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464B1 -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464B1
KR101151464B1 KR1020100003388A KR20100003388A KR101151464B1 KR 101151464 B1 KR101151464 B1 KR 101151464B1 KR 1020100003388 A KR1020100003388 A KR 1020100003388A KR 20100003388 A KR20100003388 A KR 20100003388A KR 101151464 B1 KR101151464 B1 KR 10115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product
goods
product storag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939A (ko
Inventor
유키 오노
노리히로 우에다
타케시 카사이
타츠오 무라야마
케이이치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65Delivery means using xyz-picker or multi-dimensional article pic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8Recessed draw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버킷이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하고, 또한 수용한 상품을 낙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자세로 이송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21)을 좌우 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상품 랙(20)과,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W)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버킷(40)을 구비하고, 버킷(40)은, 프레임체인 버킷 본체(41)에 요동가능하게 설치(配設)되어 이루어지며, 평상시에는 자신의 자중(自重)에 의해 버킷 본체(41)내에 수납된 수용자세가 되는 한편, 버킷(40)을 구성하는 핀 부재(433)가 돌기부재(10)에 맞닿았을 경우에는, 요동하여 바닥면을 개방해서 상품(W)의 배출을 허용하는 배출자세가 되는 수납 부재(42)와,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는 경우에 상품(W)의 중량에 의해 수납 부재(42)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427)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STORAGE UNIT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을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한 상품 랙에 대하여 버킷(bucket)을 통한 상품의 전달을 행하는 상품 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에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품수납 칼럼과, 상품의 반송을 행하는 버킷을 단열구조를 가지는 상품수용고에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 있다. 상품수납 칼럼은, 복수의 상품을 정렬한 상태로 수납하는 한편, 상품배출유닛이 구동한 경우에는 그 전단부로부터 상품을 1개씩 배출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에서는, 상품 랙에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이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히 설치되며, 또 상기 상품 랙이 좌우 한 쌍의 랙 지지측판 사이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으로 설치되어 있다.
버킷은, 상품수납 칼럼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품의 전달을 행하는 것으로,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킷은, 버킷구동수단에 의해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상하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버킷구동수단은, 버킷을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X축 반송기구와, 이 X축 반송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버킷을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Y축 반송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지정된 상품을 수용한 버킷을 하방을 향해서 배출 이동시키고, 버킷에 설치된 핀 부재가 상품수용고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맞닿아 상기 버킷이 기울어 쓰러지는(傾倒) 자세가 됨으로써 수용한 상품을 배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202935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것 같은 자동판매기에서는,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에 대향배치된 버킷이 상기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할 때에, 상기 상품이, 예를 들면 병에 든 음료 등과 같이 표면이 평활하고 또한 비교적 중량이 큰 것이면, 상기 상품의 중량에 의해 버킷이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경도(傾倒) 자세가 되어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상품의 수용시에 버킷이 경도 자세가 되어버리면, 상품을 원하는 자세로 수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용한 상품을 낙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킷 자신에게 자세를 로크시키는 로크기구와,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로크기구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버킷 자신에게 로크기구나 해제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버킷의 부품개수의 증대뿐만 아니라, 중량 증가, 나아가서는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버킷이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하고, 또한 수용한 상품을 낙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자세로 이송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는, 각각이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을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단열구조를 가지는 상품수용고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으로 설치한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상품수납 칼럼에 대하여 대향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품수납 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버킷과, 상기 버킷을 구동시키기 위한 버킷구동수단을 구비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로서, 상기 버킷은, 프레임체인 버킷 본체와, 상기 버킷 본체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평상시에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상기 버킷 본체내에 수납된 수용자세가 되는 한편, 상기 버킷을 구성하는 핀 부재가 상기 상품수용고의 전면을 구성하는 도어체의 돌기 부재에 맞닿았을 경우에는, 요동하여 바닥면을 개방해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배출자세가 되는 수납 부재와, 대향배치된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할 경우에, 상기 상품의 중량에 의해 상기 수납 부재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는, 상술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수용자세가 되는 상기 수납 부재를 구성하는 축형상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축형상부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동을 규제하는 홈부(溝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는, 상술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대향배치된 상품수납 칼럼에 대하여 상기 상품수납 칼럼의 전단(前端)에 설치된 게이트 부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상기 상품수납 칼럼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푸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푸셔 부재의 진출 이동에 따라서 소정의 규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의 일부에 맞닿아 상기 수납 