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029A -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029A
KR20060121029A KR1020050043309A KR20050043309A KR20060121029A KR 20060121029 A KR20060121029 A KR 20060121029A KR 1020050043309 A KR1020050043309 A KR 1020050043309A KR 20050043309 A KR20050043309 A KR 20050043309A KR 20060121029 A KR20060121029 A KR 2006012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lexible
flexible duct
connector
du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4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1029A/ko
Publication of KR2006012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단부를 걸리게 하는 검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부로 인해 플렉시블 덕트의 이탈 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상기 플렉시블 덕트와 상기 덕트 연결구의 체결부위를 견고하게 해주는 고정 밴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유체의 누설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덕트, 덕트 연결구

Description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Duct coupler for connecting flexible duc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부를 갖는 덕트 연결구와 플렉시블 덕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를 갖는 덕트 연결구와 플렉시블 덕트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플랜지부 2: 덕트 연결구
3: 플렉시블 덕트 4: 체결구멍
5: 홈부 6: 돌출부
7: 홈 대응부 8: 돌출 대응부
본 발명은 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덕트 연결구에 돌출부 또는 홈부를 형성하여 플렉시블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연결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는 플렉시블 덕트 연결을 위한 덕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을 지칭하는 말로서, 냉방기, 난방기등을 비롯한 공기조화기 등에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조화기등의 일측에 형성된 덕트 연결구에 연결이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시블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체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 연결구(2)는 공기조화기의 일측에 접해 있는 플랜지부(1)는 다수의 체결구멍(4)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공기조화기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에서 연장되어 원통형상의 덕트 연결구(2)가 형성된다. 소정의 직경을 갖는 플렉시블 덕트(3)는 덕트 연결구(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게 되어 덕트 연결구(2)가 플렉시블 덕트(3)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면, 플렉시블 덕트(3)와 덕트 연결구(2)의 체결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해 체결부위를 따라 고정 밴드(미도시)가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덕트 연결구(2)는 플렉시블 덕트(3)의 내주면과 덕트 연결구(2)의 외주면이 단순히 접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비록 고정 밴드로 그 체결상태를 견고히 한다 할지라도, 장시간 사용을 할 경우 고정 밴드의 체결력이 떨어져 덕 트 연결구(2)에서 플렉시블 덕트(3)가 이탈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체결부위로 유체 등이 누설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덕트 연결구의 형상을 개선하여, 플렉시블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체결부위를 견고하게 해주는 고정 밴드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체의 누설 가능성 및 플렉시블 덕트의 이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덕트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단부를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오목한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걸림부는 볼록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부(5)를 갖는 덕트 연결구(2)와 플렉 시블 덕트(3)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연결구(2)의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홈부(5)가 형성되어 있고, 덕트 연결구(2)는 덕트 연결구(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플렉시블 덕트(3)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덕트 연결구(2)에 형성된 홈부(5)로 인해 플렉시블 덕트(3)의 홈 대응부(7)는 덕트 연결구(2)의 홈부(5)에 고정되어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가 체결되어 있는 홈 대응부(7)를 따라 고정 밴드를 감아 놓으면 상기 홈부(5)로 인해 체결부위에 감긴 상기 고정 밴드가 고정됨으로써, 그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6)를 갖는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덕트 연결구(2)의 홈부(5)와는 반대로 덕트 연결구(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6)를 예시한다.
덕트 연결구(2)에 형성된 돌출부(6)는 도 2에 도시된 홈부(5)와 마찬가지로 플렉시블 덕트(3)의 돌출 대응부(8)를 고정 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의 체결부위를 따라 고정 밴드를 감아 놓으면 상기 돌출부(6)로 인해 체결부위에 감긴 상기 고정 밴드가 고정됨으로써, 그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게 한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덕트 연결구(2)의 외주면에 홈부(5) 또는 돌출부(6)를 형성함으로써,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하고,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의 체결부위에 설치되는 고정 밴드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덕트 연결구(2)와 플렉시블 덕트(3)의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해준다.
본 발명은 덕트 연결구의 일측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부 또는 홈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렉시블 덕트의 이탈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렉시블 덕트와 덕트 연결구의 체결부위를 견고하게 해주는 고정 밴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유체의 누설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결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플렉시블 덕트의 단부를 걸리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오목한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볼록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KR1020050043309A 2005-05-23 2005-05-23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KR20060121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309A KR20060121029A (ko) 2005-05-23 2005-05-23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309A KR20060121029A (ko) 2005-05-23 2005-05-23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029A true KR20060121029A (ko) 2006-11-28

Family

ID=3770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309A KR20060121029A (ko) 2005-05-23 2005-05-23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10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10B1 (ko) * 2011-11-29 2012-06-2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배기덕트의 길이 조정용 어댑터
KR101515327B1 (ko) * 2014-03-19 2015-04-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 긴장재 덕트 연결재 및 이를 포함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220090328A (ko) 2020-12-22 2022-06-29 (주) 제이오 공조시스템의 덕트와 플렉시블호스 연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510B1 (ko) * 2011-11-29 2012-06-28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반도체 배기덕트의 길이 조정용 어댑터
KR101515327B1 (ko) * 2014-03-19 2015-04-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 긴장재 덕트 연결재 및 이를 포함한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220090328A (ko) 2020-12-22 2022-06-29 (주) 제이오 공조시스템의 덕트와 플렉시블호스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5112T3 (es) Acoplamiento que tiene un retenedor dotado de lengüeta
US8096017B2 (en) Grommet for metal stud
JP4020122B2 (ja) パイプに流体管を結合するプラグインカップリング
TWI629426B (zh) 用於連接複數個管元件之具有保持件及孔之管配件及接合管元件之方法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JP2008508484A (ja) ホース留め具
JPH01224593A (ja)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US9689108B2 (en) Dryer duct connector
JP2008540942A (ja) 差し込み固定部を有する迅速連結具
KR101192732B1 (ko) 접속지관
KR100958816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060121029A (ko) 플렉시블 덕트를 연결하기 위한 덕트 연결구
KR101243177B1 (ko) 골이 있는 호스를 위한 연결 및 부착 구성요소
JP6716572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の連結組立体
KR20190024024A (ko) 풀림 및 누설이 방지되는 플랜지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40029588A (ko) 관 삽입 확인장치 및 관을 대상물에 연결시키는 방법
EP2749803B1 (en) Bell and spigot type piping joint
KR101977210B1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101903691B1 (ko) 배관 플랜지 어셈블리 및 배관 플랜지 어셈블리 설치방법
KR200309708Y1 (ko)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JP4596983B2 (ja) リブパイプ用管継手
KR200414093Y1 (ko) 관로 연결용 카트리지
US20120175871A1 (en) Pipe connector and pipe assembly using same
JP5987713B2 (ja) バンド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