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26B1 - 재생장치 및 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및 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26B1
KR101150326B1 KR1020050076169A KR20050076169A KR101150326B1 KR 101150326 B1 KR101150326 B1 KR 101150326B1 KR 1020050076169 A KR1020050076169 A KR 1020050076169A KR 20050076169 A KR20050076169 A KR 20050076169A KR 101150326 B1 KR101150326 B1 KR 10115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acoustic
sound
sound fiel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163A (ko
Inventor
도시로 데라우치
요이치로 사코
마사요시 미우라
스스무 야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3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5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audio signals to reverberation of the listen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Abstract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역특성 변환부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과는 다른 음향 특성을 출력하는 음향 특성 출력부와, 역특성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하나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음향 특성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어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조정부와, 조정부에 의해 조정된 음악 데이터를 하나의 음장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재생장치 및 재생시스템{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기록 미디어에 메타데이터로서 기록되는 재생 음장 공간의 성질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재생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음향 특성의 측정을 행하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스튜디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재생 특성 조정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재생 특성 조정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캔슬링 필터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재생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재생장치의 또한 다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30, 40. 음향 재생장치 2. 음성 데이터 재생부
3. 메타 데이터 해석부 4.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
5, 8, 9, 18. 전환 스위치 6. 재생 특성 제어부
7. 재생 특성 조정부 10. D/A변환부
11. 전력 증폭부 12. 스피커 시스템
13. 마이크로폰 시스템 14. 마이크로폰 증폭부
15. A/D변환부 16.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
17. 실내음향 특성 기억부
19. 실내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 20. 리스닝 룸
23. 의사 반사음 부가회로 24. 채널간 레벨차이 조정회로
25. 의사 잔향음 부가 회로 31. 컨텐츠 식별 코드 검출부
32. 데이터베이스 검색부 33. 데이터베이스 기억장치부
34. 네트워크 액세스부 35. 네트워크
36. 음성 데이터 해석부 51. 캔슬링 필터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콘서트 홀 등에서 녹음된 음악 소스를 리스닝 룸에서 재생하는데 매우 적합한 재생장치와, 이 재생장치를 복수로 이용하여 구성되는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리스닝 룸의 음향 특성은, 리스닝 룸의 크기·형태·내장 상태에 의해서 각 각 다른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리스닝 룸의 음향 특성을, 표준적인 음향 특성이나 청취자의 취향의 음향 특성에 접근하도록 보정을 행하는 음향 재생장치가 있다.
그러한 음향 재생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리스닝 룸 내에 음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신호를 방사하여, 그 응답(반사음)을 집음하고, 리스닝 룸의 실내 음향 특성의 산출을 행한다. 그리고, 산출한 실내 음향 특성으로부터, 리스닝 룸 내의 음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특성을 산출하여, 산출한 보정 특성에 의해 재생신호의 보정을 행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또, 리스닝 룸 등의 실내 음향 특성을 측정하려면, 음원 위치에서 청취 위치까지의 전달 함수를 요구할 필요가 있다. 리스닝 룸의 경우, 음원 위치는 음향 재생장치의 스피커 위치가 된다.
예를 들면, 인텐시티 스테레오 방식에서는, 전방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스피커가 음원 위치가 된다. 또, 예를 들면, 5.1 채널 방식에서는, 전방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스피커와, 전방 중앙의 1개의 스피커, 후방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스피커와, 1개의 우퍼로 이루어지고, 이들 6개의 스피커가 음원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스피커가 음원 위치가 되는 경우, 그 측정은 각 채널의 스피커마다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채널을 구동시켰을 때의 전달 함수는, 각 채널의 전달 함수의 합을 연산하여 얻어진다.
청취 위치에 설치하는 측정용 마이크로폰은, 지향 특성이 청취자와 같은 특성인지, 또는, 음원 위치 탐색이 가능한 근접 4점법(point) 마이크로폰이 이용된다 (비특허문헌 1).
또, 청취자의 지향 특성과 같은 특성을 가지는 마이크로폰으로서는, 더미 헤드 마이크로폰이 있고, 간이화(簡易化) 한 것으로서, 머리 부분과 비슷하게 만든 회전 타원체의 표면에서 사람의 귀에 상당하는 양옆에 마이크로폰을 묻은 것도 있다.
또, 오디오 시스템의 설치와 특성 조정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취득하고, 그에 따라 오디오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특성을 조정하는 방법 등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센터 서버와 이 센터 서버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는 오디오 시스템에 의해서 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리고, 센터 서버는 오디오 시스템에 대해서, 오디오 기기 조정용 데이터 및 오디오 기기 설치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오디오 시스템은, 수신한 오디오 기기 조정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음향 특성을 자동적으로 조정한다. 또 오디오 시스템은, 수신한 오디오 기기의 설치 데이터를 표시하고, 유저는 표시된 설치 방법에 근거하여, 오디오 기기를 차량에 부착하도록 한 것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확산 음장에 있어서의 양 귀(耳)사이 상관계수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2가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6-327089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 2002-67815호 공보
[비특허문헌 1] 근접 4점법에 의한 콘서트 홀의 음향 측정, 야마자키 요시오, 이토 타케시, JAS Journal 1987년 10월호
[비특허문헌 2] 확산 및 재생 음장에 있어서의 양 귀사이 상관계수, 히가시야마미키오, 외, 일본음향학회 청각 연구회 자료, H-84-28, 1984년
그런데, 오케스트라 등과 같이 복수의 연주자에 의해서 악곡이 연주되는 경우, 연주자는, 서로의 연주에 의해서 서로 영향을 주어, 잠재적인 능력이 나타나 개개로 연주하는 경우보다 세련된 연주가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연주자끼리가 원격지에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의 연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마치 같은 공간에서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라이브감을 얻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원격지에 있는 연주자끼리가 마치 같은 공간에서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라이브감을 얻을 수 있는 재생장치 및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재생장치는,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역특성 변환수단과,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과는 다른 음향 특성을 출력하는 음향 특성 출력수단과,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하나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재생수단에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음악 데이터를 하나의 음장으로 출력하 는 출력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장치의 조정수단은,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는 유사 반사음 또는/및 유사 잔향음을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부가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장치는,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측정신호 발생수단과,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출력수단을 거쳐서 하나의 음장에 출력되고, 상기 하나의 음장에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근거하여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역특성 변환수단은,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장치는,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출력수단을 거쳐서 하나의 음장에 출력되고, 상기 하나의 음장에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음악 데이터와,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역특성 변환수단은,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장치는, 하나의 음장과는 다른 복수의 음향 특성이 격납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의 음향 특성을 독출하는 독출수단을 구비하고, 조정수단은,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하나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독출수단 에 의해 독출된 하나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한다.
