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596A -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596A
KR20170112596A KR1020160039778A KR20160039778A KR20170112596A KR 20170112596 A KR20170112596 A KR 20170112596A KR 1020160039778 A KR1020160039778 A KR 1020160039778A KR 20160039778 A KR20160039778 A KR 20160039778A KR 20170112596 A KR20170112596 A KR 20170112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hollow
yarn
fabric
dar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650B1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65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4Pig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6Dy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섬유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염색공정 없이도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 저하가 방지되어 중공붕괴가 최소화된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Hollow fiber having excellent darkness, complex fiber for manufacturing thereof, fabric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중공섬유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별도의 염색공정 없이도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 저하가 방지되어 중공붕괴가 최소화된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섬유염색이란 염료 등을 사용하여 섬유 또는 섬유 제품인 실(yarn), 직물(cloth), 편물(knitting fabric) 등에 요구되는 색상이나 무늬를 실용적 가치가 있도록 착색하는 일을 말한다. 착색시키기 위한 염색법을 기술적인 방법으로 분류해보면 침엽법, 날염법, 압연법, 고압염색법, 고온염색법, 인염법, 분무법, 교염법, 납연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보아, 전체를 단일색으로 염료를 용매(물)에 녹인 염액에 침지하여 전면 또는 일부분만 염색하는 침염법과 단색 또는 여러 색상의 염료나 안료로 무늬를 나타내는 날염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섬유의 염색방법은 섬유의 재질적 물성에 의존적이며, 일예로 소수성이 강한 폴리에스테르계나 폴리아미드계 섬유는 주로 분산염료, 반응성 염료, 산성염료와 같이 특정의 염료를 사용해야 염색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조된 섬유(또는 실) 또는 상기 섬유로 제조된 원단상에 염료를 입혀 염색을 하는 것은 다양한 색상 및 무늬로 염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단의 제조공정 또는 제조 후 사용시 잦은 세탁에 의해 염료가 탈리되어 원단의 색상이 바래거나 색상을 잃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섬유에 색상을 발현하도록 하는 또 방법은 섬유 내부에 목적하는 색상을 나타내는 염료를 포함시켜 염색 없이도 그 자체로 색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섬유내부에 구비되는 염료는 섬유를 구성하는 주재와 상용성이 문제되고, 이물질로 작용할 수 있어서 방사시 방사조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거나 제조된 섬유의 물성을 열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섬유가 비용출성분 및 용출성분으로 구성되되 용출성분이 섬유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복합섬유에서 용출성분이 감량되면 중공섬유가 제조되는데, 구조적으로 중공섬유는 기계적 강도가 약해 감량공정, 또는 그 이후의 사가공, 원단제조 공정에서 중공부의 붕괴가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공섬유의 비용출성분에 안료를 함께 구비시킬 경우 중공섬유의 기계적 강도는 더욱 저하될 수 있으며, 목적하는 수준으로 중공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방지하고자 안료를 적게 포함시킬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농색을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섬유자체가 염색 없이도 농색의 색상을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방사성에 영향이 없고, 복합섬유의 일부분이 용출된 후에도 비용출성분과 함께 구비된 안료에 의해 중공섬유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됨 없이 중공부를 지속 유지시킬 수 있는 중공섬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염색공정 없이도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중공부의 붕괴가 최소화되도록 기계적 강도가 유지되는 중공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섬유의 용출성분이 용출된 후 제조된 중공섬유가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어 중공부의 붕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중공섬유를 구현할 수 있는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함에 따라서 별도의 염색이 불필요하고 세탁에도 색상의 변화가 방지되는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부; 흑색안료를 포함하여 상기 중공부를 둘러싼 섬유부; 및 섬유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섬유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중공부에 직접 입사시켜 흑색도(darkness)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간극;을 포함하며, 상기 흑색안료는 섬유부 전체중량 대비 1.1 ~ 2.2 중량%로 포함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섬유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폴리아미드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형성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섬유의 중공율은 30 ~ 6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섬유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값이 0.11 ~ 0.20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섬유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1 ~ 0.36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단, 상기 흑색안료 함량은 섬유부 전체 중량 기준으로 한 함량임.