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54B1 -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354B1
KR101193354B1 KR1020127015451A KR20127015451A KR101193354B1 KR 101193354 B1 KR101193354 B1 KR 101193354B1 KR 1020127015451 A KR1020127015451 A KR 1020127015451A KR 20127015451 A KR20127015451 A KR 20127015451A KR 101193354 B1 KR101193354 B1 KR 10119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display area
us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395A (ko
Inventor
신야 다까미
Original Assignee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688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19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6880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81995B2/ja
Application filed by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라쿠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7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38System on C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CONTENT OF INTEREST DETERMIN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 상의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에의 관심도를 판정하는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상에는 다수의 웹 사이트가 존재하고, 이들 웹 사이트에 의해 다종다양한 정보가 공개되어 있다. 인터넷에 접속된 유저 단말기는 웹브라우저에 의해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지정함으로써 상기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고, 상기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된 웹페이지를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저 단말기의 유저는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된 웹페이지에 게재되는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웹페이지에 게재되는 정보의 제공자에 있어서는, 상기 웹페이지나 이것에 게재되는 정보에 대한 유저의 관심의 정도(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종래, 유저의 관심도를 웹페이지의 열람 시간(웹페이지에의 체류 시간)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열람 시간이 긴 웹페이지일수록 유저의 관심이 높다고 평가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웹페이지의 천이를 종료 이벤트로 하여 그것까지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고, 이것을 각 웹페이지의 열람 시간으로서 서버에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1925호 공보
그런데, 하나의 웹페이지에는 복수의 여러가지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콘텐츠는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유저 단말기에서의 표시부가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서 스크롤 표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과 같이, 유저의 관심도를 웹페이지의 열람 시간에 기초하여 판정하는 방법 등에서는,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바꿔 말하면, 웹페이지의 어느 표시 영역)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관심 콘텐츠 판정 프로그램, 단말기 프로그램,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일례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변이량을 나타내는 변이량 정보와, 상기 스크롤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취득한 상기 변이량 정보, 상기 길이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변이량 정보, 상기 길이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변이량 정보에 나타나는 변이량이 상기 추출한 길이 정보에 나타나는 길이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변이량이 상기 길이 이하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수단은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심이 있다고 판정된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를 선택하는 관련 콘텐츠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된 관련 콘텐츠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제시하는 관련 콘텐츠 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유저가 흥미를 가질 것 같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를,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 콘텐츠 판정 프로그램(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를,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관심 콘텐츠 판정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를,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를,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단말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서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S)의 개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개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정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윈도우 화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개념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스크롤 변이량 정보 등의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1개의 웹페이지에 있어서 행해진 복수회의 각 스크롤에 대한 유저의 관심 유무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등의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정보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실시 형태이다.
[1.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개요]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S)의 구성 및 개요 기능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S)의 개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시스템(S)은 유저 단말기(1)(단말 장치의 일례)와, 정보 제공 서버(2)(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의 일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개의 유저 단말기(1)를 나타내고 있지만, 유저 단말기(1)는 유저마다 다수 존재한다.
유저 단말기(1)와, 정보 제공 서버(2)는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에 TCP/IP 등을 사용하여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네트워크(NW)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전용 통신 회선(예를 들어, CATV(Community Antenna Television) 회선), 이동 통신망(기지국 등을 포함함), 및 게이트웨이 등에 의해 구축되어 있다.
