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907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907B1
KR101422907B1 KR1020120031124A KR20120031124A KR101422907B1 KR 101422907 B1 KR101422907 B1 KR 101422907B1 KR 1020120031124 A KR1020120031124 A KR 1020120031124A KR 20120031124 A KR20120031124 A KR 20120031124A KR 101422907 B1 KR101422907 B1 KR 10142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rier
press
terminal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6336A (ko
Inventor
유카 오츠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단자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 1 단자 (20) 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고, 후단에 접촉부 (22) 를 갖고, 전단에 접속부 (21) 및 그 접속부 (21) 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 (24) 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제 1 단자 (20) 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단자 유지 홈 (18) 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 (23)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는, 캐리어로부터의 캐리어 분리부 (24) 의 분리 후에, 전방으로부터 단자 유지 홈 (18) 에 압입되어 있는 커넥터 (1) 에 있어서, 캐리어 분리부 (24) 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평형 도체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속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단자 (端子) 는 스터브가 적은 직상 (直狀) 으로 만들어질 것이 요구된다. 직상의 신호 단자가 하우징에 배열 유지된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후방에서부터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고속 전송용 직상 단자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하우징의 단자 유지 홈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단자를 압입할 때에는, 통상, 그 단자의 전단면 (前端面) 이 압압된다. 상기 단자는,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단부는, 타부보다 하방 위치에서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하측 가장자리가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후단부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또, 그 단자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2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과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단자의 전단부는, 상기 접속부보다 상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은, 단자의 압입 전에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라고 생각된다. 그 캐리어 분리부는, 상기 단자의 중간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570107호
통상, 고속 전송용 단자는, 고속 전송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직상 형상을 유지하고, 또한, 커넥터의 소형화 요청으로부터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하여 저배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 한편으로, 단자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그 단자와 캐리어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캐리어 분리부는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 즉 연결 폭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1 의 단자는, 전단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대부분을 캐리어 분리부가 차지하고 있다.
상기 단자의 전단면을 압입 부재로 눌러 상기 단자 유지 홈으로 압입하는 경우, 압입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면의 면적이 클수록 단자의 자세가 안정되기 쉽고, 압입되기 쉽다. 요컨대, 상기 단자의 판두께는 일정하므로, 상기 피압면에서의 상하 방향 치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1 에서는, 상기 단자의 전단면 중 상하 방향 치수가 비교적 큰 캐리어 분리부의 전단면이 가장 압압되기 쉽다. 그러나, 그 캐리어 분리부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간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어긋남 거리와 압입력의 곱인 모멘트가 작용하여, 압입시에 단자의 후단측이 상하 방향으로 기울기 쉬워져, 자세가 안정되기 어렵다.
그래서, 압입시의 단자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캐리어 분리부 이외의 부분의 전단면을 피압면으로 하여 압압하고자 한 경우, 그 피압면에서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단자의 전단부 자체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해야 하여, 단자가 직상 형상은 아니게 되므로,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 캐리어 분리부의 전단면, 즉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지 않아 땜납 젖음성이 낮다. 따라서, 접속부에서의 땜납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캐리어 분리부가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떨어지도록, 그 캐리어 분리부를 그 접속부의 상방 위치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와 근접한 위치에 캐리어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단자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를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이 형성되고, 그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고, 일단에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는,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그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캐리어로부터의 상기 캐리어 분리부의 분리 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 위치에서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 압입시에 그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하여 단자를 압압하면, 그 상측 가장자리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그다지 어긋나지 않은 위치에서 압입력이 작용하므로, 압입 돌출부 주위의 모멘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단자 압입시에, 상기 절단 단면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압압되면, 단자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로 압입된다. 여기서,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는, 그 범위의 상단 위치 또는 하단 위치가 그 상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가 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
