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572B1 -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572B1
KR101175572B1 KR1020090118244A KR20090118244A KR101175572B1 KR 101175572 B1 KR101175572 B1 KR 101175572B1 KR 1020090118244 A KR1020090118244 A KR 1020090118244A KR 20090118244 A KR20090118244 A KR 20090118244A KR 101175572 B1 KR101175572 B1 KR 101175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hape
coupling
axis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097A (ko
Inventor
데츠 우라노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콘택트 (1) 가, 구부려질 수 있고 곧게 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커플링부 (3) 를 구비한다. 콘택트는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스프링부 (6) 와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접속부 (7) 를 포함한다. 스프링부와 접속부는 커플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커플링부는 축선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부려져 있으며 그 형상으로 유지된다. 전기 커넥터가 하우징안에 콘택트를 유지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콘택트, 커플링부, 전기 커넥터.

Description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본 출원은 2009 년 02 월 09 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9-027732 를 기초로 하고, 이 특허 출원으로부터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의 개시사항은 본 원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관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에 가압 접촉되는 스프링부를 구비한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하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여 전기 접속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있는 콘택트를 포함한다. 콘택트는 일반적으로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는 부분을 가동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 또는 콘택트에 접속된 접속 대상물이, 이 전기 커넥터 또는 콘택트로부터 용이하게 그리고 비의도적으로 제거되거나 분리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거나 분리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또는 콘택트에 대한 다양한 개량물이 제조되어 왔다.
JP-A-2007-95671 (특허 문헌 1) 은 가동 조작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를 개시한다. 가동 조작 부재는 콘택트를 조작하여 이 콘택트가 접속 대상물과 가압 접촉하게 한다. 이로써,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이 증가한다.
JP-A-2007-280639 (특허 문헌 2) 는, 서로 교차하는 3 개의 스프링 요소가 접속 대상물과 가압 접촉하게 되어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을 증가시키는 구조를 갖는 콘택트를 개시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는 콘택트 이외에 개별적인 구성 요소로서 조작 부재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부품의 개수가 증가하고 비용 감소는 어렵다. 더 나아가, 조작 부재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조작 부재가 열에 의하여 변형될 수도 있다. 조작 부재가 변형되면,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이 감소한다. 한편, 조작 부재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즉, 조작 부재가 콘택트에 맞닿을 때, 조작 부재와 콘택트 사이의 불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방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 전기 커넥터가 진동을 받게 되면, 불안정한 접촉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허 문헌 2 에 개시된 콘택트는 3 개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며 이로써 복잡한 구조와 큰 외부 부피를 갖는다. 또, 서로 교차하는 스프링 요소가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게 되는 구조로 인해, 접속 대상물은 접촉 상태에서 전단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장기간의 신뢰도가 불충분할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대표적인 목적은 부품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목적은 전술한 콘택트를 이용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을 계속하면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태양에 따르면, 커플링부, 커플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스프링부, 및 커플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콘택트가 제공되며, 커플링부는 축선을 에워싸도록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콘택트와 이 콘택트를 유지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한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태양에 따르면, 전술한 콘택트와, 커플링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와의 조합이 제공된다.
본 원 발명의 효과는 부품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콘택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원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효과는 전술한 콘택트를 이용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c 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택트의 전체 구조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 로 도시된 콘택트는 전도성 판 소재로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콘택트 (1) 는 도 1c 의 도면의 평면에서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축선 (2) 을 둘러싸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된 커플링부 (3) 를 구비한다. 커플링부 (3) 는 구부려질 수 있고 곧게 할 수 있는 (즉, 연장되거나 펴질 수 있는) 판형 부분을 포함한다. 커플링부 (3) 의 실린더형은 이 커플링부 (3) 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조인트 또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형상 유지부 (4) 에 의하여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실린더형상의 커플링부 (3) 는 서로 대면하고 있는 한 쌍의 판부분 (3-1 및 3-2) 그리고, 서로 대면하고 있는 다른 한 쌍의 판부분 (3-3 및 3-4) 을 구비한다. 또한, 커플링부 (3) 는 축선 (2) 에 평행한 방향으로 향하는 상단부 면 (3a) 과 하단부 면 (3b) 을 구비한다.