유저 단말기(1)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전화기, 또는 휴대 게임기 등이며, 웹브라우저 기능을 갖는다. 유저 단말기(1)는 웹브라우저에 의해, 정보 제공 서버(2)에 액세스하여 웹페이지를 취득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난 윈도우 화면 내에 표시(렌더링)한다. 이에 의해, 윈도우 화면 내에는, 동화상, 정지 화상 및 텍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콘텐츠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윈도우 화면은 웹브라우저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이며, 전체 화면 표시의 경우, 액티브한 표시 영역은 전체 화면이 된다. 또한, 웹페이지는 예를 들어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또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구조화 문서 파일, 및 화상 데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웹페이지에는 고유한 페이지 ID가 부여되어 있다. 이 페이지 ID는 예를 들어 각 웹페이지의 URL로 하면 된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난 윈도우 화면 내에 웹페이지의 일부 표시 영역이 전부 수용될 수 없는 경우,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 윈도우 화면 내에서 웹페이지(즉, 웹페이지 상에 표시된 콘텐츠)를 수평 방향(가로 방향), 수직 방향(세로 방향) 또는 경사 방향으로 스크롤(이동)시킨다. 상기 스크롤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의 개시부터 스크롤 조작의 종료까지 실행된다. 여기서,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의 예로서는, 유저가 마우스(유저 단말기(1)의 조작부)의 휠(좌우 버튼의 사이에 있는 버튼)을 회전시키는 것, 유저가 윈도우 화면 근방에 표시된 스크롤 바를 마우스의 드래그 기능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 유저가 키보드(유저 단말기(1)의 조작부)의 상, 하, 좌, 또는 우키를 누르는 것, 유저가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윈도우 화면을 드래그하여 액티브한 표시 영역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및 유저가 터치 패널식의 윈도우 화면 상을 플릭(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가볍게 움직임)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윈도우 화면(즉, 웹브라우저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웹페이지(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윈도우 화면(즉, 웹브라우저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웹페이지(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변이량을 나타내는 스크롤 변이량 정보를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한다. 여기서, 변이량은 예를 들어 윈도우 화면 내에 표시된, 콘텐츠의 임의의 픽셀(또는 픽셀군)이 화면 상의 제1 좌표로부터 제2 좌표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제1 좌표와 제2 좌표 간의 거리에 상당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기 스크롤 방향에 있어서의 윈도우 화면의 길이, 즉, 웹브라우저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의 길이를 나타내는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길이 정보)를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웹페이지가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예를 들어, 웹페이지 상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의 좌표)를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기 스크롤 변이량 정보와, 상기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와,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와, 상기 스크롤에 관한 웹페이지의 페이지 ID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 파일을 작성한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페이지 ID는 상기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스크롤 변이량 정보 및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는 조작 정보 파일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작성한 조작 정보 파일 및 유저 단말기(1)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ID를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한다. 조작 정보 파일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로서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된다.
여기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스크롤 변이량 정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의 취득 및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구조화 문서에 스크립트 언어(예를 들어 JavaScript(등록 상표))로 기술되어 있다. 또는, 스크롤 변이량 정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의 취득, 및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미리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에 플러그인되어도 된다.
또한, 조작 정보 파일 등의 송신 타이밍은, 예를 들어, 스크롤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크롤 조작의 종료 시이다. 어떤 웹페이지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크롤의 개시와 종료가 반복되는 경우, 그 때마다, 조작 정보 파일 및 유저 ID가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되게 된다.
[2. 정보 제공 서버(2)의 구성 및 기능]
이어서, 정보 제공 서버(2)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도 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개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서버(2)는 통신부(21)와, 기억부(22)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와, 시스템 제어부(2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는 시스템 버스(2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21)는 네트워크(NW)에 접속하여, 유저 단말기(1)와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게 되고 있다.
기억부(22)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콘텐츠 관심 유무 판정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관심 유무 판정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취득(다운로드)되도록 해도 되고,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서 드라이브 장치를 통하여 읽어들여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22)(기억 수단의 일례)에는, 유저 단말기(1)에 제공하는 복수의 웹페이지의 각각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2)에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1),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2), 관련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3),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4), 및 관심도 유무 정보 데이터베이스(DB)(225)가 구축되어 있다.
*도 3은 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정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221)에는, 회원 등록된 유저의 유저 ID, 성명, 성별, 주소, 전화 번호, 및 메일 주소 등의 유저 정보가 유저마다 대응시켜져서 등록되어 있다.
도 3의 (B)에 도시하는 인증 정보 데이터베이스(222)에는, 유저 ID,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가 유저마다 대응시켜져서 등록되어 있다.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는, 로그인 처리(유저의 인증 처리)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이다.
도 3의 (C)에 도시하는 관련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23)에는, 웹페이지 상에 표시되는 각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각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예를 들어, 광고 정보나 상세 정보 등) 등이 콘텐츠마다 대응시켜져서 등록되어 있다.
