector
US8360591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KR101399168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계 커넥터, 백라이트 유닛
KR20120064665A (ko) 관통 기판 역전형 커넥터
JP2008117772A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TWI462398B (zh) 連接器之安裝構造
KR20110073824A (ko) Led 모듈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조립체
JP2000147545A (ja) 表示器取付接続装置
JP2011233445A (ja) モジュール基板と回路基板の接続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ソケット
KR101271807B1 (ko) 커넥터의 장착구조
JP2007157408A (ja) コネクタ
KR201200631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80045399A (ko) 전원인가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70081261A (ko) 램프홀더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20129231A (ko) 커넥터
JP2008009047A (ja) バックライト用線状ledの基板接続構造
KR20160100679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유도등 및 그 조립방법
JP2010039471A (ja) 光供給ユニットを用いた表示装置
JP6720646B2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JP5303579B2 (ja) 半導体発光素子取付用モジュール、及び、半導体発光素子モジュール
KR20110058488A (ko) 슬림형 lcd모듈 및 이를 위한 소켓
JP5870218B2 (ja) 電気コネクタ
JP5589443B2 (ja) 基板モジュールおよび基板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機器ならびに表示装置
JP5722138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