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153B1 -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 Google Patents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153B1
KR101180153B1 KR1020100052486A KR20100052486A KR101180153B1 KR 101180153 B1 KR101180153 B1 KR 101180153B1 KR 1020100052486 A KR1020100052486 A KR 1020100052486A KR 20100052486 A KR20100052486 A KR 20100052486A KR 101180153 B1 KR101180153 B1 KR 10118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perhar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hard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891A (ko
Inventor
이상민
김흥수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15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2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by surface treatment, e.g. by ir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의 후처리 공정인 하드코팅시 전처리 단계로서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에 의해 에칭하고 하드코팅 후 2차 열처리를 최적의 조건에서 수행하여 코팅막의 박리를 방지하고 재료의 굴절률 및 경도가 저하되지 않으며 경량성, 성형성, 염색성과 같은 물성과 투명성, 아베수와 같은 광학특성이 우수한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경도 개선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나 비용이 수반되지 않고 기존의 공정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경도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초경도임에도 불구하고 비중이 낮아 얇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LENS WITH HIGH REFRACTIVE INDEX AND HIGH HARDNESS}
본 발명은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의 후처리 공정인 하드코팅시 전처리 단계로서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에 의해 에칭하고 하드코팅 후 2차 열처리를 최적의 조건에서 수행하여 코팅막의 박리를 방지하고 재료의 굴절률 및 경도가 저하되지 않으며 경량성, 성형성, 염색성과 같은 물성과 투명성, 아베수와 같은 광학특성이 우수한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헌에 의하면 13세기말 최초로 제작된 안경렌즈는 이후 발달을 거듭하면서 기능별로는 단초점 렌즈에서, 이중초점 렌즈, 지금은 누진다초점 렌즈가 개발 상용화되기에 이르렀으며 굴절률에 따라서는 일반 렌즈, 중굴절 렌즈, 고굴절 렌즈, 초고굴절 렌즈 등이 생산되고 있다. 여기에 비구면 설계기술이 개발되면서 렌즈는 가볍고 얇으나 높은 굴절률을 갖게 하는 것이 렌즈 개발의 추이가 되었다. 이러한 렌즈들은 사용자와 사용 용도에 따라 물리적 성질에 대한 요구가 다르다.
안경렌즈의 사용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로는 선택적 광투과, 휘도 조절, 광반사방지, 스크래치 방지, 높은 투광률, 고굴절률, 고경도 등이 있다. 렌즈 제조사들은 이러한 모든 요소를 만족시킬 수 있는 렌즈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소재 간 상반되는 물리적 성질에 의해 소재 및 제조 기술의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활동력이 왕성한 청소년, 산업현장 근무자, 스포츠 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 안경 착용자에게는 예기치 못한 충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우수한 광학특성을 유지하면서 외부의 충격에 대해 내성이 강한 안경렌즈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높다. 미국 FDA는 안경렌즈의 경도에 대한 규정으로서 16.2g의 쇠공을 127cm의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지지 않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안경렌즈의 경도에 관한 규정이 없어 미국 FDA 규정을 일반 렌즈의 안전도 기준으로 준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플라스틱 렌즈용 수지 재료로서 대표적인 것은 1942년 미국의 유리 제조사인 피츠버그 플레이트 글라스사의 콜롬비아 연구소에서 개발된 알릴 디글리콜 카보네이트(allyl diglycol carbonate, CR-39) 수지로서, 이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렌즈는 시력교정용 및 패션 선글라스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유기렌즈이다. 그러나 이 렌즈의 굴절률과 경도는 우수한 편은 아니어서 두께와 표면 스크래치 발생 등의 근본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착용시 충격 등에 의해 렌즈가 깨지면 예리한 파편에 의해 착용자의 안면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힐 수 있어 특별한 주의를 요하고 있다.
최근에 많이 착용하는 무테 렌즈는 미국 코닝사에 의해 1998년 최초 출시된 이후 에실로(Essilor)라는 다국적 기업에 의해 시장이 형성되어 왔다. 플라스틱 렌즈를 이용하여 무테 안경을 제작할 때 렌즈에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내충격성이 약한 렌즈는 구멍 형성 부분이 작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안경은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하지만 예견치 못하는 충격 등에 의해 예리하게 잘 깨지는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전 국민의 안경 착용률이 2008년 55%를 넘었고 이 중 청소년 학생들의 착용률은 65%에 육박하고 있으며 그 추이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안경의 주소비층인 청소년들의 스포츠 활동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충격을 고려하면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보다 높은 경도가 요구된다.