콘택트 (1) 는, 커플링부 (3) 의 상단부 면 (3a)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반투명성을 갖는 기다란 램프 관 (예를 들어, 냉음극관) 과 같은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스프링부 (6) 를 구비한다. 또, 콘택트 (1) 는, 커플링 부 (3) 의 하단부 면 (3b)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표면-탑재되도록 되어 있고 프린트 보드와 같은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복수 개의 접속부 (7) 를 구비한다.
스프링부 (6) 는 축선 (2) 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한쌍의 스프링 요소 (8) 를 구비한다. 스프링 요소 (8) 각각은 서로 대면하는, 커플링부 (3) 의 판부분 (3-1 및 3-2) 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커플링부 (3) 의 판부분 (3-3) 에는 형상 유지부 (4) 를 형성하는 조인트가 제공되어 있다. 조인트는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타측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명확하게, 오목부와 돌출부는 실린더형으로 구부러진, 커플링부 (3) 의 대향 단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와 돌출부는 서로 끼워 맞춤된다. 그리고 나서, 오목부와 돌출부 사이의 경계부가 코킹 (caulking) 또는 스웨이징 (swaging) 에 의해 가압 및 변형 또는 압착된다. 따라서, 오목부와 돌출부는 축선 (2) 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오목부와 돌출부의 조합은 이하 설명할 결합부를 참조할 수도 있다.
스프링 요소 (8) 는 이하 설명할 예비 부하 (preload) 로 서로에 대해 맞닿아 있는 맞닿음부 (9),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게 되어 있는 접촉부 (11), 및 탄성 변위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곡부 (12) 를 각각 포함한다. 각각의 곡부 (12) 는 S 형의 단면을 갖고, 이로써 S 형상부라고 일컬어질 수도 있다. 곡부 (12) 는 스프링 요소 (8) 의 가요성을 증가시키며 이로써 접속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제 1 접속 대상물이 손상을 입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각각의 스프링 요소 (8) 는, 제 1 접속 대상물이 접촉부 (11) 에 접촉될 때, 축선 (2) 을 따르는 제거 방향 (도 1c 의 도면의 평면에서 상방) 으로 제 1 접속 대상물과 결합되게 되어 있는 돌출부 (13) 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 (13) 가 스프링 요소 (8) 의 후방부를 외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맞닿음부 (9) 에 상응하는 위치에 혹은 그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13) 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접촉부 (11) 는 제 1 접속 대상물의 종단부와 접촉하게 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데 즉, 오목부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스프링 요소 (8) 에는 접촉부 (11) 의 내면에 오목부를 프레스-성형함으로써 형성된 볼록부 (14) 및 접촉부 (11) 의 내면의 대향 단부에 형성된 챔퍼부 (16) 가 제공되어 있다. 오복부는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 1 접속 대상물의 종단부와 다지점 접촉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볼록부 (14) 를 제공하는 오목부는 제 1 접속 대상물이 접속될 때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제 1 접속 대상물이 접속될 때 발생되는 분쇄 먼지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챔퍼부 (16) 또한 분쇄 먼지의 양을 감소시키는데 조력한다.
도면에 도시된 콘택트 (1) 는 또한 커플링부 (3) 의 판부분 (3-4) 의 상단부 면 (3a)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멈춤판 (17) 을 더 포함한다. 멈춤판 (17) 은 스프링 요소 (8) 를 보호하며, 제 1 접속 대상물이 접속될 때 축선 (2) 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 1 접속 대상물의 위치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멈춤판 (17) 은 다수의 콘택트 (1) 가 벨트-형상 판 소재로부터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 으로 형성될 때 일반적으로 소위 캐리어라 불리는 부분에 접속되어진 접속부 (18) 를 구비한다.
