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111B1 -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 - Google Patents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111B1
KR101169111B1 KR1020067025669A KR20067025669A KR101169111B1 KR 101169111 B1 KR101169111 B1 KR 101169111B1 KR 1020067025669 A KR1020067025669 A KR 1020067025669A KR 20067025669 A KR20067025669 A KR 20067025669A KR 101169111 B1 KR101169111 B1 KR 10116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filament
screen
core
yarn
she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562A (ko
Inventor
요시토모 하라
스나오 다카히라
마사하루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비 세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5/00973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5118927A1/ja
Publication of KR2007002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24Stencils; Stencil materials; Carriers therefor
    • B41N1/247Meshes, gauzes, woven or similar screen materials; Preparation thereof, e.g. by plasma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54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로서,
심부(1)가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흡수 특성을 구비한 광흡수 물질(3)을 함유하는 섬유 형성성 폴리머(4)로 형성되고, 초부(2)가 섬유 형성성 폴리머(5)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15 %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모노필라멘트의 강도 저하나 스컴의 발생, 바디 등 주변 부재의 마모, 잉크 분리 불량 등을 발생하지 않고, 또한 염색 공정이 불필요하고 필요 이상의 비용도 들지 않는, 우수한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MONOFILAMENT FOR SCREEN GAUZE AND SCREEN GAUZE THEREFROM}
본 발명은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인쇄나 스크린 날염에서 인쇄 모양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크린사로서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등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모노필라멘트를 제직(製織)하여 평직, 능직 등의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크린사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공정을 거쳐 인쇄된다. 모노필라멘트를 사직물(紗織物)로 한 후, 프레임틀에 사장(紗張, stretching)하고, 감광 수지를 도포, 건조시켜 감광막으로 하고 그 면에 포지 필름(positive film)을 밀착시킨다. 이를 자외선으로 노광하면 노광부는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수불용성으로 변화된다. 이를 수세하면 포지 필름의 불투명 부분에 상당하는 미반응의 감광막이 씻겨 흘려져 스크린이 노출(현상)된다. 그리고, 피인쇄물 상에 상기 현상한 스크린사를 얹고, 또한 그 위로부터 잉크를 흘리면 그 직물의 올사이로부터 잉크가 밀어 흘려져 인쇄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서 자외선 노광공정에서 할레이션(halation)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즉, 자외선으로 노광할 때, 사직물의 실 표면에서 할레이션이 발생하면 노광부 뿐만 아니라 노광이 불필요한 부분까지 감광하여 경화되므로 인쇄의 정밀도가 크게 저하된다.
상기 스크린사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에는 종래부터 할레이션 방지를 위해 산화티탄을 비교적 많이 배합하고, 상기 산화티탄에 의해 노광시의 광을 가능한 난반사(亂反射)시킴으로써 행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산화티탄 함유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가시광 영역의 광의 반사의 억제가 불충분하고, 할레이션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산화티탄 함유 모노필라멘트의 표면은 산화티탄의 입자의 돌출에 의해 요철이 되므로, 인쇄시에 잉크 분리가 나쁘고 인쇄가 선명하지 않게 되는 문제나 제직시에 바디 깎임에 의한 스컴(scum) 등이 발생하여 조업성(操業性)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가능한 산화티탄의 배합량을 감소시킨 스크린사로서, 자외선 흡수제와 황색계 또는 적색계의 안료를 함유하는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것[일본 실용신안출원 소60-119078호(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28567호)의 마이크로필름 참조]이나 초부만 착색 또는 염색하여 광흡수성을 부여한 심초형(core-sheath type)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한 것(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47591호 참조)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9875호에는 스크린사의 경사(經絲) 및 위사(緯絲)에 물리적으로 자외선 반사방지막을 피복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실용신안출원 소60-119078호의 것은 모노필라멘트 전체에 자외선 흡수제와 안료가 분산 함유되므로, 모노필라멘트사(絲)로서의 강도가 저하되고 제직시에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산화티탄을 높은 비율로 함유하는 종래품 만큼은 아니지만 모노필라멘트 표면에 다소의 요철이 발생하므로 제직시의 문제나 인쇄시의 잉크 분리 등의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4-47591호의 것은 미리 초부에 자외선 흡수제나 안료 등을 넣어 수득하는 경우, 모노필라멘트 표면에 안료 등의 입자에 의해 요철이 형성되므로, 상기 요철에서 유래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초성분에 안료 등을 함유시키면, 섬도 불균일, 물성의 편차 등, 소위 실 불균일이 발생하여 인쇄 불균일의 원인이 되기 쉽고,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할레이션을 충분히 방지하기 위해, 다량으로 초부에 안료를 넣으면, 방사 조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하이메시의 스크린사를 제직하는 경우에, 바디에 의해 실이 깎여 스컴이 발생하는 등 제직시에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제직후 염색 공정을 경유시켜 안료 등을 부여할 수도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그 경우 염색 공정이라는 필요 이상의 공정이 증가하므로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 6 등의 열수축률이 다른 폴리머를 조합시켜 심초 구조로 한 경우, 염색에 의해 모노필라멘트 강도 등의 물성이 저하되고 사장(紗張)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9875호의 스크린사의 경사 및 위사에 물리적으로 자외선 반사 방지막을 피복하는 방법에서는 공정이 증가하고 특별한 설비가 필요하며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노필라멘트의 강도저하나 스컴의 발생, 바디 등의 주변 부재의 마모, 잉크 분리 불량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염색 공정이나 특별한 설비가 불필요하여 필요 이상의 비용도 들지 않고 우수한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및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즉, 본 발명의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는 심부에 광흡수 물질이 함유된 특수한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이고,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15 %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스크린사로한 경우에 할레이션을 발생시키지 않고 선명한 인쇄 모양을 수득할 수 있다. 그리고, 광흡수 물질이 심부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제직시에 바디 등 주변부재의 마모나 스컴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300 메시 이상의 하이메시 사직물이 안정적으로 제직 가능해진다. 또한, 염색 공정이나 특별한 설비가 불필요하고 필요 이상의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중에서도 특히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심부에서의 광흡수 물질의 함유 비율이 심부 전체에 대해서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보다 충분한 실 강도를 구비하고 우수한 할레이션 방지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방사 조업성은 안정되어 양호해진다.