평형 도체를 수용 가능한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하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갖고, 단자는, 제 1 항에 기재된 단자인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에 더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단자로서의 제 2 단자도 갖고, 하우징은,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아암부와 그 하부 아암부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하부 아암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하부 아암부는, 일단에,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그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부 아암부는,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가 자유단측의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제 1 단자의 압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양 단자에 대해,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도록 그 캐리어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로 양 단자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커넥터 조립 후에 있어서는, 양 단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직상의 제 1 단자에서 고속 전송 특성의 확보 및 저배화를 가능하게 하고, 제 2 단자에서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커넥터와 평형 도체의 접속을 위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과 제 2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방의 절단 단면을 동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설계시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양방의 단자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설계 그리고 금형의 제조도 용이해진다. 또, 캐리어 분리부에서의 단자 압입시에 있어서 공통의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
제 2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복수의 그라운드 접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단자에서의 고속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 위치에서의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 압입시에, 단자 압입시에 상기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하여 단자를 압압하면,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안정적인 자세로 압입할 수 있다. 또,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함으로써, 다른 부분에 피압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피압면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자를 거의 직상으로 할 수 있고, 단자의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캐리어 분리부를 접속부의 근접 위치에 형성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단자의 대형화를 회피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땜납 젖음성이 낮은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을,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에 충분한 양의 땜납을 도포하여 확실하게 땜납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플럭스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는, 캐리어 분리부는, 단자 압입 방향으로 단자의 최후단에 위치하므로, 압입 조작이 용이해진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의 (A)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A-IIA 단면도이며,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 의 (B)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B-IIB 단면도이며,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 유지 홈에 제 1 단자를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 유지 홈에 제 1 단자를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의 (A)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6 의 (B) 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로 기판용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의 (A)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A-IIA 단면도이며,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 의 (B)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B-IIB 단면도이며,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로 기판용 커넥터 (1) (이하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배치되어, 후방 (도 1 에서 좌상방) 으로부터 평형 도체 (도시 생략) 가 접속되는 고속 전송용 커넥터이고, 커넥터 본체 (10) 와 그 커넥터 본체 (10) 에 지지되어 회전 운동 가능한 가동 부재 (50) 를 가지고 있다. 가동 부재 (50) 는, 평형 도체를 커넥터 본체 (10) 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삽입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된 평형 도체를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가동 부재 (50) 는 닫힘 위치에 있고, 커넥터 (1) 의 외형이 대략 직방체로 되어 있다.
커넥터 (1) 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는, 전단부의 하면에 접속 도체부가 노출되어 있고, 그 전단부가 커넥터 (1) 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 (10)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 (11) 과, 그 하우징 (11) 에 의해 유지된 고속 전송용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 (20),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제 2 단자 (30) 및 고정 금구 (40) 를 가지고 있다. 이하, 제 1 단자 (20) 의 제 2 단자 (30) 를 총칭하여 단자 (20, 30) 라고도 한다.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단자이고, 하우징 (11) 의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제 1 단자 (20) 가 2 개 배치되고, 그 이웃에 제 2 단자 (30) 가 배치된다는 것을 반복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고정 금구 (40) 는 이들 단자 (20, 30) 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배열의 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11) 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측벽 (12) 과, 양방의 측벽 (12) 을 그들 하부에서 잇는 저벽 (13) (도 2 의 (A), 2 의 (B) 참조) 과, 전방 (도 1 에서 우하방) 에 위치하는 전벽 (14) 과, 그 전벽 (14) 상에 위치하는 상벽 (15) 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또, 도 2(A), 2(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1) 의 후반부에는, 상기 저벽 (13) 보다 상방에서, 양방의 측벽 (12) 사이에, 상방 그리고 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부 (16) 는, 평형 도체의 삽입을 위한 수용부로서, 그리고 상기 서술한 가동 부재 (50) 의 배치와 가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한다.
하우징 (11) 에는, 측벽 (12) 의 내면을 따라,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고정 금구 (40) 를 위한 지지 홈 (도시 생략) 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고정 금구 (40) 가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40) 는, 하우징 (11) 의 저면으로부터 약간 나와 있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어 하우징 (11) 의 고정에 기여한다.
