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855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855B1
KR101157855B1 KR1020100004239A KR20100004239A KR101157855B1 KR 101157855 B1 KR101157855 B1 KR 101157855B1 KR 1020100004239 A KR1020100004239 A KR 1020100004239A KR 20100004239 A KR20100004239 A KR 20100004239A KR 101157855 B1 KR101157855 B1 KR 10115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ove
region
arm portion
low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428A (ko
Inventor
시로 스나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접속부의 영역에 대응하여 광폭부를 형성하면서도, 단자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규제함으로써 플럭스 상승을 양호하게 억제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 유지홈 (13, 14) 은, 연결부 (23, 33), 상아암부 (21, 31) 의 피연결역 (21A, 31A) 및 접속부 (22D, 32B) 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단자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의 제 1 홈역 (A, A') 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 (20, 30) 의 상기 제 1 영역 외로서 상기 상아암부 (21, 31) 및 상기 하아암부 (22, 32) 중 일방에 대하여 2 지점 그리고 타방에 대하여 1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홈역 (A, A') 보다 작은 홈 내폭 치수로 그 제 2 영역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홈역 (B, B') 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그 특허문헌 1 에는, FPC 나 FFC 등의 평형 도체 (평판 형상 케이블) 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금속판을 대략 H 자 형상으로 타발(打拔) 가공하여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서로 판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그 하우징에 압입 유지되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각각 복수 갖는 단자군과, 그 하우징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갖고 있다. 그 액츄에이터는, 하우징에 대한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된 평형 도체에 대하여 단자의 접촉부 (콘택트부) 가 접압(接壓) 을 갖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그 액추에이터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중 일방의 단자, 예를 들어 제 2 단자는, 평형 도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 그리고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있다.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는, 연결부와 연결되는 그 상아암부 그리고 하아암부의 영역을 피연결역으로 하고 있다. 하아암부는, 삽입된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가 상기 삽입 방향의 일단측에,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테일부) 가 타단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아암부에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일단측에, 액추에이터 축부의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작동 레버부가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단자에서는, 평형 도체가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하면, 단면이 타원 형상을 이루는 그 액추에이터의 상기 축부에 의해 작동 레버부가 밀려 올라가고, 연결부가 탄성 변형됨과 함께 상아암부 전체가 지렛대 상에서 회전 운동한다. 이 결과, 상아암부의 접촉부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평형 도체의 상면에 형성된 도전선과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 제 1 단자도, 접속부가 타단측이 아니라 일단측, 즉 케이블 지지부측의 단부(端部) 에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는 제 2 단자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이하 「단자군」이라고 총칭한다) 를 그 단자의 판면에서 각각 유지하는 슬릿 형상의 제 1 단자 유지 오목부 및 제 2 단자 유지 오목부 (이하 「단자 유지 오목부」라고 총칭한다) 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제 2 단자 유지 오목부는, 그 제 2 단자의 상아암부에 있어서 연결부보다 접촉부측의 영역, 하아암부에 있어서 연결부보다 케이블 지지부측의 영역, 접속부의 영역 각각에 대응하여 협폭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협폭부의 홈폭 (단자 판두께 방향의 폭) 치수는 단자의 판두께 치수에 근사하고, 그 협폭부의 내면과 단자의 외면 사이의 간극 치수는 제로 또는 극히 미소하게 되어 있다. 그 협폭부에 의해, 상기 제 2 단자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규제되어, 그 제 2 단자는 동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가져와져 있다.
또한, 그 밖의 영역으로서 접속부에 인접하는 부분부터 연결부를 거쳐 상아암부의 상기 피연결역까지 도달하는 영역은 광폭부 혹은 절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폭부의 폭 치수는 단자의 판두께 치수보다 충분히 크게 되어 있고, 그 광폭부에서는 단자에 대하여 협폭부보다 큰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단자의 판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그 광폭부의 내벽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는 제 2 단자 유지 오목부의 양 측벽부를 관통하고, 그 절결부에 있어서도 단자에 대하여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아암부의 접속부가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었을 때, 용융된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협폭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접속부의 판면을 따라 그 협폭부 내를 상승해도, 그 협폭부에 인접하는 광폭부에서는 그 광폭부의 내벽면과 단자의 판면 사이에 충분한 간극이 있어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플럭스는 그 광폭부 내를 이동하는 경우가 없어, 그 플럭스의 그 이상의 진입이 저지된다. 특허 문헌 1 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플럭스의 진입, 이른바 플럭스 상승을 저지함으로써, 그 플럭스가 연결부를 거쳐 상아암부의 영역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 상아암부의 회전 운동을 확보하게 한다. 제 1 단자를 유지하는 제 1 단자 유지 오목부도 제 2 단자 유지 오목부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87398호
플럭스 상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래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자 유지 오목부는, 플럭스 상승의 방지라는 관점에서는, 회로 기판과의 땜납 접속 부분인 상기 접속부의 영역에 대해서도 광폭부를 형성하여 그 접속부의 둘레에 간극을 형성해 두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상기 접속부의 영역에 대응하는 광폭부가 형성되면, 판두께 방향에서의 단자의 유지 위치 정밀도의 관점에서는, 상아암부에 있어서 연결부보다 접촉부측의 영역 및 하아암부에 있어서 연결부보다 케이블 지지부측의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2 개의 협폭부만으로밖에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판두께 방향에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광폭부 내에 있어서 판두께 방향에서의 단자의 자세는 불안정해지기 쉽다.