도 3의 (D)에 도시하는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는, 유저 ID, 페이지 ID, 스크롤 변이량 정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가 유저마다 또한 웹페이지마다 대응시켜져서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스크롤 변이량 정보 및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는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등록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도 3의 (E)에 도시하는 관심 유무 정보 데이터베이스(225)에는, 유저 ID, 페이지 ID, 콘텐츠 ID, 및 관심 유무 정보가 유저마다 또한 웹페이지마다 대응시켜져서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관심 유무 정보는 유저가 웹페이지에 있어서의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콘텐츠 ID는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구조화 문서 내에 기술된 태그 내의 ID나 URI(예를 들어 파일명), 또는 웹페이지 상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의 좌표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나의 웹페이지에 복수의 콘텐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마다 관심 유무 정보가 콘텐츠 ID와 함께 대응시켜져서 등록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부(23)는 통신부(21) 및 기억부(22)와 시스템 제어부(24) 사이의 인터페이스 처리를 행하게 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24)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4a), ROM(Read Only Memory)(24b), RAM(Random Access Memory)(24c)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4)는 CPU(24a)가, ROM(24b)이나 기억부(2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웹페이지의 제공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4)는 본 발명의 정보 취득 수단, 판정 수단, 관련 콘텐츠 선택 수단 및 관련 콘텐츠 제시 수단 등으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24)는 유저 단말기(1)로부터 송신된 조작 정보 파일 및 유저 ID를 취득하고, 상기 조작 정보 파일에 포함되는 스크롤 변이량 정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페이지 ID와, 유저 ID를 대응시켜서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등록(기억)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4)는 어떤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시켜진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페이지 ID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부(24)는 어느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시켜진, 스크롤 변이량 정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페이지 ID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스크롤 변이량 정보에 나타나는 변이량이 상기 추출한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에 나타나는 길이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변이량이 길이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페이지 ID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스크롤 전과 후의 윈도우 화면의 양쪽 또는 한쪽에 표시된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한다.
또는, 시스템 제어부(24)는 유저 단말기(1)로부터 송신된 조작 정보 파일 및 유저 ID를 취득하고, 상기 조작 정보 파일에 포함되는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페이지 ID와, 유저 ID를 대응시켜서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등록(기억)한다. 이 경우, 시스템 제어부(24)는 어느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시켜진,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페이지 ID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 전과 후의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크롤 전과 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추출한 페이지 ID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스크롤 전과 후의 윈도우 화면의 양쪽 또는 한쪽에 표시된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한다.
이상과 같이 판정된 관심 유무를 나타내는 페이지 관심 유무 정보는 웹페이지의 페이지 ID, 콘텐츠 ID, 및 유저 ID에 대응시켜져서 관심도 유무 정보 데이터베이스(225)에 등록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4)는 관심도 유무 정보 데이터베이스(225)에 등록된 관심 유무 정보를 참조하여, 관심이 있다고 판정한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것을,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에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송신함으로써 유저에 제시한다.
[3. 정보 제공 시스템의 동작]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시스템(S)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3.1.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우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기(1)에 의한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처리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처리는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 웹브라우저가 기동 후, 유저 단말기(1)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2)에의 로그인 요구(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함)에 의해 로그인한 후, 상기 정보 제공 서버(2)로부터 송신된 웹페이지가 유저 단말기(1)에 의해 수신, 표시된 경우에 개시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조작부로부터의 스크롤 조작에 관한 조작 신호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1). 그리고, 스크롤 조작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 "예"), 윈도우 화면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 상의 어느 픽셀의 화면 상의 제1 좌표를 기억하고, 스텝 S2로 진행하고, 스크롤 조작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1: "아니오"), 스텝 S9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의 스크롤 개시 직전의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예를 들어, 웹페이지 상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의 좌표)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스크롤 조작에 따라, 윈도우 화면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를 스크롤시키는 스크롤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
계속해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기 스크롤 조작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작부에서의 스크롤 조작에 관한 조작 신호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4). 그리고, 예를 들어 스크롤 조작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0.5초간) 없는(조작부에서 스크롤 조작에 관한 조작 신호가 소정 시간 없는) 경우,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스크롤 조작이 종료하였다고 판정하고(스텝 S4: "예"), 스텝 S5로 진행한다. 한편,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스크롤 조작이 종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 S4: "아니오"), 스텝 S3으로 복귀되고, 스크롤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S5에서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기 웹페이지가 상기 스크롤 직후의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기 웹페이지가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한 변이량을 산출하고, 상기 변이량을 나타내는 스크롤 변이량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6).
계속해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상기 스크롤 방향에 있어서의 윈도우 화면의 길이를 나타내는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7).
계속해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스크롤된 웹페이지의 페이지 ID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페이지 ID, 상기 스텝 S2 및 스텝 S5에서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상기 스텝 S6에서 취득한 스크롤 변이량 정보 및 스텝 S7에서 취득한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 파일을 작성하고(스텝 S8), 이것을 일시적으로 RAM에 기억한다.