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4 ~ 0.3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공섬유는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 및 텍스쳐사(textured yar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감량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 및 색안료를 포함하여 상기 용출부를 둘러싼 섬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출부는 용출부의 감량 후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섬유부를 거치지 않고 중공부에 직접 입사시켜 흑색도(darkness)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노출되며, 상기 흑색안료는 섬유부 전체중량 대비 1.1 ~ 2.2 중량%로 포함되는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용출부는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 또는 수 이용해성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섬유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른 값이 0.11 ~ 0.20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섬유는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른 값이 0.11 ~ 0.36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4
단, 상기 흑색안료 함량은 섬유부 전체 중량 기준으로 한 함량임.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학식 4에 따른 값이 0.11 ~ 0.3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섬유의 단면적에 기준한 용출부의 단면적 백분율은 30 ~ 65%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에서 용출부를 감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세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제조된 원단의 복합섬유 내 용출부를 감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제직 또는 편성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를 구비하는 원사; 및 미선염된 면사;를 포함하는 데님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구비하는 원사; 및 선염된 면사;를 포함하는 데님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섬유"는 '사(絲, Yarn)' 또는 '실'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다양한 종류의 사 및 섬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복합섬유"는 복합방사하여 제조된 원사 그 자체 또는 이를 연신, 가연신 등의 공정을 거친 섬유를 포함하며 용출부가 감량되기 전의 섬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공섬유는 별도의 염색공정 없이도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의 저하가 최소화된다. 기계적 강도가 담보되는 중공섬유는 중공붕괴가 최소화 되어 경량성, 보온성 등의 물성을 지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중공섬유의 경우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도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시키기에 더욱 적합할 수 있음에 따라서 데님원단 등 각종 원단류에 널리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섬유의 부분단면도,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섬유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복합섬유에서 용출부가 감량된 후 구현된 중공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간극이 없는 중공섬유로 입사한 광학적 경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4b는 간극이 있는 중공섬유로 입사한 광의 광학적 경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부(E)를 둘러싼 섬유부(10)를 포함하고,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간극(G)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섬유부(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섬유부(10)는 중공섬유가 흑색을 발현할 수 있도록 흑색안료(12)를 포함하며, 섬유부를 형성하기 위한 섬유형성성분(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색안료는 섬유부 전체 중량 대비하여 1.1 ~ 2.2 중량% 구비되며, 이를 통해 중공섬유의 기계적 강도 저하를 방지하는 동시에 흑색을 발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흑색안료는 1.1 ~ 1.8 중량%로 섬유부에 구비될 수 있다. 만일 흑색안료가 1.1 중량%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양호한 중공섬유의 구현이 용이하나, 반면에 목적하는 수준의 짙은 농담의 흑색을 발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흑색안료가 2.2중량%를 초과하여 구비되는 경우 중공섬유의 기계적 강도 저하가 현저하여 중공의 붕괴가 잦은 문제가 있고, 중공섬유 상태의 원사로 원단을 제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색안료가 2.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방사팩(pack)의 내부 압력을 현저히 증가시켜 방사성을 저하시키는 동시에 방사팩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잦은 방사팩의 교체 및 이로 인한 제조비용의 증가 문제가 있다.
