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732B1 - 접속지관 - Google Patents

접속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732B1
KR101192732B1 KR1020050093260A KR20050093260A KR101192732B1 KR 101192732 B1 KR101192732 B1 KR 101192732B1 KR 1020050093260 A KR1020050093260 A KR 1020050093260A KR 20050093260 A KR20050093260 A KR 20050093260A KR 101192732 B1 KR101192732 B1 KR 10119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pe
claw
locking claw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024A (ko
Inventor
히로시 오타
미노루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론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지관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리는 2개의 걸림클로(4, 5)가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재(6)와, 상기 걸림부재(6)에 끼워장착됨과 아울러 하수 본관(2) 상에 장착되는 새들부재(7)와, 상기 새들부재(7)에 삽입장착됨과 아울러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8)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재(9)를 가지고 있고, 한쪽의 걸림클로(4)는 피벗 핀(11)을 통해서 상기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고,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4)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클로(4)는 하수 본관(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4)의 회동이 저지되어서 상기 걸림클로(4)는 상기 하수 본관(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없게 되는 접속지관(1)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속지관{CONNECTING BRANCH PIPE}
도 1은 실시예1의 걸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1의 접속지관의 분해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1의 접속지관(걸림클로를 회동한 상태)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1의 접속지관(걸림클로를 건 상태)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1의 접속지관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1의 접속지관의 설명 정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2의 접속지관의 분해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2의 접속부재(걸림클로를 회동한 상태)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2의 접속부재(걸림클로를 회동한 상태)의 설명 평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2의 접속부재(걸림클로를 건 상태)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접속지관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2의 접속지관의 설명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1의 변형예의 접속지관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1의 변형예의 접속지관의 설명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2의 변형예의 접속지관의 설명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접속지관 2 : 주관로(하수 본관)
3 : 개구부 4 : 한쪽의 걸림클로
5 : 다른쪽의 걸림클로 6 : 걸림부재
7 : 새들부재 8 : 접속구(고무링 수용구)
9 : 접속부재 11 : 피벗 핀
본 발명은 하수 본관 등의 주관로에 부착관 등의 지관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공공 물받이에 접속된 부착관과 하수 본관을 접속할 때에, 하수 본관으로부터 상류측으로의 배관을 행하는 경우에는, 하수 본관의 소정 위치에 새들형의 지관을 부착하여 하수 본관을 분기하고, 그 지관에 부착관을 접속하는 배관공사를 행한다.
그리고, 하수 본관에 지관을 부착하는 경우에는, 하수 본관의 소정 위치에 구멍톱(hole saw) 등을 사용하여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개구부에 새들형의 지관을 장착하여 접착제나 퍼티형 접합제를 사용하여 상기 지관을 상기 하수 본관에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접착제나 퍼티형 접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나 시공의 확실성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종래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나 시공의 확실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접착제나 퍼티형 접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지관을 상기 하수 본관에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분기관 이음매나 분기접속관 이음매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종래의 분기관 이음매에 있어서는, 제1단관과 제2단관을 고무링을 개재하여 접속하고, 상기 제1단관의 선단에 원관(原管)을 부착구 둘레가장자리부의 내면에 거는 복수의 걸림부를 설치하고, 원관의 부착구 둘레가장자리부의 외면에 접하는 새들을 상기 제1단관의 외주부에 장착하며, 상기 제1단관의 걸림부와 상기 새들의 장착부 사이에 고무링을 장착하고, 상기 제2단관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원관 및 새들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를 끌어올려, 고무링을 압축변형시켜서 부착구의 내경부 또는 둘레가장자리부의 외면에 압착시킨다.
