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610B1 -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610B1
KR101188610B1 KR1020060068426A KR20060068426A KR101188610B1 KR 101188610 B1 KR101188610 B1 KR 101188610B1 KR 1020060068426 A KR1020060068426 A KR 1020060068426A KR 20060068426 A KR20060068426 A KR 20060068426A KR 101188610 B1 KR101188610 B1 KR 10118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oupling shaft
guide
pedal arm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760A (ko
Inventor
김선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6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에는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한 쌍의 플랜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이드 몸체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수납 설치되며, 끝단에는 페달이 고정 설치된 페달암; 상기 결합축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결합축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결합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페달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결합축과 페달암을 연결하는 운동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페달의 작동에 따라 페달암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페달과 발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페달 조립체를 제공한다.
페달, 페달암, 피니언, 래크, 길이조정

Description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PEDAL ASSEMBLY OF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분해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페달 조립체 10 - 베이스
12 - 브라켓 20 - 가이드부
21 - 결합축 22 - 가이드 몸체
22a - 공간부 22b - 안내공
23 - 가이드 핀 24 - 탄성부재
30 - 페달암 30a,42a - 연결축
32 - 페달 40 - 운동 전환수단
41 - 피니언 42 - 래크
본 발명은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달의 작동에 따라 페달암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됨으로써, 운전자의 발과 페달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기관에서 발생한 동력을 구동바퀴에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 페달과, 주행중 자동차의 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을 수행하기 위한 악셀레이터 페달이 설치된다.
이러한, 페달들은 일단부가 차체에 구비된 힌지축에 선회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고, 운전자가 밟아 작동시키며, 발을 놓는 경우 신속하게 리턴 가능하도록 스프링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페달들은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페달을 밟는 경우 운전자의 발과 페달의 궤적이 다르게 되어 페달을 밟을수록 페달과 발이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발과 페달에서 슬립현상이 일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페달의 조작감이 저하됨은 물론, 장시간 운전시 발이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 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의 작동에 따라 페달암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됨으로써, 운전자의 발과 페달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페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에는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한 쌍의 플랜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이드 몸체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수납 설치되며, 끝단에는 페달이 고정 설치된 페달암; 상기 결합축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결합축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결합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페달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결합축과 페달암을 연결하는 운동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분해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A)는 크게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20)와, 가이드부(20) 내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페달암(30) 및, 가이드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주는 운동 전환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평판형의 구조로 끝단에는 차체와의 고정을 위한 고정공(11)이 구비되고, 중앙 양측에는 서로 대향 되는 한 쌍의 플랜지(12)가 설치된다. 이때, 한 쌍의 플랜지(12)에는 서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조립공(12a)이 각각 구비된다.
가이드부(20)는 베이스(10)에 구비된 플랜지(12)의 조립공(12a)에 조립 설치되는 결합축(21)과, 결합축(21)의 중앙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몸체(22)로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축(21)은 베이스(10)에 구비된 플랜지(12)의 조립공(12a)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한 쌍의 플랜지(12)에 구비된 각각의 조립공(12a)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조립된다.
이때, 결합축(21)에는 플랜지(12)와의 접촉부에 소정의 탄성부재(24)가 개재된다. 즉, 결합축(21)은 페달암(30)의 눌림에 따라 회전운동을 수행하는바, 페달암(30)의 눌림이 해제되는 상태에서는 페달암(30)이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리턴되기 위함이다.
이러한, 탄성부재(24)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결합축(21)에 개재된 상태로 일단은 베이스(10)의 적소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가이드부(20)의 적소에 고정되어 결합축(21)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몸체(22)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22a)를 구비하는 함체형으로,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안내공(22b)이 구비된다.
또한, 가이드 몸체(22)의 상단 전방으로는 후술될 운동 전환수단(40)의 유동을 구속하기 위한 가이드 핀(23)이 설치되는바, 이 가이드 핀(23)에 대하여는 후술될 운동 전환수단(40)의 설명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페달암(30)은 가이드 몸체(22)의 공간부(22a)에 수납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 몸체(22)에 구비된 안내공(22b)을 통하여 노출되는 연결축(30a)이 구비되고, 하단에는 일정부분이 절곡되어 페달(31)이 고정 설치된다.
운동 전환수단(40)은 가이드부(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페달암(30)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운동 전환수단(40)은 가이드부(20)를 구성하는 결합축(21)의 양단에 형성되는 피니언(41)과, 피니언(42)과 맞물리는 구조로 일단에는 페달암(30)에 구비된 연결축(30a)과 대응되는 연결축(42a)이 구비된 래크(42)로 구성되어 피니언(41)의 회전에 따라 래크(42)가 직선 이동하면서 페달암(30)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때, 래크(42)는 가이드 몸체(22)의 전방에 설치된 가이드 핀(23)에 의해 흔들림 및 유동이 방지되기 때문에 피니언(41)과 래크(42)의 안정적인 치합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래크(42)는 일측 끝단만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피니언(41)과의 치합운동이 불균형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페달암(30)의 길이 조정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측 끝단에는 래크(4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3a)가 절곡 형성된 가이드 핀(23)이 결합축(21)과 페달암(30)의 연결축(30a) 사이의 가이드 몸체(22)전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피니언(41)과 래크(42)의 치합운동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달 조립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페달(31)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는 페달암(30)의 연결축(30a)은 가이드 몸체(22)에 구비된 안내공(22b)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31)을 밟게 되면, 페달(31)에 가해지는 힘이 가이드 몸체(22)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 몸체(22)에 고정된 결합축(21)은 회전하면서 피니언(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피니언(41)이 회전하면, 피니언(41)과 맞물린 래크(42)는 피니언(4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래크(42)는 일단이 페달암(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페달암(41)은 가이드 몸체(22)의 안내공(22b)을 따라 이동하면서 점차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페달을 놓으면, 페달(31)에 더 이상 힘이 작용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탄성부재(24)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이 탄성부 재(24)의 복원력이 작용하면 결합축(21)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피니언(41) 역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래크(42)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페달암(31)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며 길이 또한 원래의 길이로 복원된다.
따라서, 페달(31)이 눌림에 따라 페달암(30)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되면서 운전자의 발에 밀착되기 때문에 발과 페달(31)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 조립체에 의하면, 페달의 눌림에 따라 페달암의 길이가 가변적으로 조정되어 페달과 발에서 발생하는 슬립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페달 조작감이 향상되고, 발의 위치와 페달의 위치가 동일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페달을 밟을수록 발과 페달이 멀어지게 되어 발을 페달쪽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차체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에는 서로 대향 되는 위치에 한 쌍의 플랜지가 구비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플랜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결합축과, 상기 결합축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납공간이 구비된 가이드 몸체로 구성되는 가이드 부;
    상기 가이드부의 수납공간에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수납 설치되며, 끝단에는 페달이 고정 설치된 페달암;
    상기 결합축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결합축에 개재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결합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페달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결합축과 페달암을 연결하는 운동 전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안내공을 형성하고,
    상기 페달암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몸체의 안내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연결축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이 운동 전환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전환수단은,
    상기 결합축의 양단에 형성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구조로 끝단이 상기 페달암의 연결축과 연결되는 래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과 페달암의 연결축 사이에는 피니언과 래크의 치합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소정의 가이드 핀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양측 끝단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KR1020060068426A 2006-07-21 2006-07-21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KR10118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26A KR101188610B1 (ko) 2006-07-21 2006-07-21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426A KR101188610B1 (ko) 2006-07-21 2006-07-21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760A KR20080008760A (ko) 2008-01-24
KR101188610B1 true KR101188610B1 (ko) 2012-10-08

