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681B1 -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 Google Patents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681B1
KR101178681B1 KR1020070076264A KR20070076264A KR101178681B1 KR 101178681 B1 KR101178681 B1 KR 101178681B1 KR 1020070076264 A KR1020070076264 A KR 1020070076264A KR 20070076264 A KR20070076264 A KR 20070076264A KR 101178681 B1 KR101178681 B1 KR 10117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member
fuel
deflector
spill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099A (ko
Inventor
히로시 요시즈미
야스미치 아오키
쇼우지 나메카와
미노루 에사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65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form of spill port of spill contour on the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2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 F02M59/26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with constant-length-stroke pistons having variable effective portion of stroke caused by movements of pistons relative to their cylinders
    • F02M59/28Mechanis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회전식 디플렉터를 구비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 디플렉터의 수명이 향상되고 캐비테이션 침식에 기인하여 낭비되는 경우에 디플렉터를 교체하는데 필요한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된다. 디플렉터는 소정 홀더 및 선단 부재를 포함하고, 선단 부재는 고정 홀더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연료 분사가 종료할 때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플런저 실로부터 분출하여 선단 부재에 대하여 충돌하는 연료 흐름에 의해서 선단 부재가 회전하여, 선단 부재의 특정 부분에 집중된 충돌을 회피하고 캐비테이션 침식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76264
디플렉터, 캐비테이션 침식, 저크식 연료 분사 펌프

Description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FUEL INJECTION PUMP EQUIPPED WITH ROTARY DEFLECTOR}
본 발명은, 디젤엔진용 연료 분사 펌프 등에 적용되어, 플런저 배럴(plunger barrel)에 형성된 급, 배유 구멍(input/spill ports)에, 플런저의 오일 배출 행정시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해당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deflector)를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에 관한 것이다.
디젤 엔진용 저크식(jerk type)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는, 플런저 배럴에 형성된 급, 배유 구멍에, 플런저의 오일 배출 행정시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해당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를 마련하고, 해당 디플렉터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고속으로 분출되는 연료 흐름을 충돌시켜, 해당 연료 분사 펌프의 케이스부에 상기 고속의 연료 흐름이 충돌하여 급, 배유 구멍의 내면이나 해당 케이스부의 급, 배유실 내면에서의 캐비테이션 침식(cavitation erosion)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젤 엔진용 저크식 연료 분사 펌프의 플런저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펌프 케이스(105) 내에는 플런저 배럴(102)이 고정되고, 해당 플런저 배럴(102)내에는 플런저(100)가 왕복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플런저(100)는 도시하지 않는 연료 캠에 의해서, 태핏(tappet)(106) 및 태핏 스프링(107)을 거쳐서 왕복 구동된다.
상기 플런저(100)의 상면과 상기 플런저 배럴(102)의 내면 사이에는 플런저실(plunger room)(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 케이스(105) 내에 형성된 급, 배유실(104)로부터 급, 배유 구멍(103)을 통해서 해당 플런저실(111)에 공급된 연료는, 상기 플런저(100)의 상승에 의해서 고압으로 가압되어, 밸브 시트(110)에 안착되어 있는 토출 밸브(108)를 밀어서 열어, 토출구(109)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연료 분사 밸브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의 오일 배출 출구부에는 디플렉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100)의 리드(lid)(101)가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을 개방하였을 때, 해당 급, 배유 구멍(103)으로 분출하는 고압 연료를 해당 디플렉터(10)에 충돌시킴으로써, 급, 배유 구멍(103) 및 급, 배유실(104) 주위의 부재의 괴식(壞食)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 2000-179428 호 공보) 및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 1997-144627 호 공보)에도, 디플렉터 부착 연료 분사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는, 외주부에 복수의 연료통로 구멍이 천공된 캐비테이션 침식 방지용의 디플렉터의 외측 내부에 부착용의 6각 렌치용 구멍을 형성하여, 외주 단부에 마련한 스냅 링(snap ring)으로 풀림 방지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는, 펌프 케이스에 고정된 디플렉터의 급, 배유 구멍측 단부에 다공질 부재를 고착하고, 상기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연료 분류(噴流)를 해당 다공질 부재에 충돌시켜 디플렉터에 가해지는 급격한 압력 변동을 완화함으로써, 캐비테이션 침식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에 비추어, 캐비테이션 침식 방지용의 디플렉터를 급, 배유 구멍에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 디플렉터의 캐비테이션 침식 등의 피로 괴식의 발생을 방지하여 해당 디플렉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해당 디플렉터의 교환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저감된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춘 연료 분사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으로, 플런저 배럴에 형성된 급, 배유 구멍에, 플런저의 오일 배출 행정시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해당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를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플런저 배럴 혹은 펌프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측 부재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선단부가 상기 급, 배유 구멍을 향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를 갖추고,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플런저측으로부터의 분출 연료 입구를 상기 급, 배유 구멍로 개구하여 해당 선단 부재의 중심부에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spill inlet port)와, 해당 스필 입구 포트에 연통되어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되어 연료 출구가 상기 급, 배유실로 개구되는 스필 출구 포트(spill outlet port)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단 부재는 다음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한다.
