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380A -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 Google Patents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380A
KR20060129380A KR1020067016131A KR20067016131A KR20060129380A KR 20060129380 A KR20060129380 A KR 20060129380A KR 1020067016131 A KR1020067016131 A KR 1020067016131A KR 20067016131 A KR20067016131 A KR 20067016131A KR 20060129380 A KR20060129380 A KR 20060129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fiber
spun yarn
yarn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시 스에키
Original Assignee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38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41Cut or abrasion resista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03D1/007UV radiation protec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optical functions other than colour, e.g. comprising light-emitting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2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made from cellulose solutions
    • D10B2201/24Visc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10Umbrella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Abstract

본 발명은 얇은 천의 미염색 옷감이라도 비침성이 적고, 또한 자외선 차폐율이 높으며, 흡수 속건성이나 발색성도 우수하고, 또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는 일없이, 항필링성이 풍부한 소프트한 질감의 방적사 및 직물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섬유 단면의 이형도(내접원에 대한 외접원의 비)가 1.8 이상인 고이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중공률 8% 이상의 중공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교락 방적사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가 3.5 dtex 이하이고, 또한 상기 방적사의 실 길이 10 m당 보풀수가 길이 1 mm 이상이 30개 이상 350개 미만, 길이 3 mm 이상이 15개 미만인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상기 공기 교락 방적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링이 3급 이상, 자외선 차폐율이 84% 이상, 가시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함유 직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AIR-JET INTERLACING SPUN YARN AND WOVEN FABRIC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금까지와 다른 메카니즘으로 자외선 차폐 효과와 비침 방지성 및 항필링성(抗 pilling 性)의 발현이 가능한 공기 교락 방적사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함유 직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변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지 않고서 항필링성 발현이 가능하고, 흡수 속건성이 우수한 공기 교락 방적사 및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함유 직물에 관한 것이다. 그 용도로는 셔츠, 블라우스, 캐쥬얼 니트, 골프 니트, 스웨터, 재킷, 팬츠, 스커트, 수영복, 언더웨어, 유니폼 등의 의복이나 모자, 우산, 스카프, 타월, 장갑, 커튼, 베개 커버, 쿠션 안감, 시트, 이불 안감, 기저귀 등에 적합하다.
종래부터, 비침 방지나 자외선 차폐 효과를 발현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직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산화티탄 등을 섬유 내부에 혼련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는 방법, 옷감 표면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시키는 방법, 고밀도로 직편하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산화티탄을 섬유 내부에 많이 포함하는 소위 풀달 섬유는, 비침 방지나 자외선 차폐 효과가 높아 의료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일반적으로 산화티탄 함유율이 3.0 질량% 이상인 풀달 사는 가이드, 사도(絲道)나 베틀 등을 심하게 마모시키고, 보풀이 일게 하거나 실 끊어짐을 유발시키며, 공정 통과성이 좋지 않고, 또한, 발색성에 한계가 있어,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얻어지는 선명 색 표현에 현저한 제약을 받는다. 이들 결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산화티탄을 많이 포함하는 섬유를 코어로 하고, 통상 섬유를 쉬스로 한 복합 섬유로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지만, 고가가 되고, 또한 품질이 불안정하다. 후가공에 의한 자외선 흡수제 부여법은 질감을 경화시키거나, 비용이 상승된다는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48734호 공보
한편, 흡수 속건성을 표명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종래의 극세 섬유에 의한 둥근 단면 형상이나, L형, W형, Y형 등의 이형 단면의 장섬유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은 섬유 표면적을 늘리고, 섬유 사이의 간극을 적게 하며, 모세관 현상 효과를 높여 흡수 속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용도적으로 경량이며, 광택감을 살린 스포츠 용도로 다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에 있어서는 경량 보온 소재로서 중공 섬유가 일반적으로 이용되지만, 섬유 표면의 난반사 효과가 약하고, 본 발명품에서 발현되는 정도의 자외선 흡수 효과나 가시광선 투과율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이 실상이다.