도 5는 윈도우 화면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의 개념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하는 예는 웹페이지(P)의 스크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에 도시하는 예는 웹페이지(P)의 스크롤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웹페이지(P)(콘텐츠 C1)가 스크롤했을 때의 변이량은 「d2」이며, 그의 스크롤 방향에 있어서의 윈도우 화면(G)의 길이는 「d1」이다. 또한, 스크롤 전의 윈도우 화면(G)에 표시된 콘텐츠 C1의 표시 영역(AR1)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는, 상기 표시 영역(AR1)의 범위를 획정하기 위한 좌표 정보(예를 들어, 정점(PO1) 내지 정점(PO4)의 좌표)이 포함된다. 또한, 스크롤 후의 윈도우 화면(G)에 표시된 콘텐츠 C1(일부) 및 콘텐츠 C2의 표시 영역(AR2)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는, 상기 표시 영역(AR2)의 범위를 획정하기 위한 좌표 정보(예를 들어, 정점(PO5) 내지 정점(PO8)의 좌표)가 포함된다.
스텝 S9에서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조작 정보 파일의 송신 타이밍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송신 타이밍으로서, 「스크롤 조작 정보의 취득 대상으로 되는 스크롤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크롤 조작의 종료 시」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송신 타이밍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경우(스텝 S9: "예"), 스텝 S10로 진행하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스텝 S9: "아니오"),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미리 설정된 정보 제공 서버(2)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2)에 액세스하고, 상기 스텝 S8에서 작성한 조작 정보 파일 및 RAM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ID를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된 조작 정보 파일은 RAM으로부터 소거된다.
또한, 상기 송신 타이밍으로서, 「스크롤 조작 정보의 취득 대상으로 되는 스크롤의 종료 후, 다음 스크롤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크롤 조작의 개시 시」라고 규정해도 된다. 이 경우, 스크롤 조작 정보의 취득 대상으로 되는 스크롤의 종료 후, 다음 스크롤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크롤 조작이 개시된 때에, 상기 스텝 S8에서 작성된 조작 정보 파일 등이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된다.
또는, 상기 송신 타이밍으로서, 「스크롤 조작 정보의 취득 대상으로 되는 스크롤의 종료 후, 스크롤 조작 이외의 유저에 의한 지정(또는 선택) 조작 시」라고 규정해도 된다. 이 경우, 스크롤의 종료 후, 스크롤 조작 이외의 유저에 의한 지정(또는 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때에, 상기 스텝 S8에서 작성된 조작 정보 파일 등이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된다. 또한, 상기 스크롤 조작 이외의 유저에 의한 지정(또는 선택)이란 예를 들어, 구입 버튼, 예약 버튼, 또는 결제 버튼 등의 각종 버튼의 지정(마우스로 클릭)이나, 다른 웹페이지에 점프하기 위한 링크의 지정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상기 송신 타이밍으로서, 「전회의 조작 정보 파일의 송신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라고 규정해도 된다. 이 경우, 소정 시간(예를 들어, 1분)마다, 상기 스텝 S8에서 작성된 조작 정보 파일 등이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된다.
또는, 상기 송신 타이밍으로서, 「소정량의 데이터 축적이 검지되었을 때」라고 규정해도 된다. 이 경우, 소정량의 조작 정보 파일의 데이터가 축적될 때마다, 상기 스텝 S8에서 작성된 조작 정보 파일 등이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된다.
스텝 S11에서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의 표시 종료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웹페이지를 닫는 버튼(또는 복귀 버튼)이 지정(마우스로 클릭)된 경우, 또는 다른 웹페이지에 점프하기 위한 하이퍼 링크가 지정된 경우,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의 표시 종료 지시가 있었다고 판정하고(스텝 S11: "예"),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의 표시 종료 지시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1: "아니오"), 스텝 S12로 진행하고, 그 밖의 처리(예를 들어, 유저에 의한 입력 조작 등에 따른 처리)를 행하고, 스텝 S1로 복귀된다.
(3.2. 스크롤 변이량 정보 등의 등록)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에 의한 스크롤 변이량 정보 등의 등록 처리에 대해서,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스크롤 변이량 정보 등의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처리는 유저 단말기(1)로부터 송신된 조작 정보 파일 및 유저 ID가 수신된 경우에 개시된다.