예를 들어 단자 압입시에 그 단자가 판면 방향에서 약간 어긋난 자세로 단자 유지 오목부에 압입되었을 경우, 혹은 단자에 휨 등의 변형이 있었을 경우, 폭 치수가 큰 상기 광폭부 내에 있어서는, 상기 어긋난 자세나 변형이 허용되어 그 자세가 그대로 남아 버린다. 이 결과, 예를 들어 광폭부 내에 있어서의 단자 부분 전체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경사 혹은 변형 (이하 「흔들림」이라고 한다) 이나, 상아암부와 하아암부가 판두께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비틀리는 변형 (이하 「비틀림」이라고 한다) 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폭부 내에서 단자가 판두께 방향으로 어긋나면, 그 단자 일방의 판면이 광폭부의 내벽면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접속부의 영역에 대응하여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었다고 해도, 상기 흔들림이나 비틀림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접속부의 땜납 접속에 의해 발생한 플럭스는 광폭부 내에 있어서 광폭부의 내벽면과 접촉되어 버린 단자의 판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광폭부 내를 이동하는 플럭스는, 최종적으로는 연결부를 거쳐 상아암부에 도달한다. 이 결과, 그 상아암부가 플럭스를 통해 단자 유지 오목부의 내벽면에 접착된 상태가 되어, 그 상아암부의 가동성이 현저하게 저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아암부의 접촉부까지 플럭스가 도달한 경우에는, 그 접촉부와 케이블 사이에 전기적 접촉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접속부의 영역에 대응하여 광폭부를 형성하면서도, 단자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규제함으로써 플럭스 상승을 양호하게 억제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전기 절연체로 제조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유지홈에서 압입 유지되고 평형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제조되어 있고, 병설(竝設) 된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와,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양 아암부의 피연결역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상기 단자 유지홈에 의해 유지되고,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상아암부는, 평형 도체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그 평형 도체의 삽입측인 일단측에 갖고 있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지홈은, 상기 연결부, 상기 상아암부의 피연결역 및 접속부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단자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의 제 1 홈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제 1 영역 외로서 상기 상아암부 및 상기 하아암부 중 일방에 대하여 적어도 2 지점 그리고 타방에 대하여 적어도 1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홈역보다 작은 홈 내폭 치수로 그 제 2 영역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홈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 중 일방에 대하여 적어도 2 지점 그리고 타방에 대하여 적어도 1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홈역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단자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적어도 3 지점에서 규제되기 때문에, 비록 접속부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제 1 홈역이 플럭스 상승 방지를 위해서 광폭으로 되어 있어도 판두께 방향에서의 그 단자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정규 위치에 유지된다. 이 결과, 단자의 흔들림이나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제 1 영역의 판면과 제 1 홈역의 내벽면 사이에 정규 폭의 간극이 확보된다. 따라서, 그 간극에서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어, 그 제 1 영역에서의 플럭스 상승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단자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의 제 1 홈역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와 제 1 홈역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확보된다. 따라서, 그 접속부가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되어도 플럭스가 그 접속부를 따라 상승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플럭스 상승이 근본적으로 방지된다.
제 2 영역은, 제 1 영역 외로서 상아암부의 피연결역 및 하아암부의 피연결역의 적어도 일방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아암부의 피연결역은 제 1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하아암부의 피연결역은 제 1 영역에 포함되는 연결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이 상아암부의 피연결역 및 하아암부의 피연결역의 적어도 일방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그 제 1 영역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은 제 1 영역에 가까운 위치에서 규제되게 된다. 어긋남의 규제 위치가 그 제 1 영역에 가까운 만큼, 그 어긋남의 규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단자를 확실하게 정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제 2 영역은,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의 적어도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부에서의 접압을 높히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가압 부재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 사이에 배치되고 닫힘 위치에서 상아암부에 작용함으로써 평형 도체에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캠부를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는,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可撓) 분지 아암을 갖고, 그 분지 아암은,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접속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접속부와 그 피연결역 사이에서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는,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는,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그 분지 아암은,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상기 일단측에 접속부를 갖고,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단자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2 종의 단자로 이루어지고, 그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자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가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가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가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그 분지 아암이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가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접속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접속부와 그 피연결역 사이에서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고, 제 2 단자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가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가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가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그 분지 아암이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가 상기 일단측에 접속부를 갖고,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 영역 외에서 적어도 3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홈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자의 판면의 넓은 범위에 위치하는 상기 3 지점에서, 그 제 2 홈역에 의해 제 2 영역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을 규제함으로써, 제 1 홈역 내에서 제 1 영역을 확실하게 정규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제 1 영역의 판면과 제 1 홈역의 내벽면 사이에 정규 폭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플럭스 상승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 결과, 단자의 상아암부의 가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 상승에 의한 단자 표면 상태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단자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의 제 1 홈역을 형성함으로써, 그 제 1 영역의 판면과 제 1 홈역의 내벽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접속부가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될 때의 플럭스 상승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및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단자의 판면에 평행한 면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제 1 단자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1(B)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및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단자의 판면에 평행한 면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제 2 단자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2 는, 도 1(A), (B)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단자의 판면에 평행한 면에서 도시한 단면도로서, (A) 는 제 1 단자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 (B) 는 제 2 단자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3 은, 도 2(A), (B) 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단자 유지홈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 는 제 1 유지홈, (B) 는 제 2 유지홈을 나타낸다.
도 4 는, 제 1 홈역 및 제 2 홈역의 홈 내폭 치수를 단자의 판두께 치수와 비교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 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이하, 간단히 「커넥터」라고 한다) 와 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후술하는 제 1 단자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1(B) 는, 상기 커넥터 및 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를 나타내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 도시한 단면 사시도로서, 후술하는 제 2 단자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총칭하여 간단히 「단자」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대략 직육면체 외형을 이루는 합성 수지제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의 길이 방향으로 그 하우징 (10) 에 의해 배열 유지되는 금속제 복수의 단자 (20, 30) 와, 그 하우징 (10) 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합성 수지제 가압 부재 (40) 를 갖고 있다.