부재가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판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킷을 구성하는 규제 부재가, 대향배치된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할 경우에, 상기 상품의 중량에 의해 상기 수납 부재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므로, 버킷이 수용한 상품을 낙하시킬 우려가 없고, 또 버킷 자신에게 별도의 부재로서의 로크 기구나 해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버킷이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하고, 또한 수용한 상품을 낙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자세로 이송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상품 수납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상품 수납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버킷구동수단을 구성하는 X축 반송기구에 탑재되는 버킷을 나타내는 것으로, 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버킷을 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버킷을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내부를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버킷을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내부를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버킷을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내부를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버킷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버킷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버킷을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내부를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버킷을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내부를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버킷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버킷 본체를 구성하는 측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측부의 내부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버킷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버킷 본체를 구성하는 측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측부의 내부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상부측 후방연장부의 접촉편(片)과, 규제판과, 푸셔와의 위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상품 수납 장치가 적용된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은 정면도, 도 2는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예시하는 자동판매기는, 예를 들면 캔 음료, 페트병에 들어가는 음료, 종이팩에 들어가는 음료 등의 상품(W)(도 5~도 7 참조)을 냉각, 혹은 가열한 상태로 판매하는 것으로, 본체 캐비넷(1)을 갖추고 있다.
본체 캐비넷(1)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내부가 2개로 구획되어 위쪽이 상품수용고(2), 아래쪽이 기계실(3)로 되어 있다. 상품수용고(2)는, 그 내부를 미리 설정한 온도상태로 유지하는 챔버이며, 상품수용고(2)를 구성하는 벽부재는 각각 단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 등, 내부 분위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이나, 전열 히터(heater) 등, 내부 분위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기계실(3)에는, 상기 증발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동기(압축기 및 응축기)(4)나, 각종 제어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 캐비넷(1)의 전면(前面)에는, 외부 도어(5) 및 내부 도어(6)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도어(6)는, 단열 유리 등의 투명판재(7)를 끼워 넣어서 형성한 도어체이며, 상품수용고(2)의 전면을 덮는데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이 내부 도어(6)는 폐쇄(閉)이동하여 상품수용고(2)의 전면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품수용고(2)의 전면을 구성하는 단열부재이다.
상기 내부 도어(6)의 투명판재(7)의 중앙부 하방 영역에는, 직사각형상의 상품반출구(8)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상품반출구(8)를 개폐하기 위한 반출플랩퍼(flapper, 9)가 설치되어 있다. 반출플랩퍼(9)는, 하단이 자유단이 되는 양태로 전후 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축지지되며, 평상시에는 자신의 자중(自重)에 의해 상품반출구(8)를 폐쇄하는 것이다.
또, 내부 도어(6)의 상품반출구(8)의 수직상방 부위에는, 돌기 부재(1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 부재(10)는, 금속성 재료에 의해 구성한 것으로, 내부 도어(6)의 후면(後面)으로부터 돌출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도어(6)가 상품수용고(2)의 전면을 폐쇄하는 경우에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 도어(5)는, 본체 캐비넷(1)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단열재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단열 유리 등의 투명판재를 끼워 넣어서 이루어지는 윈도우(window, 11)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판매기는 외부 도어(5)의 윈도우(11)를 통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소위 뷰(view) 타입인 것이다. 또한, 외부 도어(5)의 전면에는, 판매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12)나, 화폐를 투입하기 위한 입금구(13) 등, 상품을 자동판매할 때 필요로 하는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좌방향은, 자동판매기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좌측의 방향을 가리키고, 우방향은, 자동판매기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의 우측의 방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품수용고(2)에는, 상품 랙(20)과 버킷구동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상품 랙(20)은,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21)을 좌우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각각의 상품수납 칼럼(21)으로 구획한 상품수납 통로(22)에 복수의 상품을 전후 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품 랙(20)은, 상품수용고(2)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이 되는 양태로 부착된 랙 지지측판(도시 생략) 사이에 걸쳐지는 양태로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단(段)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품 랙(20)을 지지하는 랙 지지측판은, 예를 들면 판금 등을 적당히 가공하여 구성하는 길이가 긴(長尺) 형상의 판상(板狀)체이며, 서로의 일면(내면)이 대향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수용고(2)를 구성하는 천판(天板)이나 바닥판 등에 예를 들면 나사 등의 부착부재를 통하여 부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랙 지지측판에 지지된 상품 랙(20)의 각 상품수납 칼럼(21)은, 앞뒤로 평행 배치한 롤러(23)(도 12 및 도 13 참조)에 이음매없는 형상의 벨트(24)(도 12 및 도 14 참조)를 걸어 감은 반송기구를 구비하고, 반송 벨트(24)의 상면에 상품(W)을 재치(載置)하여 수납하고 있다. 이러한 각 상품수납 칼럼(21) 전단(前端)부에는 상품(W)의 배출을 제어하는 상품 배출 유닛(25)(도 12 및 도 13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상품 배출 유닛(25)은, 구동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동력원으로부터 분리된 구동부를 가지지 않는 것이며, 후술하는 버킷(40)이 지정된 상품수납 칼럼(21)에 대향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버킷(40)에 내장되는 전동식 구동기구(50)(도 12 및 도 13 참조)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하는 것이다.
