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309B1 - 아날로그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309B1
KR101160309B1 KR1020090081523A KR20090081523A KR101160309B1 KR 101160309 B1 KR101160309 B1 KR 101160309B1 KR 1020090081523 A KR1020090081523 A KR 1020090081523A KR 20090081523 A KR20090081523 A KR 20090081523A KR 101160309 B1 KR101160309 B1 KR 101160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nalog display
light
light emitting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562A (ko
Inventor
손지영
정원석
Original Assignee
손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지영 filed Critical 손지영
Priority to KR102009008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309B1/ko
Priority to EP09171125A priority patent/EP2290481A1/en
Publication of KR2011002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04C17/02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by electric lamp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G04G9/0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 of which represent the time, e.g. by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by controlling light sources, e.g. electroluminescent diod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05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the hands carry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부재와; 상기 지시부재를 상기 정보에 따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는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표시 장치 {Analog displaying device}
본 발명은 아날로그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으로써 아날로그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지시부재를 사용자에게 직접 보여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시계의 경우, 시침, 분침, 초침으로 이루어진 지시 부재를 사용자가 시계 원주면의 다이얼에 기초하여 눈금을 읽어서 시간을 판독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시계의 경우, 시침, 분침, 초침의 바늘 본체의 단부가 다이얼의 어느 부분을 가리키는지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여야 하므로, 어두운 장소에서는 시계가 가리키는 시간 정보를 정확히 인식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개선된 시계의 경우, 시계의 시침, 분침, 초침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시계의 표시부에 빛을 조사하여 시계의 표시부를 밝게 하여 시간을 판독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다른 종래의 시계의 경우, 시침, 분침, 초침의 단부에 형광 물질을 도포하여 그 형광물질에서 방출되는 약한 광을 통하여 시계 다이얼의 눈금을 판독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계들의 경우, 시계 바늘 자체의 위치를 직접 육안으로 판독하여 시간을 인식하게 됨으로 인하여 시계 바늘이 작은 경우 판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디자인 측면에서 시계의 표시부가 복잡하게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아날로그 정보를 표시하는 지시부재(indicating member)을 보다 확대할 수 있으면서 심플하며 간결한 외관을 가진 아날로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날로그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광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두운 장소에서도 직관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부재와; 상기 지시부재를 상기 정보에 따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는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지시부재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지시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재들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발광부들은 각각의 상기 지시부재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발광부들의 광 조사 거리는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전방에서 볼 경우 상기 지시부재들을 커버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전방에서 볼 경우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발광부가 상기 지시부재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불투명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원주면에 배치되는 투명한 투과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부재가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방법의 경우, 회전의 정도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아날로그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정보는 서로 다른 물성치의 투영된 광으로 표시되며, 상기 물성치는 투영된 광의 조사거리, 투영된 광의 색상, 투영된 광의 조도, 투영된 광의 조사 폭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을 이용하여 매력적인 외관의 구비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정보의 전달이 직관적으로 간편하게 이루 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두운 곳에서도 아날로그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날로그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 조명 장치로서 주변을 간접적으로 부드럽게 조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수직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는 아날로그 정보를 표시하는 본체부(140)와 상기 본체부(140)에 조립 체결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아날로그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140)는 정보(예를 들어, 시간)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시부재(146, 148)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시부재(146, 148)은 각각 시계의 시침과 분침일 수 있다.
상기 구동 수단(144)은 본체부(140)의 베이스(142)에 장착된다. 상기 본체부(140)의 베이스(142)는, 전방에서 볼 경우, 예를 들어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본체부(140)의 베이스(142)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며 다각형 플레이트 또는 타원형의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상기 본체부(140)와 결합되는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부(140)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의 베이스(142)가 원형이며 상기 하우징(120)도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본체부(140)의 베이스(142)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이면 상기 하우징(120)도 이에 따라 다각형 또는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수단(144)은 상기 베이스(142)의 중심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수단으로부터 인출된 다중 샤프트에는 각각 지시부재(146, 148)들이 결합된다. 따라서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지시부재(146, 148)는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시간을 표시하는 시침 역할을 하는 지시부재(146)는 1시간에 1/12 회전하게 되며, 분을 표시하는 분침 역할을 하는 지시부재(148)는 1시간에 1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지시부재(146, 148)의 회전은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구동수단(14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144)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외부의 AC 전원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시부재(146, 148)의 일측 단부에는 발광부(146a, 148a)가 구비된다. 상기 지시부재(146, 148)의 타측 단부는 구동 수단(144)에서 인출되어 소정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다중 샤프트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발광부(146a, 148a)는 상기 구동수단(144)과 동일한 전원에 연결되어 발광할 수도 있고 구동수단(144)과 별도의 전원에 의해 발광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0)은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벽에 장착하여 전방에서 볼 경우 사용자에게 최전방에 노출되는 커버부(122)와 상기 커버부(122)의 테두리를 따라 벽을 형성하는 투과부(124)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122)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122)는 광을 완전히 차단하는 소재보다는 소정의 수준의 광을 투과시키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과부(124)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과부(124)는 소정의 수준의 광을 투과시키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20)의 크기는 상기 본체부(14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를 전방에서 볼 경우 하우징(120)이 본체부(140)를 가리게 된다.