또,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재생 시스템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음장에 배치되어 있는 제 1의 재생장치와, 다른 음장에 배치되어 있는 제 2의 재생장치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제 1의 재생장치는,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 2의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의 재생수단과,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과는 다른 음향 특성을 출력하는 제 1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과,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하나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제 1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제 1의 조정수단과, 제 1의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음악 데이터를 하나의 음장에 출력하는 제 1의 출력수단과, 제 1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집음 하는 제 1의 집음수단과, 제 1의 집음수단에 의해 집음된 음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 2의 재생장치에 공급하는 제 1의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제 2의 재생장치는,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 1의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의 재생수단과,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과는 다른 음향 특성을 출력하는 제 2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과,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른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제 2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제 2의 조정수단과, 제 2의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음악 데이터를 다른 음장에 출력하는 제 2의 출력수단과, 제 2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집음하는 제 2의 집음수단과, 제 2의 집음수단에 의해 집음된 음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 1의 재생장치에 공급하는 제 2의 공급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 시스템의 제 1의 조정수단은, 제 1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는 유사 반사음 또는/및 유사 잔향음을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부가하고, 또, 제 2의 조정수단은, 제 2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는 유사 반사음 또는/및 유사 잔향음을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부가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 시스템의 제 1의 재생장치는,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제 1의 측정신호 발생수단과, 제 1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제 1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하나의 음장에 출력되고, 상기 하나의 음장에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의 마이크로폰과, 제 1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제 1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근거하여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 고, 또, 제 2의 재생장치는,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제 2의 측정신호 발생수단과, 제 2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제 2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다른 음장에 출력되고, 상기 다른 음장에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의 마이크로폰과, 제 2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제 2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근거하여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 시스템의 제 1의 재생장치는,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제 1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하나의 음장에 출력되고, 상기 하나의 음장에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1의 마이크로폰과, 제 1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음악 데이터와,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고, 또, 제 2의 재생장치는,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제 2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다른 음장에 출력되고, 상기 다른 음장에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2의 마이크로폰과, 제 2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음악 데이터와,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 시스템의 제 1의 재생장치는, 하나의 음장과는 다른 복수의 음향 특성이 격납되어 있는 제 1의 데이터베이스와,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1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의 음향 특성을 독출하는 제 1의 독출수단을 구비하고, 제 1의 조정수단은,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하나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제 1의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하나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제 1의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고, 또, 제 2의 재생장치는, 다른 음장과는 다른 복수의 음향 특성이 격납되어 있는 제 2의 데이터베이스와,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 2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의 음향 특성을 독출하는 제 2의 독출수단을 구비하고, 제 2의 조정수단은,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른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제 2의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하나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제 2의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한다.
또, 제 1의 데이터베이스 및 제 2의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구성의 음향 재생장치에 적용된다. 음향 재생장치(1)는,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 재생부(2)와, 음성 데이터로부터 공간 특성 데이터(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데이터 해석 부(3)와 메타데이터를 기억하는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4)와, 메타데이터 해석부(3)에서 해석된 메타데이터와,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되어 있는 메타데이터의 어느쪽을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5)와, 메타데이터와, 실내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재생 특성 조정부(7)에 공급되는 재생신호를 제어하는 재생 특성 제어부(6)와, 재생 특성 제어부(6)의 제어에 따라 재생신호를 조정하는 재생 특성 조정부(7)와, 음성 데이터 재생부(2)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와,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8)와, 재생 특성 조정부(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와,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9)와, 전환 스위치(9)를 거쳐서 공급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10)와, D/A변환부(10)에서 변환된 아날로그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부(11)와,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시스템(12)과, 음향 데이터를 집음하는 마이크로폰 시스템(13)과, 집음된 음향 데이터를 증폭하는 마이크로폰 증폭부(14)와, 증폭된 음향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15)와, 마이크로폰 시스템(13)에서 집음한 환경의 음향 특성을 해석하는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와,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서 해석된 음향 특성을 기억하는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와,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서 해석된 데이터와,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환하는 전환 스위치(18)와, 실내 음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향 재생장치(1)는, 소 정의 스튜디오(재생 음장 공간: 이하, 스튜디오로 기재한다)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음성 데이터 재생부(2)는, 반사음이나 잔향음이 포함되지 않도록 온 마이크로 수록한 음성 데이터와 함께, 그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는 공간의 성질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등의 기록 미디어를 재생한다. 음성 데이터 재생부(2)는, 재생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 특성 조정부(7)와 전환 스위치(8)에 공급한다. 또, 음성 데이터 재생부(2)는, 기록 미디어로부터 재생한 메타데이터를 메타데이터 해석부(3)에 공급한다.
