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897B1 -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897B1
KR101154897B1 KR1020070092766A KR20070092766A KR101154897B1 KR 101154897 B1 KR101154897 B1 KR 101154897B1 KR 1020070092766 A KR1020070092766 A KR 1020070092766A KR 20070092766 A KR20070092766 A KR 20070092766A KR 101154897 B1 KR101154897 B1 KR 101154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medium
movable member
loading plate
image forming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501A (ko
Inventor
이강우
이권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897B1/ko
Priority to US12/164,267 priority patent/US7971870B2/en
Publication of KR2009002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7Bottom pivotable, e.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arranged at rear side of sheet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2Rotar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30Numbers, e.g. of windings or ro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60Details of intermediate means between the sensing means and the element to be sensed
    • B65H2553/61Mechanical means, e.g. contact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 매체공급유닛은 지지프레임과;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센싱 영역을 가지며, 이 센싱 영역이 차단되는 범위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일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단부가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타단부가 센싱 영역의 일 범위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1기준위치 및 이 제1기준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제1가동부재와;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단부가 적재플레이트에 소정 잔량을 초과하여 적재된 인쇄매체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타단부가 제1가동부재에 의한 차단 범위와 상이한 범위의 센싱 영역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2기준위치 및 이 제2기준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제2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MEDIUM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매체를 적재 및 공급하는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매체의 적재 수량을 감지하는 구조의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를 가지는 매체공급유닛과, 인쇄매체 상에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형성시키는 화상형성부를 가진다. 프린팅 작업이 시작되면,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가 1매씩 픽업되어 화상형성부까지 이송된다.
프린팅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적재플레이트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어야 하므로, 인쇄매체의 적재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이 매체공급유닛에 설치된다. 이러한 감지유닛에 대해 다양한 구성 및 작동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감지유닛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가 일체화된 센서와, 이 센서로부터 조사되는 광빔이 통과하도록 적재플레이트에 관통홀을 포함한다. 이 관통홀은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에 의해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적재플레이 트에 인쇄매체가 없다면, 발광소자로부터 조사된 광빔은 관통홀을 통과하므로 수광소자에 이 광빔이 수광되지 않는다. 반면 적재플레이트에 인쇄매체가 있다면, 이 인쇄매체가 관통홀을 차단하게 되므로 광빔은 인쇄매체 판면에 반사 또는 산란되어 수광소자로 수광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감지유닛은 인쇄매체의 유무만을 판별할 수 있으므로,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없을 때에만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수의 호스트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 이 호스트들이 프린팅 명령을 동시에 전달하게 되면, 사용자는 인쇄매체의 적재 수량을 알 수 없으므로 프린팅 종료까지 인쇄매체의 수량이 충분한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프린팅 진행 중 인쇄매체가 소진됨으로써, 프린팅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탠덤(tandem)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프린팅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담지체 또는 중간전사벨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시점을 인쇄매체의 공급 시점보다 빠르게 한다. 그런데 프린팅 작업 중에 인쇄매체가 소진되면 상담지체 또는 중간전사벨트 상에 이미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여야 하므로, 현상제의 손실과 클리닝 공정에 의한 시스템의 부하가 커지며 다음 프린팅 공정 시 인쇄매체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설정된 소정 잔량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는 구조의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은 지지프레임과;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센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센싱 영역이 차단되는 범위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일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타단부가 상기 센싱 영역의 일 범위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1기준위치 및 상기 제1기준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제1가동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소정 잔량을 초과하여 적재된 인쇄매체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타단부가 상기 제1가동부재에 의한 차단 범위와 상이한 범위의 상기 센싱 영역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2기준위치 및 상기 제2기준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제2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센싱 영역을 형성하며, 수광되는 광량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신호의 레벨은 상기 수광되는 광량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다.
또한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제1기준위치에서 상기 센싱 영역의 일 범위를 차단하며,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제2기준위치에서 상기 제1가동부재에 의한 차단 범위보다 작은 범위의 상기 센싱 영역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적재플레이트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없을 때 상기 제1가동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을 가지며,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제1기준위치에서 일단부가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며, 타단부가 상기 센싱 영역의 전체 범위를 차단한다.
또한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1기준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와 상기 잔량 이하로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기준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가동부재 및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한다.