그 단자 (20, 30) 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타발 가공에 의해 제조되어 있고, 형상이 상이한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의 2 종의 단자로 이루어져 있다. 도 1(A) 및 도 1(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서로 판면이 평행하게 된 자세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도 1(A), (B) 에서, 화살표 A 방향에서 하우징 (10) 에 삽입되는 평형 도체 (P) 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FPC) 으로서, 삽입 방향 전방측 부분의 상면에는 보강판 (P1) 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평형 도체 (P) 는 각 단자 (20, 30) 에 대응하여 그 평형 도체 (P) 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응 회로부 (P2) 가 하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A) 는, 도 1(A)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의 단자의 판면에 평행한 면에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 1 단자 (20) 의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 2(B) 는, 도 1(B)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의 단자의 판면에 평행한 면에서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 2 단자 (30) 의 위치에서 도시한 단면을 나타낸다. 그 도 2(A), (B)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압 부재 (40) 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상기 하우징 (10) 은, 도 2(A), (B) 에서, 그 길이 방향, 즉 단자 배열 방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 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좌방으로 개구되는 오목부로서, 평형 도체 (P) 를 수용하는 수용부 (11) 를 갖고 있다. 그 수용부 (11) 는, 평형 도체 (P) 의 삽입 발출 방향 (좌우 방향) 에서 중간 위치까지 연장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단자 배열 범위에서 연통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하우징 (10) 은,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지면에 평행한 방향) 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 형상의 단자 유지홈이 그 단자 배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유지홈은, 도 2(A),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 1 단자 (20) 를 유지하는 제 1 유지홈 (13) 및 후술하는 제 2 단자 (30) 를 유지하는 제 2 유지홈 (14) 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제 1 유지홈 (13) 및 제 2 유지홈 (14) 은, 도 1(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의 단자 배열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유지홈 (13) 및 제 2 유지홈 (14) 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 1 유지홈 (13) 및 제 2 유지홈 (14) 을 총칭하여 「단자 유지홈 (13, 14)」이라고도 한다.
도 2(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유지홈 (13, 14) 은, 하우징 (10) 의 우방 부분에서 상반부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통하고, 상방으로 개구되는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12) 을 형성한다. 바꿔 말하면, 단자 유지홈 (13, 14) 은, 좌반부에 위치하는 상벽 (15) 의 내면을 따른 부분 (이하 「상측 홈부」라고 한다), 저벽 (16) 의 내면을 따른 부분 (이하 「하측 홈부」라고 한다) 및 좌우 방향 중간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부분 (이하 「연결 홈부」라고 한다)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0) 의 상벽 (15) 의 우측부에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그 단자 유지홈 (13, 14) 의 위치에 그 단자 유지홈 (13, 14) 의 일부를 이루는 홈부 (13A, 14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벽 (15) 의 가장자리부는, 도 1(A), (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빗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홈부 (13A, 14A) 는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12) 과 연통한다. 또한, 단자 유지홈 (13, 14) 의 폭 치수 (단자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홈 치수) 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단자 유지홈 (13) 에 있어서, 저벽 (16) 의 좌단(左端)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벽(立壁) (17)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입벽 (17) 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고정부 (22B-1) 가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에서 압입되는 고정 홈부 (17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유지홈 (14) 에 있어서, 저벽 (16) 의 우단(右端) 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입벽 (18)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입벽 (18) 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고정부 (32E) 가 압입되는 고정 홈부 (18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는, 그 가장자리부 일부의 판두께면에서 하우징 (10) 의 제 1 유지홈 (13) 내에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그 제 1 단자 (20)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로 병설된 상아암부 (21) 및 하아암부 (22) 가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23) 에 의해 연결된 대략 가로 H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아암부 (21) 는, 연결부 (23) 와 연결되어 있는 영역인 피연결역 (21A) 으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압 아암부 (21B) 를 갖고 있다. 그 가압 아암부 (21B) 의 좌단에는 하방을 향하여 수용부 (11) 내로 돌출되는 가압부 (21B-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가압부 (21B-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피연결역 (21A) 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아암부 (21) 가 지렛대 형상으로 경사짐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어, 수용부 (11) 내에 삽입된 평형 도체 (P) (도시 생략) 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상아암부 (21) 는, 상기 피연결역 (21A) 으로부터 우방을 향하여 가동 부재 회전 운동 공간 (12) 내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 (21C) 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피압부 (21C) 는 그 하가장자리부의 우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캠부와 맞닿을 수 있는 부위로서, 그 캠부에 대응하여 움푹 패인 피압 오목부 (21C-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아암부 (21) 는, 피연결역 (21A) 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 (21D) 를 갖고 있다. 그 돌기부 (21D) 는, 그 상벽 (15) 의 상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홈부 (13A) 내에 진입되어 있다.
하아암부 (22) 는, 연결부 (23) 와 연결되어 있는 영역인 피연결역 (22A) 으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피유지 아암부 (22B) 를 갖고 있다. 그 피유지 아암부 (22B) 의 좌단에는 제 1 단자 (20) 가 상기 입벽 (17) 의 고정 홈부 (17A) 에서 유지되는 가장자리부를 갖는 고정부 (22B-1)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고정부 (22B-1) 는, 상기 상아암부 (21) 의 가압부 (21B-1) 보다 좌방에 위치한다.
상기 피유지 아암부 (22B) 의 피연결역 (22A) 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그 피유지 아암부 (22B) 의 상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분지된 가요 접촉 아암부 (22C) 가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접촉 아암부 (22C) 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상아암부 (21) 의 가압 아암부 (21B) 의 좌단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접촉 아암부 (22C) 의 좌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수용부 (11) 내로 돌출되는 접촉부 (22C-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촉부 (22C-1) 는 상기 가압 아암부 (21B) 의 가압부 (21B-1) 와 좌우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가압부 (21B-1) 및 그 접촉부 (22C-1) 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하아암부 (22) 는, 상기 피연결역 (22A) 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도 연장되어 있고, 그 우단에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과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22D) 를 갖고 있다. 그 접속부 (22D) 는 그 우단 부분이 하우징 (10)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그 접속부 (22D) 의 하단 (22D-1) 은 하우징 (10) 의 저벽 (16)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접속부 (22D) 의 하단 (22D-1) 이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부 (22D) 는, 상기 저벽 (16) 의 우단부에 대하여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에서 끼워 장착되는 고정 오목부 (22D-2) 를 갖고 있다.