또, 종래의 분기접속관 이음매에 있어서는, 관체의 분기구멍에 부착되는 내측관에 상기 분기구멍 내로의 탈락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분기구멍의 지름보다 큰 탄성 링을 갖는 밀착부를 설치하는 한편, 지관 접속관에 삽입부의 측가장자리에 접촉되는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그 밀착부를 변형시켜서 상기 내측관을 삽입부로부터 분기구멍 내로 삽입한 후, 지관 접속관의 나사부와 내측관의 나사부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내측관을 끌어올려, 내측관의 밀착부를 분기구멍의 내주 가장자리부에 밀착시킨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4-194488호 공보(제2-4페이지, 도 1)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공고 평7-55435호 공보(제2-3페이지, 도 1)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2단관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걸림부를 끌어올리고, 고무링을 압축변형시켜서 부착구의 내경부 또는 둘레가장자리부의 외면에 압착시킬 때, 또는 지관접속관의 나사부와 내측관의 나사부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내측관을 끌어올리고, 내측관의 밀착부를 분기구멍의 내주 가장자리부에 밀착시킬 때에, 과도한 회전력 또는 나사결합력이 가해지면, 걸림부 또는 밀착부의 변형이 일어나 누수나 고정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1단관의 걸림부 또는 지관접속관의 플랜지부를 거는 것을 잊어버렸을 경우, 혹은 상기 걸림부 또는 상기 플랜지부의 걸림불량이 일어난 경우에, 누수가 생길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관로(2)에 지관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지관(1)으로서, 주관로(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클로(4, 5)가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재(6)와, 그 걸림부재(6)에 끼워부착됨과 아울러 주관로(2)상에 장착되는 새들부재(7)와, 그 새들부재(7)에 삽입부착됨과 아울러 지관로가 접속되는 접속구(8)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재(9)를 가지고 있고, 한쪽 또는 양쪽의 걸림클로(4, 5)는 피벗 핀을 통해서 상기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으며,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4)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클로(4)는 상기 주관로(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4)의 회 동이 저지되어서 상기 걸림클로(4)는 상기 주관로(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없게 되는 접속지관(1)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4)의 상부가 상기 새들부재(7)와 상기 접속부재(9)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클로(4)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4)의 상부의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재(9)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4)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4)의 상부의 내면에는 접촉면(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클로(4)가 설치되는 측의 걸림부재(6)의 상부의 외면에는 접촉면(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걸림클로(4)의 접촉면(25)과 상기 걸림부재(6)의 접촉면(26)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4)의 상부 내측으로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걸림클로(4, 5)는 주관로(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클로(4, 5)는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1 및 실시예2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가정의 공공 물받이(도시생략)에 접속된 지관로인 부착 관(도시생략)을 주관로인 하수 본관(2)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지관(1)의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접속지관(1)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리는 2개의 걸림클로(4, 5)가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재(6)와, 상기 걸림부재(6)의 상부에 밖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하수 본관(2)의 상면에 장착되는 새들부재(7)와, 상기 새들부재(7)에 안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인 고무링 수용구(8)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부재(9)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6)의 2개의 걸림클로(4, 5)는 단면 대략 L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대략 수평으로 내밀어진 걸림판(10)의 형상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 내주면의 형상을 따른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측면으로부터는 한쌍의 피벗 핀(11)이 돌출되어 있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는 상기 피벗 핀(11)을 통해서 상기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다. 한편, 걸림부재(6)의 다른쪽의 걸림클로(5)는 걸림부재(6)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걸림클로(4, 5)는 하수 본관(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 걸림부재(6)와 걸림클로(4, 5)의 상부 내주면에는 나사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재(6)와 걸림클로(4, 5)의 상부 외주면에는 걸림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단차부(13)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려서 상기 걸림부재(6)가 하수 본관(2) 내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들부재(7)의 하부에는 대략 수평하게 내밀어진 새들판(14)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새들판(14)의 형상은 하수 본관(2)의 상면의 형상을 따른 아치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새들부재(7)의 하부의 내주에는 제1패킹(15)이 끼워장착되어 있다.
또, 새들부재(7)의 상부 내주면에는 접촉 단차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새들부재(7)의 상단의 내주면에는 환상 걸림클로(17)가 돌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9)의 하부에는 삽입부(1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삽입부(18)의 외주면에는 나사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8)의 상측에는 접촉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재(9)의 중앙부의 외주에는 결합 돌출고리(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 돌출고리(21)보다 하측의 부분에는 제2패킹(22)이 끼워장착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재(9)의 상부에는 고무링 수용구(8)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무링 수용구(8)의 내주면에는 고무링(23)이 끼워장착되어 있다.
상기 접속지관(1)을 사용하여 하수 본관(2)으로부터 상류측으로의 배관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전에 제조공장 등에서 조립된 접속지관(1)을 사용한다.
그리고 시공현장에서, 우선 접속부재(9)의 삽입부(18)를 새들부재(7)에 상측으로부터 안으로 삽입하고, 접속부재(9)의 접촉부(20)를 새들부재(7)의 접촉 단차부(16)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새들부재(7)의 환상 결합클로(17)를 접속부재(9)의 결합 돌출고리(21)에 결합시켜서 접속부재(9)와 새들부재(7)를 조립한다.