도 6에 도시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는 수신된 조작 정보 파일로부터, 페이지 ID,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스크롤 변이량 정보, 및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21).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수신된 유저 ID에 대응시켜서, 취득한 페이지 ID,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스크롤 변이량 정보, 및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등록하고(스텝 S22),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3.3.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이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에 의한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해서,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6에 도시하는 스텝 S22에 이어 개시되어도 되고,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2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예를 들어, 관련 콘텐츠 열람 버튼이 클릭된 경우)에 개시된다. 또는,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도 4에 도시하는 처리의 종료 후, 다시, 로그인했을 때에 개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7에 도시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는 로그인에 의해 특정된 유저 ID에 대응시켜진 스크롤 변이량 정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페이지 ID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추출한다(스텝 S31).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24)는 스크롤 변이량 정보에 나타나는 변이량(스크롤 변이량)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에 나타나는 길이(스크롤 방향 길이)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32), 상기 변이량이 상기 길이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변이량 d2 <길이 d1이므로 이 조건을 만족함)에는(스텝 S32: "예"), 스텝 S33로 진행하고, 상기 변이량이 상기 길이 미만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32: "아니오"),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4)는 스크롤 전에 대응하는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로부터 스크롤 전의 윈도우 화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도 5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영역(AR1))의 범위를 획정함과 함께, 스크롤 후에 대응하는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로부터 스크롤 후의 윈도우 화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도 5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영역(AR2))의 범위를 획정한다.
그런데, 상기 스텝 S32에 있어서, 스크롤한 변이량이 윈도우 화면의 길이 미만인 것은,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AR1과 AR2)이 중첩되어 있다(도 5의 (B)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영역(ARS) 부분)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추출한 페이지 ID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의 구조화 문서를 참조하여, 상기 범위가 확정된 스크롤 전과 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배치된 콘텐츠(도 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콘텐츠 C1 및 C2)를 특정하고(스텝 S34),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얻는다.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특정한 콘텐츠에 상기 특정한 유저 ID에 대응하는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한다(스텝 S35). 즉, 유저는 스크롤에 의해 관심이 있는 콘텐츠가 표시되었을 때, 일단 스크롤을 멈추는 것을 고려하고, 스크롤한 변이량이 윈도우 화면의 길이 미만일(바꿔 말하면,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을) 때에 표시되어 있었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특정한 유저 ID와, 상기 추출한 페이지 ID와, 상기 특정한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상기 판정한 관심 있음을 나타내는 페이지 관심 유무 정보를 대응시켜서 관심 유무 정보 데이터베이스(225)에 등록한다(스텝 S36).
도 8은 1개의 웹페이지에 있어서 행해진 복수회의 각 스크롤에 대한 유저의 관심 유무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웹페이지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AR1)과 표시 영역(AR2)이 중첩되어 있고, 게다가 표시 영역(AR2)과 표시 영역(AR3)이 중첩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영역(AR1) 내지 AR3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에는 유저의 관심 있음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한편, 콘텐츠의 표시 영역(AR4)과 표시 영역(AR5)은 중첩되어 있지 않지만, 콘텐츠의 표시 영역(AR5)과 표시 영역(AR6)은 중첩되어 있으므로, 표시 영역(AR4)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에 유저의 관심 없음이라고 판정되는 한편, 표시 영역(AR5 및 AR6)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에는 유저의 관심 있음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특정한 콘텐츠(관심이 있다고 판정된 콘텐츠)의 콘텐츠 ID를 키로 하여 상기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예를 들어, 관심이 있다고 판정된 상품의 광고 정보나 상기 상품의 스펙 등의 상세 정보 등)를 관련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23)로부터 선택한다(스텝 S37).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선택한 관련 콘텐츠를 유저 단말기(1)에 송신한다(스텝 S38). 이렇게 하여 송신된 관련 콘텐츠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에 의해 윈도우 화면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표시(즉, 유저에 제시)되게 된다. 또한, 상기 관련 콘텐츠는 메일에 기술되고, 상기 메일이 유저의 메일 주소앞으로 송신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스텝 S31 내지 S36까지의 처리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12시간) 간격으로 유저 ID가 등록되어 있는 모든 유저에 대하여 실행되도록 하고, 그 후에 정보 제공 서버(2)가 유저 단말기(1)로부터 액세스되었을 때에, 상기 스텝 S37 및 S38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선택된 관련 콘텐츠를 보다 신속하게 유저에 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웹페이지가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한 변이량이 상기 스크롤 방향에 있어서의 윈도우 화면의 길이 미만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심 있음이라고 판정된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가 유저에 제시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보다 유저가 흥미를 가질 것 같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롤 변이량 정보에 나타나는 변이량이 스크롤 방향 길이 정보에 나타나는 길이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에,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되도록 구성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가 본 발명의 정보 취득 수단, 기억 수단, 및 판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들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단말기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에 플러그인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가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한 변이량이 상기 스크롤 방향에 있어서의 윈도우 화면의 길이 미만인 경우, 상기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한 관심 유무를 나타내는 페이지 관심 유무 정보와, 상기 웹페이지의 페이지 ID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유저 ID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 파일을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소정의 서버 등으로부터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취득(다운로드)되도록 해도 되고, CD, DVD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서 드라이브 장치를 통하여 읽어들여지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3.4.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기(1)에 의한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처리에 대해서,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조작 정보 파일의 작성 및 송신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 웹브라우저가 기동 후, 유저 단말기(1)로부터 정보 제공 서버(2)에의 로그인 요구에 의해 로그인한 후, 상기 정보 제공 서버(2)로부터 송신된 웹페이지가 유저 단말기(1)에 의해 수신, 표시된 경우에 개시된다.
