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289B1 -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289B1
KR101173289B1 KR1020110041939A KR20110041939A KR101173289B1 KR 101173289 B1 KR101173289 B1 KR 101173289B1 KR 1020110041939 A KR1020110041939 A KR 1020110041939A KR 20110041939 A KR20110041939 A KR 20110041939A KR 101173289 B1 KR101173289 B1 KR 101173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purslane
fatty acid
acid
peri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640A (ko
Inventor
허철구
박덕선
박효남
이종순
이황용
Original Assignee
(주)산엔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산엔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산엔들
Publication of KR2011012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4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using super critical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식물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최적 온도 및 최적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콜레스테롤 저하용 약학 조성물, 및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일정량 이상 함유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omega fatty acid-containing extract from plant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본 발명은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식물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최적 온도 및 최적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콜레스테롤 저하용 약학 조성물, 및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일정량 이상 함유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1년생 식물로서 오행초, 장명채, 마치채 등으로도 불리며, 주로 길가?채소밭?빈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용 가능한 다육질의 식물이다. 쇠비름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데, 한국에서는 연한 부분을 여름에 끓는 물에 데쳐 말렸다가 겨울철에 나물로 무쳐 먹는다. 민간요법에서는 해독제, 방부제, 항괴혈병제제, 진경제, 이뇨제, 구충제, 피부진정제로도 사용되어왔으며, 그 외 근육 이완 활성과 항균, 항암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 있다. 쇠비름의 성분으로는 L-노르아드레날린, 도파민, 도파와 여러 종류의 유기산, 아미노산, 테르펜 배당체(portuloside A)가 알려져 있고, 리놀렌산(linolenic acid)과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들깨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일년생 초본 식물로서, 여러 가지 유용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작물, 유지작물 및 잎채소로 사용되고 있다. 즉, 들깨의 종실에는 오메가-3 계열의 지방산인 알파-리놀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두뇌활동 및 고혈압, 알레르기성 질환 등의 성인병을 일으키는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억제하고, 학습능력 향상 및 수명 연장 효과 등의 생체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종실자체는 통깨로서 들깨차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고, 종실로부터 추출한 오일은 식용이나 약제 첨가용, 공업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성분과 효능을 가진 들깨와 쇠비름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까지 미흡하여 들깨 및 쇠비름 자원을 대량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오메가-3 지방산이란 주로 등푸른 생선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EPA, DHA, 리놀렌산(linolenic acid) 등이 여기에 속한다. 오메가-3 지방산은 체내에서는 합성되지 않아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만 한다. DHA는 뇌세포의 주성분으로 뇌 세포막 지질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뇌세포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전달 에너지대사 및 단백질 합성, 기억, 학습능력을 도와주며 뇌장애를 예방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혈소판응집을 억제하고 혈액응고 시간을 연장하여 혈전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뇌졸증, 심장병, 동맥경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병의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DHA는 모두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수치를 낮춰주어 혈전을 방지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고혈압, 동맥경화 등 심혈관 질환을 예방해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 오메가-3는 또한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low-density lipoproteins)의 수치를 낮추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high-density lipoproteins)의 수치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추출, 정제법은 그 농축물의 추출량은 많으나, 추출물 내에 기타 불필요한 성분들이 같이 추출되며, 인체에 유해한 각종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관계로 목적하는 추출물에 잔류용매가 남을 확률이 높다. 또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양이 과다한 관계로 비용 및 환경공해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나타낸다.
초임계 유체 추출기술(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technology)은 임계온도 및 임계 압력 이상의 유체를 사용하는 기술로 의약품, 식품가공 및 석유화학물질 정제 등의 추출, 정제관련 분야에서 기존의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환경 친화적 청정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근자에 이르러 에너지 자원 가격의 상승, 전통적인 분리공정이 지니는 환경폐해, 기체나 액체 공정으로 제조가 불가능한 특수 목적 신소재 수요의 신장 등의 이유로 선진 각국에서는 지난 30여 년간, 전통적인 공정으로 기체나 액체를 사용하는 개념을 탈피하여 초임계 유체 기술을 공정 유체로 사용하는 신공정 유체기술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오고 있다. 그 결과 공정 유체로서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는 기술은 정밀화학, 에너지, 환경, 신소재 등 제반 산업에 급속도로 파급되면서 전통적인 다양한 분리 기술을 초임계 유체 공정을 이용하는 신기술로 대체해가고 있다.