이어서, 상기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한다. 이 때, 걸림부재(6)의 상단부는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외주면과 새들부재(7)의 내주면에 의해서 끼워지게 되지만, 상기 접속부재(9)의 삽입부(18)는 한쪽의 걸림클로(4)에까지는 나사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는 회동가능한 상태인 채로 되어 있다.
그 후, 하수 본관(2)의 소정 위치에 구멍톱 등의 공구(도시생략)를 사용하여 개구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걸림부재(6)의 다른쪽의 걸림클로(5)를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 내주면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도 3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걸림클로(4)를 피벗 핀(11)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가 상기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걸림클로(4)를 하수 본관(2)의 개구부(3)를 통과시킨 후,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를 피벗 핀(11)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시키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를 상기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 내주면에 걸리게 한다.
그 후, 도 4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9)를 회전시켜서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클로(4, 5)의 나사홈(12)에까지 나사부착시킨다(도 5 참조). 그렇게 하면,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도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외주면과 새들부재(7)의 내주면에 의해서 끼워지기 때문에,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의 회동이 저지되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는 상기 하수 본 관(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 및 걸림클로(4, 5)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하여 가면, 상기 걸림부재(6)의 걸림클로(4, 5)가 접속부재(9) 및 새들부재(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끌어올려지고, 걸림클로(4, 5)의 걸림판(10)의 상면과 새들부재(7)의 새들판(14)의 하면에 의해서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가 끼워지고, 접속지관(1)은 하수 본관(2)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새들부재(7)의 내주 하면과 하수 본관(2)의 상면 사이에는 제1패킹(15)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1패킹(15)에 의해서 상기 새들부재(7)와 상기 하수 본관(2) 사이가 수밀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새들부재(7)의 내주면과 접속부재(9)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2패킹(22)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패킹(22)에 의해서 상기 새들부재(7)와 상기 접속부재(9)의 사이가 수밀상태로 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와 같이 하수 본관(2)의 소정 위치에 접속지관(1)을 부착하여 하수 본관(2)을 분기한 후, 상기 접속지관(1)의 접속부재(9)의 고무링 수용구(8)에 부착관을 삽입하여 접속하여 배관공사가 완료된다.
상기의 접속지관(1)에서는, 접속부재(9)를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함으로써 2개의 걸림클로(4, 5)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 둘레가장자리에 확실하게 걸리기 때문에, 걸림불량이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접속지관(1)에서는, 한쪽의 걸림클로(4)가 걸린 상태가 아니면, 접속부재(9)를 걸림부 재(6)에 나사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걸림클로(4, 5)의 걸림을 잊어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시공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지관(1)에서는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접속부재(9)와 새들부재(7)를 조립하였을 때에, 새들부재(7)의 환상 걸림클로(17)가 접속부재(9)의 걸림 돌출고리(21)에 결합하여 유지되어 있으므로, 조립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9)와 상기 새들부재(7)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접속부재(9)와 걸림부재(6)를 조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가 상기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되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9)와 상기 걸림부재(6)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또한, 한쪽의 걸림클로(4)가 피벗 핀(11)을 통해서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또한 일체적으로 피벗팅되어 있기 때문에, 그 한쪽의 걸림클로(4)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작업시에 그 한쪽의 걸림클로(4)가 낙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시공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시공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를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외주면과 새들부재(7)의 내주면으로 끼움으로써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고 또한 변형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벗 핀(11)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어, 그 피벗 핀(22)이 꺾일 위험이 거의 없다.
또한, 예를 들면 피빗팅 핀(11)이 꺾인 경우라도, 상기 접속부재(9)는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되어 고정되어 있고, 한쪽의 걸림클로(4)는 상기 새들부재(7)의 외주면과 상기 접속부재(9)의 내주면으로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의 결합이 풀어지는 일이 없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가 내측으로 낙하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2개의 걸림클로(4, 5)가 하수 본관(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의 가장 높은 위치에 걸림클로(4, 5)를 걸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걸림클로(4, 5)가 하수 본관(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지관(1)이 하수 본관(2)의 축에 대하여 기운 상태로 장착된 경우라도, 걸림클로(4, 5)가 부착관의 관바닥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2]
도 7~도 12에는 다른 실시예가 나타내어진다.