한편, 가볍고 얇으면서도 높은 굴절률을 갖는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기본적 물성 및 광학특성 외에 선택적 투과성, 반사방지성, 내스크래치성, 높은 투광율 등 플라스틱 안경렌즈에 요구되는 많은 물성 개선을 위해 하드코팅, 멀티코팅 등 다양한 코팅 기술이 개발되어 플라스틱 안경렌즈 제조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경도 면에서는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고, 특히 플라스틱 안경렌즈 재료에 대한 코팅시 고온의 열처리에 의해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경도는 취약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하드코팅은 렌즈의 내마모성과 내찰상성을 개선하기 위해 실시하는 공정으로, 이때 중요한 것은 고온의 열처리시 코팅막이 박리되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드코팅을 실시하기 전의 렌즈 경도는 좋으나, 내마모성과 내찰상성을 개선하기 위해 가해지는 열처리에 의해 경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심한 경우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렌즈 재료 자체의 경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코팅막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하드코팅 공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안경렌즈의 경도를 개선하기 위한 하드코팅시 어떤 단계에서 경도가 현저히 저하되는지 관찰한 결과, 렌즈 재료에 대한 전처리 단계로서 에칭 단계와 하드액 코팅 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안경렌즈 재료의 경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경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에칭법과 하드액 코팅 후 2차 열처리 조건을 개선함으로써 최종 안경렌즈의 경도를 향상시키고자 많은 실험과 연구 노력한 결과, 최적의 에칭법과 하드액 코팅 후 경화를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을 찾음으로써 코팅막의 박리없이 최종 안경렌즈의 경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성질과 광학특성이 우수하면서 하드코팅 및/또는 멀티코팅 후 렌즈의 경도를 미국 FDA 경도 기준보다 10배 이상 향상시킨 내충격성이 강화된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를 에칭하는 단계; 에칭된 수지 재료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수지 재료에 하드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수지 재료를 열처리하여 하드액을 건조시키는 단계(1차 열처리); 및 상기 건조된 수지 재료를 열처리하여 하드액을 경화시키는 단계(2차 열처리)를 포함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에칭 단계는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2차 열처리는 100-105℃에서 50~70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은 25~30℃의 진공상태에서 160~200초간 플라즈마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는 경량성, 성형성, 염색성과 같은 물리적 성질과 투명성, 아베수, 굴절률과 같은 광학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외부 충격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초경도임에도 불구하고 비중이 낮아 얇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경도 개선을 위한 별도의 공정이나 비용이 수반되지 않고 기존의 공정 조건을 단순 변경함으로써 경도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시판 제품을 구입하거나 공지 기술에 따라 직접 제조한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를 에칭, 세척, 하드액 코팅, 1차 열처리(건조), 2차 열처리(경화)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를 제조한다. 특히, 최종 안경렌즈의 경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를 하드코팅을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에 의해 에칭하고 하드코팅 후 2차 열처리를 최적의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처리를 위한 에칭법과 2차 열처리를 위한 공정 조건을 최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단계: 에칭
에칭은 하드코팅을 위한 전처리 단계로서,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와 후속 단계에서 형성되는 하드코팅막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표면처리 단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일반 렌즈용 재료는 통상 습식 에칭법에 의해 가공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초경도 렌즈나 광변색 렌즈 등에서는 보다 강한 밀착력이 요구되므로 습식 에칭법으로는 요구되는 밀착력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면, 일반 렌즈용 재료의 에칭은 약 60℃의 수조에서 NaOH 또는 KOH를 사용하여 180초 동안 침지시켜 실시한다. 그러나 사용되는 알칼리 에칭액과 고온의 에칭 온도(약 60℃)는 렌즈용 재료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습식 에칭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을 채용하여 안경렌즈용 재료를 에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채용되는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은 알칼리 에칭액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습식 에칭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약 25-30℃, 바람직하게는 약 30℃의 진공상태에서 160-180초, 바람직하게는 180초 동안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용 재료의 표면을 정밀하고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지 재료" 또는 "렌즈(용) 재료"는 원료인 모노머와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재료로서 하드코팅 및/또는 멀티코팅과 같은 후가공 처리를 거치지 않은 수지 조성물 또는 중합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자체로도 성형 후 렌즈로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로는 높은 경도를 갖는 수지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판 중인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 또는 조성물을 구입하여 중합, 경화시켜 준비할 수도 있고,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를 직접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는 고굴절률, 중굴절률 또는 저굴절률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안경렌즈의 요구 물성을 고려하면 고굴절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수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티오우레탄계 수지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의 다양한 예들이 한국등록특허 제10-0472837호, 제10-0553011호, 제10-0477182호, 제10-0474586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CH2=CHCH2OCO-R1-COO-(R2OCO-R1-COO)m-CH2CH=CH2
상기 식에서, R1은 NHCOS이고, R2는 NHCOO이며, m은 1 내지 4이다.