버킷구동수단(30)은, X축 반송기구(31)와 Y축 반송기구(32)의 조립체로서 구성한 것이다. X축 반송기구(31)는, 본체 캐비넷(1)의 내부이며 상품 랙(20)의 전방영역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있는 레일 부재(311)를 구비하고, X축 모터(312)(도 3~도 7 참조)의 구동에 의해 레일 부재(311)의 연장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탑재되는 버킷(4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X축 모터(312)는, 예를 들면 PWM(Pulse Width Modulation) 구동되는 것이다. 여기서 PWM구동이란, 모터의 구동 전압을 간헐적으로 온오프(on-off)하는 것이며, 온의 듀티(duty)가 클수록 해당 모터는 고속 회전하고, 오프의 듀티가 클수록 해당 모터는 저속회전한다. 이러한 X축 반송기구(31)의 구조 그 자체는 주지된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Y축 반송기구(32)는, 구조 자체는 주지된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간단히 설명한다. 이 Y축 반송기구(32)는, 좌우 한 쌍의 반송 지지프레임에 설치한 것이다. 이들 반송 지지프레임의 상단부 근방에는 풀리(pully)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풀리에는, 길이가 긴 형상의 밧줄형상체인 벨트가 걸려 감겨 있으며, 이 벨트의 일단에는 웨이터가 접속되고, 타단에는 상기 레일 부재(311)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재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Y축 반송기구(32)는, Y축 모터의 구동에 의해 풀리가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유지부재에 유지되는 레일 부재(311), 및 버킷(40)을 탑재하는 X축 반송기구(31)를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Y축 모터는 상술한 X축 모터(312)와 마찬가지로 PWM구동되는 것으로 한다.
도 3~도 5는, 각각 버킷구동수단(30)을 구성하는 X축 반송기구(31)에 탑재되는 버킷(40)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후방측에서 보았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측방에서 보았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 내부를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예시하는 버킷(40)은, 버킷 본체(41)와, 수납 부재(42)와, 접촉 부재(4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버킷 본체(41)는, 전면, 후면 및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프레임체이다. 이 버킷 본체(41)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측부(411)는, 서로의 내면이 대향하는 양태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들 측부(411)는, 수지제의 하우징 내에 여러 가지의 기기를 수용하고 있으며, 일례를 들면, 전동식 구동기구(50)나 푸셔기구(60)(도 12 및 도 14 참조)를 수용하고 있다. 전동식 구동기구(50)는, 지정된 상품수납 칼럼(21)에 버킷(40)이 대향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품수납 칼럼(21)의 전단부의 상품배출유닛(25)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구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푸셔기구(60)는, 푸셔용 모터(61)(도 12 및 도 14 참조)의 구동에 의해 후방측을 향해서 진출 이동하는 푸셔(62)(도 12 및 도 13 참조)를 구비하고, 상기 푸셔(62)의 진출 이동에 의해, 상품수납 칼럼(21) 전단부에 설치된 게이트 부재(27)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수납 부재(42)는, 금속제 판상체를 적당히 조합하고, 또한 구부림(屈曲) 가공 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며, 버킷 본체(41)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납 부재(42)는, 수납전부(前部, 421)과, 수납측부(側部, 422)와, 수납저부(底部, 42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납전부(421)는, 수납 부재(42)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것이며, 직사각형상의 전면개구(421a)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것이다. 수납측부(422)는, 서로의 내면이 대향하는 양태로 수납전부(421)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서 연장하여 있는 것이며, 상부측 후방연장부(4221)와 하부측 후방연장부(4222)를 가지고 있다. 상부측 후방연장부(4221)는, 수납측부(422)의 상방측에 있어서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하여 있는 것이며, 상하 방향이 긴 지름이 되는 긴 구멍(4221a)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긴 구멍(4221a)을 축부재(424)가 관통하는 결과, 수납 부재(42)는, 상기 축부재(424)의 축심(軸心)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버킷 본체(41)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측 후방연장부(4222)는, 수납측부(422)의 하방측에 있어서 후방측을 향해서 연장하여 있는 것이며, 전후 방향이 긴 지름이 되는 긴 구멍(4222a)을 가지고 있다.