항필링성(보풀 방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로서, 유기술폰산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인 등을 포함하는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주로 이용된다. 이들은 섬유 강도를 레진이나 방사, 연신 공정에서 저하시키고, 또한 염색 마무리 공정 조 건에서 섬유 강도(결절 강도)의 저하를 촉진시켜, 옷감 표면의 보풀을 탈락시키기 쉽게 한 것으로, 편물 이외에도 울이나 레이온 혼방사 직물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특히 유기술폰산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둥근 단면 형상의 섬유 형태라도 방사 중에 금속염이 석출되기 쉬워, 방사 성능이 불량하다. 이형 단면 섬유의 방출은 곤란함을 더욱 증가시킨다. 또한 섬유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방적성이 뒤떨어지는 결점을 갖는다.
가방성(可紡性)을 향상시키고자 하면 섬유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고, 항필링성을 얻기 위해서는 염색 가공 공정에서 섬유 강도를 저하시킬 고안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염색 가공시에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공 관리가 번잡하다는 등의 곤란함을 갖는다.
이러한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염색 가공에 있어서, 처리액을 pH 3∼4 등의 강산성 사이드에서 행하는 경우는, 처리 중의 액 pH의 변화, 배치(batch) 사이의 차를 최소로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며, 제어가 불충분하면 옷감이 약해지거나 변색을 쉽게 초래하여, 실용 옷감의 강력 저하나 품위 저하로 이어져, 제품 가치를 현저히 손상시켜 버린다. 또한, 항필링성을 얻기 위해서 고온에서 장시간 염색 시간을 필요로 하는 섬유 구조의 옷감은 비용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된 옷감은 염색 가공 처리에 의해 실 또는 옷감의 강력 저하가 크기 때문에, 재염색 가공이 불가능하여, 매우 비경제적이다.
최근, 방적 방법에 의한 항필링성의 개선이 검토되고 있으며, 결속 방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고속 공기 유체에 의한 섬유간의 결합이 기본 구조이며, 섬유단이 섬유 내부에 구속되기 때문에 보풀이 적고 항필링성이 향상되지만, 이 방식은 링 방적사에 비하여, 그 구조상, 질감이 경화된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직물에 있어서, 풀달 섬유를 이용하지 않고서, 항필링성과 자외선 차폐성, 비침 방지성, 발색성, 흡수 속건성, 청량감을 더불어 가지며, 질감이 소프트한 직물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풀달 섬유(일반적으로 산화티탄 함유량이 3.0 질량% 이상)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고, 얇은 천의 미염색(백생지) 옷감이라도 비침성이 적고, 또한 자외선 차폐율이 높으며, 흡수 속건성이나 발색성도 우수하고, 또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지 않고서, 항필링성이 풍부한 소프트한 질감의 방적사와 직물을 저렴하게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산화티탄 함유율이 1.0 질량% 미만이며 섬유 원주 상에 존재하는 3개 이상의 돌기부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지니고, 섬유 단면의 이형도(내접원에 대한 외접원의 비)가 1.8 이상인 고이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또는 중공률 8% 이상의 중공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교락 방적사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가 3.5 dtex 이하이고, 또한 상기 방적사의 실 길이 10 m당 보풀수가 길이 1 mm 이상이 30개 이상 350개 미만, 길이 3 mm 이상이 15개 미만인 공기 교락 방적사.
