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163B1 -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 Google Patents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163B1
KR101175163B1 KR1020067025712A KR20067025712A KR101175163B1 KR 101175163 B1 KR101175163 B1 KR 101175163B1 KR 1020067025712 A KR1020067025712 A KR 1020067025712A KR 20067025712 A KR20067025712 A KR 20067025712A KR 101175163 B1 KR101175163 B1 KR 101175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sorbide
jelly
agar
added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719A (ko
Inventor
요시히로 히시카와
토모카즈 사카데
마사키 안도
유지 사토
히토시 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산와카가쿠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산와카가쿠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산와카가쿠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7002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8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nausea, cinetosis or vertigo; Antie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Diabet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메니에르병 치료약인 이소소르비드제제에 필요로 하는 신속한 약효발현이라는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쓴맛 등 복용성이 개선된 이소소르비드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소소르비드 및 한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카카오분말을 더 포함시킨다. 여기서, 한천의 첨가량은, 젤리제제 전체의 0.3~2w/w%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 적어도 한천, 이소소르비드 및 물을 혼합하여 가열용해시킨 후, 상온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소소르비드, 젤리제제

Description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ISOSORBIDE-CONTAINING JELLY PREPARATION}
본 발명은 의약품 분야의 발명이며, 쓴맛이 강해서 복용하기 어려운 이소소르비드제제의 연구에 관한 것이다.
이소소르비드는 메니에르병의 치료약으로서, 소화관에서 신속하게 흡수되지만, 체내에서 대사되지 않기 때문에 혈청침투압을 높인다. 그 결과, 본 약물은 이뇨작용, 뇌압강하작용, 안압강하작용, 내(內)임파압강하작용을 나타낸다. 이소소르비드는 또, 메니에르병의 증상인 현기증 등의 발작이 발현하고 나서 단번에 복용하는 일도 종종 있기 때문에, 복용 후에 신속하게 그 약효가 발현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약물은, 복용후 소화관 내에서 용해하고 흡수되는 것에 의해 약효를 발현하기 때문에, 이소소르비드가 신속하게 약효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소화관 내에서 신속하게 용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소소르비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으로서는, 내복액제(液劑)가 상품화되어 있다. 액제가 제형으로서 선택되고 있는 이유로서는, 액제로 된 제형은 이미 약물인 이소소르비드가 용해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약효를 발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 약물은 대단히 쓰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상기의 액제에 있어서도, 감미제(甘味劑) 등을 첨가하여 쓴맛을 저감시키려고 꾀하고는 있으나, 그 효 과가 충분하지 않다. 이것은, 쓴맛을 갖는 이소소르비드를 1회에 21g~28g이나 복용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환자가 1회에 복용하는 액제의 양을 극력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액제 중의 이소소르비드의 농도를 70w/v%정도로 높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때문에, 이소소르비드의 쓴맛을 저감시키는 일은 대단히 곤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게다가, 시판되고 있는 액제는, 쓴맛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첨가된 교미제(矯味劑)의 신맛이 강하고, 복용 후의 쓴맛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가 이소소르비드를 복용하는 것을 곤란해 하는 경우가 종종있다. 따라서, 이소소르비드의 쓴맛을 저감시켜서 복용성을 개선하는 것이 의료현장에 있어서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소소르비드와 같이 쓴맛 등의 불쾌한 맛을 나타내는 약물은 많고, 이 불쾌한 맛을 개선하는 것은 의약품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쓴맛성분을 포함하는 정제에 대해서는, 당의(糖衣)를 입히거나 필름코팅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쓴맛의 저감을 꾀하고 있다. 또, 쓴맛성분을 포함하는 각종 산제(가루약), 세립제(細粒劑), 과립제(顆粒劑)에 대해서는, 정제와 동일하게 필름코팅을 실시하는 것, 또는 백당(白糖) 등의 감미제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쓴맛의 저감을 꾀하고 있다. 