하아암부 (22) 의 피연결역 (22A) 과 상기 접속부 (22D) 사이에는 후술하는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 (22E)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캠 안내부 (22E) 는, 상아암부 (21) 의 피압부 (21C) 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에서 그 피압부 (21C) 의 피압 오목부 (21C-1) 와 동 위치에 그 캠부 (43) 를 회전 운동 지지하는 안내 오목부 (22E-1) 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 (23) 는, 상아암부 (21) 나 하아암부 (22) 와 비교하여 아암폭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20) 는, 하우징 (10) 에 장착될 때,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지홈 (13) 내에 우측으로부터 압입된다. 그리고, 그 제 1 유지홈 (13) 내에 있어서, 제 1 단자 (20) 의 피유지 아암부 (22B) 의 고정부 (22B-1) 가 고정 홈부 (17A) 내에 압입됨과 함께, 접속부 (22D) 의 고정 오목부 (22D-2) 가 저벽 (16) 의 우단부에 끼워 장착됨으로써, 제 1 단자 (20) 는 상기 고정부 (22B-1) 의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과 고정 오목부 (22D-2) 의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에서 제 1 유지홈 (13) 내에 유지된다.
제 2 단자 (30) 는,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부 일부의 판두께면에서 하우징 (10) 의 제 2 유지홈 (14) 내에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그 제 2 단자 (30) 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로 병설된 상아암부 (31) 및 하아암부 (32) 가 길이 방향 중간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33) 에 의해 연결된 대략 가로 H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 연결부 (33) 는, 좌우 방향에서 제 1 단자 (20) 의 연결부 (23) 와 동 위치에 있다.
상아암부 (31) 는, 연결부 (33) 와 연결되어 있는 영역인 피연결역 (31A) 으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압 아암부 (31B) 를 갖고 있다. 그 가압 아암부 (31B) 는, 제 1 단자 (20) 의 가압 아암부 (21B) 와 비교하여 짧게 되어 있다. 그 가압 아암부 (31B) 의 좌단에 가까운 위치에는 하방을 향하여 수용부 (11) 내로 돌출되는 가압부 (31B-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가압부 (31B-1)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의 회전 운동에 기초하여 피연결역 (31A) 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아암부 (31) 가 지렛대 형상으로 경사짐으로써 하방으로 변위되어, 수용부 (11) 내에 삽입된 평형 도체 (P) (도시 생략) 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상기 상아암부 (31) 는, 상기 피연결역 (31A) 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12) 내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 (31C) 를 갖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피압부 (31C) 는 그 하가장자리부의 우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캠부와 맞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아암부 (32) 는, 연결부 (33) 와 연결되어 있는 영역인 피연결역 (32A) 으로부터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좌단에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과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 (32B) 를 갖고 있다. 그 접속부 (32B) 는 그 좌단 부분이 하우징 (10)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그 접속부 (32B) 의 하단 (32B-1) 은 하우징 (10) 의 저벽 (16) 의 하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커넥터 (1) 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그 접속부 (32B) 의 하단 (32B-1) 이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접속부 (32B) 는, 상기 저벽 (16) 의 좌단부에 끼워 장착되는 고정 오목부 (32B-2) 를 갖고 있다.
하아암부 (32) 의 피연결역 (32A) 과 상기 접속부 (32B)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32C)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연장부 (32C) 의 피연결역 (32A) 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그 연장부 (32C) 의 상가장자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분지된 가요 접촉 아암부 (32D) 가 좌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 접촉 아암부 (32D) 는, 좌우 방향에서 상기 상아암부 (31) 의 가압부 (31B-1) 와 동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 접촉 아암부 (32D) 의 좌단에는 상방을 향하여 수용부 (11) 내로 돌출되는 접촉부 (32D-1) 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그 접촉부 (32D-1) 는 상기 가압부 (31B-1) 와 좌우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가압부 (31B-1) 및 그 접촉부 (32D-1) 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돌출되어 있다.
도 2(A) 와 도 2(B) 를 비교하면 명확하듯이, 좌우 방향에서, 제 2 단자 (30) 의 가압부 (31B-1) 는, 제 1 단자 (20) 의 가압부 (21B-1) 보다 우방에 위치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의 접촉부 (32D-1) 도, 제 1 단자 (20) 의 접촉부 (22C-1) 보다 우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1) 는, 좌우 방향에서 상이한 2 지점에서, 삽입된 평형 도체에 대하여 단자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 (P) 에 대해서는, 단자 (20, 30) 의 접촉 위치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분포하게 되고, 전체로서 접촉 상태가 안정된다.
하아암부 (32) 는, 상기 피연결역 (32A) 으로부터 우측을 향해서도 연장되어 있고, 그 우단에 제 2 단자 (30) 가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에서 입벽 (18) 의 고정 홈부 (18A) 에 의해 유지되는 고정부 (32E)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고정부 (32E) 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기부 (32E-1) 를 갖고 있다.
하아암부 (32) 의 피연결역 (32A) 과 상기 고정부 (32E) 사이에는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 (32F) 가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캠 안내부 (32F) 는, 상아암부 (31) 의 피압부 (31C) 의 하방에 위치되어 있고, 상가장자리부가 좌우 방향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 (33) 는, 상아암부 (31) 나 하아암부 (32) 와 비교하여 아암폭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경사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단자 (30) 는, 하우징 (10) 에 장착될 때,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지홈 (14) 내에 좌방으로부터 압입된다. 그리고, 그 제 2 유지홈 (14) 내에 있어서, 제 2 단자 (30) 의 고정부 (32E) 가 고정 홈부 (18A) 내에 압입됨과 함께, 접속부 (32B) 의 고정 오목부 (32B-2) 가 저벽 (16) 의 좌단부에 끼워 장착됨으로써, 제 2 단자 (30) 는 상기 고정 돌기부 (32E-1) 의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과 고정 오목부 (32B-2) 의 가장자리부의 판두께면에서 제 2 유지홈 (14) 내에 유지된다.