또한 상기 감지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 유무 및 상기 인쇄매체의 총 수량이 상기 잔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없거나 또는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잔량 이하이면, 이를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한 구조의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매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 유무 및 상기 인쇄매체의 총 수량이 상기 잔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없거나 또는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잔량 이하이면, 이를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총 수량이 소정 잔량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표시한다. 이에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에 프린팅 명령을 전달하기 이전에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를 보급 적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프린팅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인쇄매체의 부족으로 인한 프린팅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시스템의 부하를 경감하고 현상제의 손실을 줄이며 인쇄매체의 오염 등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감지부의 구성에 의해 이를 달성하여 장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 생산성의 향상 및 장치 비용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에 적용되는 매체공급유닛(10)은 제반 구성요소들이 결합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200)와, 인쇄매체(M)의 적재 유무 및 소정의 적재 잔량을 감지하는 매체감지유닛(400)을 가진다. 그리고 이 매체감지유닛(400)은 센싱 영역(S)을 가지는 감지부(440)와,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인쇄매체(M)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센싱 영역(S)의 일 범위를 차단하는 제1가동부재(420)와, 상기 적재 잔량의 인쇄매체(M)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제1가동부재(420)에 의한 차단 범위보다 작은 범위의 센싱 영역(S)을 차단하는 제2가동부재(430)를 포함한다.
또한 매체공급유닛(10)은 적재플레이트(200)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M) 중 최상측의 인쇄매체(M)를 픽업하는 픽업롤러(300)를 더 가진다.
적재플레이트(200)는 판 형상을 가지며, 그 상판면에 인쇄매체(M)가 적재된다. 적재플레이트(200)는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상단부가 회동하는 구조이며, 적재플레이트(200) 하측에는 코일스프링 등으로 마련된 탄성부재(210)가 설치된다. 이 탄성부재(210)가 적재플레이트(200) 하판면을 상향 가압하며, 이에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M) 중 최상측의 인쇄매체(M)가 픽업롤러(300)에 픽업될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된다.
수용홀(220)은 인쇄매체(M)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200)의 상판면에 함몰되거나 혹은 관통 형성된다. 수용홀(220)은 적재플레이트(200) 상에 인쇄매체(M)가 없는 경우에 후술할 제1가동부재(420)의 일단부, 자세하게는 후술할 제1하단 부(421)를 수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적재플레이트(200) 상에 인쇄매체(M)가 1매 이상 있는 경우, 이 인쇄매체(M)에 의해 수용홀(220)이 차단되게 되며, 후술할 제1하단부(421)는 이 인쇄매체(M)에 간섭되어 수용홀(220)에 수용되지 않는다.
제1가동부재(420)는 회전축(410)으로부터 적재플레이트(200) 상판면을 향해 연장된 제1하단부(421)와, 제1하단부(421)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축(410)으로부터 연장된 제1상단부(423)를 가진다. 제1하단부(421)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적어도 1매의 인쇄매체(M)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연동하여 제1상단부(423)는 센싱 영역(S)의 일 범위를 차단 또는 개방한다.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M)가 없을 때 제1하단부(421)는 수용홀(220)에 수용되며, 제1상단부(423)는 센싱 영역(S)의 전체 범위를 차단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이 때의 제1가동부재(420)의 회동 위치를 제1기준위치라고 한다. 즉 제1기준위치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M)가 없을 때 제1가동부재(420)의 회동 위치이다.
제2가동부재(430)는 회전축(410)으로부터 적재플레이트(200) 상판면을 향해 연장된 제2하단부(431)와, 제2하단부(431)의 연장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축으로부터 연장된 제2상단부(433)를 가진다. 제2하단부(431)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소정 잔량을 초과하여 적재된 인쇄매체(M)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연동하여 제2상단부(433)는 제1기준위치에서의 제1가동부재(420)에 의한 차단 범위와 상이한 범위, 자세하게는 보다 작은 범위의 센싱 영역(S)을 차단 또는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잔량은 사용자가 적재플레이트(200)에 새로이 인쇄매체(M)를 보급 적재할 필요 가 있다고 인정되는 수량으로서, 그 수량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장치 제조시 사전에 지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는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한다. 즉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 중 어느 하나가 회동할 때 다른 하나가 이에 연동되지 않는다.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M)에 의해서 회동한다.