전술한 콘택트 (1) 는 부품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접속 대상물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전술한 콘택트 (1) 가 어떻게 이용되는지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 에서는 복수 개의 콘택트 (1) 가 제 2 접속 대상물로서의 프린트 보드 (21) 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콘택트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각 콘택트 (1) 에는 제 1 접속 대상물로서의 냉음극관 (22) 이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냉음극관 (22) 의 접속 종단부 (22a) 가 스프링 요소 (8) 사이에 삽입된다.
도 3 을 참조하여, 전술한 콘택트 (1) 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택트 (1) 를 판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판 부분 (3-1), 판 부분 (3-2) 및 판 부분 (3-3) 이 먼저 도 3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요소 (8) 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조인트가 제공된 판 부분 (3-3) 은 2 개의 분할부 (3-3a 및 3-3b) 로 형성되어 있다. 분할부 (3-3a 및 3-3b) 는 판 부분 (3-1, 3-2 및 3-4) 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예비 굽힘되어 있다. 판 부분 (3-3) 을 형성하는 2 개의 분할부 (3-3a 및 3-3b) 에는 그 단부면에 전술한 오목부와 돌출부가 각각 제공되어 있다.
그 다음으로, 커플링부 (3) 는 2 개의 굽힘부 (3c 및 3d) 에서 직각으로 굽 혀져서 스프링 요소 (8) 가 서로 대면하게 되고 맞닿음부 (9) 가 서로 맞닿는다. 그리고 나서, 스프링 요소 (8) 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분할부 (3-3a 및 3-3b) 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여 오목부와 돌출부가 서로 끼워맞춤된다. 이 상태에서, 오목부와 돌출부의 경계부가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어 분할부 (3-3a 및 3-3b) 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부로서 판부분 (3-3) 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 (8) 의 맞닿음부 (9) 가 소위 예비 부하로 서로에 대해 맞닿아지는 상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요소 (8) 가 예비 부하를 받게되기 때문에, 스프링 요소 (8) 의 베이스부 (즉, 커플링부 (3) 의 판부분 (3-1 및 3-2)) 에,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즉, 넓혀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서로에 대한 폭 확장을 꾀한다. 스프링 요소 (8) 의 베이스부 (커플링부 (3) 의 판부분 (3-1 및 3-2)) 가 서로 넓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플링부 (3) 에는 형상 유지부 (4) 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 요소 (8) 의 접촉 압력이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된다.
도 4 를 참조하여, 전술한 콘택트 (1) 를 냉음극관 (22) 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4 에서 (a) 는 스프링 요소 (8) 의 맞닿음부 (9) 가 서로 맞닿아 있는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 (9) 는 서로 분리되며 냉음극관의 접속 종단부 (22a) 는 스프링 요소 (8)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에, 도 4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 (11) 는 스프링 요소 (8) 의 복원력하에 접속 종단부 (22a) 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접속 종단부 (22a) 는 전술한 예비 부하하에 접촉부 (11) 에 의해 단단히 조여진다. 이로써, 냉음극관을 강제적으로 제거할 때, 냉음극관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제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돌출부 (13) 는 스프링 요소 (8) 사이의 위치로부터 접속 종단부 (22a) 가 해제되는 것을 억제하는 장해물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냉음극관은 콘택트 (1) 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 유지부 (4) 를 형성하는 조인트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게 예비 성형된 오목부와 돌출부의 조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6a 와 도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 유지부 (4) 를 형성하는 조인트가 콘택트 (1) 의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각각의 판부분 (3-3 및 3-4)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유사한 변형예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돌출부 (13) 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에 있어서, 돌출부 (13) 는 스프링 요소 (8) 의 후방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13) 는 일 스프링 요소 (8) 의 전방측에 그리고 타 스프링 요소 (8) 의 후방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13) 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8) 의 앞뒤 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 (13) 는 스프링 요소 (8) 를 절단함으로 써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을 참조하면, 일 스프링 요소 (8) 가 절단되어 돌출부 (13) 가 형성되어 있다. 타 스프링 요소 (8) 에는 절취부 (23) 가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 (13) 가 절취부 (23) 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 돌출부 (13) 는 스프링 요소 (8) 의 대향면을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돌출부 (13) 가 적절하게 구부려질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구조가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콘택트 (1) 에서는 결합부가 커플링부 (3) 의 조인트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커플링부 (3) 의 형상이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택트 (1) 가 프린트 보드 (21) 에 탑재되고 접속부 (7) 가 프린트 보드 (21) 에 고정된 경우에는 커플링부 (3) 의 형상이 프린트 보드 (21) 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린트 보드 (21) 의 일부는 형상 유지부로서 역할을 한다.