또한, 불용성 기제(基劑)에 쓴맛성분을 함유시켜서 구강내에서의 용출을 억제하는 방법(일본국 특개 소54-95719, 일본국 특개 소63-303928, 일본국 특개 평2-288821, 일본국 특개 평4-187629, 일본국 특개 평4-327528, 일본국 특개 평6-501027 등), 쓴맛을 저감시키는 첨가물로서 단백질-지질(脂質) 복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일본국 특개 평6-316537), 정유(精油) 또는 정유성분을 배합하는 방법(일본국 특개 평5-255126), 산성 인지질 또는 그 리조체를 첨가하는 방법(일본국 특개평 7-67552), 카카오(cacao)분말을 첨가하는 방법(일본국 특개2000-95710)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고형제제에 관한 것이며, 쓴맛성분을 1g이하 정도로 소량 함유하도록 하는 고형제제의 쓴맛을 저감시키는 일은, 이들 방법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한편, 액제의 복용성 개선의 예는, 감미제를 첨가하는 등의 일반적인 방법을 제외하면, 유효한 방법은 눈에 띄지 않는다. 젤리화에 의한 방법(일본국 특개2001-226293)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 방법에서는, 쓴맛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의 용출을 억제하기 때문에, 생물학적 이용 효능이 저하되거나, 약효의 발현이 늦어질 것으로 추측된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개 소54-95719
특허문헌2 : 일본국 특개 소63-303928
특허문헌3 : 일본국 특개 평2-288821
특허문헌4 : 일본국 특개 평4-187629
특허문헌5 : 일본국 특개 평4-327528
특허문헌6 : 일본국 특개 평6-501027
특허문헌7 : 일본국 특개 평6-316537
특허문헌8 : 일본국 특개 평5-255126
특허문헌9 : 일본국 특개 평7-67552
특허문헌10 : 일본국 특개 2000-95710
특허문헌11 : 일본국 특개 2001-226293
메니에르병 치료약인 이소소르비드액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쓴맛이 강해서 그 복용성의 개선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으나, 아직도 복용성이 좋은 이소소르비드제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소소르비드제제에 필요로 하는 신속한 약효발현이라는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복용성이 개선된 이소소르비드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써서 먹기 힘든 이소소르비드액제의 복용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예의검토하였다. 우선, 첫번째로 각종의 겔화제제를 사용하여 이소소르비드를 함유하는 젤리제제의 조제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젤리화에 의해서 이소소르비드의 복용성의 개선효과는 인정되었으나, 염려했던 바와 같이, 이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은 액제보다 현저히 늦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겔화에 의해 쓴맛성분인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이 억제된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다시 예의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겔화제로서 한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소소르비드는 액제와 동일하게 젤리제제로부터 신속하게 용출하고, 그 복용성도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쓴맛을 개선하기 위하여 카카오분말을 첨가한 결과, 쓴맛은 상승적(相乘的)으로 저감하고, 복용이 대단히 용이해 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지견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소소르비드 및 한천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카카오분말을 더 함유한다. 또, 한천의 첨가량은, 젤리제제 전체의 0.3~2w/w%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한천, 이소소르비드 및 물을 혼합하여 가열?용해한 후, 상온 이하로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제조방법이다. 여기서, 한천, 이소소르비드 및 물과 함께 카카오분말을 다시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굳기와 한천의 첨가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일본 약국방」붕괴시험법 제1액(pH1.2)으로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물에로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일본 약국방」붕괴시험법 제2액(pH6.8)으로의 용출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각 용출시험액으로의 15분 후의 용출률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용출성에 미치는 카카오분말 첨가의 영 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일본 약국방」붕괴시험법 제1액(pH1.2)으로의 용출성에 미치는 한천첨가량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물에로의 용출성에 미치는 한천첨가량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일본 약국방」붕괴시험법 제2액(pH6.8)으로의 용출성에 미치는 한천첨가량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일본 약국방」붕괴시험법 제1액(pH1.2)으로의 용출성에 미치는 그 밖의 겔화제 첨가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물에로의 용출성에 미치는 그 밖의 겔화제 첨가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의 「일본 약국방」붕괴시험법 제2액(pH6.8)으로의 용출성에 미치는 그 밖의 겔화제 첨가의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젤리제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제 중의 이소소르비드의 함유농도는 특별히 규정되는 것은 아니나, 50~80w/w%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젤리제제의 일정량 중의 이소소르비드의 함량을 소량으로 하면 쓴맛이 경감되는 것은 당연하겠으나, 이소소르비드의 1회 복용량은 21g~28g으로 대단히 많은 양이다. 