또한, 음성 데이터 재생부(2)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다른 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를 재생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메타데이터 해석부(3)는, 음성 데이터 입력부(2)로부터 입력되는 메타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취득한 메타데이터를 해석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적절한 재생 음장 공간인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을 결정한다. 기록 미디어에 메타데이터로서 기록되는 재생 음장 공간의 성질은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재생 음장 공간의 성질은 리버브에 의해서 나타난다. 리버브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음(직접음)과 초기 반사음, 리버브 본체의 잔향음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이 때문에, 재생 음장 공간의 성질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와 그 척도(정의)는, 도 2(a)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레이트 리버브렌스(late reverbrance)는, 직접음에서 리버브 본체까지의 잔향시간 길이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1.4 ~ 2.8(sec)로 된다. 라이브네스(liveness)는, 고음의 잔향 시간 길이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1.5 ~ 2.2(sec)로 된다. 소스 프레즌스(source presence)는, 직접음과 초기 반사음과의 비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2 ~ 2(dB)로 된다. 웜스(warmth)는, 저음의 초기 반사음과 고음의 초기 반사음과의 비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1.2 ~ 1.25(dB)로 된다. 룸 프레즌스(room presence)는, 잔향음의 레벨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0.5 ~ 0.5(dB)로 된다. 런닝 리버브렌스(running reverbrance)는, 초기 반사음의 잔향시간 길이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1.8 ~ 2.6(sec)으로 된다. 또한, 인벨롭먼트(envelopment)는, 직접음에 대한 초기 반사음의 비율에 의해 나타나고, 예를 들면, 그 수치는 0.1 ~ 0.3(%)으로 된다.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4)는, 예를 들면,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메타데이터 해석부(3)에서 해석 된 음향 특성 데이터를 기억한다.
전환 스위치(5)는, 단자(a)와 단자(b)를 가지고, 단자(a)에 메타데이터 해석부(3)가 접속되고, 단자(b)에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4)가 접속되어 재생 특성 제어부(6)에 대해서, 메타데이터 해석부(3)의 음향 특성 데이터 또는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4)의 음향 특성 데이터의 어느 쪽을 공급하는 스위치이다.
재생 특성 제어부(6)는, 전환 스위치(5)를 거쳐서 메타데이터 해석부(3) 또는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4)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특성 데이터와 전환 스위치(18)를 거쳐서 입력되는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생 특성 조정부(7)의 제어를 행한다. 또,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 데이터의 취득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재생 특성 조정부(7)는, 재생 특성 제어부(6)의 제어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입력부(2)에 재생된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을 조정한다.
전환 스위치(8)는, 단자(c)와 단자(d)를 가지고, 단자(c)에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가 접속되고, 단자(d)에 음성 데이터 재생부(2)가 접속되며,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 대해서,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의 측정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입력부(2)의 음성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전환 스위치(9)는, 단자(e)와 단자(f)를 가지고, 단자(e)에 재생 특성 조정부(7)가 접속되고, 단자(f)에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가 접속되어, 후단의 D/A변환부(10)에 대해서, 재생 특성 조정부(7)로부터의 음성 데이터, 또는 후술 하는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로부터의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D/A변환부(10)는, 전환 스위치(9)를 거쳐서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데이터 또는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음성신호 또는 음향 특성 측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전력 증폭부(11)는, D/A변환부(10)로부터 공급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소정 레 벨까지 증폭하고, 증폭 후의 신호를 스피커 시스템(12)에 공급한다.
스피커 시스템(12)은, 전력 증폭부(11)에서 증폭한 신호를 가청음으로서 출력한다.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은, 예를 들면,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을 측정할 경우에, 소정의 리스닝 포인트(청취 위치)에 배치되고, 그 위치에 있어서 음향을 집음한다.
마이크로폰 증폭부(14)는, 마이크로폰 시스템(13)에서 집음하여 얻어지는 집음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A/D변환부(15)는, 마이크로폰 증폭부(14)로부터의 아날로그 집음신호를 디지털 집음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는, 전환 스위치(8)를 거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기준신호로서, A/D변환부(15)를 거쳐서 입력되는 집음된 음향 데이터의 해석을 행하는 것으로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을 얻는다.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는, 예를 들면,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서 얻을 수 있던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를 기억한다.
전환 스위치(18)는, 단자(g)와 단자(h)를 가지고, 단자(g)에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가 접속되고, 단자(h)에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가 접속되어 재생 특성 제어부(6)에 대해서, 음향 특성 데이터로서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에 일단 기억한 음향 특성 데이터, 또는,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로부터 직접 출력되는 음향 특성 데이터의 어느 한쪽을 공급한다.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에는, 스튜디오 등의 실내 음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러한 측정 데이터는, M계열신호(Maximum Length Sequence), TSP(Time Stretched Pulse)신호 등이 고려된다.
또한, 이러한 음향 재생장치(1) 전체의 제어나, 전환 스위치(5, 8, 9, 18)의 변환 제어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재생장치(1)에 대해서는,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메타데이터 또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공급되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음향 특성과 실제의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스튜디오에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의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재생장치(1)에 대해서는,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을 취득하는 메타데이터 해석부(3)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a), (b)는, 재생장치(1)에 설치되어 있는 음향 특성을 측정하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를 이용한 음향 특성 측정을 행하는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에서는, 측정 항목에 적절한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여 독출한다. 그리고, 재생장치(1)는, 독출된 측정 데이터를 전환 스위치(9)를 거쳐서 D/A변환부(10)에 전송하고, D/A변환부(10)에서 D/A변환한 후, 전력 증폭부(11)에서 증폭하고, 증폭한 측정신호를 스피커 시스템(12)으로부터 출력한다.
스피커 시스템(12)의 출력음은, 스튜디오의 소정의 측정점에 설치된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집음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집음신호를 마이크로폰 증폭부(14)에서 증폭하고, 증폭한 집음신호를 A/D변환부(15)에서 A/D변환한 후,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로 전송된다.
이 경우,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서는, 전환 스위치(8)를 거쳐서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서 집음 된 음향 데이터의 해석을 행하는 것으로,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전달 함수)을 얻도록 하고 있다. 또,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의 해석 결과는,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한다.
여기서,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 대해서,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의 측정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서 스튜디오의 전달 함수를 얻도록 하고 있는 것은 이하와 같은 이유에 의한다.