특히,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심초 횡단면적비율이 40 : 60 내지 90 : 10인 것은 우수한 할레이션 방지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초성분이 심성분의 보호층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보다 충분한 실 강도를 구비하고 하이메시 제직시나 인쇄시의 심한 마찰에도 견딜 수 있다.
특히,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가 파단 신도(伸度)가 20 % 내지 30 %, 파단 강도 5.5 cN/dtex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고장력에서의 사장에서도 파괴되지 않고 또한 스크린사로서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심부가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은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므로 고장력에서의 사장에서도 변형되지 않고 정밀한 인쇄가 가능해진다. 이의 극한 점도가 0.60 이상인 것은 높은 파단 강도를 수득할 수 있고 또한 방사 조업성이 안정된다. 특히, 상기 초부가 상대 점도 2.0 이상의 나일론 6인 것은 보다 심한 마찰에도 견딜 수 있으므로 제직성도 우수하고 또한 보다 정밀한 인쇄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크린사는 상기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한쪽에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할레이션을 발생하지 않고 선명한 인쇄 모양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설명도이고;
도 2는 염료 등의 색과 반사율의 관계를 도시한 선도(線圖)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인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모노필라멘트는 심부(1)와 초부(2)를 구비한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로서, 상기 심부(1)는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흡수 특성을 구비한 광흡수 물질(3)을 함유하는 섬유 형성성 폴리머(4)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판(製版) 공정에서 감광 수지를 자외선으로 경화시킬 때, 파장 350 ㎚ 내지 450 ㎚(단, 자외선 영역은 400 ㎚까지이고 400 ㎚ 내지 450 ㎚은 저가시광 영역에 해당하는)의 광을 조사시키는 것이 많고 할레이션 방지를 위해 상기 범위의 반사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광흡수 특성을 구비한 광흡수 물질을 함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광흡수 물질(3)로서는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흡수 특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탈크, 크롬산염, 페로시안화물, 각종 금속 황산염, 황화물, 세렌화물, 인산염 등의 무기안료, 프탈로시아닌계, 퀴나크리돈계, 이소인돌리논계, 페리논계, 디옥사진계 등의 유기안료, 벤젠아조계(모노아조, 디스아조 등), 복소고리 아조계(티아졸아조, 벤조티아졸아조, 퀴놀린아조, 피리딘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오펜아조 등), 안트라퀴논계, 축합계(퀴노프탈린, 스티릴, 쿠마린 등) 인디고이드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아리자린 염료, 아크리딘 염료, 시아닌 염료 등의 염료, 또는 카본블랙, 또는 유기화합물로 형성되는 미립자 중에 안료 또는 염료를 분산시킨 착색 충전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광흡수 물질은 내열성의 관점으로부터 안료나 염료가 바람직하고 모노필라멘트 중의 균일 분산성의 관점에서 염료가 최적이다.
상기 광흡수 물질(3)은 실의 강도나 실 불균일 등의 물성을 안정적인 것으로 하기 쉬운 점에서, 시차 열중량 분석(TG-DTA)에 의한 1 % 중량 감소할 때의 온도가 280 ℃ 이상, 특히 300 ℃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 물성을 안정적인 것으로 하기 쉬운 점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의 300 ℃, 10분 유지시에서의 중량 감소가 5 중량% 이하, 특히 3 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범위이면 방사시의 용융 점도의 저하에 의해, 광흡수물질의 분해에 의한 실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방사 조업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광흡수 물질(3)로서 사용하는 분말 또는 입자의 수 평균 입자 직경은 0.01 ㎛ 내지 1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것은 0.05 ㎛ 내지 2 ㎛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실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즉, 광흡수 물질(3)이 너무 커지면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려워지는 등에 의해, 실의 강도 저하를 일으켜 실의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너무 작으면 응축되기 쉬워져 단단해져 실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의 방사 조업성의 점에서 물에 대해 난용성을 갖는 분산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분산 염료로서는 다이스타샤 제조의 Dianix 시리즈 염료, 스미카케무테크샤 제조의 Sumikaron 시리즈 염료, 닛폰가야쿠샤 제조의 Kayalon Polyester 시리즈 염료 및 Kayalon Microester 시리즈 염료, Kayaset 시리즈 염료, 미츠이 BASF샤 제조의 Miketon 시리즈 염료 및 Palanil 시리즈 염료, 다이토케믹샤 제조의 TD 시리즈 염료, 기와가가쿠고교샤 제조의 Kiwalon Polyester 시리즈 염료, 치바스페샤리티케미컬즈샤 제조의 Terasil 시리즈 염료, 크라리안토샤 제조의 Foron 시리즈 염료, 미츠비시가세이 헤키스토샤 제조의 Diaresin 시리즈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분산염료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시판품의 염료로서는 황색계 염료로서 미츠비시가세이 헤키스토샤 제조의 Diaresin Yellow H2G, OG CORPORATION샤 제조의 Nylosan Yellow N-5G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색계 염료로서 다이스타샤 제조의 Dianix Red AC-E를 들 수 있고, 청색계 염료로서 다이스타샤 제조의 Dianix Blue AC-E를 들 수 있다.