그러나 젤리제제의 일정량 중의 이소소르비드의 함량이 적을 경우, 1회에 다량의 젤리제제를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소 소르비드의 복용이 오히려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젤리제제로부터, 이소소르비드가 액제와 동일하게 신속한 용출을 나타내기 때문에, 복용후에 신속한 약효의 발현을 기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신속한 용출이란, 일본 약국방 용출시험법에 있어서, 15분 후의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이 85%이상인 것을 의미하고, 이 조건을 만족하는 의약조성물은, 소화관내에서도 신속하게 이소소르비드를 용출하기 때문에 액제와 마찬가지로 곧바로 약효를 발현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한천은, 갈락토오스를 기본골격으로 하는 다당류로 이루어지고, 원료인 해조의 기원이나 제조방법에 따라 분자량이나 관능기가 다르기 때문에, 그 특성도 다르다. 따라서, 그 첨가량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으나, 젤리제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2w/w%가 좋고, 더 바람직하게는 0.5~1.5w/w%가 좋다. 한천의 사용량을 상기의 범위보다 적게 한 경우,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젤리의 강도가 저하하여 쓴맛의 저감효과가 적어진다. 또, 겔화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반대로, 사용량을 증가시킨 경우에는, 한천의 용해불량이 발생하거나 겔화 전의 액의 점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용기에 충전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젤리가 너무 단단해져서 복용감이 나빠지는 것과 동시에,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이 늦어진다. 따라서, 이소소르비드의 쓴맛을 저감시켜 복용감을 개선하고, 또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신속한 용출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천의 양은 상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겔화제로서는, 한천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나, 그 외의 겔화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한천에 첨가하는 겔화제로서는, 카라기난, 크산탄검, 로커스트빈검, 아르긴산염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을 대량으로 첨가하는 것은 한천의 특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첨가량은 약간 적게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이소소르비드의 쓴맛의 저감에 의한 복용성의 개선효과는, 카카오분말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증강한다. 그 첨가량은, 젤리제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w/w%가 가장 적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포도당, 과당, 맥아당, 크실로오스, 꿀, 백당(자당), 물엿, 소르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말티톨, 분말환원 맥아당물엿, 스테비어추출물, 아스파르템, 초콜렛플레이버, 사카린나트륨 등의 감미제 또는 커피 등의 기호품 또는 향료를 첨가하여도 좋다. 이 중에서 이소소르비드의 쓴맛에 대하여, 초콜렛플레이버, 사카린나트륨의 조합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제제의 제조방법, 즉, 젤리화는, 한천, 이소소르비드, 필요에 따라서 카카오분말, 향료, 감미제에 물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교반?용해시킨 후, 상온 이하로 냉각하여 실시한다. 여기서, 첨가물의 첨가순서는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다. 또, 경우에 따라서, 다시 pH조정제, 착색제, 보존제 등의 첨가물을 함유할 수가 있다. 조제된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는, 컵, 백, 튜브 등에 수용, 포장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이소소르비드+한천+첨가제)
약 60mL의 물에 한천 1.2g, 구연산 0.24g, 무수인산수소2나트륨 0.48g 및 사 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2 (이소소르비드+한천)
약 60mL의 물에 한천 1.2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3 [이소소르비드+(한천+카라기난)+첨가제]
약 60mL의 물에 한천 1.2g, 카라기난 0.6g, 인산수소2칼륨 0.6g, 인산2수소칼륨 0.1g, 염화칼륨 0.03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4 [이소소르비드+(한천+크산탄검)+첨가제]
약 60mL의 물에 한천 1.2g, 크산탄검 0.3g, 인산수소2칼륨 0.6g, 인산2수소칼륨 0.1g, 염화칼륨 0.03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5 [이소소르비드+(한천+아르긴산나트륨)+첨가제]
약 60mL의 물에 한천 1.2g, 아르긴산나트륨 0.3g, 인산수소2칼륨 0.6g, 인산2수소칼륨 0.1g, 염화칼륨 0.03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6 (한천량의 증감)
약 60mL의 물에 한천 0.6g, 구연산 0.24g, 무수인산수소2나트륨 0.48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7 (한천량의 증감)
약 60mL의 물에 한천 3g, 구연산 0.24g, 무수인산수소2나트륨 0.48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시예8 (한천량의 증감)
약 60mL의 물에 한천 7g, 구연산 0.24g, 무수인산수소2나트륨 0.48g 및 사카 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대조예1 (액제)
이소소르비드 70g에 물 30mL을 첨가하여 용해하였다.