(2)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한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를, 케이스측 부재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해당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로 분할하고, 상기 분출 연료를 해당 선단 부재의 중심부에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를 통과시켜, 해당 스필 입구 포트에 연통되어 선단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된 스필 출구 포트를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충돌하는 선단 부재가, 연료 분류에 의한 힘에 의해 고정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와 상기 선단 부재의 충돌 개소가 분산되어,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선단 부재의 특정한 1개소에 국부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디플렉터 선단부로의 고압 연료의 국부적인 충돌의 반복에 의한 케비테이션 침식 등의 피로 괴식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게 되어, 디플렉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해당 디플렉터의 교환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상기 선단 부재의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면,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개구된 스필 출구 포트로부터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의 반력에 의해서 상기 선단 부재에 회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선단 부재가 주기적으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분출 연료의 선단 부재의 특정한 1개소로의 국부적인 충돌의 회피가 보다 확실히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분출 연료와 선단 부재의 충돌개소의 분산효과가 한층 더 현저히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 부재의 상기 고정 부재로의 지지부를 해당 고정 부재와 상기 디플렉터의 축방향 양측에 미소 간격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상기 선단 부재의 지지부에는 상기 미소 간격부에 상기 스필 입구 포트로부터 연료의 일부를 도입하는 밸런스 유로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선단 부재의 고정 부재로의 지지부의 축방향 양측과 해당 고정 부재 사이에 형성된 미소 간격에, 스필 입구 포트로부터 밸런스 유로를 통해서 연료의 일부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선단 부재는 고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미소 간격의 유막(油膜)을 거쳐서 원활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선단 부재의 회전이 저지되거나 혹은 해당 선단 부재가 고정 부재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디플렉터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른바 중실형의 디플렉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러한 발명은, 플런저 배럴에 형성된 급, 배유 구멍에, 플런저의 오일 배출 행정시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해당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를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플런저 배럴 혹은 펌프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측 부재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선단부가 상기 급, 배유 구멍을 향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를 갖추고,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플런저측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충돌하는 중실 단부와, 연료 입구를 해당 중실 단부의 상기 급, 배유 구멍을 향하는 외주면으로 개구하여 해당 선단 부재의 중심측을 향하여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와, 해당 스필 입구 포트에 연통되어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되어 연료 출구가 상기 급, 배유실로 개구되는 스필 출구 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선단 부재는 다음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한다.
(2)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한다.
이러한 발명에 의하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는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실부 선단에 충돌하고 나서 스필 입구 포트에 유입되기 때문에, 선단 부재가 연료분류에 의한 힘으로 고정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와 상기 중실 단부의 충돌 개소가 분산되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선단 부재에 있어서의 중실 단부의 특정한 1개소에 국부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히 상기 선단 부재의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면,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개구된 스필 출구 포트로부터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의 반력에 의해서 상기 선단 부재에 회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선단 부재가 주기적으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분출 연료의 선단 부재의 특정한 1개소로의 국부적인 충돌의 회피가 보다 확실히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분출 연료와 선단 부재의 충돌개소의 분산효과가 한층 더 현저히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충돌하는 선단 부재가, 연료 분류에 의한 힘에 의해 고정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와 상기 선단 부재의 충돌 개소가 분산되어,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선단 부재의 특정한 1개소에 국부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지, 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디젤 엔진용 저크식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디플렉터 부착부 근방의 부분 단면도(도 5에 있어서의 Y 부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Z 부 확대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도 5와 같이, 펌프 케이스(105)내에는 플런저 배럴(102)이 고정되고, 해당 플런저 배럴(102)내에는 플런저(100)(10Oa는 플런저 중심)가 왕복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플런저(100)는 도시하지 않는 연료 캠에 의해서, 태핏(tappet)(106)및 태핏 스프링(107)을 거쳐서 왕복 구동된다.