즉, 염료는 그 색마다 광흡수 특성이 다른 것을 알 수 있고, 예를 들어 대표적인 색인 흑색(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Black F-ML), 적색(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Red F-RL200), 청색(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Blue), 황색(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Yellow N-5GL) 및 녹색(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Green F-BL)의 각 염료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실시예 1에 준하여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제작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 방법에 의해 광흡수 특성을 측정하면 반사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심부분에 1.0 중량%의 산화티탄을 함유시킨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백색)를 제작하고 동일한 특정을 실시했다. 또한, 여기에서 도 2의 "11"은 흑색, "12"는 적색, "13"은 청색, "14"는 황색, "15"는 녹색, "16"은 백색의 광흡수 특성을 나타낸다.
〔광흡수 특성의 측정 방법〕
모노필라멘트를 고이케 세이사쿠쇼샤 제조의 1구편기(single-cylinder knitting machine)(MODEL CR-B)에 의해 웰수(wale number) 24개/2.54 ㎝, 코크수(course number) 34개/2.54 ㎝의 조건에서 통짜기로 한 샘플을 2회 접고(8매겹으로 하고), 3 ㎝×3 ㎝의 측정용 홀더에 장착하고 파장 200 ㎚ 내지 600 ㎚의 범위에서의 반사율을 시마즈 세이사쿠쇼샤 제조의 UV-3101PC 분광 광도계에서 5 ㎚ 단위로 측정했다.
상기 도 2에 의하면 350 ㎚ 내지 450 ㎚의 파장영역에서 반사율이 낮은 적색, 황색, 녹색, 흑색의 염료가 본 발명의 광흡수 물질(3)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흡수 물질에 염료를 사용할 때에는 스크린사의 제판 공정에서 포지 필름을 점착할 때 보기 쉬운 점에서 황색계의 염료, 적색계의 염료가 바람직하고 상기 범위의 파장 영역의 광의 반사율이 보다 낮은 황색계의 염료가 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노필라멘트는 파장 350 ㎚ 내지 450 ㎚의 평균 반사율이 15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즉, 제판 공정에서 감광 수지를 자외선으로 경화시켰을 때, 이 범위의 파장의 광을 반사시키는 일이 많고, 할레이션 방지를 위해 상기 범위의 파장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영역의 평균 반사율이 상기의 범위이면 광이 경사 또는 위사의 표면에서 할레이션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므로 노광 불필요한 부분까지 감광시켜 경화시키지 않게 되어 정밀 인쇄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광흡수 물질(3)을 함유시킨 섬유 형성성 폴리머(4)로서는 종래부터 모노필라멘트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류,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기재),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알릴레이트, 폴리벤자졸, 모든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모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치수 안정성 및 강도의 점에서 폴리에스테르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 형성성 폴리머(4)에 대한 광흡수 물질(3)의 함유 비율은 광흡수 물질(3)의 종류나 심초 횡단면적 비율에도 따르지만, 통상 심부 전체에 대해서 0.1 중량% 내지 2.0 중량%, 그 중에서도 0.3 중량% 내지 2.0 중량%, 특히 0.3 중량% 내지 1.0 중량%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이면 할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융 점도 저하가 억제되므로 방사 조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함유 비율이 너무 커지면 수득되는 모노필라멘트가 약해지고, 고장력에서 사장을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리고, 섬유 전체에서의 광흡수 물질의 함유 비율은 0.1 중량% 내지 1.8 중량%, 그 중에서도 0.4 중량 내지 1.4 중량%, 특히 0.3 중량% 내지 0.7 중량%로 설정하는 것이 효과상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초부(2)(도 1로 되돌아감)는 상기 광흡수 물질(3)을 함유하지 않고 적절한 섬유 형성성 폴리머(5)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심부(1)에 사용되는 섬유 형성성 폴리머(4)와 동일하게, 종래부터 모노필라멘트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 는 어떠한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0,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류,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아미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또는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디에 대해서 실의 깎임이 적어진다는 점에서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초부(2)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5)로서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이면, 초부에 광흡수 물질을 소량 포함해도 좋다. 초부에 광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심부의 광흡수 물질의 중량 비율이 초부의 것보다도 큰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부(2)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흡수 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염료나 입자 직경이 큰(예를 들어 1 ㎛ 이상) 것은 바디 깎임에 의한 제직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강도 등의 실 물성이나 방사 조업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점에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부(1)와 초부(2)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는 상술한 폴리머가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바람직한 조합을 이하에 나타낸다. 