도 3(A) 는, 도 2(A) 에서의 하우징 (10) 의 제 1 유지홈 (13)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에서는, 그 제 1 유지홈 (13) 과의 대응 위치 관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단자 (20) 를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유지홈 (13) 은, 단자 배열 방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 에서의 치수, 즉 홈 내폭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 (이하 「홈역」이라고 한다)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 에서는, 사선을 그어서 각 홈역을 구별하고 있다.
제 1 단자 (20) 는, 그 가압 아암부 (21B) 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상반부, 돌기부 (21D), 피압부 (21C) 및 피유지 아암부 (22B) 를 그 제 1 단자 (20) 의 전역에서 제외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영역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 1 영역을 갖는 제 1 단자 (20) 를 유지하는 제 1 유지홈 (13) 은, 하측 홈부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하반부, 상측 홈부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상반부 및 홈부 (13A) 를 그 제 1 유지홈 (13) 의 전역에서 제외한 부분이,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홈역 (A)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홈역 (A) 은, 홈 내폭 치수가 상이한 3 개의 부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제 1 홈역 (A) 은, 제 1 단자 (20) 의 접속부 (22D) 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홈역 (A1) 과, 접촉 아암부 (22C) 의 좌단으로부터 피연결역 (22A), 연결부 (23) 및 피연결역 (21A) 을 거쳐 가압 아암부 (21B) 의 좌단에 이르는 부분에 대응하는 대략 가로 U 자 형상의 부분 홈역 (A2) 과, 부분 홈역 (A1) 으로부터 부분 홈역 (A2) 을 향하여 서서히 홈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부분 홈역 (A3) 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부분 홈역 (A1) 은, 상기 부분 홈역 (A2) 보다 홈 내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도 4 참조).
도 4 는, 제 1 홈역 (A) 의 부분 홈역 (A1, A2), 후술하는 제 2 홈역 (B), 제 1 홈역 (A') 의 부분 홈역 (A'1, A'2) 및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를 단자 (20, 30) 의 판두께 치수와 비교한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S 는 단자 (20, 30) 의 판두께 치수를 나타낸다. 상기 부분 홈역 (A1, A2) 은, 제 1 단자 (20) 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유지홈 (13) 내에 제 1 단자 (20) 가 유지된 상태에서, 그 부분 홈역 (A1, A2, A3) 의 내벽면과 제 1 단자 (20) 의 제 1 영역의 판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는, 가압 아암부 (21B) 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상반부, 피유지 아암부 (22B) 및 돌기부 (21D), 즉 상기 제 1 영역 외로서 제 1 유지홈 (13) 의 내벽면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제 1 유지홈 (13) 은, 하측 홈부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하반부, 상측 홈부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상반부 및 홈부 (13A) 가,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홈역 (B)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홈역 (B) 은, 상기 제 1 홈역 (A) 보다 작은 홈 내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는 제 1 단자 (20) 의 판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그 제 2 홈역 (B) 의 내벽면과 제 1 단자 (20) 의 판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홈역 (B) 은, 제 1 유지홈 (13) 에 제 1 단자 (20) 가 그 가장자리부 일부의 판두께면에서 압입될 때에 제 2 영역 (B) 을 안내하여, 제 1 단자 (20) 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을 규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아암부 (21) 에 있어서는, 가압 아암부 (21B) 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상반부 및 돌기부 (21D) 가 제 2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아암부 (22) 에 있어서는, 피유지 아암부 (22B) 가 제 2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20) 에서는, 상아암부 (21) 에 있어서의 2 지점 및 하아암부 (22) 에 있어서의 1 지점의 합계 3 지점의 제 2 영역에서, 각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홈역 (B) 에 의해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가 제 1 단자 (20) 의 판두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어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가 제 1 단자 (20) 의 판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그 제 1 단자 (20) 의 제 2 영역이 제 2 홈역 (B) 내에 압입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도 3(B) 는, 도 2(B) 에 있어서의 하우징 (10) 의 제 2 유지홈 (14)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는, 그 제 2 유지홈 (14) 과의 대응 위치 관계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단자 (30) 를 2 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2 유지홈 (14) 도, 제 1 유지홈 (13) 과 동일하게,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 즉 홈 내폭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영역 (이하 「홈역」이라고 한다) 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B) 에 있어서도, 도 3(A) 와 동일하게, 사선을 그어서 각 홈역을 구별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는, 접촉 아암부 (32D), 연결부 (33), 상아암부 (31) 의 피연결역 (31A) 및 가압 아암부 (31B) 로 형성되는 부분과, 연장부 (32C) 의 좌방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접속부 (32B) 에 이르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영역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 1 영역을 갖는 제 2 단자 (30) 를 유지하는 제 2 유지홈 (14) 은, 하측 홈부의 좌반부로부터 그 하측 홈부의 좌우 방향 중간부의 하반부를 제외한 부분, 연결 홈부의 좌반부 및 상측 홈부의 하반부가,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홈역 (A')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제 1 홈역 (A') 은, 홈 내폭 치수가 상이한 3 개의 부분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제 1 홈역 (A') 은, 제 2 단자 (30) 의 접속부 (32B) 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홈역 (A'1) 과, 피연결역 (31A) 으로부터 가압 아암부 (31B) 의 좌단에 이르는 부분, 연결부 (33) 및 접촉 아암부 (32D) 가 형성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가로 U 자 형상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홈역 (A'2) 과, 부분 홈역 (A'1) 으로부터 부분 홈역 (A'2) 을 향하여 서서히 홈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부분 홈역 (A'3) 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부분 홈역 (A'1) 은, 상기 부분 홈역 (A'2) 보다 홈 내폭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도 4 참조).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 홈역 (A'1, A'2) 은, 제 2 단자 (30) 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유지홈 (14) 내에 제 2 단자 (30) 가 유지된 상태에서, 그 부분 홈역 (A'1, A'2, A'3) 의 내벽면과 제 2 단자 (30) 의 제 1 영역의 판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연장부 (32C) 의 좌방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고정부 (32E) 에 이르는 부분 및 피압부 (31C) 에 있어서 피연결역 (31A) 에 인접하는 부분, 즉 상기 제 1 영역 외로서 제 2 유지홈 (14) 의 내벽면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영역을 갖고 있다.