2. 상기 제1에 기재한 공기 교락 방적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JIS L-1076(1992) A법에 있어서의 필링(pilling)이 3급 이상, 자외선 차폐율이 84% 이상, 가시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함유 직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풀달 섬유를 사용하지 않으며, 얇은 천의 미염색 옷감이라도 비침성이 적고, 또한 자외선 차폐율이 높으며, 흡수 속건성이나 발색성이 우수하고, 또 변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는 일없이, 우수한 항필링성을 동시에 더불어 갖는 소프트한 질감의 공기 교락 방적사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함유 직물을 저렴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함유되는 산화티탄 함유율은 1.0 질량% 미만이다. 섬유 원주 상에 존재하는 3개 이상의 돌기부가 섬유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고, 그 이형도가 1.8 이상인 고이형도 단면 섬유의 경우는 바람직하게는 0.6 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다. 1.0 질량%을 초과하면, 방사성이 악화되는 동시에 무광택 효과가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백도가 뒤떨어지고 발색성을 상실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소량의 산화티탄 함유율로 풀달 섬유와 근사한 자외선 차폐성이나 비침 방지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함유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중공 섬유의 경우는, 빛의 표면 반사율이 전술한 고이형도 섬유보다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산화티탄 함유율은 약간 많은 쪽이 효과적이며, 0.4 질량% 이상, 0.8 질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산화티탄 함유율은 섬유 내의 중공 형상 개수가 복수인 경우, 빛의 반사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1개인 경우보다 줄이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발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화티탄이 주체적으로 사용되지만,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카올리나이트, 탄화지르코늄, 각종 안료, 토루마린, 희소 광석이나 심층 해양수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미량의 방사성 미분말, 항균 방취제, 제균제 등은 필요에 따라 혼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섬유 단면이 고이형도인 섬유는, 섬유 원주 상에 존재하는 돌기부가 3개 이상 있으며, 그 이형도(전자현미경 또는 광학현미경으로 섬유 횡단면의 확대 사진을 촬영하여, 외접원과 내접원을 그려, 그 직경의 비로 나타냄)가 1.8 이상이고 그 돌기부가 섬유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존재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표면 반사율이 낮은 둥근 단면, 편평 단면이나 이형도 1.8 미만의 삼각 단면 형상 등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형도 1.8 이상인 섬유 표면의 돌기부와 홈부의 고저의 차가 크고 표면 난반사율이 높은 Y형, 십자형, 별형 단면 섬유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형도는 2.0 이상, 3.5 미만이 바람직하고, 3.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3.5 이상이면 섬유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고이형도 섬유는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며, 누르더라도 부드러움을 느끼게 하는 쿠션 효과를 옷감에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공기 교락 방적사가 소프트한 질감을 갖게 하는 데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중공 섬유는, 중공률이 8% 이상,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7% 이하이면 광 반사율이 뒤떨어지고, 또 46% 이상이면 형태 유지성이 곤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바람직하게는 15%∼30%의 범위이다. 섬유의 중공 단면 형상은 환, 삼각, 편평, 사각 등이라도 좋다. 또한 단섬유 중의 중공 개수는 1개 또는 복수 개라도 좋으며, 방사시에 중공이라도 좋고, 면, 실, 또는 직물로 특정 성분이 용해 제거된 중공 섬유라도 좋다.
공기 교락 방적사 중의 고이형도 섬유 및/또는 중공 섬유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이들은 단일체로, 또는 혼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섬유, 예컨대 면이나 레이온, 쿠프라, 폴리노직, 정제 셀룰로오스(텐셀 등)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흡습 발열성 섬유를 포함함), 소취성, 제균·항균 방취 성능 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나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모다크릴 섬유 등과 혼용하더라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호모 폴리머폴리에스테르로 항필링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지만,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유기 술폰산금속염기 함유 성분의 공중합체인 양이온 가염 폴리에스테르 타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을, 선명 색이나 이색 염색 효과 등을 얻을 목적으로, 교직, 교편, 혼방 등으로 혼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이형도 섬유나 중공 섬유의 직물 중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는 결합성, 질감, 번수의 면에서 3.5 dtex 이하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dtex 이하이다. 3.6 dtex 이상이면 방적사의 구성 개수가 감소하고 강성이 강하기 때문에, 결합성이 불량이 되어, 경화된 질감이나 저강력화를 초래하여, 세번수를 얻기가 어렵게 된다. 