초기 초임계 유체 기술이 천연물 추출 정제에 주로 적용된 분야는 향신료, 화장품, 지방 등과 같이 비극성 물질, 저가의 식품이나 향료 성분에 국한되었으나 최근 들어 이 기술에 관련된 여러 현상학적 특성 및 부가적 기술의 발전으로 극성, 소량, 고가의 천연의약품 추출 정제에 응용되기에 이르렀다. 초임계 유체 후보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 중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산화탄소는 자연에 무한량 존재할 뿐만 아니라 제철산업이나 석유화학산업에서 다량 발생하는 물질이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무색, 무취, 인체에 무해하며 또한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물질이다. 여기에 덧붙여 이산화탄소는 그 어떤 유체보다 낮은 임계 온도(31.1℃)와 임계 압력(7.4 MPa)을 나타내 쉽게 초임계 조건으로 조정이 가능하여 환경 친화적 특성뿐만 아니라 효율적 에너지 사용 면에서도 큰 장점을 갖는다. 더군다나 이 기술이 천연 생리활성물질의 분리, 정제 분야에서 적용될 시에는 기존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즉 최종 산물 내에 잔류하는 유기용매에 의한 인체독성, 고비용, 폐기용매에 의한 환경공해, 목적성분의 변성 및 낮은 추출 선택성 등을 상당부분에서 해결 또는 보완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초임계 유체 기술을 쇠비름의 생리활성 성분, 특히 오메가-3 지방산 성분의 추출에 적용한 기술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0558382호에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식물 유효성분 중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법의 문제점인 인체 유해, 환경 독성, 고비용, 낮은 선택성 등을 해결하고, 새로운 추출, 정제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초임계 유체 기술을 이용하여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을 고수율로 추출하는 방법을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식물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최적 온도 및 최적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제조된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오메가 지방산을 2~3%의 고수율로 추출함으로써, 오메가 지방산의 공급량을 확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연구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료가 저렴하고 확보가 용이한 쇠비름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함으로써 저렴하게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장 큰 장점은 인체에 무해한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기존의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방법에 비해 환경친화적이고, 기존의 추출법에 비해 공정이 간단하고 추출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온도와 압력의 조절만으로 선택적 물질(DHA 및 리놀렌산 등의 오메가-3 지방산)의 추출이 가능하며, 고순도의 물질을 얻을 수 있어 건강식품, 의약품, 화장품 관련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추출온도 및 추출압력에 따른 쇠비름 추출물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식물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20~70℃의 온도 및 150~350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은 오메가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물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쇠비름 또는 들깨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a) 단계의 식물 분말은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된 식물 분말일 수 있는데, 일반건조된 식물 분말에 비해 동결건조된 식물 분말이 오메가 지방산의 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오메가 지방산의 최적 추출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40~60℃의 온도 및 200~300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60℃의 온도 및 230~270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54.69℃의 온도 및 249.76 bar의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오메가 지방산을 가장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오메가 지방산은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및 오메가-9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은 DHA(docosahexaeno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DPA(docosapentaeno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SDA(stearidonic acid) 및 ETA(eicosatetrae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메가-6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감마-리놀렌산(gamma-linolenic acid)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오메가-9 지방산은 올레산(oleic acid)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오메가 지방산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조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조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오메가-3 지방산, DHA 및 리놀렌산을 고수율로 추출하는 조건이 조금씩 상이할 수 있는데, 오메가-3 지방산 중 DHA(Docosahexaenoic