도 9에 도시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이 개시되었는지 여부를, 조작부에서의 스크롤 조작에 관한 조작 신호에 의해 판정한다(스텝 S41). 그리고, 스크롤 조작이 개시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41: "예"), 윈도우 화면 내에 표시된, 웹페이지 상의 어느 픽셀의 화면 상의 제1 좌표를 기억하고, 스텝 S42로 진행하고, 스크롤 조작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1: "아니오"), 스텝 S47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42 내지 S45의 처리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2 내지 S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해서,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스크롤된 웹페이지의 페이지 ID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페이지 ID, 상기 스텝 S42 및 스텝 S45에서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도 5 참조)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 파일을 작성하고(스텝 S46), 이것을 일시적으로 RAM에 기억한다.
또한, 스텝 S47의 처리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9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48에서는,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미리 설정된 정보 제공 서버(2)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정보 제공 서버(2)에 액세스하고, 상기 스텝 S46에서 작성한 조작 정보 파일 및 RAM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ID를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된 조작 정보 파일은 RAM으로부터 소거된다.
또한, 상기 송신 타이밍으로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스텝 S49 및 S50의 처리는 도 4에 도시하는 스텝 S11 및 1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3.5.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등의 등록)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에 의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등의 등록 처리에 대해서,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등의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는 유저 단말기(1)로부터 송신된 조작 정보 파일 및 유저 ID가 수신된 경우에 개시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는 수신된 조작 정보 파일로부터, 페이지 ID,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51).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수신된 유저 ID에 대응시켜서, 취득한 페이지 ID, 및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등록하고(스텝 S52),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3.6.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에 의한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처리에 대해서,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에 있어서의 관심 유무 정보에 기초하는 정보 제공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처리는 도 10에 도시하는 스텝 S52에 이어 개시되어도 되고,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도 9에 도시하는 스텝 S50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예를 들어, 관련 콘텐츠 열람 버튼이 클릭된 경우)에 개시된다. 또는, 유저 단말기(1)에 있어서의 도 9에 도시하는 처리의 종료 후, 다시, 로그인했을 때에 개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처리가 개시되면,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는 로그인에 의해 특정된 유저 ID에 대응시켜진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페이지 ID를 조작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추출한다(스텝 S61).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단말기(1)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시스템 제어부(24)는 스크롤 전에 대응하는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로부터 스크롤 전의 윈도우 화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도 5의 (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영역(AR1))의 범위를 획정함과 함께, 스크롤 후에 대응하는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좌표 정보로부터 스크롤 후의 윈도우 화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도 5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표시 영역(AR2))의 범위를 획정한다(스텝 S62).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범위가 획정된, 스크롤 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AR1)과, 범위가 획정된, 스크롤 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AR2)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63), 상기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63: "예"), 스텝 S64로 진행하고, 상기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63: "아니오"),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도 5의 (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윈도우 화면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AR1과 AR2)이 중첩되어 있다(영역(ARS) 부분).
또한, 스텝 S64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3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해서, 시스템 제어부(24)는 상기 특정한 콘텐츠에 상기 특정한 유저 ID에 대응하는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한다(스텝 S65). 즉, 유저는 스크롤에 의해 관심이 있는 콘텐츠가 표시되었을 때, 일단 스크롤을 멈추는 것을 고려하고,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때에 표시되어 있었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되는 것이다(도 8 참조).