수납저부(423)는, 수납측부(422)의 하부측 후방연장부(4222) 사이에 축형상부(425)를 통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한 판상체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형상부(425)의 양단은, 하부측 후방연장부(4222)의 긴 구멍(4222a)을 관통하여, 버킷 본체(41)를 구성하는 양 측부(411)에 형성된 가이드 홈(426)을 삽입통과하고 있으며, 이로써, 수납저부(423)는 상기 축형상부(425)의 축심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홈(426)은 삽입통과되는 축형상부(425)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며,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漸次)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426)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 홈(426)에 연속하는 양태로 하방으로 연장하여 있는 규제 홈(4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규제 홈(427)은, 축형상부(425)가 진입했을 경우에, 상기 축형상부(425)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이다.
접촉 부재(43)는, 금속제 판상체를 적당히 조합하고, 또한 구부림 가공 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한 것으로, 수납 부재(42)와 동축(同軸)상에 버킷 본체(4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 부재(43)는, 접촉전부(431)와 접촉측부 (43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촉전부(431)는, 접촉 부재(43)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것이며, 수납 부재(42)의 수납전부(421)의 전면개구(421a)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전부(431)에는, 핀 부재(433)가 전방으로 돌출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핀 부재(433)는, 접촉전부(431)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된 축부(434)의 축심 둘레로 요동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설치되며, 스프링 부재(435)에 가압됨으로써, 전방 영역을 향하여, 즉 수납전부(421)의 전면 개구(421a)를 통하여 내부 도어(6)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접촉측부(432)는, 접촉전부(431)의 양단 상부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하여 있는 좌우 한 쌍의 것으로, 그 후단부에는, 수납측부(422)의 상부측 후방연장부(4221)의 긴 구멍(4221a)을 관통하는 축부재(424)가 코깅(caulking)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접촉 부재(43)는, 축부재(424)의 축심 둘레, 즉 수납 부재(42)와 동축에 축지지되어 버킷 본체(41)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접촉측부(432)의 중 좌측의 접촉측부(432)의 후단 상부에는 굴곡된 규제편(規制片, 4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킷(40)을 총괄하여 설명한다. 버킷 본체(41)에는, 수납 부재(42) 및 접촉 부재(43)가 함께 공통의 축부재(424)의 축심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부재(424)는, 일단이 버킷 본체(41)의 측부(411)에 자신의 축심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수납 부재(42)의 긴 구멍(4221a)을 관통하여 접촉 부재(43)의 수납측부(422)의 후단부에 타단이 코깅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 부재(42)는, 평상시에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버킷 본체(41) 내에 수납된 수용자세로 되어 있다. 