상기 흑색안료는 통상적으로 흑색을 발현시킬 수 있는 안료의 경우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흑색안료는 탄소계 안료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흑연 및 카본블랙 중 어느 1 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색안료는 구상 등 정형화된 형상 또는 비정형화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색안료의 평균직경은 30 ~ 50㎚일 수 있다. 만일 흑색 안료의 평균직경이 30nm 미만일 경우 섬유내 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흑색안료가 뭉쳐서 섬유 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고, 흑색안료가 뭉쳐서 존재하는 섬유부분은 기계적 강도가 더욱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색안료의 평균 직경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농담을 갖는 흑색을 발현시키기 위한 흑색안료의 함량을 더 높여야 되며, 방사성이 저하되는 문제와 함께 섬유 물성을 저하 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섬유로 구현될 수 있는 통상적인 성분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폴리아미드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형성성분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섬유형성성분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섬유부에는 중공섬유의 농담을 보다 짙게 하기 위하여 무기 첨가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기첨가물은 공지된 화합물일 수 있고, 일예로, 이산화티타늄일 수 있다. 상기 무기첨가물이 구비되는 경우 섬유부 전체 중량 대비하여 무기첨가물이 0.5 ~ 3 중량%로 구비될 수 있다. 만일 무기첨가물이 0.5중량%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섬유 특유의 번들거리는 광택현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미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만일 무기첨가물이 3중량%를 초과하여 구비되는 경우 방사시 방사팩 필터 막힘문제나 가이드, 오일롤러 손상 등의 방사장치의 기계적 결함을 야기하며 또한 섬유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다음으로, 섬유부(10)의 안쪽에 배치되는 중공부(E)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중공부(E)는 향상된 경량성 및 보온성 등을 위하여 중공율이 30 ~ 65%일 수 있다. 만일 중공율이 30 % 미만일 경우 중공섬유의 보온성, 경량성 등이 낮아 중공섬유로서의 기능을 미약한 문제가 있고, 중공율이 65%를 초과할 경우 섬유부의 얇은 두께구조로 인해 강도가 저하되며, 이를 통해 제직되는 원단의 인열강도가 낮아져 최종제품이 쉽게 찢어지거나 중공부가 붕괴하여 중공에 따른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등 발명이 목적하는 물성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부(E)는 섬유의 농담의 정도, 섬유부에 포함된 흑색안료에 따른 흑색의 발현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흑색안료를 섬유내부에 구비하고, 내부에 빈 공간이 없는 통상적인 섬유와 내부에 빈 공간이 있는 중공섬유는 섬유형성성분에 대하여 동일한 함량으로 흑색안료를 포함하더라도 흑색의 발현정도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직경의 단섬유(mono fiber) 내부에 동일함량(중량%)으로 흑색안료가 분산된 후술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섬유 내부에 빈 공간이 없는 비교예 1에 대비하여 중공부(중공율 60%)를 구비한 비교예 2가 색차계로 측정한 명도값(L)이 현저히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섬유형성성분에 기준한 흑색안료의 함량비가 동일하더라도 중공율이 커질수록 섬유형성성분의 절대량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흑색안료의 절대량 역시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공율을 증가시킨 중공섬유의 흑색도를 동일한 직경이면서 중공율이 작은 중공섬유에서 발현하는 흑색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섬유부에 더욱 높은 함량으로 흑색안료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하였듯이, 섬유부에 흑색안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원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며, 이에 더하여 얇은 두께로 구현되는 섬유부에 구비되는 흑색안료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더욱 좋지 않고, 방사팩의 수명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중공섬유에 있어서 흑색안료의 함량 조절을 통한 흑색도의 조절은 비중공섬유와 대비하였을 때 한계가 명확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는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간극(G)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극(G)을 통해 중공섬유(100)의 밖과 중공섬유 내부의 중공부(E)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섬유(100)의 밖에서 섬유 외부면을 향하여 입사되는 광 중 일부는 상기 간극(G)을 통해 중공섬유(100) 내부로 직접 입사될 수 있고, 중공섬유(100 내부로 직접 입사된 광은 중공섬유 내부면에서 반복된 반사 및 일부 광흡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공섬유 내부에서 섬유 외부로 투과되는 광을 감소시켜 섬유의 흑색도가 더욱 짙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공섬유 내부면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간극(G)을 통해 다시 섬유 밖으로 출사되기 어려움에 따라서 반사광을 더욱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극이 없는 중공섬유로 입사한 광(A1)의 일부는 중공섬유를 흡수(동시에 투과)(A'2)할 수 있으나, 나머지는 반사(A2)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공섬유로 입사한 광이 간극을 통과하여 섬유 내표면으로 입사할 경우 입사광(B1)은 광이 모두 흡수(동시에 투과)되기 전까지 중공부 내부에서 반사를 거듭하게 되는데, 중공부에 갇힌 광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함에 따라서 결과적으로 도 4a에 따른 중공섬유에서 반사되는 광보다도 도 4b에 따른 중공섬유에서 반사되는 광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도 4b의 중공섬유의 흑색도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간극(G)에 의한 흑색도의 조절효과는 중공섬유의 섬유부에 포함되는 흑색안료의 함량 증가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함량에도 