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022B1 -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 Google Patents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022B1
KR101159022B1 KR1020100133348A KR20100133348A KR101159022B1 KR 101159022 B1 KR101159022 B1 KR 101159022B1 KR 1020100133348 A KR1020100133348 A KR 1020100133348A KR 20100133348 A KR20100133348 A KR 20100133348A KR 101159022 B1 KR101159022 B1 KR 101159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ain
wind
roof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섭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60J3/005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2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moving objects, e.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에 차량 지붕에 설치되어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리개를 전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가리개에 사용되는 구동모터 및 전자석 등에 사용되는 공급전원을 풍력발전장치에 이루어지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 지붕에 비가리개 몸체가 설치되어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리개에 있어서, 상기 비가리개 몸체의 일측에 통풍로를 형성하고 그 통풍로 상에 회전팬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장치에서 발전된 전원이 축전지에 축전되도록 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비가리개 몸체의 하부에 영구자석 및 전자석이 병행 설치되어 차량 지붕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Automobile with a rainvisor using wind force}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천시에 차량 지붕에 설치되어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리개를 전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비가리개에 사용되는 구동모터 및 전자석 등에 사용되는 공급전원을 풍력발전장치에 이루어지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자동차에 타거나 내리는 동안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시간만큼 비에 젖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비가 올 때 비를 차단하여 사람의 탑승을 좀 더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차단막이 구비된 비가리개를 설치하고 이렇게 설치된 비가리개의 차단막은 일련의 제어과정을 거쳐 외부로 인출되고 비가 내릴 때 떨어지는 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되 차량 지붕위에 설치된 비가리개의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들이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모터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은 차량 내부의 전원 또는 건전지(밧데리)를 내장시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 내부의 전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차량 지붕에 설치되는 비가리개에 전원을 공급할 전원선의 연결하기 위해서는 차량 외관이 손상될 염려가 있고, 건전지(밧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전지의 소모로 인한 교체 등에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비가리개를 차량 지붕에 고정설치하는 경우에 개조작업이 필요하고 외관상 보기 좋지 않으므로 활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차량 지붕에 영구자석으로 비가리개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부착수단을 구비하도록 한바 있으나, 영구자석은 탈착이 가능한 자력을 갖도록 한 것이므로 차량의 고속주행시에 비가리개가 이탈될 수 있고 자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탈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영구자석에 의한 부착으로는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에는 비가리개의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들이기 위한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어선을 차량 내부로 인출해야 하므로 차량의 손상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무선 제어수단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제조비용이 추가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설치되는 비가리개 몸체에 풍력발전수단을 구비하여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가리개 몸체는 영구자석과 함께 전자석으로 차량 지붕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고속주행시에도 안정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지붕에 비가리개 몸체가 설치되어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리개에 있어서, 상기 비가리개 몸체의 일측에 통풍로를 형성하고 그 통풍로 상에 회전팬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장치에서 발전된 전원이 축전지에 축전되도록 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비가리개 몸체의 하부에 영구자석 및 전자석이 병행 설치되어 차량 지붕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비가리개 몸체의 형성된 공간부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되게 한 권취롤러에 차단막이 권취되어 개구부를 통해 차단막이 외부로 수평 인출이 되는 형태로 펼쳐지거나 권취롤러에 감기도록 하되 상기 구동모터는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비가리개 몸체 일측에 작동버튼이 구비되어 작동버튼으로 구동모터를 수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가 올 때 비를 차단하여 사람의 탑승을 좀 더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차단막이 구비된 비가리개를 설치하되 비가리개 몸체에 형성된 통풍로 상에 회전팬이 설치되어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장치에서 발전이 이루어져서 비가리개 몸체에 사용되는 모든 작동부재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 손상의 우려 없이 매우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가리개 몸체는 하부에 영구자석 및 전자석이 병행 설치되어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영구자석은 전자석의 자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비가리개 몸체가 차량 지붕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어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자석은 차량의 고속 주행시에도 강한 자력으로 비가리개 몸체가 차량 지붕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단막은 구동모터에 의해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되 