대안으로, 콘택트 (1) 에는 커플링부 (3) 의 굽힘부 (3c 및 3d) 의 굽힘각을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상 유지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한 콘택트 (1) 에서, 커플링부 (3) 는 축선 (2) 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커플링부 (3) 는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개방된 부분을 갖고 축선 (2) 을 중심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 을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30 으로 전기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a 내지 도 4 에 도시된 콘택트 (1) 및, 콘택트 (1) 를 유지시키는 절연 하우징 (31) 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택트 (1) 는 직사각형의 실린더형상을 갖는 절연 하우징 (31) 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전기 커넥터 (30) 와 함께 하우징 (31) 의 일부가 형상 유지부로서 역할을 하며,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 (2) 을 둘러싸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커플링부 (3) 를 유지한다.
도 5 내지 도 11 에 도시된 각각의 다양한 콘택트 (1) 는 각각 전기 커넥터 (30) 를 형성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 (31) 내에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양한 실시형태가 이하의 항목 1 내지 항목 15 에 열거된다.
항목 1. 콘택트 (1) 가,
커플링부 (3),
커플링부 (3) 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접속 대상물 (22) 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스프링부 (6), 및
커플링부 (3) 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2 접속 대상물 (21) 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커플링부 (3) 는 축선 (2) 을 에워싸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된다.
항목 1 의 콘택트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와 같은 냉음극관의 접속에 적용가능하다.
항목 2. 항목 1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스프링부 (6) 는 축선 (2) 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한 쌍의 스프링 요소 (8) 를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 (8) 는 맞닿음부 (9) 와 접촉부 (11) 를 각각 포함하며, 맞닿음부는 예비 부하로 서로에 대해 맞닿아 있으며, 접촉부 (11) 는 제 1 접속 대상물 (22) 에 접촉되게 되어 있다.
항목 3. 항목 2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요소 (8) 는, 제 1 접속 대상물 (22) 이 접촉부 (11) 에 접촉할 때, 제 1 접속 대상물 (22) 이 축선 (2) 을 따라서 제거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돌출부 (13) 를 구비한다.
항목 4. 항목 2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부 (11) 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같은 램프 관에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커플링부 (3) 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 (4) 를 더 포함한다.
항목 6. 항목 5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형상 유지부 (4) 는 커플링부 (3) 의 형상을 고정하기 위하여 커플링부 (3) 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항목 7. 항목 5 또는 항목 6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형상 유지부 (4) 는 커플링부 (3) 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로 구성된다.
항목 8. 항목 7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조인트는 축선 (2) 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상호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항목 9. 항목 7 또는 항목 8 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커플링부 (3) 는 4 개의 면으로 형성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 요소 (8) 는 각각 4 개의 면의 대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조인트는 4 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잔여면에 형성되어 있다.
항목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커플링부 (3) 는 축선 (2) 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항목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콘택트 (1) 에 있어서, 커플링부 (3) 는 축선 (2) 을 중심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항목 12. 전기 커넥터 (30) 는,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콘택트 (1) 및,
콘택트 (1) 를 유지시키는 하우징 (31) 을 포함한다.
항목 12 의 전기 커넥터 (30) 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와 같은 냉음극관의 접속에 적용가능하다.
항목 13. 항목 12 에 따른 전기 커넥터 (30) 에 있어서, 하우징 (31) 은 커플링부 (3) 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 (4) 를 포함한다.
항목 14. 항목 1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따른 콘택트 (1) 와, 커플링부 (3) 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 (4) 의 조합체.