또한, 스텝 S66 내지 S68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하는 스텝 S36 내지 S38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스텝 S61 내지 S66까지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유저 ID가 등록되어 있는 모든 유저에 대하여 실행되도록 하고, 그 후에 정보 제공 서버(2)가 유저 단말기(1)로부터 액세스되었을 때에, 상기 스텝 S67 및 S68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웹페이지의 스크롤 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과 스크롤 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되도록 구성했으므로,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어느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신속히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관심 있음이라고 판정된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가 유저에 제시되도록 구성했으므로, 보다 유저가 흥미를 가질 것 같은 정보를 제시할 수 있어, 더 효과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제공 서버(2)의 시스템 제어부(24)가 본 발명의 정보 취득 수단, 기억 수단, 및 판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들의 수단으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는 단말기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에 플러그인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유저 단말기(1)의 웹브라우저는 웹페이지의 스크롤 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과 상기 스크롤 후의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웹페이지 상의 콘텐츠에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한 관심 유무를 나타내는 페이지 관심 유무 정보와, 상기 웹페이지의 페이지 ID와,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ID와, 유저 ID를 포함하는 조작 정보 파일을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정보 제공 서버(2)에 송신하게 된다.
1: 유저 단말기
2: 정보 제공 서버
21: 통신부
22: 기억부
23: 입출력 인터페이스부
24: 시스템 제어부
25: 시스템 버스
NW: 네트워크
S: 정보 제공 시스템

Claims (6)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할 때의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가 관심이 있다고 판정된 콘텐츠에 관련하는 관련 콘텐츠를 선택하는 관련 콘텐츠 선택부와,
    상기 선택된 관련 콘텐츠를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제시하는 관련 콘텐츠 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취득하는 스텝에서,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할 때의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가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되고,
    상기 기억하는 스텝에서, 상기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가 대응시켜져 기억되고,
    상기 추출하는 스텝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가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되는,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4. 단말 장치로서,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할 때의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는, 단말 장치.
  5. 단말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단말 프로그램에 의해 컴퓨터는,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
    상기 취득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로서 기능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할 때의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취득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는, 기록 매체.
  6. 단말 장치와,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가능한 서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의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했을 때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취득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콘텐츠가 유저에 의한 스크롤 조작에 따라서 스크롤할 때의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에 관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수신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취득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대응시켜서 기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정보를 상기 기억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콘텐츠 표시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액티브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스크롤 전과 후의 상기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판정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추출한 콘텐츠 특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콘텐츠에 관심이 있다고 판정하는,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27015451A 2009-11-26 2010-11-18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93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8802 2009-11-26
JP2009268802A JP4881994B2 (ja) 2009-11-26 2009-11-26 情報処理装置、関心コンテンツ判定方法、関心コンテンツ判定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268804A JP4881995B2 (ja) 2009-11-26 2009-11-26 情報処理装置、関心コンテンツ判定方法、関心コンテンツ判定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JP-P-2009-268804 2009-11-26
PCT/JP2010/070598 WO2011065284A1 (ja) 2009-11-26 2010-11-18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関心コンテンツ判定方法、関心コンテンツ判定プログラム、端末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335A Division KR101193335B1 (ko) 2009-11-26 2010-11-18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395A KR20120076395A (ko) 2012-07-09
KR101193354B1 true KR101193354B1 (ko) 2012-10-29

Family

ID=440663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451A KR101193354B1 (ko) 2009-11-26 2010-11-18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27015335A KR101193335B1 (ko) 2009-11-26 2010-11-18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335A KR101193335B1 (ko) 2009-11-26 2010-11-18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77264B2 (ko)
EP (2) EP2538351A3 (ko)
KR (2) KR101193354B1 (ko)
CN (2) CN102855270B (ko)
CA (1) CA2781945C (ko)
TW (2) TWI427528B (ko)
WO (1) WO2011065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0009B2 (en) * 2009-11-26 2013-07-16 Rakuten,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ntent of interest determination method, content of interest determination program, terminal program ,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13242605A (ja) * 2010-09-09 2013-12-05 Digital Office Inc コンピュータソフトウェアにおけるドキュメント閲覧システムでの閲覧部位を記録し分析に活用する手法