acid)의 최적 추출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40~50℃의 온도 및 220~280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50℃의 온도 및 235~255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7℃의 온도 및 240~250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4.29℃의 온도 및 244.55 bar의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DHA를 가장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 중 리놀렌산(linolenic acid)의 최적 추출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15~25℃의 온도 및 120~160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의 온도 및 130~150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19~23℃의 온도 및 135~145 bar의 압력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1.25℃의 온도 및 138.78 bar의 압력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추출하는 것이 리놀렌산을 가장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쇠비름으로부터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구체적으로
a) 쇠비름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쇠비름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50~60℃의 온도 및 230~270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쇠비름으로부터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쇠비름으로부터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쇠비름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쇠비름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54.69℃의 온도 및 249.76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서,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의 추출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 지방산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추출된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발효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 유래 오메가-3 지방산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추출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 중량% 이상인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은 추출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6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추출물의 지방산 총 중량 기준으로 55 중량% 이상인 오메가 지방산 함유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은 추출물의 지방산 총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원료
본 실험에 사용된 원료 중 건조된 들깨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으며, 일반건조 및 동결건조된 쇠비름 분말은 산청군에 위치한 성진식품(주)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2.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방법
시료의 추출실험을 위해 배치(batch)식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장치(KBNE-01, 02 SYSTEM)가 이용되었다. 추출방법은 포화압력 상태인 이산화탄소(순도 99.9%)를 냉각기(-10℃)를 통과시켜 기포를 제거하고 액상정압펌프(PU-2088-CO2 PLUS, Jasco)를 통해 설정압력까지 가압하였다. 펌프로부터 반응기에 유입되기 전 추출용매인 이산화탄소는 설정된 추출온도에 따라 항온조에서 미리 예열되었으며, 반응기 내의 추출온도는 열전대에 의해 감지되어 추출온도를 조절하게 되며 내부온도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추출장치내의 전체압력은 압력조절펌프와 1개의 압력조절기를 부착시켜 순간 압력변화로 인한 추출장치 내의 조건변화를 방지하였다. 반응기로부터 추출된 유지성분은 미터링 밸브(metering valve)를 통과 후‘T'자형 유리관을 통해 회수하였고, 유체의 유량은 건식 flow-meter(DC-2, Shinagawa seik)를 통해 측정하였다.
3. 지방산 분석
초임계 이산화탄소로부터 추출된 유지는 AOAC법에 따라 메틸화(methylation)한 후 GC-FID(Hewlett Packard 5890Ⅱ)를 통해 분석되었다. 전처리 법은 추출물 0.05 g를 환류 냉각관이 장착된 둥근 플라스크에 칭량한 후 메탄올 중의 0.5N NaOH를 3 ml 가하여 75℃에서 30분간 중탕하였다. 중탕이 끝나면 10분간 방랭 후 메탄올 중의 BF3(Supelcotm) 3 ml를 가하고 75℃에서 25분간 중탕하고 10분간 방랭하였다. 방랭 후 헥산 3 ml와 10% NaCl 용액 1 ml를 가하여 30초간 진탕(shaking)하였다. GC-FID로 분석된 지방산 조성은 표준물질(FAME MIX., DHA, EPA standard)의 피크와 비교하여 정량하였다.
4. 통계분석
추출조건에 대한 실험은 중심합성계획을 실시하여 추출공정에 중요한 독립변수(Xi)로 고려되는 인자 즉, 추출온도(X1)와 추출압력(X2)에 대한 실험범위를 설정하여 각각을 5단계로 부호화하였으며(표 1),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10구로 설정하여 추출실험을 하였다. 또한, 이들 독립변수에 영향을 받는 종속변수(Yn), 즉, 오메가-3 추출량 등을 측정하여 그 값을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 조건의 실험 디자인
Extraction condition -2 -1 0 1 2
X1 Temperature(℃) 35 45 55 65 75
X2 Pressure(bar) 100 160 220 280 340
회귀식에 의한 예측은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오메가-3 지방산 추출량으로 예측하였다.