양방의 상기 지지 홈 사이에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3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30) 는, 모두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따라서, 상기 단자 유지 홈 (18) 도 그 판두께에 적합한 슬릿상의 홈으로 되어 있다. 이 단자 유지 홈 (18) 은,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면 (紙面) 에 직각인 방향으로 단자 (20, 30) 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홈 폭으로 복수 배열 형성되어, 전후 방향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좌우 방향) 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은, 하우징 (11) 의 상벽 (15) 과 저벽 (13) 사이에서 전벽 (14) 을 전후로 관통하고 있음과 함께,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는 후반부에서는 상기 저벽 (13) 의 상면에까지 도달해 있다. 단자 유지 홈 (18) 내에는, 상기 전벽 (14) 의 후부에, 상하 방향에서 상벽 (15) 과 저벽 (13) 사이에 섬상의 고정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 홈 (18) 은, 그 고정부 (19) 에 대해 상측의 상부 영역 (18A), 하측의 하부 영역 (18B) 그리고 양 영역을 전부측에서 연통시키는 연결 영역 (18C), 나아가서는, 전후 방향에서 개구부 (16) 에 대응하는 저벽 (13) 부분에 형성되는 개방 영역 (18D) 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은 상부 영역 (18A), 하부 영역 (18B), 연결 영역 (18C) 그리고 개방 영역 (18D) 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은, 개방 영역 (18D) 의 홈바닥이 하부 영역 (18B) 의 홈바닥보다 일단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의 하방에 대한 변위를 허용함과 함께, 단자 (20, 30) 의 땜납 접속시에 플럭스가 상승되어도, 그 플럭스가 접촉부 (22, 31B) 까지 이르는 것을 저지하는 간극을 형성하게 된다. 단자 유지 홈의 개방 영역의 홈바닥이 하부 영역의 홈바닥보다 일단 하방에 위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단자의 접촉부의 하방에 대한 변위를 허용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으면, 개방 영역의 홈바닥이 상하 방향에서 하부 영역의 홈바닥과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단자 유지 홈 (18) 은, 도 2의 (A), 도 2 의 (B) 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가 삽입되어 있는 단자 유지 홈 (18) 도 그리고 제 2 단자 (30) 가 삽입되어 있는 단자 유지 홈 (18) 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단자 유지 홈 (18) 에 대해서도,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모두가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20) 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고속 전송용 신호 단자이고,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 (도 3 참조) 로부터 분리되어 만들어졌다. 그 제 1 단자 (20) 는, 도 2 의 (A) 와 같이, 전후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는 아암상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에 접속부 (21) 그리고 후단부에 접촉부 (22) 를, 나아가서는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피고정부로서의 2 개의 압입 돌출부 (23) 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단자 (20) 는, 후방 (도 2 의 (A) 에서 좌방) 으로는 하우징 (11) 의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22) 는, 제 1 단자 (20) 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평형 도체 (도시 생략)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는, 하우징 (11) 밖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굴곡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부의 하부가 상기 접속부 (21) 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접속부 (21) 의 하측 가장자리는 하우징 (11) 의 저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었을 때,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대해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입 돌출부 (23) 는,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2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그 2 개의 압입 돌출부 (23) 중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압입 돌출부 (23A) 는,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압입 돌출부 (23B) 보다 약간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다. 그 후방 압입 돌출부 (23A) 는, 단자 유지 홈 (18) 으로의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과정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의 위치를 안정시켜, 그 제 1 단자 (20) 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후방 압입 돌출부 (23A) 의 상단이 고정부 (19) 의 하면과 맞닿을 정도의 돌출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 압입 돌출부 (23B) 는, 단자 유지 홈 (18) 내에서 제 1 단자 (20) 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전방 압입 돌출부 (23B) 의 상단이 고정부 (19) 의 하면으로 파고들 정도의 돌출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단자 (20) 는,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 홈 (18) 의 섬상의 고정부 (19) 와 저벽 (13) 사이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고, 단자 유지 홈 (18) 의 내벽면을 이루는 고정부 (19) 의 하면에 상기 압입 돌출부 (23B) 가 파고들어 고정 위치가 정해진다. 제 1 단자 (20) 의 후부는 하우징 (11) 의 전벽 (14)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하측 가장자리가 단자 유지 홈 (18) 의 홈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어, 하방으로의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접촉부 (22) 가 평형 도체로부터 하방으로의 힘을 받았을 때, 이 접촉부 (22) 는 하방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에서는,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 (24) 가 접속부 (21) 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전단면은, 도 2 의 (A) 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최전단 가장자리를 이루고 있다. 캐리어 분리부 (24) 의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 (전단면)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이다. 그 절단 단면은, 최전단면으로 되어 있는 관계상, 제 1 단자 (20) 가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 홈 (18) 으로 전방으로부터 압압 부재 (지그) 에 의해 압입될 때, 상기 평탄면 전체 영역이 그 압압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면으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 분리부 (24) 는, 피압면으로서의 절단 단면이 최전단, 바꾸어 말하면, 단자 압입 방향에서의 최후단에 위치하므로, 제 1 단자 (20) 의 압입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캐리어 분리부가 제 1 단자의 최전단 가장자리인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어, 접속부의 전단 가장자리가 최전단 가장자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압압 부재를 그 접속부의 전단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지 않고, 그 압압 부재로 캐리어 분리부의 전단 가장자리만을 압압하면 된다.
