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719A - 유로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유로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9719A
KR20140029719A KR1020120095134A KR20120095134A KR20140029719A KR 20140029719 A KR20140029719 A KR 20140029719A KR 1020120095134 A KR1020120095134 A KR 1020120095134A KR 20120095134 A KR20120095134 A KR 20120095134A KR 20140029719 A KR20140029719 A KR 20140029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low path
hook
outer connector
cli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494B1 (ko
Inventor
이현철
윤성한
한두원
류근상
이준영
임순호
김서영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4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유로와 유로 간을 용이하게 분리 및 연결할 수 있는 유로 연결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유로 연결구조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하는 유로 연결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유로에 구비되는 외측 커넥터; 다른 하나의 유로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커넥터에 삽입되는 내측 커넥터; 및 상기 외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커넥터가 상기 외측 커넥터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하는 고정클립부재;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유로 연결구조에 의하면, 외측 커넥터에 구비된 고정클립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을 통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유로의 연결/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유로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PIPE}
본 발명은 유로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와 유로 간을 용이하게 분리 및 연결할 수 있는 유로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 형태의 유로를 연결하는 구조는 매우 다양하며,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로 연결구조는 세탁기와 호스 연결부, 정수기의 필터와 유로 연결부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수압에 의해 분리되지 않아야 하고, 조립이 용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여기서, 도 1의 (a)는 클립식 연결구조이고, 도 1의 (b)는 나사결합식 연결구조이다.
우선, 도 1의 (a)에 도시된 클립식 연결구조는 외측 커넥터(10)와, 외측 커넥터(10)에 삽입되는 내측 커넥터(20) 그리고, 외측 커넥터(10)와 내측 커넥터(20)를 고정시키는 클립(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30)에는 내측으로 복수의 돌기(31)가 형성되며, 외측 커넥터(10)에는 상기 클립(30)의 돌기(31)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커넥터(20)는 외주면에 단차진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내측 커넥터(20)가 외측 커넥터(10)에 삽입되고, 클립(30)이 외측 커넥터(10)의 외주면에 끼워지면 클립(30)의 돌기(31)는 외측 커넥터(10)의 관통홀을 통과하여 내측 커넥터(20)의 걸림홈(21)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클립(30)이 내측 커넥터(20)와 외측 커넥터(10)를 결속시켜 내측 커넥터(20)가 외측 커넥터(10)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클립식 연결구조는 별도로 분리된 클립을 사용하므로, 클립의 분실 우려가 있고, 클립의 보관 잘못으로 인해 클립 변형 및 파손되거나 클립의 탄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한편, 도 1의 (b)에 도시된 나사결합식 연결구조는 일측 커넥터(30)와 타측 커넥터(40)의 단부에 상호 대응하는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양자가 나사결합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일측 커넥터(30)와 타측 커넥터(40)의 연결 및 분리에 스패너 등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유로의 연결 및 분리를 하는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유로와 유로 간의 연결/분리 작업이 용이한 유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유로 결속에 사용되는 클립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유로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하는 유로 연결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유로에 구비되는 외측 커넥터; 다른 하나의 유로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커넥터에 삽입되는 내측 커넥터; 및 상기 외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커넥터가 상기 외측 커넥터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하는 고정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상기 외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커넥터는 외주면에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후크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커넥터는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는 후크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커넥터와 외측 커넥터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후크걸림홈에 걸리는 구조를 통해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클립부재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클립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커넥터에는 상기 후크부의 상기 후크관통홀에 대한 출입을 가이드하도록 외주면이 상기 후크관통홀 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 연결구조에는 상기 고정클립부재가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하는 빠짐방지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측 커넥터에는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내측 커넥터에는 상기 외측 커넥터와의 연결부위를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 커넥터에 구비된 고정클립부재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동을 통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유로의 연결/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클립부재가 외측 커넥터에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고정클립부재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의 분실 및 파손의 우려가 없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로 연결구조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로 연결구조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로 연결구조의 후크부가 열린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유로 연결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조립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부분의 단면도, 도 5는 후크부가 열린상태의 정단면도, 도 6은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100)는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할 수 있으며, 외측 커넥터(110), 내측 커넥터(120) 및 고정클립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클립부재(1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빠짐방지부재(140)와, 연결된 유로를 밀봉하는 실링부재(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커넥터(110)는 서로 연결되는 유로 중에서 하나의 