상기 플런저(100)의 상면과 상기 플런저 배럴(102)의 내면 사이에는 플런저실(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펌프 케이스(105)내에 형성된 급, 배유실(104)로부터 급, 배유 구멍(103)을 통해서 해당 플런저실(111)에 공급된 연료는 상기 플런저(100)의 상승에 의해서 고압으로 가압되어, 도시하지 않는 연료 분사 밸브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100)의 리드(101)가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을 개방하면, 플런저실(111) 내의 고압 연료가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 급, 배유실(104)로 유출된다.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의 오일 배출 출구부에는 디플렉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100)의 리드(101)가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을 개방하였을 때, 해당 급, 배유 구멍(l03)으로 분출하는 고압 연료를 해당 디플렉터(10)에 충돌시킴으로써, 급, 배유 구멍(103) 및 급, 배유실(104) 주위의 부재의 괴식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디플렉터(10)는, 상기 펌프 케이스(105)에 고정된 케이스(고정 부재)(2) 및 고정용 볼트(3)와, 선단부가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1)를 갖추고 있다.
즉, 상기 선단 부재(1)는, 선단의 직경이 축소된 테이퍼형 선단부(1d)가 상기 급, 배유 구멍(103)내에 삽입되고, 중간의 원통부(1c) 및 근원의 지지부(1a)가 외주를 상기 케이스(고정 부재)(2)의 내주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는 상기 펌프 케이스(105)에 가스켓(29)을 거쳐서 밀어 넣어지고, 상기 고정용 볼트(3)는 상기 케이스(2)에 밀어 넣어져 선단면이 상기 선단 부재(1)의 지지부(1a)의 지지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볼트(3)의 외주와 케이스(2)의 내주 사이에는 연료 밀봉 시일용의 O 링(11)이 개재되어 있다.
즉, 도 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1a)는, 상기 고정용 볼트(3)의 선단면과 상기 케이스(2)의 내부 단면 사이에, 디플렉터(10)의 축방향 양측에 미소 간격(9, 9)을 형성하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a)에는 상기 미소 간격(9, 9)에 후술하는 스필 입구 포트(5)로부터 연료의 일부를 도입하는 반경방향밸런스 유로(7) 및 해당 반경방향 밸런스 유로(7)로부터 분기하여 상기 미소 간격(9, 9)에 연통되는 축방향 밸런스 유로(8, 8)를 마련하여, 상기 미소 간격(9, 9)에 상시 연료를 존재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선단 부재(1)의 고정 부재[케이스(2) 및 고정용 볼트(3)]로의 지지부(1a)의 축방향 양측과 해당 고정 부재 사이에 형성된 미소 간격(9, 9)에, 스필 입구 포트(5)로부터 밸런스 유로(7 및 8, 8)을 통해서 연료의 일부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선단 부재(1)는 고정 부재에 대하여 상기 미소 간격(9, 9)의 유막을 거쳐서 원활히 상대 회전할 수 있으므로, 해당 선단 부재(1)의 회전이 저지되거나 혹은 해당 선단 부재가 고정 부재에 눌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디플렉터(10)의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선단 부재(1)의 테이퍼형 선단부(1d)의 중심부에는, 상기 플런저(100)측으로부터의 분출 연료 입구를 상기 급, 배유 구멍(103)로 개구된 스필 입구 포트(5)가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단 부재(1)의 원통부(1c)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스필 포트(5)에 연통된 오일 저장부(6)로부터 복수의(이 예에서는 4개) 스필 출구 포트(4)가 반경방향으로 천공되고, 상기 급, 배유실(1O4)로 개구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스필 출구 포트(4)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 1의 (A)의 A-A 선 단면도이며, 이 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스필 출구 포트(4)를 상기 오일 저장부(6)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방사상으로 복수개(이 예에서는 4개) 형성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4)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 1의 (A)의 A-A 선 단면도이며, 이 예에서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4)를 상기 오일 저장부(6)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이 예에서는 4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는, 접선방향으로 복수개로 개구된 스필 출구 포트(4)로부터 급, 배유실(104)로 분출되는 연료의 반력에 의해서 상기 선단 부재(1)에 회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선단 부재(1)가 주기적으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분출 연료의 선단 부재(1)의 특정한 1개소로의 국부적인 충돌의 회피가 보다 확실히 이루어져, 분출 연료와 선단 부재(1)의 충돌개소의 분산 효과가 한층 더 현저히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부호(10a)는 디플렉터(10)의 중심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10)를, 펌프 케이스(105)에 고정된 고정 부재[케이스(2) 및 고정용 볼트(3)]와 해당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1)로 분할하여, 상기 분출 연료를 