또한, 제 2 유지홈 (14) 은, 하측 홈부의 좌반부에 있어서의 하반부의 좌방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홈부 (13B) 에 이르기까지 상기 부분 홈역 (A'2) 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 및 그 하측 홈부의 우반부가,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홈역 (B')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홈역 (B') 은, 상기 제 1 홈역 (A') 보다 작은 홈 내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는 제 2 단자 (30) 의 판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고, 그 제 2 홈역 (B') 의 내벽면과 제 2 단자 (30) 의 판면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제 2 홈역 (B') 은, 제 2 유지홈 (14) 에 제 2 단자 (30) 가 그 가장자리부 일부의 판두께면에서 압입될 때에 제 2 영역 (B') 을 안내하여, 제 2 단자 (30) 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을 규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아암부 (31) 에서는, 피압부 (31C) 에 있어서 피연결역 (31A) 에 인접하는 부분이 제 2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아암부 (22) 에 있어서는, 연장부 (32C) 의 좌방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고정부 (32E) 에 이르는 부분이 제 2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그 하아암부 (32) 에서는, 좌반부 및 우반부의 쌍방에 제 2 영역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단자 (30) 에서는, 상아암부 (31) 에 있어서의 1 지점 및 하아암부 (32) 에 있어서의 2 지점의 합계 3 지점의 제 2 영역에서, 각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홈역 (B') 에 의해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가 제 2 단자 (30) 의 판두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예를 들어 제 2 홈역 (B') 의 홈 내폭 치수가 제 2 단자 (30) 의 판두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고, 그 제 2 단자 (30) 의 제 2 영역이 그 판면에서 제 2 홈역 (B') 내면에 의해 가압되도록 압입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가압 부재 (40) 는, 수지 등의 절연재를 성형하여 제조되고, 도 1(A) 및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안에서 밖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20, 30) 의 배열 범위에 걸친 폭을 갖고 있다.
가압 부재 (40) 는, 하우징 (10) 의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12) 내에 위치하는 약 절반의 부분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20, 30) 에 대응한 위치에서, 그 단자 (20, 30) 의 피압부 (21C, 31C) 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홈부 (41, 42) 가 형성되어 있다. 각 홈부 (41, 42) 는, 그 가압 부재 (40) 의 단부 위치에, 각 홈부 (41, 42) 의 대향 내벽면 (단자 배열 방향에서 서로 면하는 내벽면)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캠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 (43) 는,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 즉 그 가압 부재 (40) 가 상방을 향하여 연장된 자세에 있을 때에, 그들의 단면이 평형 도체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을 이루고,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 즉 도 1(A), (B) 의 우방을 향하여 연장된 자세에 있을 때에, 그들의 단면이 커넥터 높이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을 이룬다.
그 캠부 (43) 의 짧은 방향의 치수는, 제 1 단자 (20) 에 있어서의 안내 오목부 (22E-1) 와 피압 오목부 (21C-1) 사이의 거리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있어서의 캠 안내부 (32F) 의 상가장자리와 피압부 (31C) 의 하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되어 있다. 또한, 그 캠부 (43) 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간 거리는, 상기 안내 오목부 (22E-1) 와 피압 오목부 (21C-1) 사이의 거리 그리고 상기 캠 안내부 (32F) 의 상가장자리와 피압부 (31C) 의 하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A), (B) 를 참조하면서 커넥터 (1) 의 사용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의 접속부 (22D) 및 제 2 단자 (30) 의 접속부 (32B) 를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한다.
그리고, 그 커넥터 (1) 의 가압 부재 (40) 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평형 도체 (P) 를 수용부 (11) 내에 삽입한다. 그 평형 도체 (P) 의 삽입은, 그 평형 도체 (P) 의 전단 (도 1(A), (B) 에서 우단) 이 제 1 단자 (20) 의 가압부 (21B-1) 와 접촉부 (22C-1) 사이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가압부 (31B-1) 와 접촉부 (32D-1) 사이를 통과하고, 그 수용부 (11) 의 안쪽 벽부 (11A) 에 맞닿아 완료된다. 그 평형 도체 (P)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 (P)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 (P2) 가 상기 접촉부 (22C-1, 32D-1) 상에 위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열림 위치에 있는 가압 부재 (40) 를 회전 운동시켜 닫힘 위치로 가져온다. 이 때, 캠부 (43) 는, 제 1 단자 (20) 의 캠 안내부 (22E) 의 안내 오목부 (22E-1) 및 제 2 단자 (30) 의 캠 안내부 (32F) 의 상가장자리부에서 안내되면서 닫힘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한다. 회전 운동 개시 후, 그 캠부 (43) 의 단부는 상아암부 (21, 31) 의 피압부 (21C, 31C) 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로써, 제 1 단자 (20) 의 연결부 (23) 및 제 2 단자 (30) 의 연결부 (33) 가 좌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탄성 변형되고, 이 결과, 제 1 단자 (20) 의 상아암부 (21) 및 제 2 단자 (30) 의 상아암부 (31) 는 피연결역 (21A, 31A) 을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 형상으로 경사져 좌단이 하방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그 상아암부 (21, 31) 각각의 좌단에 형성된 가압부 (21B-1, 31B-1) 는 하방으로 변위되어 평형 도체 (P) 의 상면을 하방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와 같이, 그 가압부 (21B-1, 31B-1) 가 평형 도체 (P) 를 가압함으로써, 그 평형 도체 (P)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 (P2) 가 접촉 아암부 (22C, 32D) 의 접촉부 (22C-1, 32D-1) 를 상방으로부터 가압하고, 그 접촉 아암부 (22C, 32D) 를 하방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킨다.