또한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는 인쇄매체(M)의 간섭에 의하여 회동한 이후, 인쇄매체(M)의 간섭이 해제되면 원래의 위치로 회귀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한 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 각각의 자중에 의하거나 혹은 회전축(410)에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2하단부(431)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와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인쇄매체(M)가 상기 잔량 이하일 때, 인쇄매체(M)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이 때 제2상단부(433)는 제1기준위치에서의 제1가동부재(420)에 의한 차단 범위보다 작은 범위의 센싱 영역(S), 예를 들면 절반의 범위의 센싱 영역(S)을 차단한다. 이러한 상태의 제2가동부재(430)의 회동 위치를 제2기준위치라고 한다.
즉 제2기준위치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 또는 적재플레이트(200) 상의 인쇄매체(M)가 상기 잔량 이하일 때의 제2가동부재(430)의 회동 위치이다.
감지부(440)는 회동하는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에 의해 센싱 영역(S)의 일 범위가 차단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감지부(440)는 광을 생성 조사하는 발광부(441)와, 발광부(441)로부터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센싱 영역(S)을 형성하는 수광부(443)를 포함한다(도 2 참조).
발광부(441)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443)에 도달하는 경로 사이를 제1상단부(423) 및 제2상단부(433)가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제1상단부(423) 및 제2상단부(4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센싱 영역(S), 즉 상기 광경로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단함으로써,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수광부(443)는 수광되는 광량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감지 신호는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수광부(443)는 수광되는 광량에 대응하는 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예를 들면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이 최대인 경우, 수광부(443)는 전압을 출력하지 않는다. 반면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이 0, 즉 수광부(443)에 광이 수광되지 않는 경우, 수광부(443)는 3.3V의 전압을 출력한다. 한편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이 최대 광량의 절반이라면 1.7V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러한 전압 레벨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적재플레이트(200)에 감지하고자 하는 잔량을 초과한 인쇄매체(M)가 적재되어 있을 때(도 4 참조), 예를 들면 적재플레이트(200)에 한계 적재량의 인쇄매체(M)가 적재되어 있을 때를 고려한다.
이 때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는 각각 제1기준위치 및 제2기준위치로부터 크게 이탈한 상태이다. 제1하단부(421) 및 제2하단부(431)는 인쇄매체(M)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하고, 제1상단부(423) 및 제2상단부(433)는 모두 센싱 영역(S)에서 벗어남으로써 발광부(441)로부터의 광이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은 최대가 되며, 이에 대응하여 수광부(443)는 예를 들어 0V의 전압, 즉 전압을 출력하지 않는다.
이로부터 프린팅 작업이 수행되어 인쇄매체(M)의 적재량이 감소함에 따라서 제2하단부(431)가 점차 하강 회동하며, 제2상단부(433)의 센싱 영역(S)의 차단 범위 또한 점차 증가한다. 이에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이 점차 감소하며, 이에 대응하여 수광부(44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레벨이 상승한다.
여기서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M)의 총 수량이 감지하고자 하는 소정 잔량까지 감소한 경우를 고려한다.
프린팅 작업에 의해 인쇄매체(M)의 총 수량이 감소하여 상기 잔량에 도달하면(도 3 참조), 제2가동부재(430)는 제2기준위치로 회동한다. 즉 제2하단부(431)는 인쇄매체(M)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며, 제2상단부(433)는 센싱 영역(S)의 절반 범위를 차단한 상태이다.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은 수광 가능한 최대 광량의 절반이 되며, 이에 수광부(443)는 1.7V의 전압을 출력한다.