상기 수용자세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부재(42)에 있어서의 하부측 후방연장부(4222)의 긴 구멍(4222a)을 관통하는 축형상부(425)가 버킷 본체(41)의 측부(411)의 규제 홈(427)에 진입하고 있어, 축형상부(425)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이러한 수용자세에 있는 경우, 수납 부재(42)의 수납저부(423)는, 버킷 본체(41)의 바닥부에 지지되고 있어, 수납 부재(42)의 바닥면을 폐쇄하여 상품(W)을 재치(載置)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접촉 부재(43)도 자신의 자중에 의해 버킷 본체(41)내에 수납된 대기 자세가 되어 있다. 상기 대기 자세의 상태라도 접촉전부(431)에 설치된 핀 부재 (433)는, 수납전부(421)의 전면개구(421a)를 통하여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접촉 부재(43)가 대기 자세에 있는 경우, 좌측의 접촉측부(432)의 후단 상부에 형성된 규제편(436)이, 수납측부(422)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422a)의 상방 영역에 위치하고, 이로써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상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상품 수납 장치에서는, 판매 대기상태에 있어서 냉각 수단 또는 가열 수단이 구동함으로써, 상품수용고(2)에 수납한 상품이 원하는 온도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상술한 판매 대기상태에 있어서, 선택 스위치(12)를 통하여 상품의 선택 정보 및 입금구(13)를 통하여 투입된 화폐의 입금 정보가 각각 소정의 판매 조건을 충족하면, 버킷구동수단(30)이 구동함으로써, 선택한 상품을 수납한 상품수납 칼럼(21)에 대하여 버킷(40)이 대향배치된다. 버킷(40)이 대향배치되면, 상기 버킷(40)의 측부(411)에 수용되는 전동식 구동기구(50)가 해당하는 상품수납 칼럼(21)의 상품배출유닛(25)을 구동한다. 이로써 상품(W)이 1개만 버킷(40)으로 이동하고,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의 수납저부(423)에 재치된 양태로 수용된다.
상품(W)을 수용한 버킷(40)은, 버킷구동수단(30)의 구동에 의해, 돌기 부재(10)의 수직상방 영역에 임의로 설정된 중계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중계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중계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이동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40)을 구성하는 접촉 부재(43)의 핀 부재(433)가 돌기 부재(10)에 맞닿는다. 핀 부재(433)가 돌기 부재(10)에 맞닿으면, 대기 자세에 있는 접촉 부재(43)만이 축부재(424)의 축심 둘레로 요동, 즉 상방을 향해서 요동한다. 이러한 접촉 부재(43)의 요동에 의해, 접촉 부재(43)의 규제편(436)이 수납 부재(42)의 돌출부 (422a)의 상방 영역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퇴피 이동한다. 이로써,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는 상방을 향하여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버킷구동수단(30)의 구동에 의해 버킷(40)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핀 부재(433)가 돌기 부재(10)에 맞닿는 접촉 부재(43)는 상방을 향해서 요동하고, 핀 부재(433)가 접촉전부(431)의 전면 개구(421a)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는 상방을 향해서 이동한다. 이 수납 부재(42)의 상방 이동에 의해 축형상부(425)의 양단이 규제 홈(427)으로부터 가이드 홈(426)의 후단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축형상부(425)가 가이드 홈(42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버킷(40)이 더욱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접촉 부재(43)에 가압되는 수납 부재(42)는, 축부재(424)의 축심 둘레로 요동, 즉 상방을 향해서 요동한다. 이때, 축형상부(425)의 양단은 가이드 홈(426)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전방을 향해서 이동하고,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저부(423)가 버킷 본체(41)의 바닥부의 지지로부터 이탈하여 축형상부(425)의 축심 둘레로 하방을 향해 요동하여 전방으로 밀어낸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되며, 이에 따라 수납 부재(42)는, 바닥면을 개방하는 배출자세가 된다.