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회전 운동 동작이 완료되면, 그 가압 부재 (40) 의 캠부 (43) 는, 닫힘 위치에서 상하 방향에서 긴 타원 형상을 이룬 자세로 피압부 (21C, 31C) 를 밀어 올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가압 부재 (40) 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단자 (20, 30) 의 상기 가압부 (21B-1, 31B-1) 가 평형 도체 (P) 를 가압한 상태가 유지되고, 그 평형 도체 (P) 의 대응 회로부 (P2) 와 접촉부 (22C-1, 32D-1) 의 접압을 가진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결과, 커넥터 (1) 를 개재한 평형 도체 (P) 와 회로 기판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에 있어서는, 상아암부 (21) 에 대하여 2 지점 및 하아암부 (22) 에 대하여 1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홈역 (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자 (30) 에 있어서는, 상아암부 (31) 에 대하여 1 지점 및 하아암부 (32) 에 대하여 2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홈역 (B')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단자 (20, 30) 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단자 (20, 30) 전역의 넓은 범위에 분포된 3 지점에서 규제되기 때문에, 판두께 방향에서의 그 단자 (20, 30) 의 위치가 안정되고, 그 단자 (20, 30) 는 정규 위치에 유지되기 쉬워진다. 이 결과, 단자 (20, 30) 의 흔들림이나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 1 영역의 판면과 제 1 홈역 (A, A') 의 내벽면 사이에 정규 폭의 간극이 확보된다. 따라서, 그 간극에서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없어, 그 제 1 영역에서의 플럭스 상승이 양호하게 방지된다. 이 결과, 단자 (20, 30) 의 상아암부 (21, 31) 의 가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럭스 상승에 의한 단자 표면 상태의 악화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 (22D, 32B) 가 형성된 부분에서 형성된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단자 (20, 30) 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의 제 1 홈역 (A, A')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 (22D, 32B) 와 제 1 홈역 (A, A') 사이에 정규 폭의 간극이 확보된다. 따라서, 그 접속부 (22D, 32B) 가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되어도 플럭스가 그 접속부 (22D, 32B) 를 따라 상승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이 결과, 플럭스 상승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30) 에 있어서, 상아암부 (21, 31) 의 피연결역 (21A, 31A) 및 하아암부 (22, 23) 의 피연결역 (22A, 32A) 에 인접한 위치에 제 2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연결역 (21A, 31A, 22A, 32A) 은 제 1 영역에 포함되어 있고, 그 피연결역 (21A, 31A, 22A, 32A) 에 인접하는 위치에 제 2 영역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그 제 1 영역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어긋남은 제 1 영역에 가까운 위치에서 규제된다. 이 결과, 어긋남의 규제 위치가 그 제 1 영역에 가까운 만큼, 그 어긋남의 규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단자 (20, 30) 를 보다 확실하게 정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에 있어서의 합계 3 지점에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제 2 홈역이 형성되게 했지만, 제 2 영역 및 이것에 대응하는 제 2 홈역의 수는, 합계 4 지점 이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자의 어긋남이 규제되는 지점이 증가되는 만큼, 단자를 유지하는 범위가 넓어지고, 판두께 방향에서의 단자의 위치는 보다 확실하게 정규 위치에 오게 된다. 판두께 방향에서 단자의 위치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규제 위치를 단자 전역에 분포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2 영역 및 제 2 홈역은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의 양방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 도체 (P) 와 단자 (20, 30) 의 전기적인 접속은 그 평형 도체 (P)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 (P2) 와 그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C-1, 32D-1) 의 접촉 (이하 「하접점 접속」이라고 한다) 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접속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평형 도체 (P) 의 상면에 대응 회로부를 형성하여, 그 대응 회로부와 단자 (20, 30) 의 가압부 (21B-1, 31B-1) 의 접촉 (이하 「상접점 접속」이라고 한다) 에 의해 이루어져도 되고, 또한, 평형 도체 (P) 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 회로부를 형성하여, 상접점 접속 및 하접점 접속의 양방에 의해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그 상접점 접속 및 그 하접점 접속이 단자 배열 방향으로 교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을 대신하여, 제 1 단자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제 2 단자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단자만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우징에는 그 제 1 단자에 대응하여 제 1 유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단자만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우징에는 그 제 2 단자에 대응하여 제 2 유지홈이 형성된다. 이 결과, 제 1 유지홈 혹은 제 2 유지홈에 있어서, 플럭스 상승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는, 단자가 가로 H 자 형상을 이루고,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열림 위치 혹은 닫힘 위치에 오게 되는, 이른바 백 플립형 커넥터로 했지만, 커넥터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의 일단측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단자 전체가 가로 U 자 형상을 이루고, 타단측에 형성된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단자가 열림 위치 혹은 닫힘 위치에 오게 되는, 이른바 프론트 플립형 커넥터여도 된다. 또한, 가압 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가로 U 자 형상을 이루는 단자의 상아암부와 하아암부 사이에 평형 도체가 낮은 삽입력을 갖고 삽입되는, 이른바 논지프 (Non-Zif) 형 커넥터여도 된다.