즉 수광부(443)로부터 1.7V의 전압이 출력될 때에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총 수량이 상기 잔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에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M)를 보급 적재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인쇄매체(M)가 계속 감소하여 적재플레이트(200) 상에 인쇄매체(M)가 없다면(도 1 참조), 제1가동부재(420)는 제1하단부(421)가 수용홀(220)에 수용됨으로써 제1기준위치로 회동한다. 이 때 제1상단부(423)는 센싱 영역(S)의 전체 범위를 차단하게 되며, 수광부(443)에 수광되는 광량은 0가 된다. 이에 수광부(443)는 3.3V의 전압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10)은 이와 같은 감지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적재플레이트(200)의 인쇄매체 적재 유무 및 인쇄매체(M)의 총 수량이 상기 잔량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수광부(443)가 출력하는 감지 신호의 레벨, 자세하게는 인쇄매체(M) 적재량에 대응하여 수광부(443)가 출력하는 전압 레벨 값들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값들은 장치 제조 시 지정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는 수광부(443)의 출력 전압이 3.3V이면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M)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출력 전압이 0V이면 적재플레이트(200)에 인쇄매체(M)가 한계까지 적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출력 전압이 0V에서부터 점차 상승하여 1.7V가 되면, 제어부(500)는 적재플 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M)가 상기 잔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500)는 적재플레이트(200) 상에 인쇄매체(M)가 없거나 또는 적재플레이트(200)에 적재된 인쇄매체(M)가 상기 잔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하거나, 화상형성장치에 네트워크 또는 로컬로 연결된 호스트(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가동부재(420) 및 제2가동부재(430)가 센싱 영역(S)을 차단하는 범위를 상이하게 하고, 이에 대응하여 감지부(440)가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게 함으로써, 인쇄매체(M)의 적재 유무 및 적재된 인쇄매체(M)가 소정 잔량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케이싱(20)과, 인쇄매체(M)가 적재 및 공급되는 매체공급유닛(30)과, 매체공급유닛(30)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M)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40)을 포함한다.
화상형성유닛(40)은 정전잠상 및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되는 복수의 상담지체(41)와, 상담지체(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43)과, 상담지체(4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유닛(45)과, 상담지체(41)의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에 전사하는 전사유닛(47)을 포함한다. 또한 가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M)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미정착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50)이 더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유닛(40)이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을 인쇄매체(M) 상에 전사하는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유닛(40)은 인쇄매체(M) 상에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매체공급유닛(30)은 인쇄매체(M)가 적재되며, 이 적재된 인쇄매체(M)를 1매씩 화상형성유닛(40)으로 공급한다. 사용자가 용이하게 매체공급유닛(30)에 인쇄매체(M)를 적재할 수 있도록, 매체공급유닛(30)의 적어도 일부는 본체케이싱(2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매체공급유닛(3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10)의 구성과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담지체(41)는 인쇄매체(M) 상에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 개, 예를 들면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색상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개체가 인쇄매체(M)의 이송경로를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담지체(41)는 외주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주사유닛(43)으로부터의 빔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상담지체(41)에 현상유닛(45)으로부터 현상제가 공급되면, 상담지체(41)에는 현상제에 의한 가시 화상이 형성된다.
광주사유닛(43)은 복수 상담지체(41) 각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도록 빔을 주사한다. 광주사유닛(43)은 최종 형성하고자 하는 컬러 화상의 이미지 정보를 색상별로 분리하여, 이에 기초하여 각 상담지체(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유닛(45)은 각 현상제 색상별로 마련된 복수의 상담지체(41)에 대응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각 상담지체(41) 상에는 상이한 색상의 가시 화상이 형성된 다.
전사유닛(47)은 인쇄매체(M)를 이송하여 복수의 상담지체(41)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며, 각 상담지체(41)의 가시 화상이 인쇄매체(M) 상에 중첩 전사되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에서 인쇄매체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매체공급유닛에서 매체감지유닛을 상측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에서 인쇄매체의 적재 수량이 감지 잔량인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에서 인쇄매체의 적재 수량이 감지 잔량을 초과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공급유닛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 : 매체공급유닛
100 : 지지프레임 200 : 적재플레이트
210 : 탄성부재 220 : 수용홀
300 : 픽업롤러 400 : 매체감지유닛
410 : 회전축 420 : 제1가동부재
421 : 제1하단부 423 : 제1상단부
430 : 제2가동부재 431 : 제2하단부
433 : 제2상단부 440 : 감지부
441 : 발광부 443 : 수광부
500 : 제어부 M : 인쇄매체

Claims (12)

  1. 지지프레임과;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플레이트와;
    센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센싱 영역이 차단되는 범위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일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타단부가 상기 센싱 영역의 일 범위를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1기준위치 및 상기 제1기준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제1가동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소정 잔량을 초과하여 적재된 인쇄매체에 간섭되어 회동하며, 이에 타단부가 상기 제1가동부재에 의한 차단 범위와 상이한 범위의 상기 센싱 영역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제2기준위치 및 상기 제2기준위치로부터 이탈된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제2가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을 수광하는 상기 센싱 영역을 형성하며, 수광되 는 광량에 대응하여 상이한 레벨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의 레벨은 상기 수광되는 광량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전압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제1기준위치에서 상기 센싱 영역의 일 범위를 차단하며,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제2기준위치에서 상기 제1가동부재에 의한 차단 범위보다 작은 범위의 상기 센싱 영역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플레이트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없을 때 상기 제1가동부재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홀을 가지며,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제1기준위치에서 일단부가 상기 수용홀에 수용되며, 타단부가 상기 센싱 영역의 전체 범위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부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 상기 제1기준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와 상기 잔량 이하로 인쇄매체가 적재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기준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부재 및 상기 제2가동부재는 상호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 유무 및 상기 인쇄매체의 총 수량이 상기 잔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없거나 또는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잔량 이하이면, 이를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매체공급유닛.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매체공급유닛과;