이들 렌즈 재료는 플라스틱 안경렌즈 등과 같은 광학제품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단계: 세척
일반 렌즈용 재료의 세척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에칭된 렌즈 재료를 알칼리 세제(MB310) 3-5%를 함유한 세척조 2조와 순수조 10조로 이루어진 세척 장치로 통과시켜 세척한다.
제3단계: 하드액 코팅
본 단계는 최종 안경렌즈의 내마모성과 내찰상성을 개선하기 위한 단계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 렌즈용 재료의 하드액 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세척된 렌즈용 재료를 적절한 하드액에 침지시킨 후 43-45초에 걸쳐 인상시킨다. 상기 하드액은 경화되어 렌즈 재료 표면에 형성되어 박리되지 않으면서 렌즈 재료를 찰상과 마모로부터 보호하는 하드층을 형성하는 용액이다. 본 발명에서는 후속 2차 열처리에서의 온도(100-105℃)와 시간(50-70분) 범위 내에서 열경화될 수 있는 하드액을 사용한다. 상기 하드액으로는 종래 일반 렌즈용 재료에서 사용되는 모든 하드액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 단량체와 용매로 이루어진 화인코트(Finecoat)사의 코팅액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제4단계: 건조(1차 열처리)
본 단계는 일반 렌즈용 재료의 열처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코팅된 렌즈 재료를 78-82℃에서 약 10분 동안 열처리하여 하드액을 건조시킨다.
제5단계: 경화(2차 열처리)
본 단계에서는 1차 열처리에 의해 건조된 코팅재료를 100-105℃에서 50-70분, 바람직하게는 60분 동안 열처리하여 하드액을 경화시킴으로써 렌즈용 재료의 경도가 저하되지 않은 안경렌즈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 105-110℃에서 약 90분 동안 수행되는 일반 렌즈용 재료의 경화 단계는 하드액의 경화와 함께 렌즈 자체의 경도 저하가 불가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2차 열처리는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짧은 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2차 열처리가 105℃를 초과하는 온도 또는 70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실시되면 최종 렌즈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100℃ 미만 또는 50분 미만에서는 하드액의 경화가 충분하지 않게 되어 내마모성과 내찰상성이 개선되지 않을 뿐 아니라 렌즈 재료로부터 하드코팅막이 박리될 우려가 있다.
또한 1차 및 2차 열처리 온도 간의 차이가 종래기술에 비해 적어 코팅된 렌즈 재료는 급격한 온도 변화를 겪지 않게 되므로 코팅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초경도 안경렌즈는 굴절률 1.60 이상, 아베수 48, 투과율 99, 경도(낙하시험) 150g 이상, 표면경도 4로 매우 높고, 비중은 1.25로 낮다.