또,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함으로써, 다른 부분에 피압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피압면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제 1 단자 (20) 를 거의 직상으로 할 수 있고, 그 제 1 단자 (20) 의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캐리어 분리부 (24) 를 접속부 (21) 의 근접 위치에 형성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의 대형화를 회피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땜납 젖음성이 낮은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을,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 (21) 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 (21) 에 충분한 양의 땜납을 도포하여 확실하게 땜납 접속시킬 수 있음과 함께, 플럭스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도 2 의 (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은, 그 절단 단면의 상측 가장자리가 그 제 1 단자 (20) 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다. 즉,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은,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압입 돌출부 (23) 의 하방에서, 그 압입 돌출부 (23) 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절단 단면의 하단부는 제 1 단자 (20) 의 중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그다지 어긋나지 않은 위치에 있으므로, 제 1 단자 (20) 의 압입시에 상기 절단 단면이 후방으로 압압되었을 때, 압입 돌출부 (23) 주위의 모멘트가 거의 생기지 않고, 제 1 단자 (20) 의 후단이 상하 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로 그 제 1 단자 (20) 를 압입할 수 있다.
제 2 단자 (30) 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됨과 함께, 가동 부재 (50) 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단자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 제 2 단자 (30) 는,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캐리어 (도시 생략) 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만들어져 있다.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는, 그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의 하부 아암부 (31) 에 더하여, 그 하부 아암부 (31) 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아암부 (3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아암부 (31) 및 상부 아암부 (32) 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33) 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 아암부 (3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이고, 전단부에 접속부 (31A) 및 캐리어 분리부 (31D), 후단부에 접촉부 (31B), 중간부에 피고정부로서의 2 개의 후방 압입 돌출부 (31C-1) 및 전방 압입 돌출부 (31C-2) (총칭하여 「압입 돌출부 (31C)」라고도 한다) 를 가지고 있다. 하부 아암부 (31) 가 후부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고, 접촉부 (31B) 가 탄성 변위 가능한 것도, 제 1 단자 (20) 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상기 캐리어 분리부 (31D) 는, 제 1 단자 (20) 의 캐리어 분리부 (24) 와, 전후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단자 (20) 의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과 제 2 단자 (30) 의 캐리어 분리부 (31D) 의 절단 단면이 전후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양방의 절단 단면을 동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설계시에,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설계 그리고 금형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를 압입하기 위한 압압 부재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부 아암부 (32) 는, 상기 고정부 (19) 와 상벽 (15) 사이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아암부 (31) 와 비교하여 폭 (도면에서 상하 방향 치수) 이 넓고 고강성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 상부 아암부 (32) 의 후단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오목 만곡상의 지지부 (3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상부 아암부 (32) 는, 그 상측 가장자리가 상벽 (15) 사이에서 약간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 (33) 는, 상기 하우징 (11) 의 섬상의 고정부 (19) 의 전방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아암부 (31) 및 상부 아암부 (32) 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 2 단자 (30) 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에 삽입되면, 하부 아암부 (31) 가,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섬상의 고정부 (19) 와 저벽 (13) 사이에 압입됨과 함게, 상부 아암부 (32) 가 상기 고정부 (19) 와 상벽 (15)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캐리어 분리부 (31D) 의 절단 단면은,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이 그 제 2 단자 (30) 의 하부 아암부 (31)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다. 즉, 제 2 단자 (30) 도,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캐리어 분리부 (31D) 의 절단 단면이 제 2 단자 (3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고,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하 방향에서 압입 돌출부 (31C) 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로 압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2 개의 제 1 단자 (20) 에 인접하여 1 개의 제 2 단자 (30) 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열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가 제 1 단자 (20) 에 대해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되므로, 복수의 그라운드 접지 구조가 형성되어, 제 1 단자 (20) 에서의 고속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
가동 부재 (50) 는, 하우징 (11) 과 동일한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1) 의 양측벽 (12) 사이에 걸친 폭을 가지고 있고, 도 2 의 (A),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 의 개구부 (16) 에 배치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50) 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 자세가 되는 열림 위치와,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자세가 되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부재 (50) 는, 도 2 의 (A),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 에서 단자 (20,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부가 되는 부분에 홈부 (5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51) 는, 도 2 의 (A), 2 의 (B) 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전단 위치에서 홈부 (51) 의 대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대향) 홈 내면끼리를 연결하는 축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축부 (52) 는, 대략 원형의 둘레면을 갖고, 상기 제 2 단자 (30) 의 상부 아암부 (32) 에 오목 만곡상으로 형성된 지지부 (32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단자 (20) 는 제 2 단자 (30) 와 같은 상부 아암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2 의 (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축부 (52) 는 전혀 지지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가동 부재의 홈부는, 제 2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가동 부재 (50) 는, 그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도 도시되지 않은 축부에서 하우징 (11)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 (50) 는, 도 2 의 (A), 2 의 (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서, 홈부 (5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후부는 조작부 (53) 를 형성하고, 그 상면이 하우징 (11) 의 상벽 (15) 의 상면과 동일 레벨 위치에 있다. 가동 부재 (50) 는, 이 조작부 (53) 에서, 조작력을 받아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하여 이동한다. 또, 가동 부재 (50) 는, 도 2 의 (A),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전단부로부터 조작부 (53) 에 걸친 하면이, 그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누르는 가압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닫힘 위치에서 가동 부재의 상면이 하우징 상벽의 상면과 동일 레벨 위치에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상하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단자 (30) 의 압입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 는,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 홈 (18) 으로 제 1 단자 (20) 를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중, 도 3 에 있어서의 가장 왼쪽 하방의 단자 유지 홈 (18) 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단자 (20) 가 압입된다. 