실시예 1: 들깨 초임계 추출물의 지방산 분석
들깨를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지방산을 추출한 후,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하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의 함량은 추출물의 지방산 총 중량 기준으로 60%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들깨 초임계 추출물의 지방산 분석
Composition R.t
(min)
45℃, 100 bar 45℃, 200 bar 45℃, 300 bar 65℃, 300 bar
(%) (%) (%) (%)
Palmitic acid 23.06 8.0 7.6 6.7 6.8
Stearic acid 26.21 1.9 1.9 2.0 2.0
Oleic acid 27.28 15.3 15.3 15.6 16.0
Linoleic acid 28.80 14.9 14.7 14.6 14.6
Linolenic acid 29.93 59.9 60.5 61.1 60.5
실시예 2: 쇠비름 추출물에서 오메가-3 지방산류의 추출효율
쇠비름의 건조방법 및 추출방법에 따른 추출물에서 오메가-3 지방산류의 추출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건조 쇠비름 속슬렛(soxhlet) 추출물, 일반건조 쇠비름 초임계 추출물 및 동결건조 쇠비름 초임계 추출물의 추출효율을 분석하였다.
쇠비름 추출물의 지방산 조성
지방산 종류 일반건조시료 Soxhlet 일반건조시료 초임계 동결건조시료 초임계
Lauric acid 0.21% 0.00% 0.00%
Myristic acid 0.79% 0.39% 0.46%
Myristoleic acid 0.00% 0.44% 0.30%
Palmitic acid 16.57% 18.37% 16.10%
Palmitoleic acid 0.71% 1.09% 0.00%
Stearic acid 2.20% 4.11% 3.13%
Oleic acid 13.74% 10.11% 8.24%
Elaidic acid 1.53% 1.30% 1.31%
Linolelaidic acid 59.73% 32.77% 36.60%
r-Linolenic acid 3.45% 26.44% 28.79%
Linolenic acid 0.38% 1.29% 1.19%
Heneicosanoec acid 0.14% 0.29% 0.00%
Arachidonic acid 0.33% 1.36% 1.20%
Eicosapentaenoic acid( EPA ) 0.22% 1.38% 1.14%
Docosahexaenoic acid( DHA ) 0.00% 0.66% 1.53%
Total 100.00% 100.00% 100.00%
추출물의 GC-MS 분석 결과, 리놀렌산, EPA 및 DHA와 같은 오메가-3 지방산류의 추출효율은 속슬렛(soxhlet) 추출보다 초임계 추출이 더 높게 나왔고, 건조방법은 일반건조에 비해 동결건조가 더 높게 나타났다. 표 3에서, 리놀렌산, EPA 및 DHA 각각을 비교하면, 리놀렌산 및 EPA는 일반건조시료 초임계가 동결건조시료 초임계보다 추출 효율이 다소 높지만, DHA는 동결건조시료 초임계가 일반건조시료 초임계보다 현저하게 높다. 또한, 리놀렌산, EPA 및 DHA를 합한 오메가-3 지방산의 추출 수율은 일반건조에 비해 동결건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DHA 추출량에 따른 최적 조건 설정
쇠비름으로부터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추출온도 및 추출압력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설계된 10구의 추출조건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DHA 함량은 표 4와 같으며,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도출되는 회귀식(표 5)을 통해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은 표 6과 같다.