기본적으로는, 스피커 시스템(12)으로부터 출력하는 측정음의 신호를 인펄스 신호로서, 그 응답을 마이크로폰 시스템(13)에서 집음하면,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의 집음신호가 스튜디오의 전달 함수가 되지만, 이 방법에서는 S/N(신호대 잡음비)을 올리는 것이 곤란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측정 데이터로서 에너지가 큰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 대해서, A/D변환기(15)를 거쳐서 입력되는 집음 된 음향 데이터(응답신호)를 전환 스위치(8)를 거쳐서 입력되는 측정 데이터로 나눗셈하는 것으로 스튜디오의 전달 함수를 산출하도 록 하고 있다.
또, 비특허문헌 2에 의하면, 등가 양귀간 거리(약 30 cm)에서 배치한 2개의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의 상관계수를 해석하는 것으로서, 음장이 자연스러운 확산성을 갖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재생 특성을 몇 번인가 변화시켜, 그 때의 청취 위치에서의 상관계수를 측정하면,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 있어서 자연스러운 확산 음장에 가까운 조건을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로부터 발생시키는 실내 음향 특성의 측정 데이터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연산부에 의해서, 그때마다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 3(b)에는, 실내 음향 특성 측정 데이터 기억부(19)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음향 특성의 측정을 행하는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는, 음성 데이터 입력부(2)에서 재생된 음성 데이터를 측정 데이터로서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음성 데이터 입력부(2)에서 재생한 음성 데이터를, 재생 특성 조정부(7), 전환 스위치(9)를 거쳐서 D/A변환부(10)에 전송하고, D/A변환부(10)에서 D/A변환한 후, 전력 증폭부(11)에서 증폭하고, 증폭한 음성신호를 스피커 시스템(12)으로부터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도, 스피커 시스템(12)의 출력음은,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집음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 시스템(13)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집음신호를 마이크로폰 증폭부(14)에서 증폭하고, 증폭한 집음신호를 A/D변 환부(15)에서 A/D변환한 후,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 전송한다.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에서는, 전환 스위치(8)를 거쳐서 음성 데이터 입력부(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 등을 이용하고,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해석을 행하는 것으로, 재생음장 공간인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전달 함수)을 얻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 음향 특성 해석부(16)의 해석 결과는,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에 기억 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도, 집음 된 음향 데이터(응답신호)를 음성 데이터(입력신호)로 나눗셈하는 것으로 전달 함수를 얻어지도록 된다. 또한, 실내 음향 특성 데이터 기억부(17)에는, 미리 대표적인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을 기억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의 형태의 재생장치(1)에서는,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의 측정을 행하고, 측정한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과,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고 있는 메타데이터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재생 특성 조정부(7)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입력부(2)로부터 재생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재생장치(1)에 있어서,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과, 재생해야 할 음악 소스의 음성신호를 녹음했을 때의 음향 특성에 따라서, 음성신호를 재생 할 때의 음향 특성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재생장치(1)에 있어서 녹음 환경이나 장르가 다른 음악 소스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유저가 음향 특성의 조정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음악 소스 에 적절한 음향 특성으로 조정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스튜디오가 음상에 영향을 주는 음향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향 특성에 영향을 주는 스튜디오의 구조로서는, 예를 들면, 음향 공간의 좌우의 비대칭성이 있다. 그러한 스튜디오의 일례를 도 4에 나타낸다.
이 도 4에 나타내는 스튜디오(20)는, 청취자(U)의 좌측 벽면(21L)에 비해 우측 벽면(21R) 쪽이 흡음성이 높고, 우측 벽면(21R)으로부터의 반사음이 대부분 없는 것으로 된다. 즉, 좌측 벽면(21L)과 우측 벽면(21R)에서는 반사 상태가 크게 다른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청취자(U)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좌측 스피커(12L)로부터 청취자(U)에 도달하는 음과, 청취자(U)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우측 스피커(12R)로부터 청취자(U)에 도달하는 음을 비교하면, 스피커(12L, 12R)로부터 각각 청취자(U)에 도달하는 직접음(SDL, SDR)은, 거의 같아지지만, 좌우의 벽면(21L, 21R)에서 반사한 반사음(SRL, SRR)은 크게 다르게 된다. 이 결과, 본래, 좌우 스피커(12L, 12R)의 거의 중앙 위치에 정위 시켜야 할 보컬이나 주요 악기 등의 음상(22)이, 반사음의 큰 방향(이 경우는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 버리거나, 혹은 특정 방향에서의 울림만이 눈에 띄어 버리는 등, 스튜디오(20)의 음상에 영향을 주는 것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의 재생장치(1)에서는, 재생 특성 조정부(7)를 도 5에 나타내도록 구성하고 음성 데이터의 조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재생 특성 조정부(7)는, 의사(擬似) 반사음 부가회로 (23), 채널간 레벨차 조정회로(24)에 의해 구성되고, 스튜디오(20)의 우측 벽면(21R)으로부터의 반사음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우측 스피커(12R)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 의사 반사음 부가회로(23)에서 의사 반사음 데이터를 부가한 후, 채널간 레벨차 조정회로(24)에 있어서 좌우 채널 사이의 레벨차이를 조정하여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튜디오(20)의 우측 벽면(21R)으로부터의 반사음(SRR)이 대부분 없는 경우에서도, 우측 스피커(12R)로부터의 의사 반사음(SRR1)에 의해, 좌우 스피커(12L, 12R)의 거의 중앙 위치에 보컬 등의 음상(22)을 정위 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재생 특성 조정부(7)에 대해서, 파선으로 나타낸 의사 잔향음 데이터를 부가하는 의사 잔향음 부가회로(25)를 설치하고, 우측 스피커(12R)의 재생음에 대해서, 의사 잔향음을 부가하면, 보다 자연스럽게 보컬 등의 음상(22)을 정위 시킬 수 있다.