대조예2 (이소소르비드+펙틴+첨가제)
약 55mL의 물에 펙틴 1g, 구연산 4.8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대조예3 (이소소르비드+로커스트빈검+크산탄검)
약 60mL의 물에 로커스트빈검 0.56g, 크산탄검 0.56g, 인산수소2칼륨 0.3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대조예4 (이소소르비드+글루코만난+크산탄검)
약 60mL의 물에 글루코만난 0.5g, 크산탄검 0.5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 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대조예5 (이소소르비드+로커스트빈검+크산탄검)
약 55mL의 물에 로커스트빈검 1.4g, 크산탄검 1.4g, 구연산 0.24g, 무수인산수소2나트륨 0.48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대조예6 (이소소르비드+젤란검)
약 60mL의 물에 젤란검 0.9g, 인산수소2칼륨 0.6g, 구연산나트륨 1g 및 사카린나트륨 0.6g을 첨가하여, 90~100℃에서 수분간 가열?교반?용해하였다. 다음에, 이소소르비드 140g을 소량씩 첨가하여 용해하고, 다시 카카오분말 0.4g 및 초콜렛플레이버 0.2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컵에 충전하여 상온까지 냉각시켰다.
[시험예1] (관능시험)
5명의 시험자로부터, 실시예1, 실시예2 및 대조예1의 복용감을 평가받았다. 여기서, 시험자는 젤리제제 약 5g을 입안에 넣고, 수회 저작한 후 평가하였다. 또, 액제는 약 5g을 입안에 넣어서 평가하였다. 평가는, 쓴맛을 느끼지 않는 경우를 1로 하고, 대단히 강한 쓴맛이 있어서 복용하기 힘든 경우를 5로 하는 5단계의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시험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486489-pct00001
이소소르비드 및 한천으로 이루어지는 젤리제제는, 이소소르비드액의 복용감을 개선하였다. 통상, 카카오분말은 쓴맛물질에 대하여 수십%~수백% 첨가하지 않으면 효과를 발휘하지 않으나, 실시예1에 있어서는 쓴맛물질인 이소소르비드가 70%의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천과 카카오분말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소량의 카카오분말로 뛰어난 쓴맛의 저감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2] (관능시험 및 겔의 굳기;한천량의 영향)
6명의 시험자로부터, 실시예1, 실시예6, 실시예7 및 실시예8의 젤리제제의 복용감을 비교하고, 첨가하는 한천의 양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험자는, 젤리제제 약 5g을 입안에 넣고 수회 저작한 후 평가하였다. 쓴맛의 평가에 있어서는, 모든 젤리제제가 쓴맛이 저감되어 있어서 평가기준을 설정하기가 곤란했기 때문에, 상대평가로서 쓴맛이 적은 순서로 순위를 매겼다. 또, 종합적으로 복용의 용이성은, 복용이 매우 용이하다를 1, 복용하기 힘들다를 5로 하는 5단계 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또, 젤리의 굳기는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일정면적의 플런저를 사용하고, 젤리를 60㎜/min의 속도로 압축하여, 젤리가 파단될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시험결과를 표2, 표3 및 도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486489-pct00002
Figure 112006090486489-pct00003