항목 15. 항목 14 에 따른 조합체에 있어서, 형상 유지부 (4) 는 콘택트 (1) 가 탑재된 보드의 일부이다.
본 발명을 특히 그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형상 및 세부 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b 는 다른 방향에서 본 도 1a 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1c 는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2a 는 도 1a 와 도 1b 에 도시된 콘택트가 어떻게 이용되는지 실시예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 는 도 2a 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와 접속 대상물을 접속시키는 조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1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6a 는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2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6b 는 도 6a 에 도시된 제 2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3 변형예의 특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4 변형예의 특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5 변형예의 특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6 변형예의 특징부의 사 시도이다.
도 11 은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의 제 7 변형예의 특징부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이 전기 커넥터는 도 1a 내지 도 1c 에 도시된 콘택트를 포함한다.

Claims (15)

  1. 콘택트로서,
    커플링부,
    상기 커플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스프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제 2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게 되어 있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콘택트의 중심부에 축선을 설정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축선을 에워싸는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되고,
    상기 스프링부는 축선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가능한 한 쌍의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고, 스프링 요소는 맞닿음부와 접촉부를 각각 포함하며, 맞닿음부는 예비 부하 (preload) 로 서로에 대해 맞닿아 있으며, 접촉부는 제 1 접속 대상물에 접촉되게 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스프링 요소는, 제 1 접속 대상물이 접촉부에 접촉할 때, 제 1 접속 대상물이 축선을 따라서 제거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콘택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접촉부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같은 램프 관에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콘택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커플링부의 형상을 고정하기 위하여 커플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커플링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조인트로 구성되는 콘택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축선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상호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4 개의 면으로 형성된 직사각형인 실린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요소는 각각 4 개의 면의 대향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조인트는 4 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의 잔여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축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택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축선을 중심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콘택트.
  12. 제 1 항에 따른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를 유지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커플링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4. 제 1 항에 따른 콘택트와, 커플링부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는 콘택트와 형상 유지부의 조합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콘택트가 탑재된 보드의 일부인, 콘택트와 형상 유지부의 조합체.
KR1020090118244A 2009-02-09 2009-12-02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 KR101175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7732 2009-02-09
JP2009027732A JP4716529B2 (ja) 2009-02-09 2009-02-09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97A KR20100091097A (ko) 2010-08-18
KR101175572B1 true KR101175572B1 (ko) 2012-08-22

Family

ID=4254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244A KR101175572B1 (ko) 2009-02-09 2009-12-02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98871B2 (ko)
JP (1) JP4716529B2 (ko)
KR (1) KR101175572B1 (ko)
CN (1) CN101800372B (ko)
TW (1) TWI4153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1439A (zh) * 2008-03-13 2011-02-09 夏普株式会社 灯连接器、背光源装置和液晶显示装置
US8647147B2 (en) 2010-03-09 2014-02-11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Dual conductor cable connector
USD645407S1 (en) * 2010-03-16 2011-09-20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Portion of electrical connector
USD645406S1 (en) 2010-03-16 2011-09-20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Portion of electrical connector
USD645408S1 (en) * 2010-03-16 2011-09-20 Nii Northern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US8882533B2 (en) 2012-05-25 2014-1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
US9054456B2 (en) * 2012-11-29 2015-06-0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alignment body
TWI684307B (zh) 2013-07-30 2020-02-01 新加坡商安姆芬諾爾富加宜(亞洲)私人有限公司 絕緣位移連接器
WO2015085166A1 (en) 2013-12-06 2015-06-11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D764412S1 (en) * 2014-05-19 2016-08-2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US9577352B2 (en) 2015-01-29 2017-02-21 Home Depot Product Authority, LLP Electrical connectors and related methods
EP3266069B1 (en) 2015-03-03 2021-12-29 Amphenol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CN111656095B (zh) * 2018-02-05 2023-04-04 昕诺飞控股有限公司 基于led组件紧固的灯具闭合构造
US10576569B2 (en) * 2018-05-04 2020-03-03 Caterpillar Inc. Clip for retaining components for welding
US11050200B2 (en) * 2018-07-11 2021-06-29 Fci Usa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hermaphroditic terminal and housing
US11128078B1 (en) * 2020-07-20 2021-09-21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Current carrying retention clip
JP7153883B1 (ja) 2021-05-17 2022-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及び基板間接続部
EP4343976A1 (en) * 2021-05-17 2024-03-2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ic power converting device, and board-to-board connecting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5281D1 (de) * 1988-09-07 1993-12-02 Weidmueller Interface Doppelflachfederkontakt.