구동모터는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차단막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를 차량 지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에서 차단막이 펼쳐진 상태의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의 평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의 전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의 일부 절개 측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차량 지붕에 비가리개 몸체(10)가 설치되어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차단막(20)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리개에 있어서, 상기 비가리개 몸체(10)의 일측에 통풍로(14)를 형성하고 그 통풍로(14) 상에 회전팬(32)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장치(34)에서 발전된 전원이 축전지(36)에 축전되도록 한 전원공급수단(30)이 구비되고, 상기 비가리개 몸체(10)의 하부에 영구자석(16) 및 전자석(18)이 병행 설치되어 차량 지붕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20)은, 비가리개 몸체(10)의 형성된 공간부(12)에 설치된 권취롤러(24)에 차단막(20)이 권취되어 개구부(12a)를 통해 외부로 수평 인출이 되는 형태로 펼쳐지거나 권취롤러(24)에 감기도록 하고, 상기 권취롤러(24)는 일측에 구동모터(26)가 구비되어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단막(20)은 방수천 등으로 구비하고 선단부에 안쪽으로 완전히 감기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20a)을 구비하되 차단막(20)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단막(20)의 양측에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6)는, 정역모터로 이루어지되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4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충격센서(40)에 의해 차량이 출발하여 주행이 이루어질 때는 외부로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의 차단막(20)을 감아들일 수 있도록 하고 차량에서 운전자가 내리기 위해 차량의 엔진 시동이 꺼진 상태가 되면 차단막(20)이 외부로 인출되어 펼친상태가 되도록 하여 비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진동이라 함은 차량의 엔진진동에 해당되는 되고, 이러한 엔진의 진동을 충격센서(40)로 감지하되 충격센서(40)는 일반적으로 진동을 감지하는 주지의 진동센서를 적용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구동모터(26)는, 비가리개 몸체(10) 일측에 작동버튼(28)이 구비되어 작동버튼(28)으로 구동모터를 수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차량 탑승전에 작동버튼(28)을 눌러 수동으로 차단막(20)을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비가리개 몸체(10)의 하부에 영구자석(16) 및 전자석(18)을 병행 설치하되 비가리개 몸체(10)의 길이방향 하부 중앙에는 영구자석(16)을 설치하고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 전자석(18)을 설치하여 비가리개 몸체(10)의 양단을 전자석(18)의 자력으로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비가리개 몸체(10)를 영구자석(16)과 전자석(18)으로 차량 지붕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영구자석(16)은 전자석(18)의 자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비가리개 몸체(10)가 차량 지붕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어 설치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면서 비가리개 몸체(10)를 차량 지붕에 쉽게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자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자석(18)은 차량의 주행시에 강한 자력으로 비가리개 몸체(10)가 차량 지붕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 상기 전자석(18)은 차량의 주행이나 정차시에도 엔진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는 풍력 발전으로 충전된 전기로 유도된 자력을 발생시켜 비가리개 몸체(10)을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하차하기 위해 차량 시동이 꺼진 상태가 되면 전자석(18)은 전원이 차단되어 자력을 잃도록 하여 영구자석(16)의 자력으로만 부착된 비가리개 몸체(10)를 차량의 지붕에서 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가 올 때에만 비가리개를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26) 및 충격센서(40) 및 전자석(18)은 동작은 제어부(50)에 의해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비가리개 몸체(10)에 구비된 모든 작동부재의 전원공급은 통풍로(14)에 회전팬(32)에 의해 발전되는 발전장치(34)에 의해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도록 한 전원공급수단(30)을 갖되 상기 전원공급수단(30)에 구비된 축전지(36)는 발전장치(34)에서 발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축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사용자가 비가리개를 구입한 처음에는 차량 주행풍을 이용한 축전이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일반 외부전원(건전지 등)을 통해서 비가리개 몸체(10)의 모든 작동부재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비가 올 때 비를 차단하여 사람의 탑승을 좀 더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차단막이 구비된 비가리개를 설치하되 비가리개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영구자석(16)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비가리개 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작동버튼(28)을 눌러 수동으로 차단막(20)이 외부로 수평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단막에 의해 비를 피하면서 차량에 탑승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엔진시동이 걸리면서 주행을 하는 경우에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40)에 의해 펼쳐진 상태의 차단막(20)은 권취롤러(24)에 감기면서 비가리개 몸체(10)에 형성된 공간부(12)에 차단막(20)을 감아 들여서 주행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20)이 감아 들여짐과 아울러 전자석(18)은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전자석(18)의 강한 자력에 의해 비가리개 몸체(10)를 차량 지붕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차량 주행시에 비가리개 몸체(1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에도 전자석(18)의 자력으로 비가리개 몸체(10)가 차량 지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차단막(20)이 비가리개 몸체(10)의 공간부(12)에 감아 들여진 상태로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에 비가리개 몸체(10)의 통풍로(14) 상에 설치된 회전팬(32)은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이를 발전장치(34)에 전달하여 발전장치(34)에서 발전이 이루어져서 축전지(36)에 축전이 된다.