도 3 에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중 가장 오른쪽 상방의 단자 유지 홈 (18) 에 제 1 단자 (20) 만이 압입되기 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단자 (20) 는 1 개의 캐리어 (C) 에 연결된 상태에서 금속판의 타발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제 1 단자 (20) 는 이하의 공정에서 단자 유지 홈 (18) 에 압입된다. 먼저,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단자 유지 홈 (18) 중 도 3 에서의 가장 왼쪽 하방의 단자 유지 홈 (18)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하방으로부터 두 번째의 단자 유지 홈 (18)) 의 전방 (도 3 에서의 우하방) 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캐리어 (C) 가 부착된 복수의 제 1 단자 (20) 중 1 개 (도 3 에 있어서의 상방의 제 1 단자 (20)) 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제 1 단자 (20) 의 캐리어 분리부 (24) 를 캐리어 (C) 로부터 절단 분리함과 함께, 그 제 1 단자 (20) 의 판면을 협지하고, 그 제 1 단자 (20) 를 후방을 향하여 상기 두번째의 단자 유지 홈 (18) 내에 삽입한다. 그 제 1 단자 (20) 의 절단 분리, 협지 및 삽입은, 동일한 지그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단자 (20) 는,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후방 압입 돌출부 (23A) 가 고정부 (19) 의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단자 (20) 는, 후방 압입 돌출부 (23A) 가 고정부 (19) 의 하면에 맞닿아, 단자 유지 홈 (18) 에서 임시 유지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임시 유지된 제 1 단자 (20) 는, 지그로서의 압압 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 (전단면) 이 후방을 향하여 압압되어 단자 유지 홈 (18) 내에 완전히 압입된다. 이 결과, 도 2 의 (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는, 임시 유지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 압입 돌출부 (23B) 가 하우징 (11) 고정부 (19) 의 하면에 파고 들어, 단자 유지 홈 (18) 내의 최종 유지 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하우징 (11) 이 도 3 의 좌하방으로 단자 유지 홈 (18) 1 개 분만큼 이동된다 (화살표 A). 또, 상기 하우징 (11) 의 이동 후 혹은 동시에, 캐리어 (C) 가 상방으로 제 1 단자 (20) 1 개 분만큼 이동되고 (화살표 B), 이미 제 1 단자 (20) 가 압입된 단자 유지 홈 (18) 에 인접하는 다른 단자 유지 홈 (18) 의 전방에 오게 되어, 그 다른 단자 유지 홈 (18) 에 대응하는 제 1 단자 (20) 의 압입이, 상기 서술한 공정에서 실시된다. 여기서는, 하우징 (11) 이 단자 유지 홈 (18) 1 개 분만큼 이동되는 것으로 했는데, 제 1 단자 (20) 가 임시 유지되고 있는 단자 유지 홈 (18) 에 인접하는 다른 단자 유지 홈 (18) 이 제 2 단자 (30) 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11) 은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단자 유지 홈 (18) 2 개 분만큼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제 1 단자 (20) 가 각각 대응하는 단자 유지 홈 (18) 으로 순차 압입됨으로써, 제 1 단자의 압입 공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공정의 완료 후, 제 2 단자 (30) 도 동일한 공정을 거쳐, 각각 대응하는 단자 유지 홈 (18) 에 압입된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단자 (20, 30), 고정 금구 (40) 및 가동 부재 (50) 가 장착된 후,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그들의 접속부 (21) 와 접속부 (31A) 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이와 함께, 고정 금구 (40) 도 그 고정부에서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고정된다.
평형 도체와 접속할 때에는, 먼저, 가동 부재 (50) 를 세로 자세가 되는 열림 위치로 가져와, 하우징 (11) 의 개구부 (16) 를 후방을 향하여 크게 개구시켜 두고, 그 개구부 (16) 에 평형 도체의 전단부를 삽입한다. 평형 도체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와 가동 부재 (50) 사이에서 전방으로 삽입되고, 그 평형 도체의 전단 가장자리가 하우징 (11) 의 전벽 (14) 의 후면에 맞닿아 소정 삽입 위치에 오게 된다. 이 소정 삽입 위치에서는, 평형 도체의 하면에 노출되어 있는 접속 도체부는, 대응하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상에 위치되어 있다.