US4894027A (en) * 1989-02-23 1990-01-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mp socket terminal
JPH0488677A (ja) * 1990-07-31 1992-03-23 Meidensha Corp 半導体素子
JPH0488677U (ko) * 1990-12-11 1992-07-31
JPH0672169U (ja) * 1993-03-23 1994-10-0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形コンタクト
IT1261879B (it) * 1993-10-18 1996-06-03 Framatome Connectors Italia Terminale elettrico femmina
JP2910542B2 (ja) * 1993-11-25 1999-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L型バルブソケット
GB9406929D0 (en) * 1994-04-07 1994-06-01 Amp Gmbh Electrical contact having improved secondary locking surfaces
US6045416A (en) * 1996-04-02 2000-04-04 Aries Electronics, Inc. Universal production ball grid array socket
US6296533B1 (en) * 1998-08-31 2001-10-0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receptacle contact
JP2003123887A (ja) * 2001-10-12 2003-04-25 Yazaki Corp 雌型端子金具
JP2003264022A (ja) * 2002-03-07 2003-09-19 Yazaki Corp タブ状端子用メス型端子
US7556515B2 (en) * 2006-12-15 2009-07-0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improved in handlability of a connection object and backlight assembly using the connector
TWM286484U (en) * 2005-06-29 2006-01-21 Molex Inc Conductive terminals for socket connector
US7291046B2 (en) * 2005-08-22 2007-11-06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contact assembly
JP4563974B2 (ja) 2005-08-29 2010-10-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101193686B1 (ko) 2005-08-29 2012-10-22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280639A (ja) 2006-04-03 2007-10-25 Hosiden Corp 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装置
ITPD20070035A1 (it) * 2007-02-02 2008-08-03 Inarca Spa Terminale elettrico femmi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0372A (zh) 2010-08-11
CN101800372B (zh) 2013-03-20
JP2010182644A (ja) 2010-08-19
KR20100091097A (ko) 2010-08-18
TW201031056A (en) 2010-08-16
TWI415340B (zh) 2013-11-11
JP4716529B2 (ja) 2011-07-06
US20100203752A1 (en) 2010-08-12
US7798871B2 (en) 2010-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572B1 (ko) 콘택트 및 전기 커넥터
US10971850B2 (en) Movable connector
KR101021012B1 (ko) 커넥터
JP5112494B2 (ja) コネクタ
JP4374074B1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KR102202564B1 (ko) 커넥터
JP5522217B2 (ja) 電気コネクタ
JP6841901B2 (ja) プラスチックおよび金属ハウジングへのプリント回路基板の固定
JP2015005504A (ja) コネクタ
KR101780968B1 (ko) 커넥터 단자
WO2016084571A1 (ja) 接続端子
KR20230032869A (ko) 소켓 커넥터
JP2013069592A (ja) コネクタ
JP2006179362A (ja) 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5455435B2 (ja) コネクタの端子構造
CN110416787B (zh) 接触件、连接器以及连接装置
WO2017104388A1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JP2022186850A (ja) 可動コネクタ
JP5066618B2 (ja) コンタクト及び電気コネクタ
KR20050065332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5506022B2 (ja) 雌型端子
JP2023034689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KR101489787B1 (ko) 두 개의 스프링 구역을 갖는 직결식 플러그 소자
US9425530B2 (en) Contact having a spring portion joined to a second spring portion having a convex shaped bent fulcrum portion
JP4470764B2 (ja) 組合せ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