실시예6은, 상대적으로 쓴맛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적었다. 그 원인은, 이 겔은 부드러워서 입안에서 부서지기 쉽고, 한천과 카카오분말의 상승효과가 적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다. 반대로, 한천의 첨가량이 많은 실시예8의 겔은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우 단단하고, 앙케이트의 결과로부터, 쓴맛의 저감효과는 충분히 확인되었으나, 복용감이 매우 나빴다. 또, 제조시의 점도가 대단히 높아서 대량생산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한천의 첨가량으로서는 0.3~2w/w%가 바람직하고, 다시 0.5~1.5w/w%가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시험예3] (용출시험; 다른 겔화제와의 비교)
실시예1 및 대조예2~대조예6으로부터 얻어진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성을 일본약국방 용출시험법인 패들법으로 시험하였다. 단, 시험액으로는, 물, 일본약국방 붕괴시험법 제1액 및 제2액 900mL을 사용하고, 패들의 회전수는 50rpm으로 하였다. 또, 젤리제제는, 저작을 고려하여 약 2㎜ 지름의 크기로 분쇄하여 투입하였다. 또한, 정량은 HPLC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천을 사용한 젤리제제와 다른 겔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성의 비교를 도2~도4에 나타내고, 또, 도5에는 실시예1 및 각 대조예의 15분 후의 용출률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겔화제로서 한천을 사용한 젤리제제인 실시예1만이, 물, 제1액 및 제2액의 어떤 시험액에 있어서도 이소소르비드의 신속한 용출을 나타내고, 생체 내의 환경에 의존하지 않는 신속한 용출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각 대조예에 사용되는 각 겔화제의 첨가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대조예에서 사용된 젤리제제의 경도는 실시예1과 동등하거나 또는 부드럽기 때문에, 본 시험은, 대조예에 불리한 조건에서의 비교는 아니다.
[시험예4] (용출시험;카카오분말 등의 영향)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성시험을 시험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결과의 대표적인 예를 도6에 나타낸다. 카카오분말 및 그 밖의 첨가제는 한천을 사용한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시예1, 2 모두에서 이소소르비드는 젤리제제로부터 신속하게 용출하였다. 또한, 그 밖의 겔화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젤리제제에 관해서도, 카카오분말 및 그 밖의 첨가제는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시험예5] (용출시험;한천량의 영향)
실시예1 및 실시예6~실시예8의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성시험을 시험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도7~도9에 나타낸다.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은 한천의 첨가량에 따라 크게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첨가량이 극히 많으면 약간의 용출 지연을 나타내었다.
[시험예6] (용출시험;혼합겔화계)
실시예1, 실시예3~실시예5의 젤리제제로부터의 이소소르비드의 용출성시험을 시험예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도10~도12에 나타낸다. 겔화제로서 한천을 사용한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에 있어서는, 그 밖의 겔화제를 더 첨가하여도 이소소르비드의 신속한 용출특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를 이용함으로써, 환자는 이소소르비드의 강한 쓴맛을 걱정하지 않고 복용할 수 있게 되어, 복약(服藥)컴플라이언스의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제는, 내복액제와 동일하게 소화관 내에서 신속하게 이소소르비드를 용출시키기 때문에, 내복액제와 동일하게 신속하게 약 효가 발현된다.