이와 같이 수납 부재(42)가 배출자세가 되면, 수납 부재(42)가 반출플랩퍼(9)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상품반출구(8)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품(W)은, 개방된 바닥면을 통해 상품반출구(8)로부터 배출되어, 소정의 상품인출실에 도달하며,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품 수납 장치에 있어서는, 수납 부재(42)가 수용자세에 있는 경우에, 상기 수납 부재(42)를 구성하는 축형상부(425)의 양단이 버킷 본체(41)의 측부(411)에 형성된 규제 홈(427)으로 진입하며,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로써, 수납 부재(42)는 축부재(424)의 축심 둘레로 요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즉, 규제 홈(427)은,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요동하여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규제 홈(427)이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요동하여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므로, 대향 배치된 상품수납 칼럼(21)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W)의 중량에 의해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서 버킷(40)이 수용한 상품(W)을 낙하시킬 우려가 없으며, 또 버킷(40) 자신에게 별도 부재로서의 로크 기구나 해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버킷(40)이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21)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고, 또한 수용한 상품(W)을 낙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자세로 이송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버킷 본체(41)의 측부(411)에 형성한 규제 홈(427)에 의해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8~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도 8~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버킷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은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예시하는 버킷(40')은, 버킷 본체(41), 수납 부재(42) 및 접촉 부재(4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촉 부재(44)는, 금속제 판상체를 적당히 조합하고, 또한 구부림 가공 등을 수행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며, 수납 부재(42)와 동축상에 버킷 본체(41)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접촉 부재(44)는 접촉전부(431)와 접촉측부(44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촉측부(442)는, 접촉전부(431)의 양단 상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여 있는 좌우 한 쌍의 것으로, 그 후단부에는, 수납측부(422)의 상부측 후방연장부(4221)의 긴 구멍(4221a)을 관통하는 축부재(424)가 코깅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접촉 부재(44)는, 축부재(424)의 축심 둘레, 즉 수납 부재(42)와 동축에 축지지되어 버킷 본체(41)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접촉측부(442) 중 좌측의 접촉측부(442)의 후단 상부에는 지지편(44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편 (4421)은, 길이가 긴 형상의 규제 로드(4422)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규제 로드(4422)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 본체(41)의 좌측 측부(411)를 관통하는 양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접촉 부재(44)가 대기 자세에 있을 경우에, 그 선단이 수납 부재(42)의 수납측부(422)로부터 왼쪽으로 돌출하는 돌기편(422a)의 상방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요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버킷(40')이 중계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핀 부재(433)가 돌기 부재(10)에 접촉함으로써, 접촉 부재(44)가 대기 자세로부터 전방을 향해 요동하면, 규제 로드(4422)의 선단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편(422a)의 상방 영역에서 후방을 향해 퇴피 이동한다. 이로써,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는 요동가능한 상태가 되고, 요동하는 접촉 부재(44)에 가압되어 요동하며, 배출자세가 된다. 즉, 지지편(4421)에 지지된 규제 로드(4422)는,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요동하여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대향배치된 상품수납 칼럼(21)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W)의 중량에 의해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로써, 버킷(40')이 수용한 상품(W)을 낙하시킬 우려가 없으며, 또 버킷(40') 자신에게 로크 기구나 해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고, 버킷(40')이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21)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며, 또한 수용한 상품(W)을 낙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자세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버킷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 버킷 본체를 구성하는 측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의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예시하는 버킷(40")은, 버킷 본체(41), 수납 부재(42) 및 접촉 부재(4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버킷 본체(41)를 구성하는 측부(411')에는, 규제판(4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규제판(45)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셔(62)가 측부(411')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한(下限)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납 부재(42)를 구성하는 상부측 후방연장부(4221)의 후단에 형성된 접촉편(422lb)에는 맞닿지 않고, 상기 수납 부재(42)의 요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한편,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셔기구(60)가 구동하여, 푸셔(62)가 후방을 향해서 진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판(45)이 상방을 향해 이동하여 상한(上限) 위치(규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6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판(45)이 수납 부재(42)의 접촉편(422lb)에 접촉하여 수용자세가 되는 수납 부재(42)의 요동을 규제하게 된다.
즉, 규제판(45)은, 푸셔기구(60)의 구동에 의해 푸셔(62)가 진출 이동할 때에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요동하여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대향배치된 상품수납 칼럼(21)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W)의 중량에 의해 수용자세에 있는 수납 부재(42)가 배출 자세가 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버킷(40")이 수용한 상품(W)을 낙하시킬 우려가 없으며, 또한 버킷(40") 자신에게는, 규제판(45)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별도 부재로서의 로크 기구나 해제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의 증대화를 초래하지 않고, 버킷(40")이 소정의 상품수납 칼럼(21)으로부터 상품(W)을 수용하며, 또한 수용한 상품(W)을 낙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자세로 이송할 수 있다.