해당 선단 부재(1)의 중심부에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5)를 통과시켜, 해당 스필 입구통로(5)에 연통되어 선단 부재(1)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된 복수의 스필 출구 포트(4)를 통해서 급, 배유실(1O4)로 분출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충돌하는 선단 부재(1)가, 연료분류에 의한 힘에 의해 고정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와 상기 선단 부재(1)의 충돌개소가 분산되어,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선단 부재(1)의 특정한 1개소에 국부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은 디플렉터 선단부로의 고압 연료의 국부적인 충돌의 반복에 의한 캐비테이션 침식 등의 피로 괴식의 발생을 방지 가능해져, 디플렉터(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해당 디플렉터(10)의 교환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디젤 엔진용 저크식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디플렉터 부착부 근방의 부분 단면도(도 5에 있어서의 Y 부에 상당하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에 있어서의 B-B 선 단면도이다.
이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른바 중실형의 디플렉터에도 적용한 것으로, 상기 디플렉터(10)는, 상기 펌프 케이스(105)에 고정된 고정 부재[케이스(2) 및 고정용 볼트(3)]와, 선단부가 상기 급, 배유 구멍(103)을 향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1)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부재(1)를, 상기 플런저(100)측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충돌하는 중실 단부(1b)와, 연료 입구를 해당 중실 단부(1b)의 상기 급, 배유 구멍(103)에 면하는 외주면으로 개구하여 해당 선단 부재(1)의 중심측을 향해서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21)와, 해당 스필 입구 포트(21)에 연통되어 상기 선단 부재(1)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 방사상으로 천공되어 연료 출구가 상기 급, 배유실(104)로 개구되는 스필 출구 포트(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복수의 스필 입구 포트(21)의 축방향의 투영 배치와 복수의 스필 출구 포트(22)가 원주방향으로 45°의 위상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필 출구 포트(22)는, 도 2에 표시되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스필 출구 포트(22)를 상기 오일 저장부(6)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이 예에서는 4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접선방향으로 복수개로 개구된 스필 출구 포트(22)로부터 급, 배유실(1O4)로 분출되는 연료의 반력에 의해서 상기 선단 부재(1)에 회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해당 선단 부재(1)가 주기적으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분출 연료의 선단 부재(1)의 특정한 1개소로의 국부적인 충돌의 회피가 보다 확실히 이루어져, 분출 연료와 선단 부재(1)의 충돌개소의 분산효과가 한층 현저히 이루어진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고, 이것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경우는, 상기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는 상기 선단 부재(1)의 중실 단부(1b)에 충돌하고 나서 스필 입구 포트(21)에 유입하기 때문에, 선단 부재(1)가 연료분류에 의한 힘에 의해 고정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와 상기 중실 단부(1b)와의 충돌개소가 분산되어, 급, 배유 구멍(103)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선단 부재(1)에 있어서의 중실 단부(1b)의 특정한 1개소에 국부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플렉터를 고정 부재와 해당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로 분할하여,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를 선단 부재의 중심부에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된 스필 출구 포트를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상기 선단 부재가, 연료분류에 의한 힘에 의해 고정부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급, 배유 구멍으로부터의 분출 연료를 받게 되어, 상기 분출 연료와 선단 부재의 충돌개소가 분산되어, 상기 분출 연료가 선단 부재의 특정한 1개소에 국부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디플렉터 선단부에의 고압 연료의 국부적인 충돌의 반복에 의한 케비테이션 침식 등의 피로 괴식의 발생을 방지 가능하게 되어, 디플렉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해당 디플렉터의 교환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 부재의 스필 출구 포트를, 스필 입구 포트측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하면, 접선방향으로 개구된 스필 출구 포트로부터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의 반력에 의해 선단 부재에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선단 부재가 주기적으로 