1 : 커넥터 23 : 연결부
10 : 하우징 30 : 제 2 단자
13 : 제 1 유지홈 31 : 상아암부
14 : 제 2 유지홈 31A : 피연결역
20 : 제 1 단자 31B-1 : 가압부
21 : 상아암부 31C : 피압부
21A : 피연결역 32 : 하아암부
21B-1 : 가압부 32A : 피연결역
21C : 피압부 32B : 접속부
21D : 돌기부 31B-1 : 가압부
22 : 하아암부 32D : 접촉 아암부 (분지 아암)
22A : 피연결역 32D-1 : 접촉부
22B : 피유지 아암부 32F : 캠 안내부
22C : 접촉 아암부 (분지 아암) 33 : 연결부
22C-1 : 접촉부 40 : 가압 부재
22D : 접속부 43 : 캠부
22E : 캠 안내부 P : 평형 도체

Claims (7)

  1. 전기 절연체로 제조된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 단자 유지홈에서 압입 유지되고 평형 도체에 접속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제조되어 있고, 병설된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와, 그 상아암부와 하아암부를 양 아암부의 피연결역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상기 단자 유지홈에 의해 유지되고,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상아암부는, 평형 도체의 상면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그 평형 도체의 삽입측인 일단측에 갖고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지홈은, 상기 연결부, 상기 상아암부의 피연결역 및 접속부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 대응하여 단자의 판두께보다 큰 홈 내폭 치수의 제 1 홈역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제 1 영역 외로서 상기 상아암부 및 상기 하아암부 중 일방에 대하여 적어도 2 지점 그리고 타방에 대하여 적어도 1 지점에서 형성되는 제 2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홈역보다 작은 홈 내폭 치수로 그 제 2 영역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홈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영역은, 상아암부의 피연결역 및 하아암부의 피연결역의 적어도 일방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영역은,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의 적어도 일방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평형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부에서의 접압을 높히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한 가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가압 부재는, 상아암부와 하아암부 사이에 배치되고 닫힘 위치에서 상아암부에 작용함으로써 평형 도체에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캠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아암부는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상기 가요 분지 아암은,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접속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접속부와 그 피연결역 사이에서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는,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는,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상기 가요 분지 아암은,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는, 상기 일단측에 접속부를 갖고,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단자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2 종의 단자로 이루어지고, 그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고, 제 1 단자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가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가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가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상기 가요 분지 아암이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상기 하아암부가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접속부를 가짐과 함께 그 접속부와 그 피연결역 사이에서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고, 제 2 단자는, 상아암부 및 하아암부가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피연결역끼리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아암부가 그 상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로부터의 힘을 받는 피압부를 갖고, 하아암부가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일단측에서 상방을 향하여 분지되고 그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가요 분지 아암을 갖고, 상기 가요 분지 아암이 상기 일단측에 평형 도체의 하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또한, 상기 하아암부는 상기 일단측에 접속부를 갖고, 그 하아암부의 피연결역보다 타단측에 캠부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캠 안내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00004239A 2009-01-22 2010-01-18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1578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11864 2009-01-22
JP2009011864A JP4817466B2 (ja) 2009-01-22 2009-01-22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428A KR20100086428A (ko) 2010-07-30
KR101157855B1 true KR101157855B1 (ko) 2012-06-22

Family

ID=4202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239A KR101157855B1 (ko) 2009-01-22 2010-01-18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05102B2 (ko)
EP (1) EP2211424A1 (ko)
JP (1) JP4817466B2 (ko)
KR (1) KR101157855B1 (ko)
CN (1) CN101872910B (ko)
TW (1) TWI4121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1261B2 (ja) * 2010-02-03 2012-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931492B1 (en) * 2010-07-29 2011-04-26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Structure of conductive terminal of electrical connector
JP5810287B2 (ja) 2010-07-29 2015-1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ーダ装置
KR20130116893A (ko) * 2010-11-18 2013-10-24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커넥터
JP5630365B2 (ja) 2011-04-13 2014-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324638A (zh) * 2011-05-23 2012-01-18 深圳市金盟友机电科技有限公司 Fpc电子连接器导电金属端子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CN102629710B (zh) * 2012-04-24 2014-12-31 东莞宇球电子股份有限公司 扁平式导体用电连接器及其与扁平式导体的组装方法
JP6021058B2 (ja) * 2012-08-27 2016-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8956171B2 (en) * 2013-07-05 2015-02-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206713B2 (ja)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9197022B2 (en) * 2014-02-12 2015-11-2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131926B2 (ja) * 2014-10-03 2017-05-24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448136B2 (ja) * 2015-07-03 2019-0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643154B2 (ja) * 2016-03-10 2020-0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N107240793A (zh) * 2016-03-28 2017-10-10 巧连科技股份有限公司 排线连接器
JP6771983B2 (ja) * 2016-08-01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7228798B2 (ja) * 2017-08-09 2023-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33727B2 (ja) * 2017-08-09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2070B2 (ja) * 2019-02-12 2023-03-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コネクタ組立体のコネクタ対、及び、コネクタ組立体の製造方法
JP7121914B2 (ja) * 2019-05-29 2022-08-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可撓性基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1780A1 (en) * 2007-06-12 2008-12-18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20090007422A (ko) * 2006-04-13 2009-01-16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8672B2 (ja)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484218B2 (ja) * 2004-10-22 2010-06-1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58249B2 (ja) * 2007-03-1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22815B2 (ja) * 2007-04-27 2012-04-2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76426A (ja) 2008-01-21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k 面実装部品及び電気コネクタ
JP4683575B2 (ja) 2008-10-21 2011-05-18 サミー株式会社 弾球遊技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422A (ko) * 2006-04-13 2009-01-16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US20080311780A1 (en) * 2007-06-12 2008-12-18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2910B (zh) 2013-11-06
KR20100086428A (ko) 2010-07-30
TW201029278A (en) 2010-08-01
EP2211424A1 (en) 2010-07-28
JP2010170821A (ja) 2010-08-05
JP4817466B2 (ja) 2011-11-16
CN101872910A (zh) 2010-10-27
TWI412187B (zh) 2013-10-11
US20100184317A1 (en) 2010-07-22
US8105102B2 (en)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85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7931477B2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mating pair with solder barrier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541140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EP189166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ad bearing features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KR100768608B1 (ko) 커넥터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CN101536267B (zh) 用于柔性电缆的继电器连接器
KR102186662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60046536A (ko)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7520756B2 (en) Middle electrical connector
US20110076898A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7010738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9252516B2 (en) Connector
US753081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chip module to a PCB
KR10142290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221506B1 (ko)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KR102001285B1 (ko) 전기 커넥터와 플렉시블 기판의 조립체
JP2007294300A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738614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2143973B1 (ko) 커넥터
KR101320597B1 (ko) 마이크로 sd카드의 컨택트 단자
JP2004006192A (ja) コネクタ
JP4975771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