심부(1)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4)는 고장력의 사장이 가능한, 충분한 실 강도를 구비하고 정밀한 인쇄를 가능하게 하기 쉬운 점에서, 극한 점도가 0.60 이상의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부(2)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5)는 더욱 고장력의 사장이 가능한, 충분한 실 강도 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측면에서, 상대 점도가 2.0 이상의 나일론 6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부(1)와 초부(2)의 횡단 면적 비율은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방사가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심부(1)의 횡단면적 : 초부(2)의 횡단면적이 40 : 60 내지 90 : 10의 비율, 그 중에서도 40 : 60 내지 70 : 30의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심부(1)의 횡단면적의 비율이 너무 작으면 광흡수 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고 할레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심부(1)의 횡단면적의 비율이 너무 커지면 방사 조업성이 나빠질 우려나 섬도 불균일에 의한 인쇄성능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의 범위이면 할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방사 조업성이 안정되어 섬도 불균일도 감소하고, 초부가 심부의 보호층으로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고 하이메시 제직시나 인쇄시의 심한 찰과에 견딜 수 있으므로 정밀한 인쇄 성능이 수득되기 쉽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섬도는 스크린사의 크기나 요구되는 해상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지만, 통상 4 dtex 내지 30 dtex, 그 중에서도 7 dtex 내지 18 dtex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섬도가 4 dtex 보다 가늘면 제직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섬도가 30 dtex 보다 두꺼우면 방사 조업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고 치밀한 하이메시 구조로 할 수 없으며, 선명한 화질을 얻는다는 본 발명의 의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범위로 하면 방사 조업성이 안정되고 더욱 치밀한 하이메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 인쇄시에 선명한 인쇄 화상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는 스크린사로서 사용하는 데에는 파단 신도 20 % 내지 30 %, 파단 강도 5.5 cN/dtex 이상, 그 중에서도 5.7 cN/dtex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단 신도가 20 % 내지 30 % 이면 제직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이 때의 파단 강도가 5.5 cN/dtex 이상이면 높은 장력에서의 사장이 가능해지고 보다 정밀한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는 방사 조업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모노필라멘트의 평균 반사율이 극단적으로 악화되지 않을 정도로, 심부 및/또는 초부에 무기 입자를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탄, 산화아연, 탄산 마그네슘, 산화규소, 탄산칼슘,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방사 조업성에 지장이 없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산성이나 비용 성능의 관점에서 산화 티탄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 조업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무기 입자를 실 전체에 대해서 0.1 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3 중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량으로 너무 많이 넣으면 모노필라멘트의 평균 반사율이 불충분해지거나 하이메시로 제직할 때, 바디에 대한 내마찰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한은 1 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다. 상기 범위이면 모노필라멘트의 방사 조업성과, 하이메시 제직시의 내마찰성의 양쪽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쉽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01 ㎛ 내지 2 ㎛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 내지 1 ㎛이다. 상기 범위이면 입자의 분산이 양호해지므로 섬도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안정된 강도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수득할 수 있다. 즉, 우선 심부 형성용으로서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 칩을 진공 건조하고, 이를 2축 혼련기 등의 혼합 수단에 투입한다. 그리고, 황색 염료 등의 광흡수 물질을 소정 비율이 되도록 상기 혼합 수단에 투입한다. 그리고, 양자를 충분히 혼련하여 압출함으로써 혼련 칩을 수득한다. 한편, 초부 형성용으로서 심부와 동일하게 진공 건조한 폴리아미드 등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 칩을 준비한다. 그리고,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 용융 방사 구금(紡絲口金)과, 상기 2종류의 칩을 사용하여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용융 방사를 실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심부 형성용 칩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머 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칩의 수분율이 20 ppm 이하인 것(20 ㎎/㎏ 이하인 것에 상당)을 사용하여 혼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부 형성용 칩으로서 나일론 6 칩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머 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칩의 수분율이 100 ppm 이하인 것(100 ㎎/㎏ 이하인 것에 상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칩의 수분율을 일정 이하로 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방사 조업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수득되는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강도를 충분한 것으로 하기 위해, 심부가 되는 섬유 형성성 폴리머 칩의 용융 점도를, 통상의 경우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그 극한 점도를 0.60 내지 0.80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축 혼련기 등으로 광흡수 물질과 섬유 형성성 폴리머를 혼련시키는 경우에는 가능한 공정 중에서 수분을 흡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을 가능한 억제함으로써 혼련 칩의 급격한 점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방사 조업성이 양호한 칩을 수득할 수 있다. 흡습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입기에 칩을 투입할 때, 칩 공급 탱크 내를 질소 분위기하로 하거나, 또는 광흡수 물질과 섬유 형성성 폴리머를 혼련하여 압출할 때, 80 kPa 이하로 진공처리를 하면서 압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부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종류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이다. 폴리에스테르이면 하이메시 스크린사의 강한 사장에 필요한 치수 안정성이 양호해지고, 정밀한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한, 비용이나 방사 조업성의 관점에서 PET가 특히 바람직하다. 심부가 폴리에스테르인 경우, 혼련 칩의 극한 점도는 0.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62 이상이다. 0.60 이상이면 보다 높은 파단 강도가 수득되므로 높은 장력으로 사장을 할 수 있다. 또한, 방사시에 용융 점도도 높게 유지되므로 방사 조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극한 점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융 방사의 안정 조업성의 관점에서 0.90까지로 충분하다.