상기 베이스(142)의 표면에는 장착홈(152)이 형성되어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벽이나 소정의 장소에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42)에는 테두리를 따라 장착 슬롯(150)이 형성된다.
상기 투과부(124)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며, 투과부(124)의 일측 단부는 커버부(122)에 장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140)에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20)을 상기 본체부(140)에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20)의 투과부(124)의 개방된 단부의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126)는 상기 장착 슬롯(150)과 정렬될 수 있도록 상기 투과부(124)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상기 돌기부(126)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돌기부(126)의 연장방향(투과부(125)의 단부 원주방향)으로 추가로 돌출되어 형성된 잠금부(128)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128)의 폭은 상기 돌기부(126)의 폭보다 작 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126)를 상기 장착 슬롯(150)으로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120)을 회전시키면 상기 잠금부(128)가 상기 장착 슬롯(150)의 내부 공간에서 베이스(142)의 배면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하우징(120)과 상기 본체부(140)는 서로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부(140)의 지시부재들이 회전하는데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시부재(146, 148)에 각각 형성된 발광부(146a, 148a)는 지시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므로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전방에서 볼 경우 지시부재의 단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면서 동시에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도 2에서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광을 조사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발광부(146a, 148a)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전방(도 2에서 좌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는 광을 집광시켜 조사할 수 있는 집광형 발광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46a, 148a)는 LED 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발광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부(146a, 148a)는 광을 모아주는 집광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146a, 148a)에서 조사되는 광은 상기 하우징(120)의 투과부(124)를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140)의 베이스(142) 방향으로 경사지게 투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부재(146, 148) 자체가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후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단부에 발광부(146a, 148a)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은 결과적으로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광을 조사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부재(146, 148) 자체가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전방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단부에 발광부(146a, 148a)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빛은 결과적으로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광을 조사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발광부(146a, 148a) 자체는 광을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조사하지 않지만, 상기 투과부(124)를 통과하면서 광의 경로가 수정되어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광이 조사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시부재(146, 148) 중 제 1 지시부재(146)는 시간을 표시하는 시침 역할을 하고, 제 2 지시부재(148)는 분을 표시하는 분침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 1 지시부재(146)와 제 2 지시부재(148) 각각에 설치된 발광부(146a, 148a)에서 조사되어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투영되는 광을 서로 구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지시부재(146)의 발광부(146a)에 의해 조사되어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면으로 투영되는 광을 제1 투영광(L1: 도 4 참고)이라 지칭하고 제 2 지시부재(148)의 발광부(148a)에 의해 조사되어 아날로그 표시장치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투영되는 광을 제 2 투영광(L2: 도 4 참고)이라 지칭한다.
제 1 투영광(L1) 및 제 2 투영광(L2)를 구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는 투영광의 조사 거리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광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부재(146) 및 제 2 지시부재(148)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발광부(146a, 148a)들은 각각의 지시부재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후방(또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도 3은 발광부의 조사 각도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제 1 지시부재(146)의 단부에 발광부(146a)가 배치되며, 제 1 지시부재(146)의 발광부(146a)의 본체(146b)는 고정수단(146c)에 의해 제 1 지수부재(146)에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 지시부재(146)의 발광부(146a)는 상기 제 1 지시부재(146)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α1)으로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편, 제 2 지시부재(148)의 단부에 발광부(148a)가 배치되며, 제 2 지시부재(148)의 발광부(148a)의 본체(148b)는 고정수단(148c)에 의해 제 2 지수부재(148)에 소정의 각도로 고정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지시부재(148)의 발광부(148a)는 상기 제 2 지시부재(148)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α2)으로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여기서, 시침으로 기능하는 상기 제1 지시부재(146)의 발광부(146a)의 경사각(α1)이 분침으로 기능하는 상기 제 2 지시부재(148)의 발광부(148a)의 경사각(α2)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고려하면, 발광부의 경사각의 차이로 인하여 제 1 지시부재(146)의 발광부(146a)에서 조사되어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투영되는 제 1 투영광(L1)은 투영되는 조사 거리가 짧게 표현되고, 제 2 지시부재(148)의 발광부(148b)에서 조사되어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투영되는 제 2 투영광(L2)의 투영되는 조사 거리는 제 1 투영광보다는 상대적으로 길게 표현된다.
시계의 시침은 분침보다 짧은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사 거리가 짧은 제 1 투영광(L1)을 직관적으로 시침으로 인식하게 되고, 조사 거리가 긴 제 2 투영광(L2)를 직관적으로 분침으로 인식하게 된다.