확실히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분출 연료와 선단 부재의 충돌개소의 분산효과가 한층 더 현저히 이루어진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디젤 엔진용 저크식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의 디플렉터 부착부 근방의 부분 단면도(도 5에 있어서의 Y 부에 상당하는 도면), 도 1의 (B)는 도 1의 (A)에 있어서의 Z 부 확대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필 출구 포트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도 1a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필 출구 포트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도 1a의 A-A 선 단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 1의 대응도, 도 4의 (B)는 도 4의 (A)에 있어서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젤 엔진용 저크식 연료 분사 펌프의 플런저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의 디플렉터로의 연료분류의 작용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단 부재 1a : 지지부
1b : 중실 단부 2 : 케이스
3 : 고정용 볼트 7 : 밸런스 유로
9 : 미소 간격 10 : 디플렉터
100 : 플런저 102 : 플런저 배럴
103 : 급, 배유 구멍 104 : 급, 배유실
105 : 펌프 케이스 106 : 태핏

Claims (7)

  1. 플런저 배럴에 형성된 급, 배유 구멍에, 플런저의 오일 배출 행정시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상기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를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플런저 배럴 혹은 펌프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측 부재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선단부가 상기 급, 배유 구멍에 면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플런저측으로부터의 분출 연료 입구를 상기 급, 배유 구멍으로 개구하여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부에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spill inlet port)와, 상기 스필 입구 포트에 연통되어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되어 연료 출구가 상기 급, 배유실로 개구되는 스필 출구 포트(spill outlet port)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의 상기 고정 부재에의 지지부를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디플렉터의 축방향 양측에 미소 간격을 형성하여 결합하고, 상기 선단 부재의 지지부에는 상기 미소 간격부에 상기 스필 입구 포트로부터 연료의 일부를 도입하는 밸런스 유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5. 플런저 배럴에 형성된 급, 배유 구멍에, 플런저의 오일 배출 행정시에 플런저실 내로부터 상기 급, 배유 구멍을 통해서 급, 배유실로 분출되는 연료를 충돌시키는 디플렉터를 마련한 연료 분사 펌프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플런저 배럴 혹은 펌프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측 부재에 고정된 고정 부재와, 선단부가 상기 급, 배유 구멍에 면하여 상기 고정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선단 부재를 갖고,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플런저측으로부터의 분출 연료가 충돌하는 중실 단부와, 연료 입구를 상기 중실 단부의 상기 급, 배유 구멍에 면하는 외주면으로 개구하여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측을 향해서 천공된 스필 입구 포트와, 상기 스필 입구 포트에 연통되어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천공되어 연료 출구가 상기 급, 배유실로 개구되는 스필 출구 포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 방사상으로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재는 상기 스필 출구 포트를 상기 선단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KR1020070076264A 2006-11-06 2007-07-30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KR101178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00563A JP4221021B2 (ja) 2006-11-06 2006-11-06 回転式デフレクタをそなえた燃料噴射ポンプ
JPJP-P-2006-00300563 2006-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99A KR20080041099A (ko) 2008-05-09
KR101178681B1 true KR101178681B1 (ko) 2012-08-30

Family

ID=3917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264A KR101178681B1 (ko) 2006-11-06 2007-07-30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5973B2 (ko)
EP (1) EP1921305B1 (ko)
JP (1) JP4221021B2 (ko)
KR (1) KR101178681B1 (ko)
CN (1) CN100549407C (ko)
AT (1) ATE446445T1 (ko)
DE (1) DE60200700286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8055B (fi) * 2005-11-23 2007-06-15 Waertsilae Finland Oy Mäntämoottorin ruiskutuspumppu