즉,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한 발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모터(26) 및 충격센서(40) 및 전자석(18), 제어부(50) 등을 포함하는 모든 작동부재의 구동 및 제어에 필요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이 목적지에 도달하여 엔진 시동이 꺼지는 경우에는 차량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40)에 의해 비가리개 몸체(10)의 공간부(12)에서 권취롤러(24)에 감긴 차단막(20)을 외부로 인출시켜 차량의 하차시에 비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가리개 몸체(10)에 구비된 작동버튼(28)을 눌러 외부로 인출된 차단막(20)을 감아 들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비가리개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된 전자석(18)은 전원이 차단되어 자력이 없는 상태가 되고 영구자석(16)으로만 비가리개 몸체(10)가 차량 지붕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쉽게 탈착하여 필요시에만 부착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비가리개 몸체 12 : 공간부
12a : 개구부 14 : 통풍로
16 : 영구자석 18 : 전자석
20 : 차단막 20a : 걸림턱
22 : 가이드부재 24 : 권취롤러 26 : 구동모터 28 : 작동버튼
30 : 전원공급수단 32 : 회전팬 34 : 발전장치 36 : 축전지 40 : 충격센서 50 : 제어부

Claims (7)

  1. 차량 지붕에 비가리개 몸체(10)가 설치되어 비를 막아 줄 수 있는 차단막(20)을 펼치거나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는 비가리개에 있어서,
    상기 비가리개 몸체(10)의 일측에 통풍로(14)를 형성하고 그 통풍로(14) 상에 회전팬(32)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주행풍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발전장치(34)에서 발전된 전원이 축전지(36)에 축전되도록 한 전원공급수단(30)이 구비되고,
    상기 비가리개 몸체(10)의 하부에 영구자석(16) 및 전자석(18)이 병행 설치되어 차량 지붕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은, 비가리개 몸체(10)의 형성된 공간부(12)에 설치된 구동모터(26)에 의해 회동되게 한 권취롤러(24)에 차단막(20)이 권취되어 개구부(12a)를 통해 차단막(20)이 외부로 수평 인출이 되는 형태로 펼쳐지거나 권취롤러(24)에 감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20)은 방수천 등으로 구비하되 차단막(20)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차단막(20)의 양측에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2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6)는, 정역모터로 이루어지되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충격센서(4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센서(40)는, 차량이 출발하여 주행이 이루어질 때는 외부로 인출되어 펼쳐진 상태의 차단막(20)을 감아 들일 수 있도록 하고 차량에서 운전자가 내리기 위해 차량의 엔진 시동이 꺼진 상태가 되면 차단막(20)이 외부로 인출되어 펼친 상태가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6)는, 비가리개 몸체(10) 일측에 작동버튼(28)이 구비되어 작동버튼(28)으로 구동모터를 수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18)은 차량의 주행이나 정차시에도 엔진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는 자력을 발생시키고 차량 엔진시동이 꺼진 상태가 되면 자력을 잃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KR1020100133348A 2010-12-23 2010-12-23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KR10115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48A KR101159022B1 (ko) 2010-12-23 2010-12-23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348A KR101159022B1 (ko) 2010-12-23 2010-12-23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022B1 true KR101159022B1 (ko) 2012-06-21

Family

ID=4668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348A KR101159022B1 (ko) 2010-12-23 2010-12-23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063B1 (ko) * 2016-05-10 2017-05-16 태양정밀공업(주) 차량용 차광장치
KR20220087707A (ko) * 2020-12-18 2022-06-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 가림 차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502A (ja) 1997-01-28 1998-08-11 Hikoshichi Takahashi 風力発電装置付き車両
JP2002029263A (ja) 2000-07-14 2002-01-29 Haiberu:Kk 自動車用雨よけ装置
KR20070111781A (ko) * 2006-05-19 2007-11-22 석재호 차량용 비가리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502A (ja) 1997-01-28 1998-08-11 Hikoshichi Takahashi 風力発電装置付き車両
JP2002029263A (ja) 2000-07-14 2002-01-29 Haiberu:Kk 自動車用雨よけ装置
KR20070111781A (ko) * 2006-05-19 2007-11-22 석재호 차량용 비가리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063B1 (ko) * 2016-05-10 2017-05-16 태양정밀공업(주) 차량용 차광장치
KR20220087707A (ko) * 2020-12-18 2022-06-27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 가림 차양
KR102544613B1 (ko) * 2020-12-18 2023-06-1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 가림 차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9479B2 (en) Automated sunshade
US9610834B2 (en) Vehicle cover device
KR101725027B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KR101125841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KR101159022B1 (ko) 풍력을 이용한 차량용 비가리개
JP3132438U (ja) 遮蔽装置
KR101262648B1 (ko) 탄성 롤블라인드와 차양각도 조절암이 결합된 모터작동식 차창외부 덮개장치
CN104442325B (zh) 全自动遮阳气罩
KR101402298B1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ES2884780T3 (es) Vehículo automóvil provisto de un sistema de cubierta de protección
CN212499841U (zh) 汽车防晒降温装置
KR200483008Y1 (ko) 자동차용 서리 방지장치
JP2009234554A (ja) 自動車乗り降り時の雨濡れを防止する拡縮式雨除け傘
KR200466843Y1 (ko) 자동차용 블라인드
CN108674154B (zh) 一种汽车挡风玻璃遮阳装置
JP2013199197A (ja) 窓ガラスカバー
JP3125487U (ja) 自動車の雨よけとまびさし装置
CN108068600B (zh) 一种车用防雨置伞系统
KR200171561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KR200433237Y1 (ko) 자동차용 비가리개
KR102087730B1 (ko) 자동차용 우산
KR102544613B1 (ko) 차량용 비 가림 차양
KR20130018389A (ko) 자동차용 우산
KR200430949Y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KR200495759Y1 (ko) 차량 햇빛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