또한, 초부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가지 종류의 섬유 형성성 폴리머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이다. 그 중에서도 나일론 6이 바람직하다. 나일론 6의 경우, 상대 점도 2.0 이상이면 높은 파단 강도를 수득할 수 있고 높은 장력으로 사장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점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용융 방사의 안정 조업성의 관점에서 3.5까지로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수득되는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고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직하고 사장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크린사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제직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한쪽에 사용되어도 좋고 경사 및 위사에 사용해도 좋다. 통상의 하이메시 스크린사이면 어느 한쪽에 사용하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양쪽에 사용하는 것 보다 저비용이다. 경사 및 위사의 양쪽에 사용하면, 더욱 할레이션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고정밀도의 인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는 정밀도 높은 인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300 메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메시 이상이 고밀도의 하이메시 스크린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되는 스크린사는 저비용으로 수득됨에도 불구하고,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15 % 이하라는 양호한 광흡수 특성을 나타내고 할레이션을 발생시키지 않고 잉크 분리도 양호하며 선명한 인쇄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은 특히 10 % 이하인 것이 할레이션 방지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또한, 각 물성의 측정방법 및 평가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극한점도, 상대점도〕
점도의 측정은 시바야마 가가쿠 기카이 세이사쿠쇼 제조의 자동점도 측정장 치(SS-600-L1형)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극한 점도는 용매에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체적 비율 6/4)을 사용하여 항온조 20 ℃에서 측정했다. 상대 점도는 용매에 96 % 진한 황산을 사용하여 시료 농도 1 g/dL로 하고 항온조 25 ℃에서 측정했다.
〔방사 조업성〕
실기(實機)에 의해 1 일간 연속 방사를 실시하고 그 사이의 심 폴리머 및 초 폴리머의 압출 안정성과 수량, 및 심초 형상의 안정성을 관찰하여 평가했다. 모든 항목이 안정되고 매우 양호했던 것을 매우 양호(◎), 모든 항목이 거의 안정되어 양호했던 것을 양호(○), 어떤 항목이 불량이었던 것을 불량(×)으로서 평가했다.
〔파단 강도, 파단 신도〕
JIS L 1013법에 준하여 시마즈 세이사쿠쇼샤 제조의 AGS-1KNG 오토그래프 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시료길이 20 ㎝, 정속 인장 속도 20 ㎝/분의 조건으로 구했다.
〔평균 반사율〕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고이케 세이사쿠쇼샤 제조의 1구편기(MODEL CR-B)에 의해 웰수 24 개/2.54 ㎝, 코크스수 34 개/2.54 ㎝의 조건에서 통짜기로 한 샘플을 2회 접어(8매로 겹쳐), 3 ㎝×3 ㎝의 측정용 홀더에 장착하고, 파장 350 ㎚ 내지 450 ㎚의 범위에서의 반사율을 시마즈 세이사쿠쇼샤 제조의 UV-3101PC 분광광도계에서 5 ㎚ 단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제직성〕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스루자샤 제조의 직기(G-6200)에서 300메시 스크린사를 제직할 때의 실 끊어짐 발생, 스컴 발생의 빈도를 관찰하여 평가했다. 그리고, 정상적인 제직을 유지할 수 없고 기계를 멈추지 않을 수 없었던 시점에서의 제직 길이를 측정했다. 그 제직 길이가 1000 m 이상의 것을 우량(◎), 500 m 이상의 것을 양호(○), 500 m 미만인 것을 불량(×)으로 했다.
〔스크린사의 사장성(紗張性)〕
300 메시의 사직물(紗織物)을 사틀에 35 N의 장력, 22.5 °의 바이어스로 사장하고 스크린사가 파열되는지의 여부를 관찰했다. 그리고, 파열된 것을 불량(×)으로 하고 파열되지 않았던 경우에 40 N의 장력으로 사장하여 파열된 것을 약간 양호(△)로 했다. 그리고 40 N의 장력으로 사장하여 파열되지 않았던 경우에 45 N의 장력으로 사장하여 파열된 것을 양호(○)로 하고, 파열되지 않았던 것을 매우 양호(◎)로 했다.
〔인쇄 성능〕
300 메시의 사직물을 320 ㎜×205 ㎜의 사틀에 35 N의 장력으로 사장한 스크린사에, 디아조 수지형 감광 수지를 막두께 10 ㎛ 내지 11 ㎛로 도포하고, 선폭 400 ㎛, 피치 400 ㎛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덮었다. 또한, 동일하게 하여, 선폭 200 ㎛, 피치 200 ㎛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덮었다. 그 후, 적정 노광하여 수세함으로써 2 종류의 인쇄판을 제작했다. 이들을 사용하여 100 매 연속 인쇄하고 화선(畵線)의 상태를 400 배의 현미경 사진 촬영을 실시하고 관찰했다. 할레이션을 일으키고 있는 경우, 감광 수지의 경화에 흐트러짐이 발생하고 스트라이프 패턴의 선형이 요철이 되거나 굵기 불균일이 발생한다. 그래서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우량(◎): 스트라이프 패턴에 요철이나 굵기 불균일이 전혀 없는 것.