중심합성 계획에 의해 설계된 다른 추출조건에서 추출물의 DHA 함량
Experiment
No
추출 조건 DHA
Content
(mg/g)

CO2 density
온도(℃) 압력(bar)
1 65(1) 340(2) 0.00 0.84010
2 65(1) 160(-1) 12.37 0.59490
3 45(-1) 340(2) 5.29 0.91344
4 45(-1) 160(-1) 10.69 0.76180
5 35(-2) 220(0) 7.88 0.88201
6 55(0) 100(-2) 0.00 0.32442
7 55(0) 220(0) 5.93 0.78184
8 55(0) 220(0) 8.40 0.78184
9 75(+2) 220(0) 4.83 0.66815
10 55(0) 340(+2) 5.03 0.87720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회귀식
Response Second order polynominals
DHA content
(mg/g)
YDHA=-45.156521+0.893466X1+0.286874X2-0.005022X1 2
-0.001835X1X2-0.000420X2 2
예측되는 DHA의 최적 추출 조건
Response X1(℃) X2(bar) Maximum
(mg/추출물 g)
Morphology
DHA content 44.286 244.545 9.704 Maximum
그 결과, 쇠비름에서 DHA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은 44.286℃의 온도와 244.545 bar의 압력의 조건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추출 조건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리놀렌산 추출량에 따른 최적 조건 설정
쇠비름으로부터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추출온도 및 추출압력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설계된 10구의 추출조건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리놀렌산 함량은 표 7과 같으며,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도출되는 회귀식(표 8)을 통해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은 표 9와 같다.
중심합성 계획에 의해 설계된 다른 추출조건에서 추출물의 리놀렌산 함량
Experiment
No
추출 조건 Linolenic acid
Content
(mg/g)

CO2 density
온도(℃) 압력(bar)
1 65(1) 340(2) 22.10 0.84010
2 65(1) 160(-1) 12.27 0.59490
3 45(-1) 340(2) 11.27 0.91344
4 45(-1) 160(-1) 13.49 0.76180
5 35(-2) 220(0) 14.72 0.88201
6 55(0) 100(-2) 0.00 0.32442
7 55(0) 220(0) 10.38 0.78184
8 55(0) 220(0) 18.66 0.78184
9 75(+2) 220(0) 10.49 0.66815
10 55(0) 340(+2) 14.49 0.87720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회귀식
Response Second order polynominals
Linolenic acid content
(mg/g)
YLinolenic acid=14.241001-0.324217X1+0.043357X2-0.005145X1 2
+0.003912X1X2-0.000456X2 2
예측되는 리놀렌산의 최적 추출 조건
Response X1(℃) X2(bar) Maximum
(mg/추출물 g)
Morphology
Linolenic acid content 21.250 138.778 13.805 Saddle point
그 결과, 쇠비름에서 리놀렌산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은 21.250℃의 온도와 138.778 bar의 압력의 조건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추출 조건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오메가-3 지방산 추출량에 따른 최적 조건 설정
쇠비름으로부터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추출온도 및 추출압력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해 설계된 10구의 추출조건에서 얻어진 추출물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표 10과 같으며,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도출되는 회귀식(표 11)을 통해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은 도 1 및 표 12와 같다.
중심합성 계획에 의해 설계된 다른 추출조건에서 추출물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

Experiment
No
추출 조건 Omega-3
Content
(mg/g)

CO2 density
온도(℃) 압력(bar)
1 65(1) 340(2) 22.10 0.84010
2 65(1) 160(-1) 30.04 0.59490
3 45(-1) 340(2) 16.56 0.91344
4 45(-1) 160(-1) 24.18 0.76180
5 35(-2) 220(0) 22.60 0.88201
6 55(0) 100(-2) 0.00 0.32442
7 55(0) 220(0) 16.31 0.78184
8 55(0) 220(0) 27.06 0.78184
9 75(+2) 220(0) 15.32 0.66815
10 55(0) 340(+2) 19.52 0.87720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도출된 회귀식
Response Second order polynominals
omega-3 content
(mg/g)
Yomega -3=-48.358096+0.957253X1+0.390795X2-0.011013X1 2
+0.000991X1X2-0.000891X2 2
예측되는 오메가-3 지방산의 최적 추출 조건
Response X1(℃) X2(bar) Maximum
(mg/추출물 g)
Morphology
omega-3 content 54.693 249.761 26.6222 Maximum
그 결과, 쇠비름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은 54.693℃의 온도와 249.761 bar의 압력의 조건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추출 조건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조예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소비자가 섭취하기 용이한 식품인 건강음료로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 1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부, 올리고당 5 중량부, 타우린 5 중량부를 혼합하고 물을 채워 100mL이 되도록 한 후, 병에 충진하고 멸균하여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이 함유된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제제예로 제형화되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 200 ㎎