추가 단계: 멀티코팅 단계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최종 안경렌즈의 광학특성과 물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최종 단계로서 멀티코팅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코팅에 의해 안경렌즈의 반사방지성과 투과도와 같은 광학특성과 내찰상성, 부착성과 같은 물성이 향상된다. 멀티코팅을 위한 방법은 일반 렌즈용 재료의 멀티코팅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위에서 형성된 하드코팅막에 실리카, 지르코니아를 진공증착법에 의해 증착하여 실리콘 산화막, 지르코늄 산화막을 1층 이상 증착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의 제조
한국특허등록 제10-0472837호의 제조방법(실시예 1)에 따라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안경렌즈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지 재료를 일정 크기로 가공한 후,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 장치(Glass etching system, (주)포올(ForAll)를 이용하여 30℃의 진공 상태에서 180초 동안 플라즈마에 의해 수지 재료의 표면을 처리하였다. 이어서, 표면처리된 수지 재료를 알칼리 세제(MB310) 3-5%를 함유한 세척조 2조와 순수조 10조로 이루어진 세척 장치로 통과시켜 세척한 다음, 하드액(ST11GN-161, 화인코트사)에 침지시킨 후 43-45초 후 인상하였다. 코팅된 렌즈 재료를 78-82℃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하드액을 건조시킨 후(1차 열처리), 100-105℃에서 60분 동안 경화(2차 열처리)시켜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일반 렌즈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얻은 수지 재료를 일정 크기로 가공한 후, 60의 KOH 5% 수조에 180초간 침지하여 습식 에칭하였다. 에칭된 렌즈 재료를 알칼리 세제(MB310) 3-5%의 세척조 2조와 순수조 10조로 이루어진 세척 장치로 통과시켜 세척한 다음, 하드액(VH-59(AP), (주)도온)에 침지시킨 후 43-45초 후 인상하였다. 코팅된 렌즈 재료를 78-82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하드액을 건조시킨 후(1차 열처리), 105-110℃에서 90분 동안 경화(2차 열처리)시켜 일반 렌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일반 렌즈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초경도 렌즈(1.60 구면 UV400 Lens, (주)케미그라스)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강도 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2의 안경렌즈 각각의 샘플 10개를 고정시킨 후, 그 위에 쇠공(중량: 29.5g, 37g)을 자유낙하시켜 렌즈의 파손 여부를 관찰하였다. 샘플이 파손될 때까지 자유낙하시킨 횟수를 통해 렌즈의 충격강도(내충격성)를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렌즈 종류 결 과
실시예 1 렌즈 10개: 37g의 쇠공을 10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어지지 않음
비교예 1 렌즈 8개: 29.5g의 쇠공을 1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짐
렌즈 1개: 29.5g의 쇠공을 3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짐
렌즈 1개: 37g의 쇠공을 2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짐
비교예 2 렌즈 1개: 29.5g의 쇠공을 2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짐
렌즈 5개: 37g의 쇠공을 5~6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짐
렌즈 4개: 37g의 쇠공을 10회 자유낙하시켰을 때 깨어지지 않음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안경렌즈는 비교예 1 및 2의 안경렌즈에 비해 내충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에칭법과 2차 열처리의 공정 조건을 변경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렌즈 재료의 우수한 내충격성을 저하시키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밀착성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의 안경렌즈를 각각 80℃의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코올, 디클로로에탄,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n-헥산, 테트라히드로푸란에 48시간 동안 침적시킨 후, 100개의 바둑판 줄을 만들어 투명 테이프로 접착, 박리를 5회 반복하여 10개 이하에서 코팅막이 묻어나오면 "○", 11개 이상 코팅막이 묻어나오면 "×"로 코팅막의 밀착성을 판정하였다.