간극의 조절을 통해 목적하는 정도의 농담을 갖는 흑색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모노사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간극 이외의 섬유 표면에서 발생하는 광의 광학적 이동 경향은 동일직경, 동일 중공율의 중공섬유이되 간극이 없는 중공섬유와 유사할 수 있어서 빛이 모노사의 간극 반대방향으로 입사할 경우 목적하는 흑색도를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모노사가 섬유다발을 이룰 경우 섬유다발에서의 간극방향은 랜덤하게 결정되어 빛이 어느 방향에서 입사하더라도 간극을 통한 흑색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만일 이와 같은 원사가 여러 개 합사된 후 경사와 위사로 사용되어 원단을 구현할 경우 원단 내 모노사들의 간극방향은 더욱 랜덤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원단의 흑색도는 광의 입사방향에 관계없이 고르게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더욱 우수한 흑색도를 발현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간극은 바람직하게는 수학식 1에 따른 값이 0.11 ~ 0.20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간극거리란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섬유부(10) 중 비연속적인 섬유부의 양단 간의 간격을 의미하고, 비연속적인 섬유부의 일단의 형상이 도 1과 다르게 도 2와 같이 둥글게 형성되거나 비정형으로 형성될 경우 섬유부 양단간의 최단거리가 간극거리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값이 0.11미만일 경우 흑색의 농담을 짙도록 조절하기 어려워 옅은 농담의 중공섬유가 구현될 수 있는 등 목적하는 물성을 달성하는 중공섬유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만일 상기 수학식 1에 따른 값이 2.0을 초과하는 경우 간극거리가 너무 커져서 중공섬유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저하 및 간극을 통해 직접 광이 입사하는 경우에도 중공섬유의 내부면에서 반사 후 다시 간극을 통해 섬유 외부로 출사될 수 있음에 따라서 목적하는 수준의 흑색도를 오히려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중공섬유의 평균직경이 너무 작아서 목적하는 수준으로 중공율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있는 등 목적하는 물성을 달성하기 용이하지 않다.
한편, 상기 중공섬유는 더욱 향상된 흑색도를 발현하는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담보하고, 중공섬유로써의 특성을 더욱 잘 발현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1 ~ 0.36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6
이때, 상기 흑색안료는 섬유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 중량 백분율이며, 상기 간극각도는 중공섬유 단면에서 중공부의 중심과 섬유부의 불연속 양단을 잇는 두 선분 사이의 끼인각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1 미만일 경우 중공율이 작아져 목적하는 수준으로 중공섬유 특성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고, 농담이 옅은 흑색이 구현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36을 초과하는 경우 중공섬유의 기계적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흑색도의 향상 정도도 미미한 수준에 불과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공섬유의 기게적 강도를 더욱 담보하는 동시에 방사시 방사팩의 수명을 연장하여 제조단가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1 ~ 0.31을 만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흑색안료의 함량은 1.1 ~ 1.8 중량%일 수 있다. 만일 흑색안료의 함량이 1.8 중량%를 초과 및/또는 상기 수학식2의 값이 0.31을 초과하는 경우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중공섬유를 구현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방사팩의 사용주기를 현저히 연장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흑색안료의 함량이 1.1 중량% 미만 및/또는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0.14 미만일 경우 농담이 보다 짙은 흑색의 중공섬유를 구현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공섬유(100)는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 및 텍스쳐사(textured yar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텍스쳐사는 가연사(DTY), 에어텍스쳐사(ATY), 에지 크림프사(Edge Crimped yarn) 등 공지된 텍스쳐사일 수 있다.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인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섬유가 가연사인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3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18 내지 720 필라멘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조하려는 실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공사로 될 수 있고 상기 가공사의 섬도 및 필라멘트수도 목적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연 처리된 중공섬유의 단면도로,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가연후에도 단면에서 중공이 전혀 붕괴되지 않으며, 흑색도가 우수한 중공섬유가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술한 중공섬유는 통상적인 중공섬유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목적하는 간극을 형성 및 세밀한 조절을 위해 후술되는 복합섬유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100')는 도 2와 같이 감량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20') 및 흑색안료(12')를 포함하여 상기 용출부(20')를 둘러싼 섬유부(10');를 포함하고, 상기 용출부(20')는 용출부의 감량 후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섬유부(10')를 거치지 않고 중공부에 직접 입사시켜 흑색도(darkness)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노출되도록 복합방사되어 구현된다.