본 실시예의 접속지관(1)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리는 2개의 걸림클로(4, 5)가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재(6)와, 상기 걸림부재(6)의 상부에 외부로 끼워짐과 아울러 하수 본관(2)의 상면에 장착되는 새들부재(7)와, 상기 새들부재(7)에 내부로 삽입됨과 아울러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인 고무링 수용구(8)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재(9)를 가지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6)의 2개의 걸림클로(4, 5)는 단면 대략 L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대략 수평으로 내밀어진 걸림판(10)의 형상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른 아치형상으로 되어 있 다.
한쪽의 걸림클로(4)의 중앙부 측면에서는 한쌍의 피벗 핀(11)이 돌출되어 있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는 상기 피벗 핀(11)을 통해서 상기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다. 한편, 걸림부재(6)의 다른쪽의 걸림클로(5)는 걸림부재(6)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걸림클로(4, 5)는 하수 본관(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또, 걸림부재(6)와 걸림클로(4, 5)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재(6)의 하부 외주면에는 걸림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 단차부(13)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려서 상기 걸림부재(6)가 하수 본관(2) 내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들부재(7)의 하부에는, 대략 수평으로 내밀어진 새들판(1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새들판(14)의 형상은 하수 본관(2)의 상면의 형상을 따른 아치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새들부재(7)의 하부의 내주에는 제1패킹(15)이 끼워져 있다.
또, 새들부재(7)의 중앙부 내주면에는 접촉 단차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새들부재(7)의 상단의 내주면에는 환상 결합클로(1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9)의 하부에는 삽입부(1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삽입부(18)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은 접촉부(20)로 되어 있다.
또,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외주에는 결합 돌출고리(21)가 돌출되어 있고, 그 결합 돌출고리(21)보다 하측의 부분에는 제2패킹(22)이 끼워장착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재(9)의 상부에는 고무링 수용구(8)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고무링 수용구(8)의 내주면에는 고무링(23)이 끼워장착되어 있다.
상기의 접속지관(1)을 사용하여 하수 본관(2)으로부터 상류측으로의 배관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하수 본관(2)의 소정 위치에 구멍톱 등을 이용하여 개구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걸림부재(6)의 다른쪽의 걸림클로(5)를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 내주면에 걸리게 함과 아울러, 도 8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걸림클로(4)를 피벗 핀(11)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동시켜서 그 한쪽의 걸림클로(4)가 상기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걸림클로(4)를 하수 본관(2)의 개구부(3)를 통과시킨 후, 그 한쪽의 걸림클로(4)를 피벗 핀(11)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를 상기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의 내주면에 걸리게 한다.
그리고, 접속부재(9)의 삽입부(18)를 새들부재(7)에 상측으로부터 안으로 삽입하여, 접속부재(9)의 접촉부(20)를 새들부재(7)의 접촉 단차부(16)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새들부재(7)의 환상 결합클로(17)를 접속부재(9)의 결합 돌출고리(21)에 결합시켜서, 접속부재(9)와 새들부재(7)를 조립한다.
그 후, 도 10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9)를 회전시켜서, 상기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한다(도 11 참조). 그러면, 한쪽의 걸림클로(43)의 상부의 외주면이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내주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의 회동이 저지되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는 상기 하수 본관(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 및 걸림클로(4, 5)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하여 가면, 상기 걸림부재(6)의 걸림클로(4, 5)가 접속부재(9) 및 새들부재(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끌어올려지고, 걸림클로(4, 5)의 걸림판(10)의 상면과 새들부재(7)의 새들판(14)의 하면에 의해서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가 끼워져서, 접속지관(1)은 하수 본관(2)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새들부재(7)의 내주 하면과 하수 본관(2)의 상면 사이에는 제1패킹(15)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패킹(15)에 의해서 상기 새들부재(7)와 상기 하수 본관(2)의 사이가 수밀상태로 되어 있다. 또, 새들부재(7)의 내주면과 접속부재(9)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2패킹(22)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패킹(22)에 의해서 상기 새들부재(7)와 상기 접속부재(9)의 사이가 수밀상태로 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 참조).
이와 같이 하수 본관(2)의 소정 위치에 접속지관(1)을 부착하여 하수 본관(2)을 분기한 후, 상기 접속지관(1)의 접속부재(9)의 고무링 수용구(8)에 부착관을 삽입하여 접속하여, 배관공사가 완료된다.