양호(○): 감광 수지의 경화에 흐트러짐이 발생하여 스트라이프 패턴에 수매 또는 약간의 요철이나 굵기 불균일이 있는 것.
불량(×): 감광 수지의 경화에 흐트러짐이 발생하여 스트라이프 패턴에 현저하게 요철이나 굵기 불균일이 있는 것.
불가(-): 사장시에 스크린사가 파괴되어 인쇄 성능을 평가할 수 없었던 것.
〔실시예 1〕
극한 점도 0.66의 호모 PET(폴리에스테르)칩을 칼 피셔 수분 측정법에 의해, 칩 수분 20 ppm(20 ㎎/㎏)이 될 때까지 진공 건조시켰다. 이를 2축 혼련기에, 질소 퍼지하에서 장치하고, 황색 염료(미츠비시 가세이 헥스토샤 제조, Diaresin Yellow H2G Disperse Yellow160)를 1.0 중량%가 되도록 혼련했다. 또한, 혼련시에는 80 kPa에서 진공처리를 하면서 혼련 압출했다. 혼련 PET의 극한 점도는 0.64였다.
그리고, 수득된 황색 염료 함유 PET 칩을 심성분으로 하고 상기 호모 PET와 동일하게 진공 건조시키고 칩 수분을 100 ppm(100 ㎎/㎏)로 한 세미달나일론 6 칩(산화티탄 함유량 0.4 중량%, 상대점도 2.6)을 초성분으로 하여,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 용융 방사용 구금을 사용하여, 심초 횡단면적비율이 50 : 50의 미연신사(未延伸絲)를 수득했다. 상기 미연신사를 핫롤러 온도 85 ℃, 플레이트 히터 온도 150 ℃의 조건에서, 파단신도 25 % ± 1 %의 범위가 되도록 연신배율을 설정하여 늘려 비벼 꼬고(延撚), 섬도 13 dtex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수득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심부에서의 황색 염료의 함유 비율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화시켰다. 그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수득했다.
그리고, 이들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에 대해서 방사 조업성, 350 ㎚ 내지 450 ㎚의 파장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파단 강도, 제직성, 스크린사의 사장성, 인쇄성능을 상기 방법에 따라서 측정 또는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397761-pct00001
비교예 1은 황색 염료가 전혀 들어있지 않으므로 평균 반사율이 높고 인쇄 평가시에 할레이션을 일으켜서 성능 불량이었다. 비교예 2는 평균 반사율이 불충분하므로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할레이션을 일으켜 인쇄 성능이 불량했다. 또한, 본 발명에 준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제직성, 사장성, 인쇄성능 모두 양호했다. 특히 실시예 1, 실시예 3은 심부에서의 황색 염료 함유 비율이 최적이고, 모두 우량한 결과였다.
<광흡수 물질의 함유법의 차이에 의한 각종 평가>
〔비교예 3〕
상대 점도 2.5의 나일론 6 칩을, 칼 피셔 수분 측정법에 의해, 칩 수분이 500 ppm(500 ㎎/㎏에 상당)이 될 때까지 진공 건조시켰다. 이를 2 축 혼련기에 질소 퍼지하에서 장치하고, 황색 염료(미츠비시 가세이 헥스토샤 제조, Diaresin Yellow H2G Disperse Yellow160)를 1.0 중량%가 되도록 혼련했다. 또한, 혼련시에는 80 kPa에서 진공처리하면서 혼련 압출했다. 그리고, 혼련의 상대 점도는 2.6이었다.
수득된 황색 염료 함유 나일론 6 칩을 초성분으로 하고 극한 점도 0.66의 염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PET를 초성분으로 하여,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 용융 방사용 구금을 사용하여 심초 횡단면적 비율이 50 : 50, 섬도 13 dtex의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용융 방사했다.
〔비교예 4〕
비교예 2와 동일한 황색 염료 함유 나일론 6 칩을 사용하고, 심초형이 아닌 단면이 둥근 형상인, 섬도 13 dtex의 모노필라멘트를 용융 방사했다.
〔실시예 6, 7〕
실시예 1의 황색 염료로 바꾸어 적색 염료(다이스타샤 제조, Dianix Red AC-E)를 사용한 것(실시예 6)과, 녹색 염료(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Green F-BL)를 사용한 것(실시예 7)을 제작했다.
이들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방사 조업성, 평균 반사율, 파단 강도, 제직성, 스크린사의 사장성, 인쇄성능을 측정 또는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397761-pct00002
비교예 3은 초부에 황색 염료를 함유시키고 있으므로, 제직시에 바디에 의한 깎임으로 스컴이 발생하여 제직성이 불량했다. 비교예 4는 전체에 황색 염료를 함유시키고 있으므로, 용융 점도 저하가 현저하고 방사 조업성이 불량했다. 또한,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제직성도 불량하고 또한 사장도 곤란했다. 한편, 본 발명에 준하는 실시예 6, 실시예 7은 방사 조업성도 제직성도 우량한 결과였다.