상기 섬유부(10')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상술한 중공섬유에서의 섬유부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여 이하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용출부(20')는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이나 수 이용해성 성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이나 수 이용해성 성분은 공지된 성분일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공보 제10-1487941호의 복합섬유용 코폴리에스테르가 참조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 이용해성 성분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공보 제10-1489437호의 복합섬유에 구비되는 수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가 참조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용출부(20')는 복합섬유(100')의 단면적에 기준한 용출부(20')의 단면적 백분율이 30 ~ 65%를 만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용출부가 감량된 후 우수한 중공율을 갖는 중공섬유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출부는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른 값이 0.11 ~ 0.20을 만족하도록 복합섬유의 외부면에 노출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7
상기 평균간극거리란 도 2에서와 같이 복합섬유의 단면에서 불연속하도록 방사된 섬유부(10')의 양단간 최단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3에 따른 값이 0.11 ~ 0.20을 만족할 경우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른 값이 0.11 ~ 0.20을 만족하는 간극이 형성된 중공섬유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 기계적강도 및 흑색도 조절능에 따른 짙은 농담의 흑색 중공섬유를 구현하기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섬유는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른 값이 0.11 ~ 0.36인 복합섬유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8
이때, 상기 흑색안료 함량은 섬유부 전체 중량 기준으로 한 함량을 의미한다.
복합섬유가 상기 수학식 4에 따른 값을 만족하는 경우 상술한 중공섬유에서의 수학식 1에 따른 바람직한 수치를 만족하기에 보다 적합하며, 이를 통해 목적하는 물성을 발현하는 중공섬유를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수치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수학식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여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섬유는 섬유부에 포함된 흑색안료의 함량이 1.1 ~ 1.8 중량%이며, 상기 수학식 4에 따른 값이 0.11 ~ 0.31일 수 있고, 이를 통해 목적하는 물성을 더욱 발현하는 동시에 방사팩의 수명이 단축되지 않아 제조비용이 절감된 중공섬유의 제조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상술한 중공섬유에서의 수학식 1에 대한 설명부분과 동일하여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복합섬유는 방사와 동시에 부분 연신된 부분연신사(POY)이거나 방사와 동시에 연신 또는 부분연신사에 대하여 별도로 연신시킨 연신사(SDY), 또는 상기 부분연신사나 연신사에 대해 사가공 공정을 거친 텍스쳐사일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가 부분연신사 또는 연신사일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50 내지 200 데니어이고, 18 내지 100 필라멘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섬유가 텍스쳐사 중 일예로 가연사인 경우 사용의 편의성 및 공정 용이성을 위해 섬도는 30 내지 1000 데니어이고 18 내지 720 필라멘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조하려는 실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공사로 될 수 있고 상기 가공사의 섬도 및 필라멘트수는 목적, 용도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는 상술한 복합섬유에서 용출부가 감량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용출부의 감량은 용출부에 포함된 성분의 구체적 종류에 따라서 구체적 감량조건이 달라질 수 있고, 공지된 용출성분에 따른 공지된 용출조건을 선택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용출성분이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인 경우 감량공정은 알칼리 용액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염용 지관에 복합섬유를 1 내지 10합 합사하여 소프트 와인딩(soft winding)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염용 지관에 감긴 복합섬유를 80 내지 100에서 1 내지 5 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통하여 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용출부가 감량될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를 1 내지 10합으로 합사하여 용출부를 감량을 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원단 제작시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섬도 및 필라멘트수로 감량단계에서 미리 조절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에서 별도의 합사 공정이 불필요함에 따라 제조시간 단축 및 제조공정 간소화 및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도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감량을 위한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일 수 있는데, 만일 1% 미만의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에서 감량시키는 경우 감량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며, 5%를 초과하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에서 감량시키는 경우 섬유형성성분 및/또는 흑색안료가 알칼리 침해를 받아 중공섬유에 결점이 생성되어 강도가 저하되거나 흑색안료의 탈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에서 감량시간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0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감량온도는 상압일 경우 80 내지 100 ℃, 고압일 경우 60 내지 120 ℃일 수 있다. 만일 압력에 따른 감량온도가 상기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용출부가 불균일하게 감량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구비하는 원단을 포함한다.