또, 재생 특성 조정부(7)는, 도 6에 나타내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도 6에 나타내는 재생 특성 조정부(7)는, 캔슬링 필터(51)와 의사 반사음 부가회로(23)에 의해 구성되고, 캔슬링 필터(51)에 있어서, 스튜디오(20)의 좌우 스피커(12L, 12R)로부터의 재생음을 캔슬하고 나서 희망하는 반사음 등의 음향 특성을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스피커(12L, 12R)로부터 청취 위치까지의 특성이 평탄한 주파수 특성이 되도록 역특성을 걸고 나서, 유사 반사음 부가 회로(23)에 있어서 희망하는 반사음의 음향 특성을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튜디오(20)의 우측 벽면(21R)으로부터의 반사음(SRR)이 대부분 없는 경우에서도, 좌측 스피커(12L)로부터의 의사 반사음(SRL1)과, 우측 스피커(12R)로부터의 의사 반사음(SRR1)에 의해, 좌우 스피커(12L, 12R)의 거의 중앙 위치에 펼쳐지는 감이 있는 보컬 등의 음상(22)을 정위 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이 경우도 재생 특성 조정부(7)에 대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의사 잔향음 데이터를 부가하는 의사 잔향음 부가회로(25)를 설치하고, 좌우의 스피커(12L, 12R)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음에 대해서 의사 잔향음을 부가하면, 또한 보다 자연스럽게 음상(22)을 정위 시킬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것 같은 캔슬링 필터(51)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에서는, 재생 음장 공간(69)에 있어서의 좌측 스피커(67)로부터 청취자(U)의 좌측 귀(EL)에 이르는 경로의 머리 부분 회절 전달 함수를 HLS, 우측 스피커(68)로부터 청취자(U)의 우측 귀(ER)에 이르는 경로의 머리 부분 회절 전달 함수를 HRS로 한다. 또, 좌측 스피커(67)로부터 청취자(U)의 우측 귀(ER)에 이르는 경로의 머리 부분 회절 전달 함수를 HLO, 우측 스피커(68)로부터 청취자(U)의 좌측 구(EL)에 이르는 경로의 머리 부분 회절 전달 함수를 HRO로 한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캔슬링 필터(51)는, 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은 더미 헤드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좌측 집음신호(SLin)가 좌측 채널신호, 우측 집음신호(SRin)가 우측 채널신호로서 입력된다.
좌측 채널신호로 이루어지는 좌측 집음신호(SLin)는, 가산기(61)와 크로스토크 캔슬부(62)에 입력된다. 또, 우측 채널신호로 이루어지는 우측 집음신호 (SRin)는, 가산기(64)와 크로스토크 캔슬부(63)에 입력된다.
크로스토크 캔슬부(62, 63)는, 각각 좌측 스피커(67)로부터 청취자(U)의 우측 귀(ER)로의 크로스토크 성분과, 우측 스피커(68)로부터 청취자(U)의 좌측 귀(EL)로의 크로스토크 성분을 캔슬하기 위한 필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크로스토크 캔슬부(62)의 전달 특성(CR)은 -HRO/HRS로 나타난다. 또, 크로스토크 캔슬부(63)의 전달 특성(CL)은, -HLO/HLS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크로스토크 캔슬부(62)를 통과한 좌측 집음신호(SLin)가 캔슬신호로서 가산기(64)에 입력된다. 또, 크로스토크 캔슬부(63)를 통과한 우측 집음신호(SRin)가 캔슬신호로서 가산기(61)에 입력된다.
가산기(61)는, 입력된 좌측 집음신호(SLin)와 크로스토크 캔슬부(63)로부터의 캔슬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가산기(61)의 출력은, 보정 블록부(65)에 공급된다.
가산기(64)는, 입력되는 우측 집음신호(SRin)와 크로스토크 캔슬부(62)로부터의 캔슬신호를 가산하여 보정 블록부(66)에 공급한다.
보정 블록부(65)는, 좌측 채널에 대해서 좌측 스피커(67)를 포함한 재생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블록부이며, 크로스토크 캔슬부(63)에 의해 생기는 특성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65a)로 스피커 특성을 보정하는 스피커 보정부(65b)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보정부(65a)의 전달 특성은, 1/(1-CL·CR)로 나타난다. 또, 보정부(65b)의 전달 특성은, 1/HLS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보정 블록부(65)의 출력은, 캔슬링 필터(51)로부터 좌측 집음신호(SLout)로서 출력된다.
또, 보정 블록부(66)는, 우측 채널에 대해서 우측 스피커(68)를 포함한 재생계의 보정을 행하기 위한 블록부이며, 크로스토크 캔슬부(62)에 의해 생기는 특성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부(66a)와, 스피커 특성을 보정하는 스피커 보정부(66b)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러한 보정부(66a)의 전달 특성은, 1/(1-CL·CR)로 나타난다. 또, 보정부(66b)의 전달 특성은, 1/HRS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보정 블록부(66)의 출력은, 캔슬링 필터(51)로부터 우측 집음신호(SRout)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캔슬링 필터(51)로부터 출력되는 좌측 집음신호(SLout)를 재생 음장 공간(69)의 좌측 스피커(67)에, 우측 집음신호(SRout)를 재생 음장 공간(69)의 우측 스피커(68)에 입력한다. 그러면, 재생 음장 공간의 청취자(U)의 좌측 귀(EL)에는, 캔슬링 필터(51)에 입력한 좌측 집음신호(SLin)에 대응하는 좌측 귀 음만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청취자(U)의 우측 귀(ER)에는, 같은 캔슬링 필터(51)에 입력한 우측 집음신호(SRin)에 대응하는 우측 귀 음만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의 재생장치(1)에서는, 기록 미디어의 음성 데이터와 함께, 그 음성 데이터가 재생되어야 할 목표가 되는 공간의 성질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가 기록되고 있는 것으로서 앞에서 설명했지만, 그러한 메타데이터는 반드시 기록 미디어에 기록해 둘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기록 미디어에 컨텐츠 식별 코드를 기록하여, 그 컨텐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가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록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서,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재생장치의 다른 구성으로서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가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적합한 재생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그러한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재생장치(1)와 동일 부위에는 동일 번호를 교부하고 설명은 생략 한다. 또, 도 8에 있어서, 컨텐츠 식별 코드 검출부(31)는, 음성 데이터 입력부(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로부터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 식별 코드를 검출한다.