Family

ID=3922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426A KR101188610B1 (ko) 2006-07-21 2006-07-21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6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36B1 (ko) 2000-12-22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속페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36B1 (ko) 2000-12-22 2003-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속페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760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567B2 (ja) ペダル反力装置
US7587958B2 (en) De-Cel dampener method and apparatus
CA2523860A1 (en) Accelerator pedal for motorized vehicle
WO2006091347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US20050193853A1 (en) Shift lever assembly
ES2747257T3 (es) Mecanismo de relación variable para pedales ajustables para mantener una relación constante
JP4855376B2 (ja) ブレーキレバー調整装置
CN104973193A (zh) 自行车操作装置
JP5958888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188610B1 (ko) 자동차의 페달 조립체
KR200479639Y1 (ko) 자동 변속기용 변속레버 장치
KR101449327B1 (ko) 차량의 페달 장치
KR100941220B1 (ko) 킥 다운 스위치
CN116386417A (zh) 换挡模拟器系统,设置有该系统的模拟器以及操作方法
EP3447340A1 (en) A damping mechanism for a shift selector assembly and a shift selector assembly comprising said damping mechanism
JP3586179B2 (ja) 自動車のペダル装置
KR100561086B1 (ko)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KR101000412B1 (ko) 자동차 가속페달 장치
JP3467793B2 (ja) 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3944812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JP2006311964A (ja) 開閉補助装置および家具
JP2013237282A (ja) 作業車両のhst変速装置
KR100529773B1 (ko) 다단의 답력 조절용 페달 장치
JP2929604B2 (ja)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19990020669A (ko) 브레이크와 가속 통합 페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