2 상품수용고
6 내부 도어
8 상품반출구
9 반출플랩퍼
10 돌기 부재
20 상품 랙
21 상품수납 칼럼
22 상품수납 통로
27 게이트 부재
30 버킷구동수단
40 버킷
41 버킷 본체
411 측부
42 수납 부재
421 수납 전부(前部)
422 수납 측부(側部)
423 수납 저부(底部)
425 축형상부
426 가이드 홈
427 규제 홈
43 접촉 부재
431 접촉 전부(前部)
432 접촉 측부(側部)
433 핀 부재
45 규제판
50 전동식 구동기구
60 푸셔 기구
62 푸셔

Claims (3)

  1. 각각이 복수의 상품수납 칼럼을 좌우 방향을 따라 병설(竝設)하여 이루어지며, 단열구조를 가지는 상품수용고에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段)으로 설치한 상품 랙과,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임의의 상품수납 칼럼에 대해 대향 배치되었을 경우에 상기 상품수납 칼럼과의 사이에서 상품의 전달이 가능하게 되는 버킷(bucket)과,
    상기 버킷을 상기 상품 랙의 전방영역에 있어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버킷구동수단을 구비한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로서,
    상기 버킷은,
    프레임체인 버킷 본체와,
    상기 버킷 본체에 요동(搖動)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판매 대기상태에서는 자신의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버킷 본체내에 수납되어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수취(受取)한 상품을 재치(載置)가능한 상태가 되는 한편, 상기 버킷을 구성하는 핀 부재가 상기 상품수용고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도어체의 돌기부재에 맞닿았을 경우에는, 요동하여 바닥면을 개방해서 상품의 배출을 허용하는 배출자세가 되는 수납 부재와,
    대향 배치된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용할 경우에, 상기 상품의 중량에 의해 상기 수납 부재가 배출자세가 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수용자세가 되는 상기 수납 부재를 구성하는 축형상부의 진입을 허용하고, 상기 축형상부의 전후 방향을 따른 이동을 규제하는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은, 대향 배치된 상품수납 칼럼에 대하여 상기 상품수납 칼럼의 전단(前端)에 설치된 게이트 부재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품수납 칼럼에 대하여 진출 이동하는 푸셔(pusher)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하한 위치와 상한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푸셔 부재의 진출 이동에 따라서 상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품수납 칼럼으로부터 수취한 상품을 재치(載置)가능한 상태에 있는 수납 부재의 일부에 맞닿아 상기 수납 부재가 요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판형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1020100003388A 2009-01-23 2010-01-14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101151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13364 2009-01-23
JP2009013364A JP5375129B2 (ja) 2009-01-23 2009-01-23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939A KR20100086939A (ko) 2010-08-02
KR101151464B1 true KR101151464B1 (ko) 2012-06-01

Family

ID=4270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388A KR101151464B1 (ko) 2009-01-23 2010-01-14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75129B2 (ko)
KR (1) KR101151464B1 (ko)
SG (1) SG16348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993A (ja) 2007-03-23 2007-07-1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08262249A (ja) 2007-04-10 2008-10-30 Kubota Corp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2935A (ja) * 1995-01-24 1996-08-09 Matsushita Refrig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757696B2 (ja) * 1999-09-02 2006-03-22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および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制御方法
JP4186829B2 (ja) * 2004-01-30 2008-11-26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3993A (ja) 2007-03-23 2007-07-1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JP2008262249A (ja) 2007-04-10 2008-10-30 Kubota Corp 自動販売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5129B2 (ja) 2013-12-25
JP2010170412A (ja) 2010-08-05
KR20100086939A (ko) 2010-08-02
SG163482A1 (en)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61808A1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US9710993B2 (en) Product discharging device
WO2011161809A1 (ja) 自動販売機
JP5349586B2 (ja) 自動販売機のトレイから製品を送り出す方法
JP5736869B2 (ja) 自動販売機
US9818252B2 (en) Product discharging device
JPWO2015105150A1 (ja) 商品払出装置
JP6797142B2 (ja) 柔軟な温度制御カラムを有する商品販売機
JP201222124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WO2019208131A1 (ja) 商品収納ラック及び商品収納装置
JP2012194796A (ja) 自動販売機
US9811967B2 (en) Product discharging device
JP2012118901A (ja) 自動販売機
JP2012118902A (ja) 自動販売機
JP4835619B2 (ja) 自動販売機
KR101151464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KR101058272B1 (ko) 자동 판매기
US20150213669A1 (en) Product storage device
JP6221755B2 (ja) 商品搬出装置
JP600311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CN114511962B (zh) 商品交出装置
JP4973601B2 (ja) 商品収納装置
KR101115809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수납 장치
JP4737034B2 (ja) 自動販売機
JP6209970B2 (ja) 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