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550B1 -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550B1
KR101176550B1 KR1020090124024A KR20090124024A KR101176550B1 KR 101176550 B1 KR101176550 B1 KR 101176550B1 KR 1020090124024 A KR1020090124024 A KR 1020090124024A KR 20090124024 A KR20090124024 A KR 20090124024A KR 101176550 B1 KR101176550 B1 KR 101176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eedling
seedling pot
biodegradable plastic
habita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429A (ko
Inventor
이용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제프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제프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제프라스틱
Priority to KR102009012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5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모종 포트의 외주면 상에 미생물이 용이하게 활착하여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모종 포트의 분해 속도를 높여 모종의 뿌리가 용이하게 밭의 흙 속으로 내릴 수 있게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종 포트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모종 포트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 상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외주면 상부에서부터 몸체의 외주면 하부까지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돌기부에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부가 더 구비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SEEDLING POT USING BIODEGRADABLE PLASTICS}
본 발명은 모종 포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흙 속이나 물속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미생물이 생산하는 바이오플라스틱, 전분이나 셀룰로스 등의 천연소재를 주성분으로하여 제조하는 것과 다시 분해성을 부여한 화학합성플라스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의 단점 즉, 자연 상태에서는 거의 분해되지 않거나 분해가 된다고 하더라도 수백 년이 걸리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 개발되고 있는 분해성 플라스틱은 빛, 주로 자외선에 의하여 분해하는 광분해성플라스틱과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는 생분해성플라스틱의 두 종류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장점 때문에 최근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농업분야에서도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되 어 이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으로는 식물의 모종을 일정기간 자라게 하는 모종 포트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모종 포트는 모종과 함께 모종 포트를 밭에 정식(定植)할 수 있어 어린 모종의 줄기, 뿌리 등이 정식(定植)과정에서 상하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종래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모종 포트들은 대부분 통상의 용기 형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밭에 정식 후 미생물이 용이하게 활착하여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모종 포트의 분해 속도에 비해 모종 뿌리의 성장이 빠르게 되면, 뿌리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종 포트의 외주면 상에 미생물이 용이하게 활착하여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모종 포트의 분해 속도를 높여 모종의 뿌리가 용이하게 밭의 흙 속으로 내릴 수 있게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모종 포트에 있어서,
모종 포트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모종 포트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 상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 및
몸체의 외주면 상부에서부터 몸체의 외주면 하부까지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기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부는 몸체의 상부에서부터 몸체의 하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종 포트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부가 더 구비되며, 서식공간부는 돌기부의 연장단부에서 몸체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부는 서식공간부에 의해서 상하로 분할되며, 돌기부의 상부면 상에는 서식공간부 측으로 수분을 안내하는 절개선이 돌기부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서식공간부 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종 포트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성장한 모종을 분리하지 않고 모종 포트를 그대로 밭에 정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종 포트는 몸체의 외주면 상에 나선형의 돌기부 및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밭에 용이하게 모종 포트를 정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식공간부에 활착되어 서식하는 미생물에 의해서 몸 체를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100)는 밭에 정식(定植)된 후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될 수 있는 통상의 생분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종 포트(1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몸체(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몸체(110)의 바닥면 상에는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종 포트(100)는 몸체(110)의 외주면 상에 돌기부(120)를 더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20)는 몸체(110)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부(120)는 몸체(110)의 외주면 상부에서부터 몸체(110)의 외주면 하부까지 몸체(110)를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몸체(110)의 상부에서부터 하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돌기부(120)는 몸체(110)를 밭에 정식(定植)할 때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즉, 돌기부(120)가 형성 된 몸체(110)를 회전시켜 밭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한다. 또한 돌기부(120)는 수분이 돌기부(120)를 따라 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되게 한다.
한편, 돌기부(120)에는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부(130)가 제공된다. 서식공간부(130)는 돌기부(120)의 연장단부에서 몸체(110)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돌기부(120)는 돌기부(120)에 형성된 서식공간부(130)에 의해서 상하로 분할된다.
그리고 돌기부(120)의 상부면 상에는 돌기부(120)를 따라 안내되는 수분을 미생물이 서식하는 서식공간부(130) 측으로 안내하는 절개선(132)이 형성되는데, 절개선(132)은 돌기부(120)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서식공간부(130) 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선(132)은 돌기부(120)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돌기부(120)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돌기부(120)를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모종 포트(100)는 통상의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성장한 모종을 분리하지 않고 모종 포트(100)를 그대로 밭에 정식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의 외주면 상에 나선형의 돌기부(120)를 형성함으로써, 밭에 용이하게 모종 포트(100)를 정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부(120)에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부(130)를 형성하여 몸체(110)를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의 선 A-A를 따라 도시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생분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110 : 몸체
112 : 배출구 120 : 돌기부
130 : 서식공간부 132 : 절개선