데이터베이스 검색부(32)는, 컨텐츠 식별 코드 검출부(31)에 있어서 검출된 컨텐츠 식별 코드에 근거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독출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검색부(32)는, 컨텐츠 식별 코드가 음향 재생장치(30) 내의 데이터베이스 기억장치부(33)에 이미 메타데이터와 함께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데이터베이스 기억장치부(33)에서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독출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기억장치부(33)에 아직도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 액세스부(34)를 제어하고, 네트워크(35) 상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컨텐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독출하고,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식별 코드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기억장치부(33)에 기억한다.
음성 데이터 해석부(36)는, 데이터베이스 검색부(32)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메타데이터를 해석하고 기록 미디어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적합한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재생장치(30)에 있어서도, 스튜디오(20)의 실내 음향 특성과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생한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녹음 환경이나 장르가 다른 음악 소스를 스튜디오에서 재생하는 경우에서도, 자동적으로 음악 소스에 적절한 음향 특성으로 조정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 등을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식별 코드는,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해서 기록된 것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의 TOC 데이터나 악곡신호 데이터의 일부분과 같이, 같은 수치의 조합이 존재하는 확률이 매우 작은 것을 컨텐츠 식별 코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음향 재생장치(30)를 복수로 이용하여 구성되는 재생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재생 시스템은, 스튜디오(이하, 제 1의 스튜디오라고 한다.)와 상기 스튜디오와는 다른 장소(이하, 제 2의 스튜디오라고 한다.)에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된 재생장치(30)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1의 스튜디오에 있는 제 1의 연주자와, 제 2의 스튜디오에 있는 다른 연주자가 재생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세션 하는 것으로 한다.
제 1의 스튜디오에 배치되어 있는 재생장치(30)(이하, 제 1의 재생장치라고 한다.)는, 연주자에 의한 연주를 집음하고, 집음 된 음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 쳐서 제 2의 스튜디오에 송신한다. 한편, 제 2의 스튜디오에 배치되어 있는 재생장치(30)(이하, 제 2의 재생장치라고 한다.)는, 연주자에 의한 연주를 집음하고, 집음 된 음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제 1의 스튜디오에 송신한다.
제 1의 재생장치에서는, 제 2의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된 음향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재생부(2)를 거쳐서 재생 특성 조정부(7)에 공급한다. 또, 제 2의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된 제 2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이 음성 데이터 해석부(36)에 공급된다. 또, 제 1의 재생장치는, 제 2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을 데이터베이스 기억장치부(33)로부터 검출해도 좋고, 네트워크 액세스부(34)를 거쳐서 네트워크로부터 검출해도 좋다.
제 1의 재생장치는, 재생 특성 제어부(6)에 의해, 전환 스위치(5)로부터 공급되는 제 2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과, 전환 스위치(18)를 거쳐서 공급되는 제 1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재생 특성 조정부(7)를 제어한다. 재생 특성 제어부(6)는 제 1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여, 재생 특성 조정부(7)에 공급한다. 또, 재생 특성 제어부(6)는, 제 2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유사 반사음 및/또는 유사 잔향음을 생성하고, 재생 특성 조정부(7)에 공급한다.
재생 특성 조정부(7)는, 제 1의 스튜디오의 역특성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음성 데이터 재생부(2)로부터 공급되는 제 2의 스튜디오에서 집음 된 음향 데이터를 조정하고, 또, 조정 후의 음향 데이터에, 재생 특성 제어부(6)로부터 공급된 유사 반사음 및/또는 유사 잔향음을 부가한다. 재생 특성 조정부(7)로부터 출력 된 음향 데이터는, 전환 스위치(9), D/A변환부(10), 전력 증폭부(11) 및 스피커 시스템(12)을 거쳐서 제 1의 스튜디오에 출력된다.
따라서, 제 1의 스튜디오에서는, 제 1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이 캔슬되고, 제 2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에 따라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제 1의 스튜디오의 연주자는, 마치 제 2의 스튜디오에 있어서 제 2의 스튜디오에서 연주하고 있는 다른 연주자와 함께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LIVE 감각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2의 스튜디오에 배치되어 있는 제 2의 재생장치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의 스튜디오로부터 공급된 음향 데이터의 처리를 행한다. 그러므로, 제 2의 스튜디오의 연주자는, 마치 제 1의 스튜디오에 있어서 제 1의 스튜디오에서 연주하고 있는 다른 연주자와 함께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LIVE 감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재생장치로부터 이루어지는 재생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스튜디오의 음향·음장 특성을 다른 스튜디오의 음향·음장 특성과 서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연주에 대해서, 마치 동일한 장소에서 함께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LIVE 감각의 음향·음장 공간을 줄 수 있다.
또, 재생 시스템은, 제 3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과 제 1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을 교환하여, 제 3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과 제 2의 스튜디오의 음향 특성을 교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에는, 제 1의 스튜디오의 연주자 및 제 2의 스튜디오의 연주자는, 마치 제 3의 스튜디오에 있어서 함께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LIVE 감각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9는, 본 실시의 형태로 여겨지는 재생장치의 또한 다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재생장치와 동일 부위에는 동일 번호를 교부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음향 재생장치(40)에서는, 음성 데이터 해석부(36)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 입력부(2)에서 재생한 음성 데이터의 성질 및 음성 데이터가 수록된 음향 공간, 또는, 음성 데이터가 연주될 가상 음향 공간의 실내 음향 특성에 대한 해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음성신호의 자기 상관 함수의 형상이나 켑스트럼의 형상으로부터 반사음이 포함되는 타이밍이나 그 크기를 해석하고, 채널간의 상호 상관 함수로부터 음상의 확장 등의 해석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음성 데이터 해석부(36)에는, 음성 데이터의 해석을 행할 때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반사음의 구조를 해석할 수 있도록 대역 분할 필터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음성 데이터 해석부(36)의 해석 결과는, 예를 들면, 컨텐츠 식별 코드 마다 음성 특성 데이터 기억부(4)에 기억하여 두고, 컨텐츠가 선택될 때 마다 호출하여도 좋다.