단섬유는 장섬유에 비교하여, 권축에 의해 부피가 커짐에 의한 광 투과 저지성이 기대되며, 더욱이 1.8 이상의 고이형도나 중공 단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섬유의 강성이 강하게 되어, 방적사로서 벌키성이 풍부한 특성이 있다. 그 결과, 후속 공정에 있어서의 열이나 물리적인 힘에 의한 섬유의 눌림이 적고, 둥근 단면이나 편평 단면, 이형도 1.8 미만의 섬유와 비교하여, 벌키한 섬유 형태 유지성이 우수하며,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통과성 방지에도 유리하게 작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단면 형상에 기인하는 강성의 강함으로부터, 섬도는 1.1∼1.5 dtex라도 둥근 단면 섬유 2.0 dtex와 같은 충분한 강성(팽팽함, 탄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실에 비교하여, 동일 번수에 있어서 방적사의 구성 개수를 늘릴 수 있고, 그 결과, 실 강도, 섬유의 자외선 반사나 가시광선 투과 저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강성의 강함으로부터 보풀끼리의 엉킴을 약하게 하여, 항필링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에 있어서는, 적절한 크림프수는 8∼20개/25 mm이며, 크림프수가 많을수록 부피의 팽창이나 옷감 표면의 난반사가 많아지며, 바람직하게는 10개/25 mm 이상이다. 섬유 커트 길이는 32 mm에서부터 버어 커트까지 가능하며,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일반적으로는, 바람직한 범위는 방적사의 보풀수나 보풀 엉킴 정도, 질감, 실의 질의 면에서 길지 않은 쪽이 바람직하며, 32 mm에서 51 mm이다.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방적할 때는, 링 방적법에 의하지 않고, 오픈엔드, 결속 방적 등의 고속 공기 유체 교락사로 한다. 이들 방식은 링 방적사와 달리, 실 구조적으로 실 보풀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질감 경화는 피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방적 조건은 방적사의 질감, 벌키성, 항필링성을 손상하지 않는 조건으로 하고, 교락 정도가 증가하여 질감이 경화되는 높은 공기압 하에서의 저속 방출 속도 등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출된 방적사의 보풀수는, 실 길이 10 m당 길이 1 mm 이상의 보풀수가 30개 이상 350개 미만, 또 길이 3 mm 이상의 보풀수가 15개 미만이며, 각각의 보풀수가 300개 미만 10개 이하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섬유 단면 형상과 섬도를 특정하고, 고속 공기 유체에 의한 방적사로 함으로써, 보풀수가 적은 방적사가 가능하고, 각각의 보풀수가 350개 이상, 15개 이상이면 특히 스무스(smooth) 또는 파일(pile) 조직 등의 벌키하고 성긴 조직 등에 있어서는 충분한 항필링성을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1 mm 이상의 보풀수가 30개 미만이면 높은 교락도로 실 직경이 가는 방적사가 되어, 항필링성은 증가하지만, 벌키성이 뒤떨어지는 경화된 질감의 옷감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자외선 차폐율이 저하되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직물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폴리에스테르 방적사를 이용함으로써, 380∼780 nm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40% 이하, 280∼400 nm 파장 자외선 차폐율이 84% 이상, JIS L-1076(1992) A법에 있어서의 필링이 3급 이상이 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함유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다른 섬유와 혼방, 혼섬, 교연, 교직, 교편하여, 옷감 표층부에 이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많이 사용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고, 단독으로 이들 섬유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직물의 염색 가공은, 다른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마찬가지로, 정련한 후, 통상의 염색 가공이 실시된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는 120∼130℃의 고압 염색이, 양이온 가염 변성 폴리에스테르라면 98∼120℃의 상압 내지 고압 염색이 채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하지 않고서 마무리할 수 있지만, 통상보다 적은 양의 자외선 흡수제를 병용하더라도 좋다. 직물에 있어서는 통상과 같이, 염색 이전의 공정에서, 또는 염색한 후에 털 제거나 쉬어링 처리를 하더라도 좋고, 또한, 털 제거 후 가벼운 알칼리 처리를 하여 염색함으로써 옷감 품위, 항필링성, 질감을 개선하더라도 좋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비교예 모두 고유 점도 0.63의 폴리에스테르 레진을 이용하고, Y형 이형용, 중공용 및 중실용의 각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각각 폴리머 온도 290℃, 방사 속도 1600 m/분으로 방사한 후, 연신을 속도 140 m/분, 온도 112℃에서, 연신 배율은, Y형 이형 섬유는 2.34, 중공 섬유(환형, 삼각형, 田형 모두)는 2.84, 중실 섬유는 2.60으로 하여 행하여, 각각 38 mm 커트 길이, 크림프수 14개/25 mm 전후의 폴리에스테르 단섬유를 얻었다.