KR100992227B1 (ko) * 2008-10-27 2010-11-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디젤엔진 연료분사펌프의 캐비테이션 손상방지장치
JP2010203241A (ja) * 2009-02-27 2010-09-16 Yanmar Co Ltd 燃料噴射ポンプ
SE535068C2 (sv) 2010-04-01 2012-04-03 Atlas Copco Rock Drills Ab Bergborrmaskin och användning därav för att förhindra uppkomst och spridning av kavitationsbubblor
JP5922417B2 (ja) * 2012-01-25 2016-05-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JP5916397B2 (ja) * 2012-01-25 2016-05-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7581B1 (de) 1988-06-18 1993-02-03 Robert Bosch Gmbh Einspritzpumpe für Brennkraftmaschinen
JPH10266927A (ja)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噴射ポンプ
EP0877163B1 (de) 1997-05-06 2001-08-16 Man B&W Diesel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einspritzpumpe
JP2006090282A (ja) 2004-09-27 2006-04-06 Mitsubishi Motors Corp インジェクタの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7163C (de) 1941-10-07 1953-05-21 Felten & Guilleaume Carlswerk Isolierter, insbesondere verseilter elektrischer Leiter
AT391350B (de) * 1985-07-17 1990-09-25 Bosch Robert Ag Kraftstoffeinspritzpumpe
DE1576469C3 (de) * 1967-06-16 1975-06-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pumpe für Brennkraftmaschinen
BE831834A (fr) 1975-07-29 1975-11-17 Dispositif anti-erosion d'une pompe aspirante et foulante
DE3535808A1 (de) * 1985-10-08 1987-04-09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DE4041503C2 (de) * 1990-12-22 2001-02-15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pumpe für Brennkraftmaschinen
JPH09144627A (ja) 1995-11-27 1997-06-03 Isuzu Motors Ltd 燃料噴射ポンプ
JP3604294B2 (ja) 1998-12-11 2004-12-22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燃料噴射ポンプ
JP3585784B2 (ja) 1999-10-04 2004-11-04 新潟原動機株式会社 燃料噴射ポ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47581B1 (de) 1988-06-18 1993-02-03 Robert Bosch Gmbh Einspritzpumpe für Brennkraftmaschinen
JPH10266927A (ja)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噴射ポンプ
EP0877163B1 (de) 1997-05-06 2001-08-16 Man B&W Diesel Aktiengesellschaft Brennstoffeinspritzpumpe
JP2006090282A (ja) 2004-09-27 2006-04-06 Mitsubishi Motors Corp インジェクタ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05234A1 (en) 2008-05-08
EP1921305A3 (en) 2008-06-18
JP4221021B2 (ja) 2009-02-12
US7415973B2 (en) 2008-08-26
CN100549407C (zh) 2009-10-14
CN101178046A (zh) 2008-05-14
JP2008115791A (ja) 2008-05-22
EP1921305A2 (en) 2008-05-14
DE602007002861D1 (de) 2009-12-03
KR20080041099A (ko) 2008-05-09
ATE446445T1 (de) 2009-11-15
EP1921305B1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681B1 (ko) 회전식 디플렉터를 갖는 연료 분사 펌프
JP4218696B2 (ja) 燃料噴射ノズル
CN101198814B (zh) 用于燃油系统的双止回阀
CN102159826A (zh) 涉及燃料泵的改进
KR100361442B1 (ko) 연료분사장치
CN101365874A (zh) 燃料喷射阀
KR950702008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injection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3006969B (zh) 一种用于深度变推力火箭发动机的气液喷注器
KR101948511B1 (ko) 유동 매체의 미터링 밸브
KR20060127128A (ko) 특히 엔진의 연료 분사 장치용 고압 펌프
CN100420884C (zh) 用于旋转式机器的密封件托架和改进方法
KR20010033112A (ko) 엔진용 자기 점화식 연료 분사 노즐
US7188790B2 (en) Fuel-injection valve
JP5833426B2 (ja) 端面接触形メカニカルシール
JP2010101322A (ja) ベーンセルポンプ
JP2004263868A (ja) 圧力制限弁
JP2010209940A (ja) メカニカルシール
JP5147188B2 (ja) 噴射ノズル
KR100631298B1 (ko) 연료 분사 밸브
CN103534474B (zh) 燃料喷射单元和系统
JP2008309079A (ja) 燃料噴射ノズル
JPH0828408A (ja) 燃料噴射ノズル
JP3870741B2 (ja) 燃料噴射ノズル
CN218718806U (zh) 一种阀结构及粉体气流混合机
KR102653180B1 (ko) 원심 분리기 및 원심 분리기를 포함하는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