이러한 재생장치(40)에 있어서도, 스튜디오(20)의 실내 음향 특성과 기록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로부터 얻은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재생한 음성 데이터의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녹음 환경이나 장르가 다른 음악 소스를 스튜디오에서 재생하는 경우에서도, 자동적 으로 음악 소스에 적절한 음향 특성으로 조정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재생장치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기록 미디어로부터 재생해야 할 재생 데이터의 음향 특성과 스튜디오의 실내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음향 특성의 조정을 행하는 재생장치이면, 어느 쪽의 구성의 것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록 미디어가 광디스크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예를 들면 블루 레이(Blu-Ray) 방식의 디스크, CD(Compact Disc) 방식의 디스크, 미니 디스크(Mini Disk),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혹은 플래쉬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 등 여러 가지 고려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스튜디오(재생 음장 공간)의 음향·음장 특성을 다른 스튜디오의 음향·음장 특성과 상호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연주에 대해서, 마치 동일한 장소에서 함께 연주하고 있는 것 같은 LIVE 감각의 음향·음장 공간을 줄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나의 음장에 배치되어 있는 제 1의 재생장치와, 다른 음장에 배치되어 있는 제 2의 재생장치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재생장치는,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과,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제 2의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1의 재생수단과,
    상기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과는 다른 음향 특성을 출력하는 제 1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과,
    상기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하나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상기 제 1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상기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제 1의 조정수단과,
    상기 제 1의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음악 데이터를 하나의 음장에 출력하는 제 1의 출력수단과,
    상기 제 1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집음(集音)하는 제 1의 집음수단과,
    상기 제 1의 집음수단에 의해 집음 된 음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제 2의 재생장치에 공급하는 제 1의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재생장치는,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과,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제 1의 재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제 2의 재생수단과,
    상기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과는 다른 음향 특성을 출력하는 제 2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과,
    상기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른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상기 제 2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상기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제 2의 조정수단과,
    상기 제 2의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 음악 데이터를 다른 음장에 출력하는 제 2의 출력수단과,
    상기 제 2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집음하는 제 2의 집음수단과,
    상기 제 2의 집음수단에 의해 집음 된 음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 기 제 1의 재생장치에 공급하는 제 2의 공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조정수단은, 상기 제 1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유사 반사음 또는/및 유사 잔향음을 상기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부가하고,
    상기 제 2의 조정수단은, 상기 제 2의 음향 특성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된 음향 특성에 근거하여 유사 반사음 또는/및 유사 잔향음을 상기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재생장치는,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제 1의 측정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제 1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상기 제 1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하나의 음장에 출력되고, 이 하나의 음장에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1의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 1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 1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발생된 신호에 근거하여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상기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의 재생장치는,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제 2의 측정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제 2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상기 제 2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다른 음장에 출력되고, 이 다른 음장에 출력된 신호를 검출하는 제 2의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 2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상기 제 2의 측정신호 발생수단에 발생된 신호에 근거하여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상기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재생장치는,
    상기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상기 제 1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하나의 음장에 출력되고, 이 하나의 음장에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1의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 1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음악 데이터와, 상기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나의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상기 제 1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의 재생장치는,
    상기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상기 제 2의 출력수단을 거쳐서 다른 음장에 출력되고, 이 다른 음장에 출력된 음악 데이터를 검출하는 제 2의 마이크로폰과,
    상기 제 2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음악 데이터와, 상기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다른 음장의 음향 특성을 생성하는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은, 상기 제 2의 음향 특성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음향 특성을 역특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재생장치는,
    하나의 음장과는 다른 복수의 음향 특성이 격납되어 있는 제 1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1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 1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의 음향 특성을 독출하는 제 1의 독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조정수단은, 상기 제 1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하나 의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상기 제 1의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하나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상기 제 1의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고,
    상기 제 2의 재생장치는,
    다른 음장과는 다른 복수의 음향 특성이 격납되어 있는 제 2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제 2의 재생수단에 의해 재생된 음악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하나의 음향 특성을 독출하는 제 2의 독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조정수단은, 상기 제 2의 역특성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다른 음장의 역음향 특성과, 상기 제 2의 독출수단에 의해 독출된 하나의 음향 특성에 근거하고, 상기 제 2의 재생수단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 2의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시스템.