그 후, 가동 부재 (50) 의 조작부 (53) 에 조작력을 가하여 그 가동 부재 (50) 를,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가로 자세의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하여 이동시킨다. 가동 부재 (50) 는 회전 운동하면 그 가압부에서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누른다. 가동 부재 (50) 에서 눌러진 평형 도체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탄성 변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이들 접촉부 (22) 와 접촉부 (31B) 에 의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평형 도체의 대응 접속 도체부와, 접압 (접촉력) 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평탄면이고, 그 절단 단면의 전체 영역이 피압면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절단 단면이 볼록 만곡면, 오목 만곡면 혹은 요철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절단 단면 중 최전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피압면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는,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되어도 된다. 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중 어느 일방이 전방으로부터 압입되고, 타방이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가 제 1 단자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의 길이가 제 1 단자보다 길거나 혹은 짧게 형성되어 있어, 양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압입 돌출부가 하부 아암부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그 압입 돌출부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입 돌출부를 상부 아암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그 압입 돌출부가 하우징 상벽의 하면에 파고들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를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신호 단자나 전원 단자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종류의 단자, 즉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단자의 종류 수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단자만의 1 종류여도 되고, 제 1 단자를 포함하는 3 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제 1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즉 압입 돌출부가 형성된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캐리어 분리부의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20) 와 같이,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에 있는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캐리어 분리부의 여러 가지의 형태를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단자 (60) 는,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이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압입 돌출부 (63) 보다 상방에까지 도달하여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에 위치하고, 그 절단 단면이 그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있는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60) 는, 캐리어 분리부 (64)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캐리어 분리부 (64)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서의 대응 부분에 「40」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 (11) 및 가동 부재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단자 (60) 는, 전후 방향에서 접속부 (61) 에 거의 대응하는 범위에서, 그 제 1 단자 (60) 의 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져 있고, 그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이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압입 돌출부 (63) 보다 상방에 도달하고 있다. 또, 그 절단 단면의 하단부는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에 있다. 따라서,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은, 제 1 실시형태의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보다 상하 방향 치수가 크다. 따라서, 그 만큼, 면적도 크기 때문에,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60) 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은, 전후 방향에서 접촉부 (62) 와 접속부 (6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및 압입 돌출부 (63) 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압입 돌출부 (23) 가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의 범위 밖에 위치하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단자 압입시에 생기는 압입 돌출부 주위의 모멘트가 작아져,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60) 의 자세를 더욱 더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60) 의 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제 1 단자 (60) 의 전단부 전체의 상하 방향 치수 (폭 치수) 를 크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 즉 스터브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 1 단자 (60) 의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6 의 (A), 6 의 (B)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는, 하우징 (11) 의 고정부 (19) 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아 제 1 단자 (70) 를 전후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부분으로서의 후부 맞닿음면 (75A) 이 제 1 단자 (70) 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그 고정부 (19) 에 전방으로부터 맞닿는 부분을 가지지 않는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70) 는, 캐리어 분리부 (74)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캐리어 분리부 (74)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서의 대응 부분에 「50」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 (11) 및 가동 부재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70) 는, 전방 압입 돌출부 (73B) 에 대해 전방에서 근접하는 위치에서부터 그 제 1 단자 (70) 의 전단에까지 미치는 범위가, 타부보다 상하 방향 치수 (폭 치수) 가 큰 폭광부 (75) 로 형성되어 있고, 그 폭광부 (75) 의 상측 가장자리가 제 1 단자 (70)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압입 돌출부 (73)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폭광부 (75) 의 전단부는 캐리어 분리부 (74) 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폭광부 (75) 의 상부의 후부 맞닿음면 (75A), 즉 제 1 단자 (7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면은, 고정부 (19) 의 전단부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70) 의 압입시에 있어서, 상기 후부 맞닿음면 (75A) 이 고정부 (19) 의 전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제 1 단자 (70) 의 그 이상의 압입이 규제되므로, 전후 방향에서 그 제 1 단자 (70) 를 위치 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피압면인 캐리어 분리부 (74) 의 절단 단면의 면적이 큰 것, 그리고, 캐리어 분리부 (74) 의 절단 단면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및 압입 돌출부 (63) 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70) 의 자세의 안정화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분리부 (74) 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와의 연결 강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분리부 (74) 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해도, 그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은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 (71) 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 (71) 에 충분한 양의 땜납을 도포하여 확실하게 땜납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플럭스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70) 의 폭광부 (75) 의 상부의 후단면을 후부 맞닿음면 (75A) 으로 하고, 하우징 (11) 의 고정부 (19) 의 전단부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 1 단자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것 대신에, 상기 후단면이 상기 고정부의 전단부에 맞닿지 않고, 양자간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여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의 자세의 안정화의 향상, 캐리어와의 연결 강도의 향상, 확실한 땜납 접속, 플럭스 상승의 회피라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광부 (75) 는, 제 1 단자 (70) 의 전단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 대신에, 도 6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폭광부 (75) 의 전단의 상부가 노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단자의 형상은,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의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커넥터 31C : 압입 돌출부