유로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측 커넥터(110)는 후술할 내측 커넥터(12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넥터(110)에는 후술할 고정클립부재(130)의 후크부(132)가 통과할 수 있는 후크관통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 커넥터(120)는 서로 연결되는 유로 중에서 다른 하나의 유로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 커넥터(110)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내측 커넥터(120)에는 후술할 고정클립부재(130)의 후크부(132)가 걸릴 수 있는 후크걸림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크걸림홈(122)은 일 실시예에서 내측 커넥터(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폭과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커넥터(120)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부 구간이 단차지게 형성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고정클립부재(130)의 후크부(132)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후크부(132)가 걸릴수 있는 크기의 홈이 형성된 구성도 가능하다. 즉, 내측 커넥터(120)의 둘레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둘레에서 일부에만 홈이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후크걸림홈(122)은 후크부(132)가 걸린 상태에서 내측 커넥터(12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내측 커넥터(120)의 외주면에 대해 직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후크걸림홈(122)이 경사지게 단차진 경우에는, 내측 커넥터(120)에 축방향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면 후크부(132)가 후크걸림홈(122)의 경사면을 슬라이딩하여 내측 커넥터(120)가 외측 커넥터(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걸림홈(1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커넥터(120)의 외주면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클립부재(130)는 외측 커넥터(1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외측 커넥터(110)에 삽입된 내측 커넥터(120)가 외측 커넥터(110)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즉, 고정클립부재(130)는 외측 커넥터(110)에 결합되어 내측 커넥터(120)의 축방향 위치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회전위치는 외측 커넥터(110)의 후크관통홀(112)에 후술할 고정클립부재(130)의 후크부(132)가 통과하는 위치를 말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고정클립부재(130)는 외측 커넥터(1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환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측(예를 들어,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기처럼 돌출된 후크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고정클립부재(130)의 후크부(13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커넥터(110)의 후크관통홀(112)을 통과하여 내측 커넥터(120)의 후크걸림홈(122)에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측 커넥터(120)와 외측 커넥터(110)는 서로 결속될 수 있으며, 내측 커넥터(120)가 외측 커넥터(110)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132)는 고정클립부재(130)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클립부재(130)가 외측 커넥터(110)의 외주면에서 회전작동되어 소정의 회전위치가 되면, 후크부(132)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후크관통홀(112)을 통과하여 후크걸림홈(122)에 걸릴 수 있으며, 후크걸림홈(122)에 걸린 후크부(132)는 탄성력으로 인해 후크걸림홈(122)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후크부(13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부재(130)의 일부가 'ㄷ'자형으로 절개되고, 절개된 끝부분이 고정클립부재(130)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크부(132)는 고정클립부재(130)를 구성하는 재질 고유의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통하여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후크부(132)는 상기 일 실시예와 같이 고정클립부재(1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클리부재의 내주면에 구비된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후크부(132)는 고정클립부재(13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내측 커넥터(120)가 외측 커넥터(11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힘에 대한 저항력이 복수의 후크부(132)에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내측 커넥터(120)와 외측 커넥터(110)의 연결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또는 5개의 후크부(132)가 고정클립부재(130)의 둘레를 등간격으로 나누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복수의 후크부(132)에 힘이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서, 외측 커넥터(110)에는 후크부(132)의 후크관통홀(112)에 대한 출입을 가이드하도록 외측 커넥터(110)의 외주면이 후크관통홀(112) 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4)는 외측 커넥터(110)의 외주면 일부가 고정클립부재(130)의 회전방향을 따라 후크관통홀(112)로 내리막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클립부재(130)가 회전될 때, 가이드부(114)는 후크부(132)를 후크관통홀(112)의 정확한 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클립부재(1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부(132)가 후크걸림홈(122) 및 후크관통홀(112)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가이드부(114)는 경사면을 통해 가이드부(114)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외측 커넥터(110)와 내측 커넥터(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빠짐방지부재(140)는 고정클립부재(130)가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빠짐방지부재(140)는 일 실시예에서 외측 커넥터(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환형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에 고정용 돌기(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커넥터(110)에는 빠짐방지부재(140)의 고정용 돌기(142)가 결합되어 외측 커넥터(110)에 빠짐방지부재(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홈(116)은 빠짐방지부재(140)가 외측 커넥터(110)에 삽입 후 회전을 통해 고정되도록 'ㄱ'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150)는 내측 커넥터(120) 외측 커넥터(110)의 연결부위를 유체가 누수되지 않도록 밀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링부재(150)는 내측 커넥터(120)에 형성된 실링홈에 결합되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방수재질의 오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링의 장착을 위해 내측 커넥터(120)에는 실링부재(150) 장착용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실링부재(150)가 상기와 같이 오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 커넥터(120)와 외측 커넥터(110)의 연결부위를 밀봉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도 5와 같이 고정클립부재(130)의 후크부(132)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내측 커넥터(120)를 외측 커넥터(110)에 삽입시킨다. 이후, 고정클립부재(130)를 회전시켜 후크부(132)가 후크관통홀(112)을 통과하여 후크홈에 걸리도록 하여 내측 커넥터(120)와 외측 커넥터(110)를 결속시키고, 빠짐방지부재(140)를 고정시켜 고정클립부재(130)를 외측 커넥터(110)에 고정시킨다.