용제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경과시간
1시간 5시간 24시간
경과시간
1시간 5시간 24시간
경과시간
1시간 5시간 24시간
아세톤 ○ ○ ○ ○ ○ ○ ○ ○ ○
이소프로필 알코올 ○ ○ ○ ○ ○ ○ ○ ○ ○
디클로로에탄 ○ ○ ○ ○ ○ ○ ○ ○ ○
메틸에틸케톤 ○ ○ ○ ○ ○ ○ ○ ○ ○
톨루엔 ○ ○ × ○ ○ × ○ ○ ×
n-헥산 ○ ○ × ○ ○ × ○ ○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 ○ × ○ ○ × ○ ○ ×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안경렌즈는 고온의 열처리를 거친 비교예 1 및 2의 코팅막 밀착성과 모든 용매에서 실질적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안경렌즈의 경화물성 측정
실시예 1, 비교예 2의 안경렌즈에 대해 전광선투과율, 굴절률, 아베수, 비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2 평가방법
전광선투과율(%) 99 99 분광광도계
굴절률(ND, 20℃) ≥ 1.60 1.597 아베굴절계(Atago Co., IT)
아베수 48 42 아베굴절계(Atago Co., IT)
비중(20℃) 1.25 1.30 비중계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안경렌즈는 고온의 열처리 단계를 거친 비교예 2의 안경렌즈에 비해 가볍고 투명성, 아베수, 굴절률과 같은 광학특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후처리 공정인 하드코팅시 전처리 단계로서 에칭과 2차 열처리 조건을 개선하여 렌즈 재료의 경도가 저하되지 않는 안경렌즈는 물론 하드코팅을 수행하는 모든 다양한 렌즈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초경도 안경렌즈는 시력보정용, 레저용, 스포츠용, 현장 산업용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렌즈 뿐 아니라 제조 기술의 응용을 통해 자동차용 플라스틱제 부품 및 노트북 등 가볍고 얇아야 하며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광범위한 분야에서 초경도의 각종 산업용 플라스틱 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

Claims (4)

  1. 초경도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를 에칭하는 단계;
    에칭된 수지 재료를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수지 재료에 하드액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코팅된 수지 재료를 열처리하여 하드액을 건조시키는 단계(1차 열처리); 및
    상기 건조된 수지 재료를 열처리하여 하드액을 경화시키는 단계(2차 열처리)를 포함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에칭 단계가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2차 열처리가 100-105℃에서 50~70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렌즈용 수지 재료가 폴리우레탄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진공 플라즈마 에칭법이 25~30℃의 진공상태에서 160~200초간 플라즈마 처리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도 플라스틱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00052486A 2010-06-03 2010-06-03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KR10118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86A KR101180153B1 (ko) 2010-06-03 2010-06-03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86A KR101180153B1 (ko) 2010-06-03 2010-06-03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91A KR20110132891A (ko) 2011-12-09
KR101180153B1 true KR101180153B1 (ko) 2012-09-05

Family

ID=4550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486A KR101180153B1 (ko) 2010-06-03 2010-06-03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043B1 (ko) * 2014-02-06 2015-01-26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셀프힐링 코팅 안경렌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302A (ja) 1998-05-06 1999-11-16 Asahi Optical:Kk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4012857A (ja) * 2002-06-07 2004-01-15 Tokuyama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807001B1 (ko) 2006-10-26 2008-02-25 김옥현 컬러 하드코팅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착색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302A (ja) 1998-05-06 1999-11-16 Asahi Optical:Kk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4012857A (ja) * 2002-06-07 2004-01-15 Tokuyama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KR100807001B1 (ko) 2006-10-26 2008-02-25 김옥현 컬러 하드코팅액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착색 안경렌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91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184B2 (ja) 光学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光学用レンズ
AU2013393576B2 (en) Optical article comprising an antireflective coating with a very low reflection in the visible region
EP216875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lastic lens
JP3868683B2 (ja) プラスチック基材
US6051310A (en) Ophthalmic lens made of organic glass with a shockproof intermediate lay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80201718A1 (en) Optical composition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ens therefrom
JP2017515150A (ja) 偏光製品及びこれ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US20160231594A1 (en) Optical article with gradient photochromism
US2012015491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lens and polarizing lens
JP2003222703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20020034630A1 (en) Ophthalmic lens made of organic glass with a shockproof intermediate lay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170129209A (ko) 잔금 발생 저항성 코팅물 및 방법
CA2475648C (en) Plastic le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lens
JP4392993B2 (ja) ポリウレタンラテックスからなる耐衝撃性プライマー層を含む、有機ガラスからなる眼科用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KR101180153B1 (ko) 고굴절 초경도 강화렌즈
JP3974668B2 (ja) 高屈折率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21009205A (ja) 眼鏡レンズ
JP2007052210A (ja) 偏光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CN107077012B (zh) 具有减少的翘曲的眼科镜片
US20220137264A1 (en) Polarizing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3621160A (zh) 一种车内变色镜片及其制备方法
US20080095933A1 (en) Process for preparing coated optical elements
KR20100102987A (ko) 내충격성 및 멀티막의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안경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JP2020106752A (ja) 眼鏡レンズ
JP4159591B2 (ja) 高屈折率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