Claims (5)

  1. 이소소르비드를 젤리제제 전체의 50~80w/w% 및 한천을 젤리제제 전체의 0.3~2w/w%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카카오분말을 더 함유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오분말을 젤리제제 전체의 0.1~5w/w% 함유하는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7025712A 2004-06-24 2005-06-23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KR101175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5960 2004-06-24
JPJP-P-2004-00185960 2004-06-24
PCT/JP2005/011555 WO2006001344A1 (ja) 2004-06-24 2005-06-23 イソソルビド含有ゼリー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719A KR20070023719A (ko) 2007-02-28
KR101175163B1 true KR101175163B1 (ko) 2012-08-20

Family

ID=3578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712A KR101175163B1 (ko) 2004-06-24 2005-06-23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64105B2 (ko)
KR (1) KR101175163B1 (ko)
CN (1) CN1942183B (ko)
WO (1) WO2006001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2311B2 (ja) * 2004-12-15 2012-07-11 あすか製薬株式会社 イソソルビドの苦味が軽減された経口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07060A (ja) * 2004-12-15 2012-06-07 Aska Pharmaceutical Co Ltd イソソルビドの苦味が軽減された経口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4953673B2 (ja) * 2006-03-22 2012-06-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経口投与剤
CN102552310A (zh) * 2007-01-10 2012-07-11 兴和株式会社 梅尼埃病治疗药
WO2008084533A1 (ja) * 2007-01-10 2008-07-17 Kowa Co., Ltd. メニエール病治療薬
CN101677606B (zh) 2007-06-13 2013-05-08 大塚制药株式会社 含雌马酚的提取物、其制备方法、雌马酚的提取方法及含雌马酚的食品
JPWO2010150400A1 (ja) * 2009-06-26 2012-12-06 日医工株式会社 イソソルビドを含有するゼリー製剤
TW201309340A (zh) * 2011-01-17 2013-03-01 Ajinomoto Kk 含分支鏈胺基酸之膠凍
FR3101546B1 (fr) 2019-10-07 2023-11-10 Roquette Freres Masquage du goût de l’isosorbi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710A (ja) 1998-09-21 2000-04-04 Taisho Pharmaceut Co Ltd カカオ末を配合した経口用固形製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555B2 (ja) * 1991-05-24 1996-06-19 株式会社紀文食品 苦味低減方法
JP2001226293A (ja) * 2000-02-17 2001-08-21 Kotaro Kanpo Seiyaku Kk 服用補助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710A (ja) 1998-09-21 2000-04-04 Taisho Pharmaceut Co Ltd カカオ末を配合した経口用固形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719A (ko) 2007-02-28
WO2006001344A1 (ja) 2006-01-05
CN1942183B (zh) 2011-06-29
JP4264105B2 (ja) 2009-05-13
JPWO2006001344A1 (ja) 2008-04-17
CN1942183A (zh)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163B1 (ko) 이소소르비드함유 젤리제제
KR0161969B1 (ko)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위한 약제학적 수성 현탁액 조성물
KR20130060218A (ko) 점토 조성물
JP5906195B2 (ja) 水難溶性薬物含有医薬組成物
KR102418840B1 (ko) 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6365325B2 (ja) 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5235B2 (ja) 液状組成物
JP2023075278A (ja) 薬剤送達用生体溶解性医薬ゲル
US20070053939A1 (en) Biguanide drug-containing jelly preparation
JP2022502418A (ja) クルクミノイドコンポジット
JP2010500361A (ja) ヒトの血小板レベルを増加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JP7418679B2 (ja) 遅延性ゲル化組成物
CN111511222B (zh) 用于钙补充的组合物
JP2002536401A (ja) メタミゾール含有起泡性医薬組成物
JP5722704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EP3678498B1 (en) Composition for calcium supplementation
JP2005179311A (ja) ゼリー状睡眠薬製剤
JPH11180864A (ja) クエン酸アルカリ塩を含有するゼリ−製剤
WO2023042900A1 (ja) スクラルファート含有ゼリー状医薬組成物
KR101486534B1 (ko) 경구제제 및 경구제제 제조방법
TW202329977A (zh) 瑞博西尼藥物組成物
JP6029874B2 (ja) イトラコナゾールを含有するゾル状の医薬組成物
KR20130110669A (ko) 분지쇄아미노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322831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diosmectite
JPS63313734A (ja) シロツプ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