JP5000776B1 (ja) * 2011-05-31 2012-08-15 楽天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提供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40111171A (ko) 2013-03-08 201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스크롤 시 대표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335914B2 (en) * 2013-05-03 2016-05-10 Yahoo! Inc. Selecting and serving content based on scroll pattern recognition
US9329765B2 (en) * 2013-06-14 2016-05-03 Htc Corpor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scrolling frame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10325293B2 (en) 2014-01-17 2019-06-18 Rakuten, In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5191551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
KR20170141453A (ko) 2016-06-15 2017-1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스크롤 패턴을 이용한 관심 정보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6679664B2 (ja) * 2018-06-29 2020-04-15 ヤフ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30439B2 (ja) * 2018-11-08 2023-03-0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000A (ja) 2003-09-30 2005-04-21 Canon Sales Co Inc コンテンツ閲覧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サーバ
JP2006252505A (ja) 2005-02-09 2006-09-21 Toramatsu Shintani 疑似プッシュ型ウェブ広告管理システム
JP2008198171A (ja) 2007-02-13 2008-08-28 Iru Kim ウェブ文書の利用者関心度分析方法及びこのため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3864A (en) * 1990-10-30 1994-02-01 Wang Laboratories, Inc.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 for graphical flip book
US5363481A (en) * 1992-06-22 1994-11-08 Tektronix, Inc. Auto selecting scrolling device
US6317144B1 (en) * 1998-11-30 2001-11-1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displayed elements
US6590594B2 (en) * 1999-03-25 2003-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indow scroll-bar
JP2001051925A (ja) 1999-08-09 2001-02-23 Nippon System Development Co Ltd ネットワーク上の閲覧情報収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記憶媒体
US6677965B1 (en) * 2000-07-13 2004-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ubber b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US20020186251A1 (en) * 2001-06-07 2002-1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ext-sensitive scrolling
US7765491B1 (en) * 2005-11-16 2010-07-27 Apple Inc. User interface widget for selecting a point or range
US20080082940A1 (en) * 2006-09-29 2008-04-03 Morris Robert 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presentation of a resource based on position or movement of a selector and presentable content
US8015502B2 (en) * 2007-05-22 2011-09-06 Yahoo! Inc. Dynamic layout for a search engine results page on implicit user feedback
KR20090008976A (ko) * 2007-07-1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에서의 지도 스크롤 방법 및 그 네비게이션단말
US8352877B2 (en) * 2008-03-06 2013-01-08 Microsoft Corporation Adjustment of range of content display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09223767A (ja) * 2008-03-18 2009-10-01 Brother Ind Ltd 情報提示システム
US8775971B2 (en) * 2008-12-05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Touch display scroll control
US9086756B2 (en) * 2009-11-18 2015-07-21 Opera Software Asa Snapping to text columns while scrol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8000A (ja) 2003-09-30 2005-04-21 Canon Sales Co Inc コンテンツ閲覧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サーバ
JP2006252505A (ja) 2005-02-09 2006-09-21 Toramatsu Shintani 疑似プッシュ型ウェブ広告管理システム
JP2008198171A (ja) 2007-02-13 2008-08-28 Iru Kim ウェブ文書の利用者関心度分析方法及びこのため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4324A (zh) 2013-06-16
CA2781945C (en) 2015-09-15
WO2011065284A1 (ja) 2011-06-03
CN102667741B (zh) 2014-03-19
EP2495664A1 (en) 2012-09-05
KR20120076395A (ko) 2012-07-09
EP2538351A2 (en) 2012-12-26
TW201145144A (en) 2011-12-16
TWI427528B (zh) 2014-02-21
TWI427529B (zh) 2014-02-21
US20120290971A1 (en) 2012-11-15
US8677264B2 (en) 2014-03-18
EP2495664A4 (en) 2013-05-22
KR101193335B1 (ko) 2012-10-19
CA2781945A1 (en) 2011-06-03
CN102855270B (zh) 2014-03-19
KR20120076394A (ko) 2012-07-09
EP2538351A3 (en) 2013-03-20
CN102855270A (zh) 2013-01-02
CN102667741A (zh)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354B1 (ko)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관심 콘텐츠 판정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정보 제공 시스템
US10169766B2 (e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user&#39;s degree of interest calculation method, user&#39;s degree of interest calculation program, terminal program,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in,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84900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content of interest determination method, content of interest determination program, terminal program ,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5601730B2 (ja) 広告表示プログラム、広告表示装置、広告表示方法、記録媒体、および、広告表示システム
US201401808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881994B2 (ja) 情報処理装置、関心コンテンツ判定方法、関心コンテンツ判定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4247909B2 (ja) ウエブページ閲覧方法
JP4881995B2 (ja) 情報処理装置、関心コンテンツ判定方法、関心コンテンツ判定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695833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5340120B2 (ja) サーバ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147949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002877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584459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JP6490122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配信装置
KR101485636B1 (ko) 코멘트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서버
JP5290230B2 (ja) 画像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