결속 방적은, 무라타기까이(주) 제조 무라타볼텍스스피너 MVS를 이용하여, 노즐압 0.45 MPa, 방출 속도 350 m/분으로 방적하였다. 단, 실시예 5는 방출 속도만을 400 m/분으로 하고, 비교예 6은 방출 속도만을 200 m/분으로 하였다. 비교예 1의 링 방적사는 연계수 3.2로 하여, 전점 모두 영식 면번수 30 번수를 얻었다. 편물의 스무스 조직은 22 게이지, 루프 길이 325 mm, 웰수 100이고, 천축은 28 게이지, 루프 길이 275 mm, 웰수 100으로 편립하였다. 또한, 옷감은 반으로 자르고, 웨트 처리한 후 건조하여, 180℃, 40초 동안의 중간 세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스무스, 천축 모두 각각 다른 배치로 고압 액류 염색기로 염색(130℃, 20분간, 형광 분산 염료 0.8% omf)하여, 환원 세정, 탈수 건조한 후, 160℃, 60초 동안의 마무리 세트를 행하였다.
또한, 편지(編地)의 측정 조건은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다.
(1) 자외선 차폐율과 가시광선 투과율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UV-3100PC 적분구 부속 장치 ISR-3100 적분구 내경 60 mmφ(자외선 밴드패스 필터 사용)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표준 백판 : 황산바륨
·자외선 차폐율 측정 파장 : 280 nm∼400 nm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 파장 : 380 nm∼780 nm
(2) 옷감 두께 : 다이얼식 두께 측정기로, 옷감을 2장 겹쳐, 옷감 중앙부를 길이 방향으로 5회 측정한 1장당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3) 필링 : JIS L-1076(1992) A법(ICI형 시험기 5 시간으로 판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4) 원면, 옷감의 평가 : 이하의 3 단계로 평가하였다.
○ : 양호, ○△ : 약간 양호, × : 불량.
직물의 자외선 차폐율이나 가시광선 투과율은, 일반적으로 섬유의 폴리머 특성, 섬유 형태(이형도, 단면 형상, 권축의 유무 및 많고 적음), 무기 입자의 종류와 함유율, 단사섬도, 사섬도나 꼬임 구조, 구조체의 밀도, 조직, 두께, 색상 등에 의해서 좌우된다.
이하의 표 1에, 얻어진 섬유와 이것을 이용한 천축 편물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원면 방적 편물 천축 종 합 결 과
단 면 형 상 이 형 도 중 공 률 (%) TiO2 (질량%) 섬도 (dtex) 방법 보풀수 (개/10 m) 필 링 두 께 mm 백 도 자외 선 차폐 율(%) 가시 광선 투과율(%)
길이 1 mm 길이 3 mm
실 시 예 1 Y형 2.4 - 0.4 1.6 결속 159 3 4-5 0.39 86.0 37.1
2 田형 - 38 (4공) 0.4 2.0 결속 170 4 5 0.39 87.6 36.4
3 田형 - 38 (4공) 0.9 2.0 결속 188 7 5 0.40 ○ △ 91.9 31.8
4 Y형 2.4 - 0.8 1.6 결속 171 6 4-5 0.40 ○ △ 91.3 32.8
5 Y형 2.4 - 0.4 1.6 결속 277 3 4 0.38 85.9 37.6
비 교 예 1 Y형 2.4 - 0.4 1.6 1655 203 2-3 0.37 87.9 32.3 ×
2 환형 - - (중실) 0.4 1.6 결속 177 4 4 0.32 79.9 43.0 ×
3 환형 - - (중실) 0.4 2.0 결속 153 6 4-5 0.33 77.8 47.2 ×
4 △형 1.4 - 0.4 1.6 결속 161 4 4-5 0.32 82.9 42.0 ×
5 환형 - - (중실) 3.5 2.0 결속 143 8 5 0.35 × 92.2 30.1 ×
6 Y형 2.4 - 0.4 1.6 결속 25 1 5 0.36 82.4 40.9 ×
실시예 1∼5는 보풀수가 적고, 필링은 천축은 물론 스무스 조직에 있어서도 4-5급 이상으로, 만족하는 레벨이다. 또한 비교예에 비하여, 옷감 두께(벌키성)가 있고, 자외선 차폐율도 높으며, 가시광선 투과율도 적다. 한편, 실시예 3 및 4는 산화티탄량은 약간 많지만, 백도, 따라서 발색성을 손상하는 것은 아니며, 비교예 5보다 충분한 백도를 얻고 있다. 비교예 1은 자외선 차폐율, 가시광선 투과율 모두 우수하지만, 보풀이 많고, 특히 스무스 조직에 있어서는 필링이 1-2급으로 불량이다. 비교예 2∼5는 보풀은 적고, 필링은 3급 이상이지만, 모두 자외선 차폐율, 가시광선 투과율이 뒤떨어진다. 이것은 섬유 간에 또는 금속과의 마찰이 크고, 섬유끼리가 교락되기 쉬우며, 또한 외관의 섬유 직경이 굵고, 부피가 커지기 쉬운 실시예 1∼5에 비하여, 옷감 두께가 뒤떨어지고, 또한 섬유 형태에 기인하는 표면 반사율이 적음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섬유 단면이 둥글거나 저이형도인 비교예 2∼5는 실시예 1, 4 및 5의 Y형 섬유가 쿠션성이 있는 소프트한 질감을 보인데 대하여, 옷감의 두께가 뒤떨어지고, 조경감(粗硬感)이 강한 경화된 질감의 옷감이었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에 비하여 보풀수가 증가했지만, 링사에 가까운 소프트한 질감을 보이고, 필링은 스무스이더라도 4급을 유지하고 있어, 충분한 성능을 갖춘 수준이었다.