11 : 하우징 31D : 캐리어 분리부
18 : 단자 유지 홈 32 : 상부 아암부
20 : 제 1 단자 33 : 연결부
21 : 접속부 50 : 가동 부재
22 : 접촉부 60 : 제 1 단자
23 : 압입 돌출부 63 : 압입 돌출부
24 : 캐리어 분리부 64 : 캐리어 분리부
30 : 제 2 단자 70 : 제 1 단자
31 : 하부 아암부 73 : 압입 돌출부
31A : 접속부 74 : 캐리어 분리부
31B : 접촉부

Claims (4)

  1.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를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에서 하우징 상벽과 저벽 사이에서 섬상을 이루고, 단자 유지 홈의 내벽면과 연결되는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고, 일단 (一端) 에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는,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캐리어로부터의 상기 캐리어 분리부의 분리 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하 방향에서 고정부와 저벽 사이에서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압입 돌출부가 고정부의 하면에 파고들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최전단에 위치하고 있어 단자 압입을 위한 압입력을 받는 피압면을 형성하고 있고, 동시에 상하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으로부터 저벽의 상면까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평형 도체를 수용 가능한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하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갖고, 복수의 단자는, 제 1 항에 기재된 단자인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에 더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단자로서의 제 2 단자도 갖고, 하우징은,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아암부와, 상기 하부 아암부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하부 아암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하부 아암부는, 일단에,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의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제 2 단자의 최전단에 위치하고 있어 단자 압입을 위한 압입력을 받는 피압면을 형성하고 있고, 동시에 상하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으로부터 저벽의 상면까지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부 아암부는,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가 자유단측의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가 제 1 단자의 압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 방향에서 고정부와 저벽 사이에서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압입 돌출부가 고정부의 하면에 파고들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과 제 2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20031124A 2011-04-12 2012-03-27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422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88391 2011-04-12
JP2011088391A JP5362762B2 (ja) 2011-04-12 2011-04-12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36A KR20120116336A (ko) 2012-10-22
KR101422907B1 true KR101422907B1 (ko) 2014-07-23

Family

ID=4699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24A KR101422907B1 (ko) 2011-04-12 2012-03-27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2762B2 (ko)
KR (1) KR101422907B1 (ko)
CN (1) CN102738622B (ko)
TW (1) TWI513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6713B2 (ja)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88638B2 (ja) * 2014-06-10 2017-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回路基板付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JP6336941B2 (ja)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546552B (zh) * 2016-06-28 2020-11-17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插头连接器及其组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1760A (ja) 2005-04-20 2005-09-15 Hirose Electric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6139995A (ja) * 2004-11-11 2006-06-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部品挿入装置及び方法
JP4570107B2 (ja) * 2008-04-23 2010-10-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972A (en) * 1990-07-11 1991-09-10 Amp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contact
JP2007227302A (ja)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863317B2 (ja) * 2009-03-30 2012-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M391751U (en) * 2010-04-16 2010-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398709U (en) * 2010-04-28 2011-0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9995A (ja) * 2004-11-11 2006-06-0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部品挿入装置及び方法
JP2005251760A (ja) 2005-04-20 2005-09-15 Hirose Electric Co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570107B2 (ja) * 2008-04-23 2010-10-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0789A (zh) 2013-03-01
JP2012221841A (ja) 2012-11-12
TWI513116B (zh) 2015-12-11
KR20120116336A (ko) 2012-10-22
JP5362762B2 (ja) 2013-12-11
CN102738622B (zh) 2015-07-15
CN102738622A (zh)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510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025532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US8177587B2 (en) Connector with movable-side contact and fixed-side contact
US7484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8010724A (ja) シールド板付き電気コネクタ
JP486331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431617B2 (en) Connector
US20060121782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2010005597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US942555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uter shielding covered by a cover with a resilient plate extending upward and rearward
JP3114955U (ja) シャッター付きコネクタ
US20070111607A1 (en) Miniature audio jack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KR10142290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30991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4754006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281943B1 (en) Connector
KR20170107388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57897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20100003869A1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the contact
JP6360939B1 (ja) 多接点コネクタ
CN111541071B (zh) 连接器组件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KR101463655B1 (ko) 전기 커넥터
JP2021057115A (ja) 電気コネクタ
JP200010050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