상기 원단은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제조된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직물의 조직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 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직물조직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직에서의 경사 및 위사 밀도의 경우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성은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위편성과 경편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편성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위편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평편, 고무편, 펄편 등의 위편성물이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경편성을 통해 구체적으로 트리코, 밀러니즈, 라셸 등의 경편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와 이종의 원사가 교직(mixed weaving) 또는 교편(mixed knitting)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원단은 제조하려는 원단의 목적, 새로운 기능의 부여를 위해 이종의 원사와 교직 또는 교편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원단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가 멀티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섬유가 2개 이상 합사된 상태로 원단 제조를 위한 원사로 투입되거나 중공섬유가 이종의 원사와 혼섬된 상태로 원단 제조를 위한 원사로 투입될 수 있다. 혼섬된 상태의 혼섬사로 투입되는 경우 원단의 신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공섬유는 신축성이 우수한 공지된 스판섬유 등의 신축사와 혼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신축사를 심사로 하고, 상기 심사를 주위에 중공섬유를 초사로 커버링시킨 커버링사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상기 원단은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구비하는 원사 및 선염된 면사를 포함하는 데님원단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사는 상술한 신축사를 심사하고, 중공섬유를 초사로 한 커버링사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가 구비된 원단은 후술되는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1 제조예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원사로 투입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으로 (a)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제직 또는 편성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원단이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제2 제조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를 원사로 투입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구체적으로 (1)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제조된 원단의 복합섬유 내 용출부를 감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조예는 복합섬유로 원단을 제조 후에 감량공정을 통해 복합섬유의 용출부를 감량시켜 중공섬유를 구비하는 원단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구체적인 감량공정은 상술한 원사상태의 감량조건을 채용할 수 있고, 이때, 원단을 공지된 감량기에 투입하여 공지된 조건으로 감량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조예를 통해 제조된 원단은 일예로, 데님원단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섬유를 구비하는 원사 및 미선염된 면사를 원사로 투입시켜 제조한 데님원단일 수 있다.
상기 복합섬유를 구비하는 원사는 상술한 신축사를 심사로 하고 복합섬유를 초사로 커버링시킨 커버링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종의 원사로 면사를 구비시키되 미선염된 면사를 원사로 투입시키는데, 이는 복합섬유가 원단에 구비될 경우 중공섬유로 원단에 포함시키기 위한 원단상태에서의 감량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그러나 상기 감량공정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용액은 선염된 면사의 염료를 탈리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서 감량 후 원단에 구현된 색상이 감량 전 원단에 구현된 색상과 달라지고, 추가적인 염색과정을 더 거쳐야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면섬유의 원사상태의 1차 염색, 원단상태에서의 추가적 2차 염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면사는 원단에 미선염된 상태로 구비되고, 원단상태의 감량 공정을 거친 후 면사에 대한 염색공정을 통해 목적하는 색상을 발현하는 원단을 제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님원단의 제조비용의 절감, 제조시간의 단축 및 보다 염색품질이 우수한 원단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먼저 섬유부를 준비하기 위해 섬유부에 포함될 섬유형성성분으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흑색안료로 평균입경 30㎚인 카본블랙(오리온엔지니어드카본㈜, HIBLACK® 30) 및 평균입경이 300 ㎚인 이산화티타늄을 준비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290로 용융시킨 후 상기 카본블랙 및 이산화티타늄이 제조된 섬유에 각각 1.67중량% 및 0.26중량%가 되도록 투입했다.
또한, 용출부에 알칼리 이용해성 코폴리에스테르(도레이케미칼, ESP)를 270로 용융 후, 상기 용융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상기 코폴리에스테르를 각각 40: 60 중량비로 복합 방사하여 도 2와 같은 단면을 가지고, 하기 표 1 조건으로 필라멘트수가 36이며 섬도가 75 데니어인 부분배향된 복합섬유(POY)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G/R은 고뎃롤러를 의미한다.
이후 제조된 부분배향된 복합섬유(POY)에 대해 6합사하여 500m/min의 사속, 3400 TM(twist/m) Z연의 꼬임수 및 165의 열고정 조건으로 하여 가연된 복합섬유(DTY)를 제조하였으며, 이후 상기 제조된 가연 복합섬유를 사염용 지관에 소프트와인딩(soft winding) 후 상압 95 4 중량%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원사상태로 용출시켜 표 2에 따른 가연 중공섬유(DTY)를 제조하였다.
사 형태 방사 온도(℃) G/R1속도
(mpm, m/min)
G/R1 온
도(℃)
G/R2속도
(mpm, m/min)
G/R2 온도
(℃)
부분연신사(POY) 285 2930 - 3030 -
<실시예 2 내지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2 또는 표 3과 같이 조건을 변경하여 가연된 복합섬유(DTY) 및 가연된 중공섬유(DTY)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방사시에 용출부 성분을 투입시키지 않고, 섬유부 성분들만을 투입시켜 하기 표 3과 같은 원형단면의 연신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도 2와 같이 용출부의 일부가 복합섬유의 외부면에 노출되도록 방사하는 대신에, 용출부가 복합섬유의 외부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방사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복합섬유 및 중공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3과 같이 조건을 변경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가연된 복합섬유(DTY) 및 가연된 중공섬유(DTY)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섬유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2 또는 표 3에 나타내었다.