한편, 내측 커넥터(120)와 외측 커넥터(110)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빠짐방지부재(140)를 외측 커넥터(110)로부터 분리시키고, 고정클립부재(1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후크부(132)가 후크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내측 커넥터(120)를 외측 커넥터(11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100)는 간단한 작동을 통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시킬 수 있고, 내측 커넥터(120)를 구속하는 고정클립부재(130)와 이러한 고정클립부재(130)를 구속하는 빠짐방지부재(140)를 통한 이중고정구조를 통해 유로 연결부의 견고함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로 연결구조(100)에서, 고정클립부재(130)는 외측 커넥터(110)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커넥터(120)와 외측 커넥터(110)의 연결/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유로 연결구조 110: 외측 커넥터
112: 후크관통홀 114: 가이드부
116: 고정홈 120: 내측 커넥터
122: 후크걸림홈 130: 고정클립부재
132: 후크부 140: 빠짐방지부재
150: 실링부재

Claims (9)

  1. 유체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유로와 유로 간을 연결하는 유로 연결구조에 있어서,
    하나의 유로에 구비되는 외측 커넥터;
    다른 하나의 유로에 구비되며, 상기 외측 커넥터에 삽입되는 내측 커넥터; 및
    상기 외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측 커넥터가 상기 외측 커넥터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하는 고정클립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상기 외측 커넥터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부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후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커넥터는 외주면에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후크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커넥터는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는 후크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측 커넥터와 외측 커넥터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후크걸림홈에 걸리는 구조를 통해 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클립부재의 내측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클립부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넥터에는 상기 후크부의 상기 후크관통홀에 대한 출입을 가이드하도록 외주면이 상기 후크관통홀 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부재가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구속하는 빠짐방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커넥터에는 상기 빠짐방지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넥터에는 상기 외측 커넥터와의 연결부위를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연결구조.
KR1020120095134A 2012-08-29 2012-08-29 유로 연결구조 KR102000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34A KR102000494B1 (ko) 2012-08-29 2012-08-29 유로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134A KR102000494B1 (ko) 2012-08-29 2012-08-29 유로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19A true KR20140029719A (ko) 2014-03-11
KR102000494B1 KR102000494B1 (ko) 2019-07-17

Family

ID=5064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134A KR102000494B1 (ko) 2012-08-29 2012-08-29 유로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4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168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호스연결용 커넥터
KR101664717B1 (ko) * 2015-06-30 2016-10-10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퀵 릴리스형 에어 브리더
CN117287579A (zh) * 2023-11-24 2023-12-26 华能济南黄台发电有限公司 一种抗燃油管路快拆机构及抗燃油再生系统
EP4306838A3 (de) * 2022-07-13 2024-03-06 AL-KO Geräte GmbH Anschlusseinrichtung,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nschlusseinrichtung und pumpe hierfü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038A (ja) * 1996-12-25 1998-07-14 Toosetsu Kk 給排気管の抜け止め装置
JP2009264493A (ja) * 2008-04-25 2009-11-12 Toyoda Gosei Co Ltd コネクタ
KR20100015107A (ko) * 2008-08-04 2010-02-1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워셔액호스 연결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5038A (ja) * 1996-12-25 1998-07-14 Toosetsu Kk 給排気管の抜け止め装置
JP2009264493A (ja) * 2008-04-25 2009-11-12 Toyoda Gosei Co Ltd コネクタ
KR20100015107A (ko) * 2008-08-04 2010-02-1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워셔액호스 연결용 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9168A1 (ko) * 2014-12-17 2016-06-2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호스연결용 커넥터
CN107002926A (zh) * 2014-12-17 2017-08-01 利富高(韩国)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软管连接的连接器
US20180172192A1 (en) * 2014-12-17 2018-06-21 Nifco Korea Inc. Connector for vehicular hose connection
KR101664717B1 (ko) * 2015-06-30 2016-10-10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퀵 릴리스형 에어 브리더
EP4306838A3 (de) * 2022-07-13 2024-03-06 AL-KO Geräte GmbH Anschlusseinrichtung,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nschlusseinrichtung und pumpe hierfür
CN117287579A (zh) * 2023-11-24 2023-12-26 华能济南黄台发电有限公司 一种抗燃油管路快拆机构及抗燃油再生系统
CN117287579B (zh) * 2023-11-24 2024-02-02 华能济南黄台发电有限公司 一种抗燃油管路快拆机构及抗燃油再生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494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9349C (en) Clam shell push-to-connect assembly
US7841630B1 (en) Electric metal tube push-in fitting
ES2379638T3 (es) Conector rápido con estructura de retención
RU25410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кабеля на патрубке для вывода кабеля
ES2694015T3 (es) Dispositivo para conectar dos objetos rígidos
KR20140029719A (ko) 유로 연결구조
US20090278346A1 (en) Connector
ES2617501T3 (es) Elemento de conexión para tuberías y procedimiento relevante para conectar tuberías
KR20060052024A (ko) 접속지관
KR102154692B1 (ko)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KR20130031989A (ko) 호스 연결장치
JP2018091482A (ja) 連結部材、流体機器接続治具及び流体機器接続構造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170062488A (ko) 주름 튜브를 위한 연결 조립체
US11092269B2 (en)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with secondary latches
KR101180871B1 (ko) 유체 라인용 커넥터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TWI512224B (zh) 管接頭
KR200429383Y1 (ko) 배관 유니온의 오링 삽입홈 구조
JP2007154969A (ja) 接続支管
KR100871105B1 (ko) 결합체결이 간편한 배관이음형 커플링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US20200386352A1 (en) Cap loosening prevention device
KR101282642B1 (ko) 퀵 커넥터용 암부재
KR200407158Y1 (ko) 호스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