상기의 접속지관(1)에서도, 실시예1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접속지관(1)에서는 접속부재(9)를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함으로써 2개의 걸림클로(4, 5)가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확실하게 걸리게 되기 때문에, 걸림불량이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접속지관(1)에서는, 한쪽의 걸림클로(4)가 걸린 상태가 아니면 접속부재(9)를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할 수 없으므로, 걸림클로(4, 5)의 걸림을 잊어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시공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지관(1)에서는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또한 용이하기 때문에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접속부재(9)와 새들부재(7)를 조립했을 때에, 새들부재(7)의 환상 결합클로(17)가 접속부재(9)의 결합 돌출고리(21)에 결합하여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9)와 상기 새들부재(7)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또한, 접속부재(9)와 걸림부재(6)를 조립하였을 때에는, 상기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가 상기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조립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9)와 상기 걸림부재(6)가 분리되는 일이 없다.
또한, 한쪽의 걸림클로(4)가 피벗 핀(11)을 통해서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피벗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를 원활하게 회동시킬 수 있고, 작업시에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가 낙하하는 일이 없으므로 시공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시공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를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내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의 외측으로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벗 핀(11)에 작용하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고, 상기 피벗 핀(11)이 꺾일 위험이 거의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의 양단부 내면에 접촉면(25)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한쪽의 걸림클로(4)가 부착되는 측의 걸림부재(6)의 상부의 양단부 외면에 접촉면(26)이 형성되어 있다(도 8 및 도 9 참조). 따라서, 접속부재(9)의 삽입부(18)의 나사부(19)를 걸림부재(6)의 나사홈(12)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한쪽의 걸림클로(4)의 접촉부(25)와 걸림부재(6)의 접촉면(26)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걸림클로(4)의 상부 내측으로의 회동이 저지되어 있다.
또, 상기 2개의 걸림클로(4, 5)가 하수 본관(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수 본관(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의 가장 높은 위치에 걸림클로(4, 5)를 걸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걸림클로(4, 5)가 하수 본관(2)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지관(1)이 하수 본관(2)의 축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된 경우라도, 걸림클로(4, 5)가 부착관의 관바닥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일이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목적에 따라서 변경/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도 6에 나타낸 실시예1에서는,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로서 고무링 수용구(8)가 접속부재(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 이외,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로서 목흔들림이 가능한 고무링 수용구(8)가 접속부재(9)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도 7~도 12에 나타낸 실시예2에서는,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로서 고무링 수용구(8)가 접속부재(9)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 이외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로서 고무제의 가요 수용구(8)가 접속부재(9)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 이외, 부착관이 접속되는 접속구로서 접착 수용구(도시생략)가 접속부재(9)의 상부에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접속부재(9)의 외주면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재(9)를 회전시킬 때의 손잡이 될 곳으로 되는 손잡이(24)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손잡이(24)를 설치하는 대신에 접속부재(9)를 회전시킬 때의 손잡이 될 곳으로 되는 돌기(도시생략)나 구멍(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쪽의 걸림클로(4)가 피벗 핀(11)을 통해서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 이외에, 양쪽의 걸림클로(4, 5)가 피벗 핀(11)을 통해서 걸림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관로인 하수 본관(2)에 지관로인 부착관을 접속 하는 경우에 접속지관(1)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 이외에, 주관로인 물받이의 입관(도시생략)에 지관로인 물받이의 지관(도시생략)을 접속하는 경우에 접속지관(1)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시공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접속지관으로서, 산업상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접속지관(1)에서는, 걸림부재(6)에 피벗팅된 걸림클로(4)를 회동시키고, 그 걸림클로(4)를 상기 주관로(2)의 개구부(3)에 통과시켜 주관로(2)의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상기 걸림클로(4, 5)를 걸리게 한 후에,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사부착하여 상기 걸림클로(4)의 회동을 저지하고, 상기 걸림클로(4)가 상기 주관로(2)의 개구부(3)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재(9)를 상기 걸림부재(6)에 나착부착한 경우에는, 상기 걸림클로(4, 5)는 상기 개구부(3)의 둘레가장자리에 확실히 걸려 있으므로, 걸림불량이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의 확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때문에 배관공사의 노력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주관로에 지관로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지관으로서,
    주관로의 개구부의 둘레가장자리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클로가 설치되어 있는 걸림부재, 그 걸림부재에 끼워부착됨과 아울러 주관로상에 장착되는 새들부재, 및 그 새들부재에 삽입부착됨과 아울러 지관로가 접속되는 접속구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재를 가지고 있고,
    한쪽 또는 양쪽의 걸림클로는 피벗 핀을 통해서 상기 걸림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으며,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클로는 상기 주관로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또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걸림부재에 나사부착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의 회동이 저지되어서 상기 걸림클로는 상기 주관로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지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걸림부재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의 상부가 상기 새들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클로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지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걸림부재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의 상부의 외주면이 상기 접속부재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지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팅된 걸림클로의 상부의 내면에는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클로가 설치되는 측의 걸림부재의 상부의 외면에는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걸림부재에 나사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걸림클로의 접촉면과 상기 걸림부재의 접촉면이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림클로의 상부 내측으로의 회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지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림클로는 주관로의 축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지관.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클로는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지관.