유당 100 ㎎
전분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 100 ㎎
유당 50 ㎎
전분 50 ㎎
탈크 2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적량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a) 쇠비름 또는 들깨를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쇠비름 또는 들깨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20~70℃의 온도 및 150~350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쇠비름 또는 들깨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40~60℃의 온도 및 200~300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50~60℃의 온도 및 230~270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 지방산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 지방산은 오메가-3 지방산, 오메가-6 지방산 및 오메가-9 지방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지방산은 DHA(docosahexaenoic acid), EPA(eicosapentaenoic acid), DPA(docosapentaeno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SDA(stearidonic acid) 및 ETA(eicosatetrae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추가로 보조용매를 사용하며, 보조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a) 쇠비름 또는 들깨를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쇠비름 또는 들깨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40~50℃의 온도 및 220~280 bar의 압력에서 DHA(Docosahexaenoic acid)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쇠비름 또는 들깨로부터 DHA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a) 쇠비름 또는 들깨를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쇠비름 또는 들깨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15~25℃의 온도 및 120~160 bar의 압력에서 리놀렌산(linolenic acid)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쇠비름 또는 들깨로부터 리놀렌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11. a) 쇠비름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조된 쇠비름 분말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용매로 사용하고, 50~60℃의 온도 및 230~270 bar의 압력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쇠비름으로부터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쇠비름 또는 들깨 유래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13.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쇠비름 또는 들깨 유래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약학 조성물.
  14. 동결건조된 쇠비름 또는 들깨 분말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추출물의 총 중량 기준으로 2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쇠비름 또는 들깨 추출물.
  15. 동결건조된 쇠비름 또는 들깨 분말을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하여 제조된,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이 추출물의 지방산 총 중량 기준으로 5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메가 지방산 함유 쇠비름 또는 들깨 추출물.
KR1020110041939A 2010-05-04 2011-05-03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173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1688 2010-05-04
KR1020100041688 2010-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640A KR20110122640A (ko) 2011-11-10
KR101173289B1 true KR101173289B1 (ko) 2012-08-10

Family

ID=44904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939A KR101173289B1 (ko) 2010-05-04 2011-05-03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15334B2 (ko)
JP (1) JP5730989B2 (ko)
KR (1) KR101173289B1 (ko)
WO (1) WO201113906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33A (ko) * 2014-12-15 2016-06-23 (주)산엔들 오메가 지방산 추출물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245B1 (ko) * 2011-12-21 2014-01-16 대상 주식회사 오메가-3 불포화 지방산의 무-용매 추출방법
KR101761998B1 (ko) 2015-05-08 2017-07-2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풋내가 제거된 생들깨 추출물의 제조 방법
CN109666536A (zh) * 2018-11-29 2019-04-23 河北中科汉禧生物科技有限公司 ω-3脂肪酸的提取方法
KR101953366B1 (ko) 2018-12-26 2019-02-28 정종문 침향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JP7276826B2 (ja) * 2019-04-25 2023-05-18 株式会社実正 肌用製品の素材