KR1020050076169A 2004-08-27 2005-08-19 재생장치 및 재생시스템 KR101150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48951 2004-08-27
JP2004248951A JP4222276B2 (ja) 2004-08-27 2004-08-27 再生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63A KR20060053163A (ko) 2006-05-19
KR101150326B1 true KR101150326B1 (ko) 2012-06-08

Family

ID=3548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169A KR101150326B1 (ko) 2004-08-27 2005-08-19 재생장치 및 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3755B2 (ko)
EP (1) EP1635612B1 (ko)
JP (1) JP4222276B2 (ko)
KR (1) KR101150326B1 (ko)
CN (1) CN174113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218B2 (en) 2014-01-28 2018-02-13 S-Printing Soluti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can data in the event of ESD inp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2467A (ja) * 2004-03-02 2005-09-15 Sony Corp 音響再生方法、音響再生装置および記録メディア
JP4668118B2 (ja) * 2006-04-28 2011-04-13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制御装置
WO2008001857A1 (fr) * 2006-06-30 2008-01-03 Toa Corporation dispositif de reproduction de signal audio spatial et procédé de reproduction de signal audio spatial
US20090062943A1 (en) * 2007-08-27 2009-03-0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ound level based on the content
JP2009118316A (ja) * 2007-11-08 2009-05-28 Yamaha Corp 音声通信装置
JP4521461B2 (ja) 2008-12-25 2010-08-11 株式会社東芝 音響処理装置、音響再生装置、及び音響処理方法
US8488802B2 (en) * 2009-05-19 2013-07-16 Yamaha Corporation Sound field control device
JP2015513832A (ja) 2012-02-21 2015-05-14 インタートラスト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イション 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US9020623B2 (en) 2012-06-19 2015-04-28 Sono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n infrared signal
CN104956689B (zh) 2012-11-30 2017-07-04 Dts(英属维尔京群岛)有限公司 用于个性化音频虚拟化的方法和装置
WO2014164361A1 (en) 2013-03-13 2014-10-09 Dts Llc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stereo audio content
US9678707B2 (en) 2015-04-10 2017-06-13 Sonos, Inc. Identification of audio content facilitated by playback device
JP6897565B2 (ja) * 2015-10-09 2021-06-30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49216B2 (ja) * 2019-03-28 2022-10-06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音響装置および音響制御方法
WO2021010884A1 (en) * 2019-07-18 2021-01-21 Dirac Research Ab Intelligent audio control platform
US11762965B2 (en) * 2019-09-18 2023-09-19 Walgreen Co. Customizable audio in prescription reminders
CN114286278B (zh) * 2021-12-27 2024-03-1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音频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1865A (ja) * 1998-09-11 2000-03-31 Fujitsu Ten Ltd 音響装置
JP2003202861A (ja) * 2002-01-09 2003-07-18 Yamaha Corp 演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2462A1 (de) 1980-10-28 1982-05-27 Hans-Peter 7000 Stuttgart Pfeiffer Lautsprecheranordnung
JPS63183495A (ja) 1987-01-27 1988-07-28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制御装置
JPH02204794A (ja) * 1989-02-02 1990-08-14 Ricoh Co Ltd 合奏システム
US5761315A (en) * 1993-07-30 1998-06-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9327099A (ja) 1996-06-06 1997-12-16 Sony Corp 音響再生装置
US7333863B1 (en) * 1997-05-05 2008-02-19 Warner Music Group, Inc. Recording and playback control system
US6175872B1 (en) * 1997-12-12 2001-01-16 Gte Internetworking Incorpo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syncronizing audio from remote devices
US6125115A (en) * 1998-02-12 2000-09-26 Qsound Labs, Inc. Teleconferenc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three-dimensional sound positioning
US6327567B1 (en) 1999-02-10 2001-1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patialized audio in conference calls
JP2001339799A (ja) * 2000-05-29 2001-12-07 Alpine Electronics Inc 仮想会議装置
JP2002135900A (ja) * 2000-10-23 2002-05-10 Alpine Electronics Inc 圧縮オーディオ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JP2003091290A (ja) * 2001-09-18 2003-03-28 Clarion Co Ltd 通信型車室内音場制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配信センター並びに車載音響システム
JP2003150157A (ja) * 2001-11-08 2003-05-23 Nec Soft Ltd 仮想音楽練習室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
JP4059478B2 (ja) * 2002-02-28 2008-03-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場制御方法及び音場制御システム
US6653545B2 (en) * 2002-03-01 2003-11-25 Ejamm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real time collaborative music performance
JP4062959B2 (ja) * 2002-04-26 2008-03-19 ヤマハ株式会社 残響付与装置、残響付与方法、インパルス応答生成装置、インパルス応答生成方法、残響付与プログラム、インパルス応答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4002192A1 (en) * 2002-06-21 2003-12-3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oom acoustic correction
JP2005252467A (ja) * 2004-03-02 2005-09-15 Sony Corp 音響再生方法、音響再生装置および記録メディ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1865A (ja) * 1998-09-11 2000-03-31 Fujitsu Ten Ltd 音響装置
JP2003202861A (ja) * 2002-01-09 2003-07-18 Yamaha Corp 演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218B2 (en) 2014-01-28 2018-02-13 S-Printing Solutio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can data in the event of ESD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65100A (ja) 2006-03-09
US7773755B2 (en) 2010-08-10
KR20060053163A (ko) 2006-05-19
US20060060070A1 (en) 2006-03-23
EP1635612A2 (en) 2006-03-15
JP4222276B2 (ja) 2009-02-12
EP1635612A3 (en) 2008-10-08
CN1741130A (zh) 2006-03-01
CN1741130B (zh) 2010-05-26
EP1635612B1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326B1 (ko) 재생장치 및 재생시스템
KR20060043240A (ko) 음향 재생 방법 및 음향 재생 장치와 기록 미디어
JP3584800B2 (ja) 音場再現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6850621B2 (en)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a three-dimensional sound reproduction method
US7379552B2 (en) Smart speakers
US7333863B1 (en) Recording and playback control system
US5367506A (en) Sound collecting system and sound reproducing system
JP2003255955A5 (ko)
Hansen et al. Making recordings for simulation tests in the Archimedes project
CN106664497A (zh) 音频再现系统和方法
US7783054B2 (en) System for auralizing a loudspeaker in a monitoring room for any type of input signals
US20050047619A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reating all-around acoustic field
US6925426B1 (en) Process for high fidelity sound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musical sound
JP2008282042A (ja) 再生装置
JP2010136236A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装置、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33920A (ja) 音響再生装置及び音響再生方法
KR20020062921A (ko) 기록 및 재생 제어 시스템
JP6900461B2 (ja) 多チャンネルのスピーカー装置
JPH0621095U (ja) 電子鍵盤楽器の音場再生装置
JP2006279555A (ja) 信号再生装置及び信号再生方法
JP3282201B2 (ja) 収音装置、再生装置、収音方法および再生方法、および、音信号処理装置
JP3257789B2 (ja) 記録方式
Gulsrud Loudspeaker simulation of a string quartet for in situ listening evaluation,”
JPH0486099A (ja) 再生装置
JP2008048083A (ja) 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