Claims (6)

  1.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 상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 상부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부까지 상기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몸체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서식공간부에 의해서 상하로 분할되며, 상기 돌기부의 상부면상에는 상기 서식공간부 측으로 수분을 안내하는 절개선이 상기 돌기부의 상부에서 수직하게 상기 서식공간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하부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돌기부의 상부에 인접한 위치에서부터 상기 돌기부의 하부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KR1020090124024A 2009-12-14 2009-12-14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KR10117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24A KR101176550B1 (ko) 2009-12-14 2009-12-14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024A KR101176550B1 (ko) 2009-12-14 2009-12-14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29A KR20110067429A (ko) 2011-06-22
KR101176550B1 true KR101176550B1 (ko) 2012-08-24

Family

ID=4439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024A KR101176550B1 (ko) 2009-12-14 2009-12-14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846B1 (ko) * 2021-03-18 2021-12-01 주식회사 선진해양 해초류 이식용 지지구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52B1 (ko) * 2011-07-04 2013-08-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부상방지부를 구비한 육묘포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042A (ja) * 2004-08-25 2006-03-09 Olympus Corp 移植用ポット
JP2006254865A (ja) * 2005-03-18 2006-09-28 Totaku Industries Inc 植栽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042A (ja) * 2004-08-25 2006-03-09 Olympus Corp 移植用ポット
JP2006254865A (ja) * 2005-03-18 2006-09-28 Totaku Industries Inc 植栽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846B1 (ko) * 2021-03-18 2021-12-01 주식회사 선진해양 해초류 이식용 지지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429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2628A (en) Root-pruning container
US20210153446A1 (en) Hydroponic Growing Unit
KR101176550B1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모종 포트
KR100761546B1 (ko) 육묘용 용기
KR200392342Y1 (ko) 건조지에의 초/목본류 식재용 화분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JP2000201544A (ja) 育苗用栽培容器
JP4116023B2 (ja) 育苗ポット及び苗床
JP2001148944A (ja) 育苗セット及び育苗方法
JP5356994B2 (ja) 栽培容器
JP2014079232A (ja) 培地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栽培方法
JP2009284910A (ja) 栽培用袋及び栽培用袋支持具
KR101653557B1 (ko) 척박지용 저면관수 식물식재 용기
KR200432606Y1 (ko) 육묘포트
KR100336632B1 (ko) 육묘용 용기
JP3038472U (ja) 植木ポット
CN215011949U (zh) 一种园艺用固定爪台
JP2005229873A (ja) 育苗法及び育苗用ポット
BG1171U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отглеждане на фиданки със закрита коренова система
KR200463447Y1 (ko) 적층식 재배용기
JP2005253450A (ja) 土壌押入種蒔施肥施水具
KR940002255Y1 (ko) 육묘와 이식을 겸비한 포트
JP2003250357A (ja) 育苗ポット
KR200464281Y1 (ko) 망사포트를 갖는 원예용 포트
JPH119108A (ja) 苗木栽培用容器、苗木の取出装置、及び苗木の取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