1. 흑색도 평가
색차계((CM3700D, 미놀타)를 이용하여 원사의 L(명도), E(색차) 값을 측정하였다.
흑색도 평가결과 L이 낮을수록 흑색도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방사팩 교환주기
교환된 방사팩을 구비한 방사장치에서 24시간 연속하여 방사공정을 실시할 때, 방사팩 압력이 350kg/㎠ 도달 시를 교체시점으로 잡아 해당 압력에 도달하는 일수를 평가하였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흑색안료의 함량이 1.25 중량%로 구비되나 비중공형인 비교예 1의 경우 흑색안료의 함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흑색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2의 경우 비교예 1과 동일한 함량으로 흑색안료를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중공부를 포함하고 있음에 따라서 흑색도가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공섬유의 경우 중공부가 없는 일반섬유에 비하여 동일함량으로 흑색안료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유사수준의 흑색도를 얻을 수 없고, 이를 위해서는 중공섬유에 흑색안료의 함량을 더 높게 구비시켜야 된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한편, 간극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 중 중공율이 30%인 실시예 5와 유사한 중공율을 갖는 O형 단면의 비교예 2의 경우 흑색안료의 함량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흑색도가 상이하게 나오는데, 이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간극으로 인한 효과 즉, 간극을 통과하여 중공섬유 내부로 입사한 광이 중공섬유의 외부로 쉽게 반사되어 나가지 못하고 흡수되는 양이 더 많아져 흑색도가 향상되고 있음을 명확히 입증하고 있는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간극을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흑색안료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 미만으로 구비되는 비교예 3의 중공섬유는 L 값이 높아 흑색도가 실시예 2에 대비하여 현저히 좋지 않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또한, 흑색안료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범위를 초과하여 구비되는 비교예 4 및 비교예 5의 경우 흑색도가 실시예에 대비하여 우수하나, 흑색안료의 함량이 증가한 것에 비하여 흑색도의 향상 정도도 미미한 수준이며, 오히려 방사팩의 사용주기가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흑색안료의 함량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범위 보다 다소 많게 포함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3에 비해 방사팩의 사용주기가 절반 수준에 불과함에 따라서 잦은 방사팩의 교체를 고려할 때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Claims (19)

  1. 중공부;
    흑색안료를 포함하여 상기 중공부를 둘러싼 섬유부; 및
    섬유로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섬유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중공부에 직접 입사시켜 흑색도(darkness)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간극;을 포함하며,
    상기 흑색안료는 섬유부 전체중량 대비 1.1 ~ 2.2 중량%로 포함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부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폴리아미드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섬유형성성분을 더 포함하는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섬유의 중공율은 30 ~ 65%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섬유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른 값이 0.11 ~ 0.20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수학식 1]
    Figure pat0001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섬유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1 ~ 0.36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수학식 2]
    Figure pat00012

    단, 상기 흑색안료 함량은 섬유부 전체 중량 기준으로 한 함량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2에 따른 값이 0.11 ~ 0.31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섬유는 부분연신사(POY), 연신사(SDY) 및 텍스쳐사(textured yarn) 중 어느 하나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8. 감량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용출부; 및
    흑색안료를 포함하여 상기 용출부를 둘러싼 섬유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출부는 용출부의 감량 후 입사된 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섬유부를 거치지 않고 중공부에 직접 입사시켜 흑색도(darkness)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노출되며,
    상기 흑색안료는 섬유부 전체중량 대비 1.1 ~ 2.2 중량%로 포함되는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부는 알칼리 이용해성 성분 또는 수 이용해성 성분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하기 수학식 3에 따른 값이 0.11 ~ 0.20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
    [수학식 3]
    Figure pat00013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는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른 값이 0.11 ~ 0.36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
    [수학식 4]
    Figure pat00014

    단, 상기 흑색안료 함량은 섬유부 전체 중량 기준으로 한 함량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4에 따른 값이 0.11 ~ 0.31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섬유의 단면적에 기준한 용출부의 단면적 백분율은 30 ~ 65%인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용 복합섬유.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섬유에서 용출부를 감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도(darkness)가 향상된 중공섬유 제조방법.