비교예 6은 방적시의 사속(絲速)을 저속으로 한 수준이지만, 다른 수준에 비하여, 길이 1 mm 이상의 보풀수가 25개로 격감되어, 항필링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교락 정도가 강하기 때문에 질감은 자갈같은 느낌이 있는 경화된 질감이 되어, 실시예 1 및 4에서 보여지는 벌키, 소프트한 질감과는 전혀 느낌을 달리하는 것이며, 자외선 차폐율도 저하되고, 가시광선 투과율도 큰 편지가 되었다.
실시예는 모두 실용성 있는 항필링성과 발색성을 지니고, 풀달사와 근사한 자외선 차폐율이나 비침 방지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속 방적은 링 방적과 비교하여 보풀수가 적고 항필링성이 우수한 반면, 링사와는 다른 경화된 질감이 결점이며, 그 개선이 곤란했지만, 소프트한 질감을 지니고, 항필링성과 자외선 차폐성, 비침 방지성 및 발색성 등을 겸비하는 것은 본 발명의 구성요건을 만족하는 것뿐이다.
표 2에는, 표 1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재한 방적사를 사용하여, 조직을 스무스 조직으로 한 경우의 항필링성의 평가 결과에 관해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옷감 두께 (mm) 0.63 0.68 0.70 0.64 0.63 0.59 0.57 0.59 0.58 0.62 0.63
필링(급) 4-5 5 4-5 4-5 4 1-2 3 4 4 4-5 5
본 발명에 의해서, 소프트한 질감을 지니고, 항필링성과 자외선 차폐성, 비침 방지성 및 발색성 등을 겸비하는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이용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은, 셔츠, 블라우스, 캐쥬얼 니트, 골프 니트, 스웨터, 재킷, 팬츠, 스커트, 수영복, 언더웨어, 유니폼 등의 의복이나 모자, 우산, 스카프, 타월, 장갑, 커튼, 베개 커버, 쿠션 안감, 시트, 이불 안감, 기저귀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산화티탄 함유율이 1.0 질량% 미만이며 섬유 원주 상에 존재하는 3개 이상의 돌기부를 섬유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지니고, 섬유 단면의 이형도(내접원에 대한 외접원의 비)가 1.8 이상인 고이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또는 중공률 8% 이상의 중공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 교락 방적사로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섬도가 3.5 dtex 이하이고, 또한 상기 방적사의 실 길이 10 m당 보풀수가 길이 1 mm 이상이 30개 이상 350개 미만, 길이 3 mm 이상이 15개 미만인 공기 교락 방적사.
  2. 제1항에 기재한 공기 교락 방적사를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JIS L-1076(1992) A법에 있어서의 필링(pilling)이 3급 이상, 자외선 차폐율이 84% 이상, 가시광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함유 직물.