    상기 매체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의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의 인쇄매체 유무 및 상기 인쇄매체의 총 수량이 상기 잔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재플레이트 상에 인쇄매체가 없거나 또는 상기 적재플레이트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상기 잔량 이하이면, 이를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로 표시하거나,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된 호스트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92766A 2007-09-12 2007-09-12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1154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66A KR101154897B1 (ko) 2007-09-12 2007-09-12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2/164,267 US7971870B2 (en) 2007-09-12 2008-06-30 Medium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766A KR101154897B1 (ko) 2007-09-12 2007-09-12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01A KR20090027501A (ko) 2009-03-17
KR101154897B1 true KR101154897B1 (ko) 2012-06-13

Family

ID=4043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766A KR101154897B1 (ko) 2007-09-12 2007-09-12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71870B2 (ko)
KR (1) KR1011548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8745B2 (ja) * 2008-09-25 2013-07-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残量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53383B2 (ja) * 2010-04-02 2014-07-16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葉類処理装置
JP2015196592A (ja) * 2014-04-03 2015-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81359B2 (ja) * 2014-08-18 2018-08-2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
JP6196208B2 (ja) * 2014-12-05 2017-09-1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6398715B2 (ja) * 2014-12-29 2018-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送装置
US10351371B2 (en) 2014-12-29 2019-07-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eeding apparatus
US9834397B2 (en) * 2015-09-18 2017-12-0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9821973B2 (en) * 2015-11-27 2017-11-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sheet feed unit removably mounted
JP6604302B2 (ja) * 2016-10-18 2019-11-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58551B2 (ja) * 2016-12-26 2021-04-1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給紙装置
JP2019001595A (ja) * 2017-06-15 2019-01-10 株式会社沖データ 媒体検出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0131A (en) * 1982-01-25 1996-01-02 Canon Kabushiki Kaisha Paper feeding device
US6917766B2 (en) * 2003-07-03 2005-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a sheets from a media stack
US7063315B2 (en) * 2002-12-09 2006-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ckup error-sens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119B1 (ko) 1997-12-29 1999-12-01 윤종용 급지 카세트의 용지 잔량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0131A (en) * 1982-01-25 1996-01-02 Canon Kabushiki Kaisha Paper feeding device
US7063315B2 (en) * 2002-12-09 2006-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ckup error-sens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6917766B2 (en) * 2003-07-03 2005-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a sheets from a media st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01A (ko) 2009-03-17
US20090066006A1 (en) 2009-03-12
US7971870B2 (en)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897B1 (ko)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10228647B2 (en) Optical sen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8533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6618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印刷媒体供給ユニット
US78108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conveyance control method, and sheet-conveyance control program
JP4646007B2 (ja) 画像形成装置
JP6606855B2 (ja) センサ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源の制御方法
KR20100041292A (ko) 화상형성장치
US99712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optical sensor
US8472816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63402B2 (ja) モノクロ印刷モードでの装着された現像剤の残量総量表示が可能な画像形成装置
US87616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4978078B2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249561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 registration correction
JP5847114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28480B1 (ko) 화상형성기기
JP201107611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における高電圧出力制御方法、その高電圧出力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可読記録媒体
JP674373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0116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材有無検知装置
KR20050066695A (ko) 급지카세트의 용지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22122085A (ja) モノクロ画像形成装置、およびモノクロ画像形成装置に装着可能な光走査装置
US20100118319A1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10048172A (ko) 매체공급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JP201022432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