회전의 정도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정보가 시각인 경우, 시침과 분침을 표현하는 투영된 광들을 구별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투영된 광의 조사 거리 외에도, 투영되는 광의 색상을 서로 달리하거나, 투영되는 광의 조도를 서로 달리하거나, 투영되는 광의 조사 폭을 서로 달리하여 지시부재에 대응되는 투영광을 구별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지시부재(146, 148) 및 상기 지시부재에 부착된 발광부(146a, 148a) 자체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의 하우징(120)의 커버부(122)와, 상기 커버부(122)의 테두리 밖으로 노출된 투영광(L1, L2)만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발광부(146a, 148a )는 상기 투영광(L1, L2)이 커버 부(122)의 테두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지시부재(146, 148)에 대하여 경사지게 광을 조사한다. 발광부(146a, 148a)의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투영광의 투영된 조사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결국 투영광(L1, L2)의 길이 또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광 조사 경로에 소정의 그림자를 형성하는 광차단부를 배치하여 투영광(L1, L2)에 소정의 기호 또는 심벌에 대한 그림자를 표시할 수 있다.
광은 회절 성질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커버부(122)의 테두리 주변부가 전반적으로 간접적으로 조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100) 자체는 우수한 미관의 조명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 표시 수단은 시계뿐만 아니라 각종 계기판 또는 상태 표시판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식의 표시 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라 취한 수직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발광부의 조사 각도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아날로그 표시 장치 120: 하우징
122: 커버부 124: 투과부
126: 돌기부 128: 잠금부
140: 본체부 142: 베이스
144: 구동수단 146, 148: 지시부재
146a, 148a: 발광부 150: 슬롯
L1, L2: 투영광

Claims (9)

  1. 정보를 나타내며, 길이가 상이한 적어도 두개의 지시부재와;
    상기 지시부재를 상기 정보에 따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재의 단부에 장착되는 발광부와,
    전방에서 볼 경우 상기 지시부재들을 커버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불투명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원주면에 배치되는 투명한 투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과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수정하여 광이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조사되도록 하고,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를 전방에서 볼 경우 상기 발광부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지시부재에 대하여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지시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부재들의 단부에 각각 배치된 발광부들은 각각의 상기 지시부재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들의 투영된 광 조사 거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재가 상기 아날로그 표시 장치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표시 장치.
  9. 삭제
KR1020090081523A 2009-08-31 2009-08-31 아날로그 표시 장치 KR10116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23A KR101160309B1 (ko) 2009-08-31 2009-08-31 아날로그 표시 장치
EP09171125A EP2290481A1 (en) 2009-08-31 2009-09-23 Analo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523A KR101160309B1 (ko) 2009-08-31 2009-08-31 아날로그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562A KR20110023562A (ko) 2011-03-08
KR101160309B1 true KR101160309B1 (ko) 2012-06-26

Family

ID=4138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523A KR101160309B1 (ko) 2009-08-31 2009-08-31 아날로그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290481A1 (ko)
KR (1) KR101160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5116B2 (ja) 2012-03-15 2014-03-0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その粉体収納容器から現像剤を補給する粉体補給装置、およびそれが搭載される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0A (en) * 1979-06-17 1981-01-07 Terubumi Honjo Light beam clo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48443A (en) * 1934-12-06 1936-06-08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ethods of illuminating pointers
JPS54137066U (ko) * 1978-03-15 1979-09-22
US5751662A (en) * 1997-01-28 1998-05-12 Shaw; Sen-Yen Illuminating timepiece
GB2421809A (en) * 2004-12-29 2006-07-05 Stanley Kuo Electric Power Supply Mechanism on Spinning Indicators such as hands for timepie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70A (en) * 1979-06-17 1981-01-07 Terubumi Honjo Light beam c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562A (ko) 2011-03-08
EP2290481A1 (en)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0201B2 (ja) 照明文字盤及び指針を備える計器
JP6004489B2 (ja) 照明付き時計装置
ES2504490T3 (es)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para un automóvil con una aguja indicadora basculante que posee una primera y/o una segunda área de guía de ondas ópticas
JP2017512983A (ja) 発光インジケータ付きセンサ
CN104723933A (zh) 杯子架
KR101160309B1 (ko) 아날로그 표시 장치
JP2008311056A (ja) 表示装置
JP6652544B2 (ja) メー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メータユニット
JP3714640B2 (ja) 計器装置
JP4698187B2 (ja) 文字板及びこれを用いたメータ装置
JP5919756B2 (ja) 計器装置
JP5911146B2 (ja) 時計文字板の照明構造
JPH10318801A (ja) 計器の照明装置
JP6020048B2 (ja) 計器装置
JP4733087B2 (ja) 遊技機の電飾装置
JP2006149842A (ja) 検眼装置
JP4854564B2 (ja) 照明装置
JP2007052031A (ja) 車両用指針計器
JP3818229B2 (ja) 指針照明構造
JP2005241528A (ja) 計器装置
CN210129449U (zh) 旋钮开关和取暖器
JP2015031547A (ja) 照明付き時計装置の指針
JP2007278800A (ja) 計器装置
JP2004198241A (ja) 計器
JP2006113024A (ja) 指針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