  15. (1)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제조된 원단의 복합섬유 내 용출부를 감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방법.
  16.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공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사를 제직 또는 편성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방법.
  17.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18.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섬유를 구비하는 원사; 및
    미선염된 면사;를 포함하는 데님원단.
  1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공섬유를 구비하는 원사; 및
    선염된 면사;를 포함하는 데님원단.
KR1020160039778A 2016-03-31 2016-03-31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8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78A KR102488650B1 (ko) 2016-03-31 2016-03-31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778A KR102488650B1 (ko) 2016-03-31 2016-03-31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596A true KR20170112596A (ko) 2017-10-12
KR102488650B1 KR102488650B1 (ko) 2023-01-12

Family

ID=6014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778A KR102488650B1 (ko) 2016-03-31 2016-03-31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0718A (zh) * 2019-04-30 2020-10-30 东华大学 复合色纤维、喷丝组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916A (ja) * 1994-10-27 1996-05-21 Toray Ind Inc カーペット用ポリエステル捲縮糸およびカーペット
KR19980056770A (ko) * 1996-12-30 1998-09-25 김인환 제전성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JP2000234217A (ja) * 1999-02-10 2000-08-29 Toray Ind Inc 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7092227A (ja) * 2005-09-28 2007-04-1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芯鞘複合繊維およびその布帛
JP2015183328A (ja) * 2014-03-25 2015-10-22 東レ株式会社 難燃性黒原着仮撚加工糸
WO2016002100A1 (ja) * 2014-06-30 2016-01-07 東レ株式会社 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と編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02666U (ja) * 2015-11-17 2016-02-18 山越株式会社 カーテ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666B2 (ja) * 1996-09-19 2001-08-2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真空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916A (ja) * 1994-10-27 1996-05-21 Toray Ind Inc カーペット用ポリエステル捲縮糸およびカーペット
KR19980056770A (ko) * 1996-12-30 1998-09-25 김인환 제전성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JP2000234217A (ja) * 1999-02-10 2000-08-29 Toray Ind Inc 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
JP2007092227A (ja) * 2005-09-28 2007-04-12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芯鞘複合繊維およびその布帛
JP2015183328A (ja) * 2014-03-25 2015-10-22 東レ株式会社 難燃性黒原着仮撚加工糸
WO2016002100A1 (ja) * 2014-06-30 2016-01-07 東レ株式会社 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と編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02666U (ja) * 2015-11-17 2016-02-18 山越株式会社 カーテ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0718A (zh) * 2019-04-30 2020-10-30 东华大学 复合色纤维、喷丝组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8650B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5354A1 (en) Polyester composite fiber with excellent heat-shielding property and coloration
KR20060129380A (ko)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KR102533736B1 (ko) 초경량 데님원단
JP2005097754A (ja) 熱可塑性繊維、布帛および繊維製品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5599686B2 (ja) ポリエステル潜在捲縮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2596A (ko)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H0931781A (ja) 中空状撚糸とその製造方法及び布帛
JP3989883B2 (ja) 凹凸模様付き多色パイル布帛
JP5815450B2 (ja) ポリエステル潜在捲縮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濃染性布帛とその製造方法
JP4209718B2 (ja) 高発色性織編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2105796A (ja) 遮光性織物
JPS5920775B2 (ja) コンセンシノセイゾウホウホウ
JP2012154002A (ja) メタ型全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布帛
JP5770981B2 (ja) 遮熱性織編物および衣料
JP2008303510A (ja) 異染性意匠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124316A (ja) 着用快適性に優れた布帛
JP2012021245A (ja) 遮熱性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6633786B2 (ja) 布団
JP6465710B2 (ja) 濃染性加工糸、濃染性加工糸からなる織編物、及び濃染性加工糸の製造方法
JP6734437B2 (ja) 捲縮糸、極細濃染加工糸、極細濃染加工糸を含むセーム調織物、及び捲縮糸の製造方法
KR100983778B1 (ko) 섬유류제품에 따른 인견가공사의 제조방법
JP4071533B2 (ja) 着古し外観を有する縫製品
JP3805704B2 (ja) 高吸湿性ブラックフォーマル用布帛
KR102527157B1 (ko) 초경량 데님원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