KR102459946B1 (ko) * 2020-08-11 2022-10-28 진바이오셀 주식회사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 아네모네 리불라리스 추출물 또는 향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CN112479887B (zh) * 2020-11-26 2022-05-17 辽宁中医药大学 马齿苋中一种酯类化合物及其提取分离方法和应用
CN112300000B (zh) * 2020-11-26 2022-05-17 辽宁中医药大学 马齿苋中一种具有抗肿瘤和抗胆碱酯酶活性的酯类化合物及其提取分离方法和应用
CN114191456A (zh) * 2021-12-20 2022-03-18 青岛大学 一种富含n-3多不饱和脂肪酸浒苔脂质的提取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137B1 (ko) 2010-07-30 2011-03-17 정애리시 함초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9996A (ja) * 1984-04-27 1985-11-15 住友精化株式会社 月見草種子油の抽出法
JPS63116643A (ja) * 1986-11-04 1988-05-20 Kazumitsu Maruta γ―リノレン酸含有食用組成物
JPH02243622A (ja) * 1989-03-16 1990-09-27 Nippon Oil & Fats Co Ltd 血中コレステロール低下用油脂組成物
JPH069985A (ja) * 1992-05-28 1994-01-1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高級高度不飽和脂肪酸組成物
JP3611222B2 (ja) * 1996-01-26 2005-01-19 池田食研株式会社 高度不飽和脂肪酸類含有油脂の過酸化物低減方法
KR100558382B1 (ko) * 2002-04-03 2006-03-10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US20060252949A1 (en) * 2003-09-25 2006-11-09 Lalit Chordia Recovery of residual specialty oil
NZ539698A (en) * 2005-04-29 2007-12-21 Vital Food Processors Ltd Kiwifruit seed oil extraction method and product
ZA200904176B (en) * 2006-11-16 2010-08-25 Pronova Biopharma Norge As Process for production of Omega-3 rich marine phospho-lipids from krill
KR101357298B1 (ko) 2008-06-20 2014-01-28 에이케이 앤 엠엔 바이오팜 주식회사 오메가-3계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고순도 정제방법
US20110123657A1 (en) * 2008-08-08 2011-05-26 Alpro Comm. Va Method for obtaining highly purified and intact soybean hypocoty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137B1 (ko) 2010-07-30 2011-03-17 정애리시 함초유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산업응용학회, 200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733A (ko) * 2014-12-15 2016-06-23 (주)산엔들 오메가 지방산 추출물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WO2016099072A1 (ko) * 2014-12-15 2016-06-23 (주)산엔들 오메가 지방산 추출물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KR102131421B1 (ko) * 2014-12-15 2020-07-08 (주)산엔들 한방약초분말을 함유한 젤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30989B2 (ja) 2015-06-10
JP2013527852A (ja) 2013-07-04
US20130053443A1 (en) 2013-02-28
WO2011139067A3 (ko) 2012-04-19
KR20110122640A (ko) 2011-11-10
WO2011139067A2 (ko) 2011-11-10
US9115334B2 (en)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289B1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하여 식물로부터 오메가 지방산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1919452B (zh) 一种复合油保健食品
JP2011236149A (ja) 生体内抗酸化剤
Farag et al. Valorization and extraction optimization of Prunus seeds for food and functional food applications: A review with further perspectives
MX2012001111A (es) Combinacion de proantocianidinas y centella asiatica para el tratamiento de ateroesclerosis.
JPWO2016163245A1 (ja) 筋肉細胞におけるエネルギー代謝活性化剤
KR101415697B1 (ko) 산사 및 진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JP6010281B2 (ja) 筋肉増量剤
JP6762946B2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2008528645A (ja) リグスチリドを含む新規の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のための方法
JP2017178914A (ja) 脳機能改善及び向上のための組成物
KR100756890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07230881A (ja) 抗疲労用組成物
KR20180111016A (ko) 식물 유래의 오일 또는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02514B1 (ko) 혈행 개선 또는 혈중지질개선용 조성물
KR101738206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2006905A (ja) 美肌用組成物
JP2011001348A (ja) 酒酔い又は二日酔い防止・軽減用組成物
CN102379936B (zh) 一种解酒护肝软胶囊的生产工艺
JP5967900B2 (ja) 呈味改善剤
JP7398214B2 (ja) サラシア属植物の抽出物を含有する経口組成物
JP5297867B2 (ja) モロヘイヤ抽出物を含有する抗疲労剤又は体力向上剤
JP5297872B2 (ja) モロヘイヤ抽出物を含有する自発運動量低下剤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Nanditha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ils from selected exotic fruit s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