<심초 횡단면 비율의 차이에 의한 각종 평가>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2〕
심초 횡단면적 비율을 하기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시켰다. 그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수득했다. 이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방사 조업성, 평균 반사율, 파단 강도, 제직성, 스크린사의 사장성, 인쇄성능을 측정 또는 평가했다. 이들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397761-pct00003
실시예 8은 비교적 심성분의 비율이 낮으므로, 평균 반사율이 약간 높아지고, 인쇄 성능은 양호에 그쳤다. 실시예 11은 파단 강도가 약간 낮아지거나 사장성능은 양호했다. 그 결과 높은 장력을 가할 수 없었으므로, 인쇄성능도 200 ㎛ 피치만 양호에 그쳤다. 실시예 12는 보호층이 너무 적으므로 사장성이 약간 양호했다. 한편, 실시예 9, 실시예 10은 심초 횡단면적 비율이 최적이므로, 어떤 평가도 우량이었다.
<심성분의 폴리에스테르의 극한 점도의 차이에 의한 성능평가>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5〕
호모 PET의 극한 점도를 변경하는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여러가지의 극한 점도의 혼련 PET를 수득했다. 상기 혼련 PET를 심성분에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제작하고 스크린사 평가를 실시했다. 혼련 PET의 극한점도, 심성분의 극한점도, 파단강도 및 스크린사의 사장성을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397761-pct00004
실시예 13은 극한 점도가 약간 낮으므로, 파단 강도가 최량까지 이르지 못하고 사장성능은 양호에 그쳤다. 실시예 1, 실시예 14, 실시예 15는 파단 강도가 보다 높고, 사장성은 우량이었다.
<초성분의 나일론 6의 상대 점도의 차이에 의한 성능평가>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18〕
초성분에 사용하는 나일론 6의 상대 점도를 여러가지 변화시키는 이외에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제작하고, 스크린사 평가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90397761-pct00005
실시예 16은 상대 점도가 약간 낮으므로 파단강도가 최량까지 이르지 못하고 제직성 및 사장성능은 양호에 그쳤다. 실시예 1, 실시예 17, 실시예 18은 보다 높은 파단강도이므로 사장성은 우량이었다. 또한, 나일론 6은 심성분의 보호층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제직시 바디의 찰과에 의한 스컴 발생은 전혀 없었다.
〔비교예 5〕
극한 점도의 0.66의 호모 PET 칩을 심성분에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수득하고 이를 통짜기로 제편(製編)했다. 그리고, 통편물 중량에 대하여 황색 염료(OG CORPORATION샤 제조, Nylosan Yellow N-5GL)를 1.0 중량%, 황산 암모늄을 1 중량% 가한 염색 용액 중에, 상기 통편물을 침지하고 염료가 0.5 중량% 흡착하도록 교반하면서 30 분간 비등(沸騰)상태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95 ℃의 온도에서 25 분간 유지했다. 그리고, 상기 통편물을 염색 용액 중에서 취출하여 수세후 자연 건조했다. 염색 전후의 통편물의 중량은 0.5 중량% 증가하고 있었다.
상기 염색후의 통편물을 풀어 모노필라멘트의 파단강도를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면, 5.0 cN/dtex였다. 또한, 상기 통편물의 평균 반사율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면 6.2 %였다. 또한, 상기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300 메시의 사직물을 제직하고, 사틀에 35 N의 장력으로 사장을 시도했지만, 필라멘트의 강도 부족에 의해 스크린사가 파열되었다.
〔실시예 19〕
경사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위사에 섬도 13 dtex의 호모 PET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스루자샤 제조의 직기(G-6200)에서 300메시 스크린사를 제직했다. 상기 사직물을 사틀에 35 N의 장력, 22.5 °의 바이어스로 사장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인쇄성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할레이션에 의해 스트라이프 패턴에 약간의 굵기 불균일이 발생했지만, 드물게 매우 소량 발생하는 정도이고 인쇄 성능은 양호(○)했다.
〔실시예 20〕
경사에 섬도 13 dtex의 호모 PET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위사에 실시예 1에서 수득된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인쇄성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매우 드물게 굵기 불균일이 발생하는 정도이고 인쇄성능은 양호(○)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는 고정밀도로 조작성이 양 호한 인쇄성능을 필요로 하는 스크린사에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특히 300 메시 이상의 하이메시의 스크린사에 유용하다.

Claims (7)

  1.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core-sheath type composite monofilament)로서,
    심부가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흡수 특성을 구비한 광흡수 물질을 함유하는 섬유 형성성 폴리머이며, 초부가 섬유 형성성 폴리머로 형성되고 있고, 파장 350 ㎚ 내지 450 ㎚의 광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15 %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紗)용 모노필라멘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에서의 광흡수 물질의 함유 비율이 심부 전체에 대해서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심초 횡단면적 비율이 40 : 60 내지 90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는 파단 신도 20 % 내지 30 %, 파단 강도 5.5 cN/dtex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심부는 극한 점도가 0.60 dl/g 이상의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형 복합 모노필라멘트의 초부는 상대 점도가 2.0 이상인 나일론 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사(紗).