KR1020067016131A 2004-02-06 2005-01-25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KR200601293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0025 2004-02-06
JP2004030025A JP4461365B2 (ja) 2004-02-06 2004-02-06 エア交絡紡績糸及びそれを含む布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380A true KR20060129380A (ko) 2006-12-15

Family

ID=3483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131A KR20060129380A (ko) 2004-02-06 2005-01-25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61365B2 (ko)
KR (1) KR20060129380A (ko)
CN (1) CN1914363A (ko)
WO (1) WO2005075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768A (ja) * 2005-09-08 2007-03-22 Teijin Fibers Ltd 紡績糸および織編物
CN101230510B (zh) * 2007-08-29 2010-12-01 浙江恒逸集团有限公司 一种三色异彩涤纶花式复合纱及生产方法
CN100595361C (zh) * 2007-08-29 2010-03-24 浙江恒逸集团有限公司 一种多异多功能涤纶复合竹节纱及其生产方法
CN101608366A (zh) * 2009-08-03 2009-12-23 青岛联润翔进出口有限公司 中空纤维和再生纤维素纤维混纺纱线及使用此纱线的织物
JP5762084B2 (ja) * 2011-03-31 2015-08-12 ユニチカ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涼感性編地
JP5802176B2 (ja) * 2012-08-24 2015-10-28 東洋紡Stc株式会社 表面毛羽が少ない編物
US20160076173A1 (en) * 2013-03-27 2016-03-17 Toray Industries, Inc. Spun yarn and woven or knitted fabric
CN103255527A (zh) * 2013-05-23 2013-08-21 南通双弘纺织有限公司 一种超柔高导湿聚酯纱线的纺纱方法
JP7119391B2 (ja) * 2018-01-30 2022-08-17 東レ株式会社 結束紡績糸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織編物
US11359309B2 (en) 2018-12-21 2022-06-14 Target Brands, Inc. Ring spun yarn and method
CN111155214B (zh) * 2020-01-19 2022-06-10 绍兴国周纺织整理有限公司 一种多组份涡流纺膨体混纺纱线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4754B2 (ja) * 1993-09-30 2002-04-15 日本エステル株式会社 目ずれ防止効果を有する太細糸
JPH07109630A (ja) * 1993-10-05 1995-04-25 Nippon Ester Co Ltd 目ずれ防止効果を有する異収縮混繊糸
JPH0978382A (ja) * 1995-09-04 1997-03-25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複合糸条
JP3605925B2 (ja) * 1996-02-26 2004-12-22 東洋紡績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系マルチフィラメント複合糸および該複合糸を用いた織編物
JPH101834A (ja) * 1996-06-17 1998-01-06 Toyobo Co Ltd 複合結束紡績糸
JPH10102339A (ja) * 1996-09-30 1998-04-21 Toyobo Co Ltd 複合結束紡績糸の製造法
JPH1143838A (ja) * 1997-07-23 1999-02-16 Teijin Ltd シャイニー性の改善されたポリエステル二層構造糸およびその製造法
JP2003082540A (ja) * 2001-09-07 2003-03-19 Toray Ind Inc 仮撚加工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20478A (ja) 2005-08-18
WO2005075722A1 (ja) 2005-08-18
CN1914363A (zh) 2007-02-14
JP4461365B2 (ja)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9380A (ko) 공기 교락 방적사 및 이것을 포함하는 직물
US20050202741A1 (en) Woven or knit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9150745A1 (ja) 吸水速乾性織編物
JP2015010282A (ja) 遮熱性および放熱性に優れた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4122582B2 (ja) 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JP4143904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含有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3584A (ja) ポリエステル繊維含有織編物及びその製造法
JP5735377B2 (ja) 芯鞘型ポリエステル扁平断面繊維、および防透性を有する布帛
JP2016113714A (ja)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JP2012219396A (ja) 染色性に優れたカチオン可染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繊維集合体
JP2003328247A (ja) ポリエステル布帛
JPS6317926B2 (ko)
JP2002105796A (ja) 遮光性織物
JP6538340B2 (ja) 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JP4085312B2 (ja) ポリエステル繊維含有織編物及びその製造法
JP6321530B2 (ja) 透け防止性に優れた織編物
JP2008150728A (ja) 吸水速乾性織編物
JP4196260B2 (ja) 嵩高性短繊維織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9791B2 (ja) 吸水速乾性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1427A (ja) 交織織物
JP2005320654A (ja) 新規外観パイル布帛およびカーシート
JPH05272026A (ja) 吸水性織編物
KR100421920B1 (ko) 불투명성 중공섬유의 제조방법
JP2005344219A (ja) 肌着用編地
JP2012021245A (ja) 遮熱性編物および繊維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