KR1020050093260A 2004-10-05 2005-10-05 접속지관 KR101192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2035 2004-10-05
JP2004292035A JP4443369B2 (ja) 2004-10-05 2004-10-05 接続支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24A KR20060052024A (ko) 2006-05-19
KR101192732B1 true KR101192732B1 (ko) 2012-10-18

Family

ID=3637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260A KR101192732B1 (ko) 2004-10-05 2005-10-05 접속지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43369B2 (ko)
KR (1) KR101192732B1 (ko)
CN (1) CN1757962B (ko)
TW (1) TWI2857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7147B2 (ja) * 2006-05-29 2011-09-21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接続支管
JP5119024B2 (ja) * 2008-03-28 2013-01-1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枝管継手具
JP5452092B2 (ja) * 2009-06-17 2014-03-26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分岐継手
KR101179435B1 (ko) * 2010-07-09 2012-09-04 이종태 분기관 접속 연결구
JP6169422B2 (ja) * 2013-06-28 2017-07-26 株式会社ディスコ 流量調整器具
DE202017104709U1 (de) * 2017-08-07 2018-11-08 Rehau Ag + Co Anschlussvorrichtung
KR102117307B1 (ko) * 2018-05-10 2020-06-01 주식회사 케이텍 콜렉터 노즐용 가스켓
JP7407082B2 (ja) 2020-07-21 2023-12-28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枝管接続部材
KR102476194B1 (ko) * 2021-12-09 2022-12-09 임민섭 분기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 및 그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0340B (en) * 1982-05-19 1985-11-27 Uponor Ab Branch pipe connection
FR2635369B1 (fr) * 1988-08-09 1990-10-05 Degremont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rapide, etanche, de tubes
FR2689206B1 (fr) * 1992-03-26 1994-06-10 Alkan R & Cie Inserts pour l'equipement de caissons etanches en materiaux composites.
US6089615A (en) * 1997-10-17 2000-07-18 Uponor Innovation Ab Branch pipe connection
JP2000240882A (ja) * 1999-02-22 2000-09-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枝管の取付方法
DE29911362U1 (de) * 1999-06-30 1999-09-09 Hummel Anton Verwaltung Anschlußarmatur zum Befestigen von länglichen Körpern
TW557238B (en) * 2001-07-18 2003-10-11 Kitagawa Iron Works Co Chuck with pull-i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9543A (en) 2006-06-16
CN1757962A (zh) 2006-04-12
JP2006105250A (ja) 2006-04-20
KR20060052024A (ko) 2006-05-19
TWI285717B (en) 2007-08-21
JP4443369B2 (ja) 2010-03-31
CN1757962B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732B1 (ko) 접속지관
RU2361142C2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US20090188577A1 (en) Plumbing test cap with pivotal latch
JP4777147B2 (ja) 接続支管
SK158994A3 (en) Quick-fit union connector with indicator of connection
JP4646790B2 (ja) 接続支管
JP5036452B2 (ja) 止水用ゴムシー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分岐管接続構造並びに分岐管接続構造の施工方法
KR20140029719A (ko) 유로 연결구조
JP4564915B2 (ja) 接続支管
EP1460326B1 (en) Hose coupling assembly
JP2001509567A (ja) パイプ・リテーナ
KR102154693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결합시공방법
JP4744414B2 (ja) 補強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管接続構造
JPH10220668A (ja) 小口径管継手
JP2008051225A (ja) 配管継手装置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200391564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JP4514053B2 (ja) ヘッダー及びヘッダーの止水方法
KR20060121029A (ko)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KR200381665Y1 (ko) 플랜지형 하수관 연결장치
JP2004092024A (ja) 分岐管接続構造
KR200219755Y1 (ko) 온수기 및 보일러용 탱크
JP3975734B2 (ja) 配管接続装置
JP3222932U (ja) 樹脂管接続機構付き金属製フレキシブル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