KR1020067025669A 2004-06-03 2005-05-27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 KR101169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65930 2004-06-03
JPJP-P-2004-00165930 2004-06-03
WOPCT/JP2004/014185 2004-09-28
PCT/JP2004/014185 WO2005118926A1 (ja) 2004-06-03 2004-09-28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クリーン紗
PCT/JP2005/009732 WO2005118927A1 (ja) 2004-06-03 2005-05-27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クリーン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562A KR20070026562A (ko) 2007-03-08
KR101169111B1 true KR101169111B1 (ko) 2012-07-26

Family

ID=3546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669A KR101169111B1 (ko) 2004-06-03 2005-05-27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80045105A1 (ko)
JP (1) JP4958547B2 (ko)
KR (1) KR101169111B1 (ko)
CN (1) CN100510209C (ko)
TW (1) TWI370773B (ko)
WO (1) WO2005118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1968A (zh) * 2008-06-02 2011-07-20 陈义勇 原著染色的鞘蕊型复合纤维及其织物
WO2010060232A1 (zh) * 2008-11-25 2010-06-03 Chen Yi Yung 钝光色的原著染色鞘蕊型复合纤维及其织物
US20150240389A1 (en) * 2014-02-25 2015-08-27 Yi-yung Chen Dope-Dyed Core-Sheath Type Composite Fiber
US10337128B2 (en) 2017-08-31 2019-07-02 Brr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oling yarns and fabrics,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TWI642554B (zh) * 2018-04-02 2018-12-01 中國大陸商倉和精密製造(蘇州)有限公司 網版製備工藝
US10557219B1 (en) * 2018-12-28 2020-02-11 Brrr!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oling yarns and fabrics comprising a cellulosic fiber, and articles comprising same
CN112251843B (zh) * 2020-10-16 2022-05-17 宁波海格拉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有色高强高模聚芳酯纤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3355A (en) 1978-03-09 1980-11-11 Toray Industries, Inc. Separable composite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S59207289A (ja) 1983-05-11 1984-11-24 Toray Ind Inc スクリ−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イラメント複合糸
US5741590A (en) 1993-09-28 1998-04-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ridescent fabrics
US6399195B1 (en) 1999-01-11 2002-06-04 Kanebo Ltd. Polyester monofilament for use in screen gauz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6941Y2 (ko) * 1985-08-02 1992-11-05
JP2603481B2 (ja) * 1987-08-19 1997-04-23 日本特殊織物株式会社 印捺スクリーン用メッシュ織物
JP2597111B2 (ja) * 1987-11-10 1997-04-02 鐘紡株式会社 高精密印刷用スクリーン紗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複合モノフィラメント
US5985193A (en) * 1996-03-29 1999-11-16 Fiberco., Inc. Process of making polypropylene fibers
JP3483868B2 (ja) * 2001-07-10 2004-01-06 株式会社鈴寅 印刷用スクリーン紗
US7338877B1 (en) * 2002-11-27 2008-03-04 Fiber Innovation Technology, Inc. Multicomponent fiber including a luminescent color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3355A (en) 1978-03-09 1980-11-11 Toray Industries, Inc. Separable composite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S59207289A (ja) 1983-05-11 1984-11-24 Toray Ind Inc スクリ−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イラメント複合糸
US5741590A (en) 1993-09-28 1998-04-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ridescent fabrics
US6399195B1 (en) 1999-01-11 2002-06-04 Kanebo Ltd. Polyester monofilament for use in screen gau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9466A1 (en) 2011-02-17
CN100510209C (zh) 2009-07-08
JPWO2005118927A1 (ja) 2008-04-03
US20080045105A1 (en) 2008-02-21
JP4958547B2 (ja) 2012-06-20
KR20070026562A (ko) 2007-03-08
CN1985033A (zh) 2007-06-20
WO2005118926A1 (ja) 2005-12-15
TWI370773B (en) 2012-08-21
TW200609125A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111B1 (ko) 스크린사용 모노필라멘트와 이를 사용한 스크린사
EP0735165B1 (de) Hochbelastbare Kern/Mantel-Monofilamente für technische Anwendungen
EP0735166B1 (de) Hochbelastbare Kern/Mantel-Monofilamente für technische Anwendungen
EP1793022B1 (en) (spun-dyed) polyester monofilament
EP0843031B1 (de) Verfahren zum Schutz von Elastan-Fasern
EP1752568B1 (en) Monofilament for use in screen gauze and screen gauze using the same
JP2008291385A (ja) スクリーン紗用芯鞘型モノフィラメント
JP4773920B2 (ja)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
EP3859057A1 (en) Polyester monofilament for screen cloth and woven mesh fabric for direct digital platemaking
JP4924495B2 (ja)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
CA1327727C (en) Mesh fabric useful for a printing screen
JPH08291438A (ja) 赤外線吸収繊維からなる布帛
JP4661501B2 (ja)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
JP7045305B2 (ja)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JP7045297B2 (ja) スクリーン紗用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073521A (ja) 芯鞘複合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異形断面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織編物、および衣料
EP0391249B2 (de) Monofilamente aus synthetischen Polymeren
JP2022028194A (ja) 高精細スクリーン紗用芯鞘複合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JP2022144471A (ja) スクリーン紗用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JP2011016279A (ja) スクリーン紗
JP2007332504A (ja) スクリーン紗用三層芯鞘複合ポリエステルモノフィラメント
KR20170112596A (ko)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E4328029A1 (de) Hochbelastbare Polyester-Monofilamente für technische Anwendungen
KR19990026534A (ko) 불투광성 복합섬유
JP2004262007A (ja) スクリーン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